KR102241644B1 -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644B1
KR102241644B1 KR1020140130265A KR20140130265A KR102241644B1 KR 102241644 B1 KR102241644 B1 KR 102241644B1 KR 1020140130265 A KR1020140130265 A KR 1020140130265A KR 20140130265 A KR20140130265 A KR 20140130265A KR 102241644 B1 KR102241644 B1 KR 10224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light
pixels
display panel
block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165A (ko
Inventor
김창수
김훈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6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의 영역에 마련된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광층은 제1 차광물질 및 상기 제1 차광물질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차광물질보다 광투과도가 우수한 제2 차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PANEL AND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렌티큘러 필름(Lenticular film)을 이용한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감 있는 영상에 대한 수요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2차원 영상뿐만 아니라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3차원의 입체 영상을 표시함에 따라 물체 본래의 3차원 정보를 온전히 사용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기 때문에, 2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훨씬 현실감 있는 영상의 표현이 가능하다.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체용 특수 안경을 이용하는 안경 방식과 입체용 특수 안경을 이용하지 않는 무 안경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무 안경 방식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영상의 입체감을 준다는 측면에서는 안경 방식과 동일하지만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경 방식에 비하여 휠씬 시청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P)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 상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필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소(P)는 적색(R) 화소, 녹색(G) 화소, 및 청색(B) 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화소(P)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P)는 복수의 뷰 영상(V1~V7)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복수의 시청자에 의한 멀티뷰(multi view)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멀티뷰는 상기 렌티큘러 필름(20)과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된다.
상기 렌티큘러 필름(20)는 일정한 피치(pitch)를 가지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각각에서는 복수의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복수의 뷰 영상(V1~V7)을 분리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렌티큘러 렌즈에는 상기 복수의 뷰 영상(V1~V7)에 대응하는 복수의 뷰 영역(VA1~VA7)이 마련된다. 특히, 상기 렌티큘러 필름(20)은 렌티큘러 렌즈가 비스듬하게 배열되도록 설계됨으로써 복수의 뷰 영상(V1~V7) 사이의 중첩을 줄이도록 한다.
도면에는 7명의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렌티큘러 필름(20) 및 상기 화소(P)가 설계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시청자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시청자의 수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상기 화소(P)의 배열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렌티큘러 필름(20) 내의 렌티큘러 렌즈가 비스듬하게 배열됨으로써 복수의 뷰 영상(V1~V7)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상기 중첩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서로 다른 뷰 영상이 중첩됨으로써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뷰 영상이 중첩되어 발생하는 크로스토크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의 영역에 마련된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광층은 제1 차광물질 및 상기 제1 차광물질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차광물질보다 광투과도가 우수한 제2 차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뷰 영상이 서로 중첩되지 않아 크로스토크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차광층 패턴에 오류가 발생한다 하여도 줄무늬의 화질저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P)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필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등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P)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화소(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화소(P) 각각에는 대응하는 색상의 광을 방출하기 위한 컬러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화소(P)는 지그재그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화소(P)는 복수의 행렬로 배열되면서 어느 하나의 열을 기준으로 홀수 번째 행에는 배치되지 않고 짝수 번째의 행에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 및 제1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지 않지만, 제1열 및 제2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고, 다시 제1열 및 제3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지 않는다. 즉, 제1열의 경우에 있어서, 홀수 번째의 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지 않지만 짝수 번째의 행에는 화소(P)가 배치된다. 또한, 제2열 및 제1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지만, 제2열 및 제2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지 않고, 다시 제2열 및 제3행에는 화소(P)가 배치된다. 즉, 제2열의 경우에 있어서, 홀수 번째의 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지만 짝수 번째의 행에는 화소(P)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구조로 화소(P)가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화소(P)는 복수의 뷰 영상(V1~V4)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복수의 시청자에 의한 멀티뷰(multi view)가 가능하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P)가 지그재그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열에 배열된 화소(P)에서는 제1 뷰 영상(V1)이 표시되고, 제2열에 배열된 화소(P)에서는 제2 뷰 영상(V2)이 표시되고, 제3열에 배열된 화소(P)에서는 제3 뷰 영상(V3)이 표시되고, 그리고 제4열에 배열된 화소(P)에서는 제4 뷰 영상(V4)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는 총 4명의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화소(P)가 설계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시청자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시청자의 수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상기 화소(P)의 배열 및 렌티큘러 필름(20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P) 사이의 영역에는 차광층(Light Shielding Layer; LSL)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차광층(LSL)은 복수의 화소(P) 사이에 형성되어 화소(P)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차광층(LSL)은 복수의 화소(P)들의 행과 행 사이 영역 및 열과 열 사이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렌티큘러 필름(200)는 일정한 피치(pitch)를 가지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2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200a) 각각에서는 복수의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복수의 뷰 영상(V1~V4)을 분리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렌티큘러 렌즈(200a)에는 상기 복수의 뷰 영상(V1~V4)에 대응하는 복수의 뷰 영역(VA1~VA4)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뷰 영역(VA1)은 상기 제1 뷰 영상(V1)에 대응하고, 제2 뷰 영역(VA2)은 상기 제2 뷰 영상(V2)에 대응하고, 제3 뷰 영역(VA3)은 상기 제3 뷰 영상(V3)에 대응하고, 그리고, 제4 뷰 영역(VA4)은 상기 제4 뷰 영상(V4)에 대응한다.
