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314B1 -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314B1
KR102241314B1 KR1020190091937A KR20190091937A KR102241314B1 KR 102241314 B1 KR102241314 B1 KR 102241314B1 KR 1020190091937 A KR1020190091937 A KR 1020190091937A KR 20190091937 A KR20190091937 A KR 20190091937A KR 102241314 B1 KR102241314 B1 KR 10224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unit
processed
vertical dir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3985A (en
Inventor
박홍순
Original Assignee
박홍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순 filed Critical 박홍순
Priority to KR102019009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314B1/en
Priority to CN202010717746.XA priority patent/CN112296681B/en
Publication of KR2021001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4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for both machining and other metal-wor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는,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를 포함한다.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an object to be processed which is conveyed along a predetermined conveying direction;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during pressurization by the pressing part; And a height determin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selectively bends or cu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Description

가공 장치 {PROCESSING APPARATUS}Processing equipment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을 가압하여 가공하는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essing and process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절삭용 블레이드와 같은 스트립 형태의 가공대상물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공의 예시로는 가공대상물을 구부리는 가공인 벤딩과, 가공대상물을 절삭하는 커팅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process an object in the form of a strip such as a cutting blade into a desired shape, pressure is generally applied to the object to be processed. Examples of such processing may include bending, which bends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cutting to c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가공대상물에 대한 벤딩을 하기 위해서는 벤딩 장치가 필요하고, 가공대상물에 대한 커팅을 하기 위해서는 커팅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들은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부재와 가압하는 부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장치를 이용해서 벤딩과 커팅이 이루어질 수 없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 순차적으로 배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A bending device is required to bend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cutting device is required to c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se devices may have a member for supporting the object and a member for pressing. However, since bending and cutting cannot be performed using a single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device must be provided and sequentially arranged.

한편, 종래에는 가공대상물을 가압하는 부재 및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부재의 마모가 일어나거나, 가공대상물의 크기가 변하여 상기 부재들을 다른 종류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 이를 고정하는 다른 구성요소들 역시 변경된 크기에 맞추어 변경되어야 해서, 사실상 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when a member that presses the object and the member that suppor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worn, or when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changed and the members need to be changed to a different type, the other components that fix the member are also changed in siz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tire device had to be replaced because it had to be changed to match.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공대상물에 대해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such problems, and provides 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various processing on an object to be proces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는,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를 포함한다.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a processed object conveyed along a predetermined conveying direction;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during pressurization by the pressing part; And a height determin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selectively bends or cu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는,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의 벤딩 또는 커팅 시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이 삽입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말단에 인접한 부분인 상부 연장부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연장부가 상기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덮는 덮개 삽입부와, 상기 덮개 삽입부가 상기 상부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상부 연장부에 걸리도록 상기 덮개 삽입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덮개 플랜지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덮개 삽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덮개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한다.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when bending or cut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which is transported along a predetermined transport direction;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A lower housing into which a reg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unit is inserted based on a vertical direction; An upper housing that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and has an upper extension that is a portion adjacent to an end of the lower housing; The upper extens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formed by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ver insertion part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pressing part, and the cover insertion part in the upper part, so as to prevent the press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pressing part is disposed. A cover portion including a cover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 insertion portion so as to be caught i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when inserted into the hole; And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cover flange so as to determine a height at which the press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unit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따라, 벤딩 장치와 커팅 장치를 일렬로 나열하여 배치하지 않고도, 하나의 가공 장치를 이용해 가공대상물에 대해 커팅 또는 벤딩 작업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erform a cutting or bending operation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without arranging and arranging the bending device and the cutting device in a line.

또한, 다른 크기의 가공대상물의 가공을 위해 높이가 다른 가압부를 사용할 때에도, 덮개는 교체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 pressing portion having a different height is used for processing an object of a different size, the cover may not be repla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를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를 다른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가압부가 도 3의 상태에서 연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위치에 배치된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ross section cut into a predetermined plan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ross section cut into another predetermined plan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pressing un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vertically lifted position in the state of FIG. 3.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를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를 다른 소정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가지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ross section cut into a predetermined plan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ross section cut into another predetermined plan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는, 가압부(20) 및 지지부(10)를 포함하고, 높이결정부(31), 하우징(80), 덮개부(60), 연결 링(91), 가이드부(70), 동력전달부(51), 잠금 체결구(92), 푸시부(32), 및 와셔(40, 40a)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portion 20 and a support portion 10, and a height determining portion 31, a housing 80, a cover portion 60 ), a connection ring 91, a guide part 70, a power transmission part 51, a locking fastener 92, a push part 32, and at least one of the washers 40 and 40a may be further included. .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송방향(D1)이라 함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연직방향(D2)에 수직하고, 가공대상물(M)이 가공 장치(1)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폭 방향(D3)이라 함은 상기 이송방향(D1)과 연직방향(D2)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에 삽입되는 가공대상물(M)은, 연직방향(D2)과 이송방향(D1)을 따라 확장된 판형의 형태를 가지되, 연직방향(D2)을 따라 연장된 길이보다 이송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더 긴, 스트립 또는 테이프의 형태일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direction (D1)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and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passes through the processing device (1). . In addition, the width direction D3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D1 and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nserted into the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ate shape exten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and the conveying direction (D1), but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extending along the lin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strip or tape.