상기 렌티큘러 필름(200)에 구비된 렌티큘러 렌즈(200a)는 종래와 같이 비스듬하게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배열되어 있다. 즉, 상기 렌티큘러 렌즈(200a)는 상기 복수의 화소(P)에 대응하는 형태로 정렬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렌티큘러 렌즈(200a)에 마련된 제1 뷰 영역(VA1) 내지 제4 뷰 영역(VA4)은 각각 상기 제1 뷰 영상(V1) 내지 제4 뷰 영역(V4)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 각각에 대응하면서 서로 일렬로 정렬된다. 예로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200a)에 마련된 제1 뷰 영역(VA1)은 상기 제1 뷰 영상(V1)을 표시하는 화소(P)와 일렬로 정렬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P)가 지그재그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렌티큘러 필름(200)에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200a)가 비스듬하지 않고 올바르게 배열됨으로써 복수의 뷰 영상(V1~V4)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크로스토크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뷰 영상이 중첩되지 않아 크로스토크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되는 차광층(LSL)의 패턴이 정밀하게 형성되지 않을 경우 줄무늬에 의한 화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이는 차광층(LSL) 패턴에 오류가 생겨 줄무늬의 화질 저하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3b는 도 3a의 I-I라인의 단면에 해당한다.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화소(P1, P2, P3)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P1, P2, P3) 사이의 영역에는 차광층(LSL)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P1, P2, P3)는 삼각형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화소(P1)는 제1행 및 제2열에 형성되고, 제2 화소(P2)는 제2행 및 제1열에 형성되고, 제3 화소(P3)는 제2행 및 제3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화소(P2)와 제3 화소(P3)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가 제2열에 해당하고, 상기 제2열에 제1 화소(P1)가 형성된다.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차광층(LSL)은 기판(101)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LSL) 사이의 제1 화소(P1) 영역에는 컬러 필터(CF)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화소(P1) 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차광층(LSL)이 미스 얼라인(misalign) 또는 마스크 결함 등에 의해서 상기 제1 화소(P1) 영역까지 침투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서, 상기 제1 화소(P1)의 좌측에서는 컬러 필터(CF)가 상기 차광층(LSL) 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A로 표기된 영역에서는 화상을 표시할 수 없고 블랙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서,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화소(P1)의 좌측 영역과 제2 화소(P2)와 제3 화소(P3) 사이의 영역에서 차광층(LSL)이 일렬을 이루게 되어 빗금으로 표기된 바와 같이 블랙 상태의 줄무늬가 발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광층(LSL)의 패턴이 정밀하게 형성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줄무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이는 편의상 차광층(LSL)과 컬러 필터(CF)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1) 상에 차광층(LS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LSL) 사이에 화소(P) 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화소(P) 영역에는 컬러 필터(C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층(LSL)은 제1 차광물질(121)과 제2 차광물질(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은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은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은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은 광의 일부 투과는 허용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의 광투과율은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광투과율에 비해 높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물질(121)의 일측 및 타측에 광의 일부 투과를 허용할 수 있는 제2 차광물질(122)을 형성함으로써, 설령 차광층(LSL)의 패턴이 정밀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상기 화소(P) 영역에서 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을 최소화하여 줄무늬의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의 화살표로 인출된 동그라미 영역을 참조하면, 만약 차광층(LSL) 패턴이 정밀하지 못하여 화소(P) 영역에까지 침투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화소(P) 영역으로 침투하는 차광층(LSL)은 상기 제2 차광물질(122)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차광층(LSL)이 화소(P) 영역으로 침투하더라도 광의 일부는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블랙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고, 그에 따라 화면 전체에서 줄무늬 화질 저하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차광층(LSL) 사이의 화소(P) 영역에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공정 오차 등으로 인해서 상기 차광층(LSL)의 상면 상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폭(W1)은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의 폭(W2, W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폭(W1)이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의 폭(W2, W3)보다 작게 형성되면 광투과 영역이 너무 커져서 빛샘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폭(W1, W2, W3)은 행 방향에서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일측에 구비된 제2 차광물질(122)의 폭(W2)과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차광물질(122)의 폭(W3)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이 또한 편의상 차광층(LSL)과 컬러 필터(CF)만을 도시하였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1) 상에 차광층(LS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LSL) 사이의 화소(P) 영역에 컬러 필터(C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층(LSL)은 제1 차광물질(121)과 제2 차광물질(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은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은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일측, 타측, 및 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차광물질(122)은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상면에 추가로 형성된 점에서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차광물질(122)의 구조와 구별된다. 