지지부(10)Support (10)

지지부(10)는 가공대상물(M)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중에 가공대상물(M)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압부(20)에 의한 가공대상물(M)에 대한 가압 중에, 지지부(10)가 가공대상물(M)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0 is a component that serves to support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while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s being processed. Dur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by the pressing portion (20), the support (10) may support the object (M) to be processed.

지지부(10)는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일부분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중간에 지지부 본체(11)를 가질 수 있고, 지지부 본체(1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상단돌기(12), 지지부 본체(11)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 하단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and a part of the support part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upport 10 may have a support main body 11 in the midd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and the support upper protrusion 1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ain body 11, It may include a support lower protrusion 1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지지부 상단돌기(12)와 지지부 하단돌기(13)의 단면적은, 지지부 본체(1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상단돌기(12)와 지지부 하단돌기(13)의 단면은, 정원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 본체(11)의 단면은 정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upper protrusion 12 of the support part and the lower protrusion 13 of the support part cut in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art main body 11.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protrusion 12 of the support part and the lower protrusion 13 of the support part is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a circl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art body 11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circle.

지지부(10)의 상단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단돌기(12)는 후술할 덮개부(60)에 형성되는 지지부 삽입홀(63)에 연직방향(D2)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0)의 하단을 포함하는 지지부 하단돌기(13)는, 후술할 푸시부(32)에 형성되는 푸시부 홈(3211)에 연직방향(D2)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단면의 형상을 각각의 돌기가 가지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지부 삽입홀(63)과 푸시부 홈(3211)이 가져, 지지부(10)는 푸시부(32)와 덮개부(6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The support part upper protrusion 12 includ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10 may be inserted in the support part insertion hole 63 formed in the cover part 60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support part lower protrusion 13 includ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0 may be inserted in the push part groove 3211 formed in the push part 32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Each protrusion has the shape of the above-described cross-section, and the support part insertion hole 63 and the push part groove 3211 have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support part 10 is in the push part 32 and the cover part 60. May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지지부(10)에는 지지부 슬릿(1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 슬릿(14)은, 지지부 본체(11)를 이송방향(D1)을 따라 관통하는 슬릿이다. 지지부 슬릿(14)은 이송방향(D1)을 따라 봤을 때, 연직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 support slit 14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10. The support part slit 14 is a slit which penetrates the support part main body 11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D1. When view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the support slit 14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지지부 슬릿(14)은 가공대상물(M)이 이송방향(D1)을 따라 진입하여 삽입된 가공대상물(M)을 지지한다. 지지부 슬릿(14)이, 가압부(20)의 회전에 의해 가공대상물(M)이 가공되도록, 가공대상물(M)을 연직방향(D2) 및 이송방향(D1)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부(10)가 가공대상물(M)을 지지하는 상황에서 가압부(20)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해, 변형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가공이 이뤄질 수 있다.The support slit 14 supports the inserted object M through which the object M enter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The support slit 14 suppor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and the transfer direction (D1)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s processe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unit (20). will be. In a situation where the support part 10 suppor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the pressing part 20 presses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to cause deformation, and process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지지부 슬릿(14)과 인접한 지지부(10)의 일부 영역은, 복수 개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가압부(20)의 커팅 부분(212)에 대응되는 일부분인, 커팅 지지부분(112)과, 다른 일부분인, 가압부(20)의 벤딩 부분(211)에 대응되는 벤딩 지지부분(111)으로 나뉠 수 있으나, 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partial region of the support part 10 adjacent to the support part slit 14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Specifically, the cutting support part 112, which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part 212 of the pressing par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bending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part 211 of the pressing part 20, which is another part. It can be divided into parts 111, but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커팅 지지부분(112)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벤딩 부분(211)에 대응되는 지지부(10)의 다른 일부분인 벤딩 지지부분(111)은,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과 벤딩 지지부분(111)의 외측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The cutting support part 11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Meanwhile, the bending support portion 111, which is another part of the support portion 10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portion 211, may have an outer surface recessed inward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cutting support portion 112. Accordingly,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utting support part 1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nding support part 111.