그 외에, 제1 차광물질(121)과 제2 차광물질(122)의 재료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5의 경우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이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일측, 타측, 및 상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도 4의 경우에 비하여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의 패턴 형성 공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차광물질(121)의 일측 및 타측에 광의 일부 투과를 허용할 수 있는 제2 차광물질(1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광층(LSL)의 패턴이 정밀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줄무늬의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개략적 모식도로서, 이는 차광층(LSL)을 위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P)가 복수의 행과 열로 지그재그 구조로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화소(P) 영역 사이에는 차광층(LSL1, LSL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층(LSL1, LSL2)은 제1 차광층(LSL1)과 제2 차광층(LSL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광층(LSL1)은 동일한 행에 배열된 복수의 화소(P)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차광층(LSL1)은 동일한 열에 배열된 화소(P)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차광층(LSL1)은 복수의 화소(P)와 마찬가지로 지그재그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차광층(LSL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차광물질(121)과 제2 차광물질(1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은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은 상기 제1 차광물질(121)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차광물질(122)은 화소(P) 영역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차광층(LSL1)는 전술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차광층(LSL)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광층(LSL1)의 폭(W4)은 상기 화소(P1)의 폭(W5)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화소(P1)의 폭(W5)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 차광층(LSL1)의 폭(W4)은 상기 화소(P1)의 폭(W5)과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공정 오차 등으로 인해서 상기 제1 차광층(LSL1)이 화소(P) 영역에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상기 제1 차광층(LSL1)의 폭(W4)이 상기 화소(P1)의 폭(W5)보다 크게 된다.
상기 제2 차광층(LSL2)은 복수의 화소(P1)의 행과 행 사이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차광층(LSL2)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줄무늬 모양으로 형성된다 .
상기 제2 차광층(LSL2)은 전술한 제1 차광층(LSL1)과는 상이한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차광층(LSL2)은 상기 제1 차광물질(121)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차광층(LSL2)은 이미 줄무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차광층(LSL2)의 패턴이 정밀하게 형성되지 못한다 하더라도 전술한 제1 차광층(LSL1) 영역에서와 같은 줄무늬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이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전술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 렌티큘러 렌즈(200a)에 마련된 제1 뷰 영역(VA1) 내지 제4 뷰 영역(VA4)이 제1 뷰 영상(V1) 내지 제4 뷰 영역(V4)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 각각에 대응하도록 정렬되는데, 이와 같은 정렬이 열 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줄무늬가 생긴다 하더라도 각각의 뷰 영역(VA1~V4)에서 시청하는 시청자는 가로 방향으로 줄무늬가 연속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게 되며, 그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제2 차광층(LSL2)은 광의 일부 투과를 허용하는 제2 차광물질(122)을 이용하지 않고 광의 투과를 차단하는 제1 차광물질(122)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 및 렌티큘러 필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렌티큘러 필름(200)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1)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은 기판(101), 차광층(LSL), 컬러 필터(CF), 대향 기판(300),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화소 전극(310), 공통 전극(320), 및 액정층(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광층(LSL)과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광층(LSL)은 제1 차광물질(121) 및 제2 차광물질(1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차광층(LSL) 사이 영역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차광층(LSL)과 컬러 필터(CF)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화소 전극(310), 및 공통 전극(320)은 상기 대향 기판(30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FT)은 상기 대향 기판(300) 상에 형성되며, 탑 게이트 구조 또는 보텀 게이트 구조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소 전극(310)과 상기 공통 전극(32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상에서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 전극(310)과 상기 공통 전극(320) 사이에서 수평 전계가 형성되고, 그와 같은 수평 전계에 의해서 상기 액정층(330)의 배열 방향이 조절된다.