커팅 지지부분(112)은 후술할 가압부(20)의 가압부 홀(25)에 지지부(10)가 삽입될 때, 가압부(20)의 내측면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커팅 지지부분(112)에 가공대상물(M)이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부(20)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 커팅 부분(212)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커팅 지지부분(112)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이 가공대상물(M)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매우 인접한 상태여서, 가공대상물(M)의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portion hole 25 of the pressing por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cutting support portion 1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0 so as to be slid. Therefore, when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0 occurs while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s supported by the cutting support portion (112), the point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pressed by the cutting portion (212) and the cutting support portion Since the points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supported by 112 are arrang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object (M) or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based on the transfer direction (D1), the cutting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This can be done.

이러한 상황에서 벤딩 지지부분(111)은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지지부분(111)에 가공대상물(M)이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부(20)의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 벤딩 부분(211)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벤딩 지지부분(111)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이 가공대상물(M)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면에 배치되되 이송방향(D1)을 따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공대상물(M)에 가해지는 압력이 한 개소에 모이지 못하고 분산되어 모멘트를 만들어, 커팅이 아닌 벤딩이 일어날 수 있다.In this situation, the bending support portion 111 may have an outer surface that is depressed inward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cutting support portion 112. Therefore, when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art 20 occurs while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s supported by the bending support part (111), the point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pressed by the bending part (211) and the bending support part Points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supported by the (111) may be dispos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but spaced apart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D1). In this situati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cannot be collected at one place and is distributed to create a moment, so that bending rather than cutting may occur.

따라서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커팅 부분(212)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커팅 지지부분(112)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 사이의 거리는, 벤딩 부분(211)에 의해 가압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과 벤딩 지지부분(111)에 의해서 지지되는 가공대상물(M) 상의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on the object M pressed by the cutting portion 212 and the point on the object M supported by the cutting support portion 112 based on the conveying direction D1 is the bending portion ( It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pressed by 211) and the point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supported by the bending support portion (111).

지지부 하단돌기(13)에는, 후술할 잠금 체결구(92)가 체결되는 지지부 체결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 체결홈(131)은, 지지부 하단돌기(13)가,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파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 체결홈(131)은 지지부 하단돌기(13)가 아닌 지지부 본체(11)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lower protrusion 13 of the support part, a support part fastening groove 131 to which a locking fastener 92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may be formed. The support portion fastening groove 131 may be formed by the support portion lower protrusion 13 being dug inward along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However, the support part fastening groove 131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body 11 other than the support part lower protrusion 13.

가압부(20)Pressing part (20)

가압부(20)는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압부(20)는 이송방향(D1)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M)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공대상물(M)을 가압한다.The pressing unit 20 is a component that presses the object M to be processed. The pressing unit 20 presses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during rotation in order to bend or cut the object (M) transferr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가압부(20)가 가공대상물(M)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가압을 실시한다는 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압부(20)가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을 포함하여, 부품의 교체 없이 가공대상물(M)에 대해 벤딩 및 커팅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벤딩만이 가능한 가압부(20)를 가지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팅만이 가능한 가압부(20)를 가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The word that the pressing part 20 pressurizes to bend or cut the object M means that the pressing part 20 is a bending part 211 and a cutting part 212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it may mean that it is formed to selectively perform any one of bending and cutting on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without replacing the parts. However, as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mean that it has a pressing portion 20 that can only be bent, or has a pressing portion 20 that can only be cut, as in another embodiment.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을 동시에 구비하는 가압부(20)를 가져, 일렬로 별도의 커팅 장치와 벤딩 장치를 나열하여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하나의 가공 장치(1)만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벤딩과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Having a pressing part 20 having a bending part 211 and a cutting part 212 at the same time, separate cutting devices and bend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row and processing is not performed, and only one processing device 1 is used. Thus, bending and cutting can be performed selectively.

가압부(20)는 가압부 상부(22), 가압부 본체(21) 및 가압부 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가압부 본체(21)의 상단에 가압부 상부(22)가 배치되고, 가압부 본체(21)의 하단에 가압부 하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 상부(22)로부터 연직방향(D2)을 따라 아래로 가면서 가압부 본체(21), 가압부 하부(23)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20 may include an upper pressing unit 22, a main pressing unit 21, and a lower pressing unit 23. The upper portion 22 of the pressing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1 of the pressing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D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3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1 of the pressing portion. That is, the pressing unit main body 21 and the pressing unit lower 23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while going downward from the pressing unit upper portion 2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가압부 본체(21)의 외측면은, 가압부 상부(22)의 외측면 및 가압부 하부(23)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20)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들에 가압부 상부(22) 및 가압부 하부(23)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가압부 본체(21)는 가공대상물(M)의 가공시 불필요한 가압부(20)와 가공대상물(M)의 접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main body 21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upper portion 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lower portion 23. Therefore, the pressing unit upper 22 and the pressing unit lower 2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unit 20 to stably support rotation, but the pressing unit main body 21 is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tact between the pressing part 20 and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during processing.