상기 액정층(330)은 상기 기판(101)과 대향 기판(3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화소 전극(310)과 상기 공통 전극(320)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그 배열 방향이 조절된다.
이상의 액정 표시 패널(1)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는 한도 내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 모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안경 방식 입체 영상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2) 및 렌티큘러 필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렌티큘러 필름(200)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2)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2)은 기판(101), 차광층(LSL), 컬러 필터(CF), 대향 기판(300),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양극(340), 유기 발광층(350), 음극(360), 및 밀봉층(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광층(LSL)과 상기 컬러 필터(CF)는 상기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양극(340), 유기 발광층(350), 및 음극(360)은 상기 대향 기판(30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FT)은 상기 대향 기판(300) 상에 형성되며, 탑 게이트 구조 또는 보텀 게이트 구조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34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TFT) 상에서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350)은 상기 양극(34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음극(360)은 상기 유기 발광층(35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밀봉층(370)은 상기 기판(101)과 상기 대향 기판(300) 사이를 접착함과 더불어 상기 유기 발광층(350)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2)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는 한도 내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01: 기판
121, 122: 제1 차광물질, 제2 차광물질
LSL, LSL1, LSL2: 차광층, 제1 차광층, 제2 차광층
CF: 컬러 필터

Claims (11)

  1.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의 영역에 마련된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광층은 동일한 행에 배열된 복수의 화소 사이의 영역에 구비된 제1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제1 차광물질 및 상기 제1 차광물질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제2 차광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광물질의 광투과도는 상기 제1 차광물질의 광투과도보다 높은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물질은 상기 제1 차광물질의 상면에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복수의 화소의 행과 행 사이 영역에 구비된 제2 차광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차광물질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에 컬러 필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제2 차광물질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의 일부는 상기 제2 차광물질의 상면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어느 하나의 열을 기준으로 홀수 번째 행에는 배치되지 않고 짝수 번째의 행에는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물질의 폭은 상기 제2 차광물질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물질의 일측에 구비된 제2 차광물질의 폭과 상기 제1 차광물질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차광물질의 폭이 서로 상이한 디스플레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의 폭은 상기 화소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화소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에 대응하도록 정렬된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상기 화소와 일렬로 정렬되는 뷰 영역을 구비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30265A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65A KR102241644B1 (ko)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65A KR102241644B1 (ko)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65A KR20160038165A (ko) 2016-04-07
KR102241644B1 true KR102241644B1 (ko) 2021-04-19

Family

ID=5578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265A KR102241644B1 (ko) 2014-09-29 2014-09-29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6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3238B2 (ja) * 1996-10-21 2007-02-21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カラー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6700692B2 (en) * 1997-04-02 2004-03-02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 display/signal light
KR101335311B1 (ko) * 2007-04-03 2013-1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표시장치
KR101260969B1 (ko) * 2010-05-06 2013-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7787A (ko) * 2010-05-20 2011-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65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524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213203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EP2682790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20973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JP5607430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32111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20120100821A (ko)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104849870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30055997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I484817B (zh) 顯示面板
TWI485475B (zh) Display device
US9185397B2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rier panel having openings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6141655A1 (zh) 显示装置及其光栅控制方法
CN104749786A (zh) 立体图像显示装置
KR100852006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144733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812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4264762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KR101323465B1 (ko)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패턴드 리타더 타입의 영상 표시장치
US954917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92394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709813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4950462A (zh) 一种3d显示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241644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10116928B2 (en) Three-dimensional (3D) display screen and 3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