가압부 본체(21)의 측면 중 이송방향(D1)을 바라보는 측면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방향(D1)의 반대방향과 폭 방향(D3)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향하는 빗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빗면이 가압부 개구(24)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pressing unit main body 21, the side facing the transfer direction D1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acing outward based o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nsfer direction D1 and the width direction D3, as shown. These inclined surface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24.

가압부 본체(21)는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부분(211)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여 벤딩하게 마련되는 부분이다. 커팅 부분(212)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여 커팅하게 마련되는 부분이다.The pressing part main body 21 may include a bending part 211 and a cutting part 212. The bending part 211 is a part provided to pressurize and bend the object M to be processed. The cutting part 212 is a part provided for cutting by pressing the object M to be processed.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은, 연직방향(D2)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벤딩 부분(211)이 커팅 부분(212)보다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그 배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벤딩 지지부분(111)과 커팅 지지부분(112)은 각각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에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벤딩 지지부분(111)이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커팅 지지부분(11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211 and the cutting portion 212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As shown, the bending portion 21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utting portion 21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but the arrangement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bending support part 111 and the cutting support part 112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part 211 and the cutting part 212, respectively, the bending support part 111 is a cutting support part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D2). It can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112.

가압부(20)의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은, 가압부 개구(24)를 정의할 수 있다. 가압부 개구(24)는, 기본 상태에서 이송방향(D1)을 따라 가압부(20)를 관통하는 개구를 의미한다. 가압부 개구(24)를 통해서, 가압부(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지지부(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211 and the cutting portion 212 of the pressing portion 20 may define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24. The pressing part opening 24 means an opening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part 20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D1 in a basic state.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24, the support portion 10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pressing portion 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기본 상태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가공대상물(M)이 가압부(20)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각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본 상태에서 가압부 개구(24)는 지지부 슬릿(14)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송방향(D1)을 따라 개구된 상태이고, 기본 상태에서 가공대상물(M)이 이송방향(D1)을 따라 지지부 슬릿(14)과 가압부 개구(24)를 관통할 수 있다. 가공대상물(M)이 지지부 슬릿(14)에 의해 지지되는 기본 상태에서, 가압부(20)가 회전하여 가공대상물(M)을 가압하고 가공할 수 있다.The basic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components are arranged so that the object M is not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20, as shown in FIGS. 1 to 5. Therefore, in the basic state, the pressing part opening 24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slit 14 to be open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D1, and in the basic state,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s in the supporting part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D1. It is possible to penetrate the slit 14 and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24. In a basic state in which the object M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lit 14, the pressing unit 20 rotates to press the object M to be processed.

벤딩 부분(211)이 정의하는 가압부 개구(24)의 일부분의 폭은, 커팅 부분(212)이 정의하는 가압부 개구(24)의 다른 일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부(10)의 벤딩 지지부분(111)과 커팅 지지부분(112)의 외측면 형상에 의해 유발되는 효과와 유사하게, 벤딩 부분(211)에서는 벤딩이 일어나고, 커팅 부분(212)에서는 커팅이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width of a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24 defined by the bending portion 211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anoth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24 defined by the cutting portion 212. This is similar to the effect caused by the shape of the bending support portion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tting support portion 112 of the support portion 10, bending occurs in the bending portion 211, cutting occurs in the cutting portion 212. It can play a role in making it happen.

가압부(20)가 연직방향(D2)을 따라 관통되어, 가압부 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연직방향(D2)을 따라 가압부 홀(25)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 홀(25)에 지지부(10)가 삽입되어, 가압부(20)의 내측에 지지부(10)가 수용될 수 있다. 가압부 홀(25)의 형상이 지지부(1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0)의 외측면이 가압부(2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20 may be penetr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so that the pressing part hole 25 may be formed. The support part 10 may be inserted into the pressing part hole 25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support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part hole 25, so that the support part 1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pressing part 20.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hole 2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20.

지지부(10)와의 관계에서 가압부(20)가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도 1의 화살표의 방향인 회전방향(D4)과 같이 가질 수 있으므로, 가압부(20)의 회전축은 연직방향(D2)을 따라 가압부(20)를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0)가 고정된 상황이라면, 가압부(20)는 마치 지지부(10)를 축부재로 하여 회전하는 것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support part 10, since the pressing part 20 can have a relative rotation around the vertical direction D2, a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D4,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 the rotation axis of the pressing part 20 Silver may pass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2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refore, if the support part 10 is fixed, the pressing part 20 can operate as if it rotates using the support part 10 as a shaft member.

후술할 높이결정부(31)에 의해서 가압부(20)와 지지부(10)는 연직상방으로 밀려서 이동할 수 있는데, 가압부(20)가 높이결정부(31) 또는 높이결정부(31)와 가압부(20) 사이의 푸시부(3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높이결정부(31)가 연직하방으로 하강해도 가압부(20)는 마찰 등에 의해 여전히 상승된 위치에서 내려오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 링(91)이 사용될 수 있다.By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to be described later,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support unit 10 can be pushed vertically upward, and the pressing unit 20 is pressed with the height determining unit 31 or the height determining unit 31 In the case of being not coupled to the push part 32 between the parts 20, even if 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descends vertically downward, the pressing part 20 may still not come down from the elevated position due to friction or the like. . To avoid this situation, a connecting ring 91 can be used.

연결 링(91)은 지지부(10)와 가압부(20)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은 가능하나, 연직방향(D2)을 따라서는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 홈(15)과, 가압부 홀(25)을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 하부(23)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압부 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 홈(15)과 가압부 홈(26)에, 연결 링(91)이 삽입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ing 91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the support 10 and the pressing unit 20 from rotating relative to each other, but does not have a relative movemen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A support groove 1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a pressing portion groove 26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23 defining the pressing portion hole 25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groove 15 and the pressing portion groove 26, the connection ring 91 may be inserted.

연결 링(91)은, 지지부 홈(15)과 가압부 홈(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링(91)에 의해, 지지부(10)와 가압부(20)의 연직방향(D2) 움직임은 서로 연동되되, 회전은 연동되지 않아, 지지부(10)와 가압부(20)가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ring 9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groove 15 and the pressing portion groove 26. Therefore, by the connecting ring 91, the vertical direction (D2)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pressing portion 2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ut the rotation is not interlock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pressing portion 20 are relative to each other. Can have rotation.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 링(91)은, 일부가 개방된 환형의 스냅 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 홈(15)을 둘러싸도록 연결 링(91)을 배치할 때, 연결 링(91)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연결 링(91)의 양단을 잡아당겨 서로 접촉하도록 해, 지지부 홈(15)을 구성하는 지지부(10)의 외측면에 연결 링(91)의 내측면이 최대한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지부(10)를 가압부(20)에 삽입함에 따라, 연결 링(91)의 양단이 서로 멀어지고, 연결 링(91)이 가압부 홈(26)에 삽입되면서 연결 링(91)의 외측면이 가압부 홈(26)을 형성하는 가압부(20)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To enable this operation, the connection ring 91 may be configured as an annular snap ring partially open. When arranging the connection ring 91 so as to surround the support groove 15, pull the open portion of the connection ring 91 and both ends of the adjacent connection ring 91 to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groove 15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ring 9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10 to be configured. In this situation, as the support 10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unit 20,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ing 9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ring 91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unit groove 26, and the connecting ring 91 The outer surface of the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0 forming the pressing portion groove (26).

가압부 상부(22)는 원기둥형의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덮개부(60)에 삽입되어 회전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부 하부(23)는 도시된 것과 같이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원이 아닌 형상을 가져, 동력전달부(51)에 의해 가압부(20)가 회전되도록 동력전달부(51)의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2 may have a cylindrical outer surface. Therefor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over portion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supported during rotation. However,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23, the cross section cut in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has a shape other than a circle, so that the pressing part 20 is rot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part 51. It may be inserted in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of the unit 51.

높이결정부(31)Height determination part (3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의 가압부(20)가 도 3의 상태에서 연직방향(D2)으로 들어올려진 위치에 배치된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20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position rai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in the state of FIG. 3.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결정부(31)에 대해 설명한다. 높이결정부(31)는 가압부(20)를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높이결정부(31)는 지지부(10) 역시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6.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is a component that moves the pressing unit 2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height determination part 31 may move the support part 1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as well.

높이결정부(31)는 지지부(10) 및 가압부(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부(10) 및 가압부(20)와의 사이에 푸시부(32)를 가져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0 and the pressing part 20, but as show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part ( 32), so they can be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높이결정부(31)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결정부(31)는, 실린더(311)와 실린더(311)에 일부분이 내장되어 실린더(311) 내부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압에 의해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 가능한 피스톤(312)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12)의 외측 말단에 가압부(20)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피스톤(312)이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할 때 가압부(20)도 이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다.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may be a hydraulic cylinder.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cylinder 311 and the cylinder 31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by hydraulic pressure introduced or discharged into the cylinder 311. It may include a movable piston 312. The pressing part 2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piston 312, so that when the piston 312 mov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pressing part 20 may also move in conjunction with it.

다만 높이결정부(31)는 공압을 사용하는 실린더일 수 있고, 리니어 모터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직선방향 움직임을 가지게 하는 기계요소라면, 다른 기계요소로 변형이 가능하다.However, the height determining unit 31 may be a cylinder using pneumatic pressure, may be a linear motor, and if it is a mechanical element that has a linear mo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transformed into another mechanical element.

높이결정부(31)는, 가압부(20)를 연직방향(D2)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벤딩 부분(211)과 커팅 부분(212) 중 어느 하나가 가공대상물(M)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높이결정부(31)가 신장하여 가압부(20)를 최대한 들어올린 도 6과 같은 상황에서, 벤딩 부분(211)이 가공대상물(M)을 벤딩할 수 있다. 높이결정부(31)가 수축하여 가압부(20)를 연직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인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커팅 부분(212)이 가공대상물(M)을 커팅할 수 있다.As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moves the pressing unit 2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any one of the bending portion 211 and the cutting portion 212 can press the object M to be processed. You can put it in a position that you ha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tuation as shown in FIG. 6 in which the height determining portion 31 is elongated to lift the pressing portion 20 to the maximum, the bending portion 211 may bend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n a state as shown in FIG. 3 in which 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is contracted and the pressing part 20 is moved vertically downward, the cutting part 212 can cut the object M.

도시된 것과 같이 높이결정부(31)는 지지부(10) 및 가압부(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지지부(10) 및 가압부(20)의 상측에서 지지부(10)와 가압부(20)를 잡아당겨 상승시키거나, 밀어 하강시킬 수도 있다.As shown,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may be disposed under the support unit 10 and the pressing unit 20, but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unit 10 and the pressing unit 20 In the support part 10 and the pressing part 20 can be pulled and raised, or pushed down.

푸시부(32)Push part (32)

푸시부(32)는 가압부(20)에 대한 높이결정부(31)의 작용을 매개하는 구성요소이다. 푸시부(32)에는 가압부(20)가 안착될 수 있고, 지지부(1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안착될 수 있으며, 높이결정부(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push part 32 is a component that mediates the action of 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part 20. The pressing portion 20 may be seated on the push portion 32, the support portion 10 may be seated so as not to rotate relatively, and may be coupled to the height determining portion 31.

푸시부(32)는 높이결정부(31)의 운동에 연동되어 가압부(20)와 지지부(10)를 연직방향(D2)으로 이동시키도록 높이결정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푸시부(32)와 높이결정부(31)는 푸시부(32)를 연직방향(D2)으로 관통하되 높이결정부(31)의 상단에 체결되는 푸시부-높이결정부 체결구(93)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외의 위치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push unit 32 may be coupled to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to move the pressing unit 20 and the support uni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by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height determining unit 31. As shown, the push part 32 and the height determination part 31 penetrate the push part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but the push part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determination part 31-the height determination part is fastened It may be fastened by the sphere 93, bu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other components at other positions.

푸시부(32)에는 잠금 체결구(92)가 체결될 수 있다. 잠금 체결구(92)는, 푸시부(32)와 지지부(10)의 연직방향(D2)에서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도록,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다. 즉, 푸시부(32)는 각 체결구에 의해, 높이결정부(31) 및 지지부(10)와 체결되어,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가지지 않고, 서로 연동되어 연직방향(D2)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A locking fastener 92 may be fastened to the push part 32. The locking fastener 92 can fasten the push portion 32 and the support portion 10 so as to interlock the movement of the push portion 32 and the support portion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That is, the push part 32 is fastened with 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and the support part 10 by each fastener, and does not have a relative rotation to each other, and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mov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

이에 따라, 높이결정부(31)의 연직방향(D2) 움직임이, 지지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지지부(10)에 전달된 연직방향(D2) 움직임은, 상술한 연결 링(91)에 의해 회전부에 전달되어, 회전부가 높이결정부(31)의 연직방향(D2)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부는 푸시부(32)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푸시부(32)가 높이결정부(31)의 연직상방 움직임에 연동하여 운동할 때, 푸시부(32)에 의해 밀려서 연직상방으로 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may be transmitted to the support unit 10. The vertical direction (D2) movement transmitted to the support part 10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part by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ring 91, so that the rotating part can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direction (D2) movement of 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do. 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part is seated on the push part 32, when the push part 32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upward movement of 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it is pushed by the push part 32 to move vertically upward. I can.

푸시부(32)에 잠금 체결구(92)가 체결되기 위하여, 푸시부(32)에는 잠금 체결구 통과홀(3212)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fasten the locking fastener 92 to the push portion 32, a locking fastener passing hole 3212 may be formed in the push portion 32.

푸시부(32)는,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상측을 바라보는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파인 푸시부 홈(3211)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0)가 푸시부(32)에 안착될 때, 지지부(10)가 푸시부(32)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가지지 않도록, 푸시부 홈(3211)에 지지부 하단돌기(13)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부 홈(3211)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된 원기둥형이 아닌, 지지부 하단돌기(13)를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push unit 32 may have a push unit groove 3211 that is form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facing upward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D2. When the support part 10 is seated on the push part 32, the support part lower protrusion 13 is inserted into the push part groove 3211 so that the support part 10 does not have a relative rotation in relation to the push part 32. I can. Therefore, the push unit groove 3211 may have a shape capable of pressing the lower protrusion 13 of the support unit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rather tha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부 홈(3211)은,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삽입되는 지지부 하단돌기(13) 역시, 푸시부 홈(32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지지부 본체(11)로부터 연직하방으로 돌출되되,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ush unit groove 321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The support part lower protrusion 13 inserted therein may also protrude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support part main body 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ush part groove 3211,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푸시부(32)는 푸시부 상부(321)와 푸시부 하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 하부(322)는 높이결정부(31)와 결합될 수 있고, 푸시부 상부(321)는 푸시부 하부(322)가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가지는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에 걸려 푸시부(32)가 연직하방으로 하우징(8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ush part 32 may include an upper push part 321 and a lower push part 322. The lower push part 322 may be combined with the height determining part 31, and the upper push part 321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ush part lower part 322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sh part 32 from being dislodged from the housing 80 vertically downward by being caught by the push part fixing housing 85.

동력전달부(51)Power transmission unit (51)

동력전달부(51)는 가압부(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동력전달부(51)는 구동부(52)가 포함하는 구동원(521)이 발생시킨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52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동력전달부(51)는 가압부(20)에 연결되므로, 가압부(20)를 이에 연동하여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한다. 여기서 구동원(521)은, 모터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른 기계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power to the pressing unit 2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522 that rotates 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source 521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52, receiving the driving force, and rotating around the vertical direction D2. can do. At the same time,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20, the pressing unit 20 is interlocked thereto to rotate around the vertical direction D2. Here, the driving source 521 may be a motor, but other mechanical elements capable of generating a rotating driving force may be used.

동력전달부(51)는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 본체(511)의 측면중 일부분은 구동기어(522)에 접촉하여, 구동기어(522)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회전케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측면의 일부분은, 동력전달부 본체(511)의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점들이 모여서 형성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 동력전달부 본체(511)의 측면과 구동기어(522)가 치합되도록 서로 맞물리는 기어치를 가질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511.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511 may contact the driving gear 522 to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51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522.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may have a curved profile formed by gathering points separated by the sam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511. For this operation, it may have gear teeth that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511 and the driving gear 522 are meshed.

동력전달부 본체(511)에는 동력전달부 홀(512)이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 홀(512)은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연직방향(D2)을 따라 관통하는 통공이다. 동력전달부 홀(512)에 푸시부(32)와 가압부(20)가 삽입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 홀(512)을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프로파일이 원형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가압부 하부(23)가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되어,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동력전달부(51)가 회전할 때 가압부(20)가 동력전달부(51)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A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may be formed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51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i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51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push unit 32 and the pressing unit 20 may be inserted in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The profil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cut in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may not be circular. Therefore, when the above-described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unit 23 is inserted in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rotates around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pressing unit 20 i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It is pressed by the inner surface of) and can rotate around the vertical direction (D2).

동력전달부 본체(511)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되, 동력전달부 홀(512)을 둘러싸는 형상의 동력전달부 돌출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 돌출부(513)는 후술할 하우징(80)의 하부 고정홀(811)에 삽입되어, 동력전달부(51)가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다른 방향으로 하우징(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oedoe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511, a power transmission unit protrusion 513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may be forme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protrusion 513 is inserted into the lower fixing hole 811 of the housing 8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80 in a different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Can be prevented.

동력전달부 본체(511)는 연직방향(D2)을 가로지르는 다른 방향으로 더 관통되어,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을 형성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은, 기본 상태에서, 잠금 체결구(92)가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 체결구(92)는 이송방향(D1)의 반대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고, 동일한 방향을 따라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 체결홀(514) 역시 이송방향(D1)을 따라 동력전달부 본체(5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511 may be further penetrated in another direction crossi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o form a power transmission unit fastening hole 514. The power transmission part fastening hole 514 may be align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fastener 92 fastens the push part 32 and the support part 10 in a basic state. As shown, the locking fasteners 92 may be arranged alo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fer direction D1, and may fasten the push unit 32 and the support unit 10 along the same direction. Accordingl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astening hole 514 may also be form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511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이러한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을 통해, 전체 가공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잠금 체결구(92)가 푸시부(32)의 잠금 체결구 통과홀(3212) 및 지지부 체결홈(131)으로 삽입되어,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동력전달부 체결홀(514)을 통해, 이미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하고 있는 잠금 체결구(92)에 대해, 체결을 해제하고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astening hole 514, the locking fastener 92 is provided with the locking fastener passing hole 3212 of the push unit 32 and the support fastening groove 131 even in the state where the entire processing device 1 is assembled. ),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push part 32 and the support part 10. In addition, on the contrary,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astening hole 514, for the locking fastener 92 that is already fastening the push unit 32 and the support unit 10, the fastening may be releas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된 가압부 하부(23)의 외측면은, 동력전달부 홀(512)을 정의하는 동력전달부(51)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동력전달부(51)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51)의 회전시 가압부(20) 역시 이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동력전달부 홀(512)에 삽입된 푸시부(32)의 외측면은, 동력전달부(51)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51)의 회전이 일어나도, 푸시부(32)는 가압되지 않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23 of the pressurization unit inserted in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that define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and transmits power. It can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 51. Therefore, wh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rotates, the pressing unit 20 may also rotate in connection with this. However,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unit 32 inserted in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may not contac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Therefore, even if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occurs, the push unit 32 is not pressed and may not rotate.

가이드부(70)Guide part (70)

가이드부(70)는 가공대상물(M)이 이송방향(D1)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공대상물(M)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이드부(70)는 가압부(20)에 대해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70)는 가압부(20)로 가공대상물(M)을 가이드하도록, 이송방향(D1)을 따라 관통되어 가이드 슬릿(711, 721)을 형성하고,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가압부(20)의 상류측에서 하부 하우징(81)에 안착될 수 있다.The guide part 70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move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The guide part 70 may be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part 20 in the conveying direction D1. The guide part 70 is penetrat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D1 to form the guide slits 711 and 721 so as to guide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with the pressing part 20, and pressurized based on the conveying direction D1. It may be seated in the lower housing 81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art 20.

가이드부(70)는 제1 가이드부(71)와 제2 가이드부(72)로 나뉠 수 있으나, 가공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가이드부(70)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가이드부(71)와 제2 가이드부(72)는 연속되게 배치되어, 제1 가이드부(71)의 제1 가이드 슬릿(711)을 통과한 가공대상물(M)이 제2 가이드부(72)의 제2 가이드 슬릿(721)을 통과해 지지부(1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711, 721)을 가공대상물(M)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공대상물(M)을 가이드 슬릿(711, 721)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밀어주는 롤러(미도시)가 가이드부(70)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guide portion 7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guide portion 71 and a second guide portion 72, but is for convenience of processing, and thus the number of guide portions 70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guide part 71 and the second guide part 72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object 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guide slit 711 of the first guide part 7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guide part ( It may pass through the second guide slit 721 of 72) and be transferred to the support part 10. A roller (not shown) that pushes the object M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slits 711 and 721 are formed so that the object M can pass through the guide slits 711 and 721 is provided in the guide part 70 It may be built in.

하우징(80)Housing(80)

하우징(80)은 가공 장치(1)의 뼈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하우징(80)은 하부 하우징(81) 및 상부 하우징(86)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다른 하우징(80)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8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processing device 1. The housing 8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81 and an upper housing 86, and may include other housings 80.

하부 하우징(81)은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가압부(20)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인 가압부(20)하부가 삽입되는 하우징(80)이다. 하부 하우징(81)이 연직방향(D2)으로 관통되어 하부 고정홀(811)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하부 고정홀(811)에 가압부(20)와 이를 감싸는 동력전달부 돌출부(513)가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81 is a housing 80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0, which is an area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0,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lower housing 81 can be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to form a lower fixing hole 811, and in this lower fixing hole 811, a pressing part 20 and a power transmission part protruding part 513 surrounding it are provided. Can be inserted.

동력전달부 본체(511)는 하부 하우징(81)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부 하우징(81)은 동력전달부 본체(511)가 연직상방으로 이탈하는 것과, 연직방향(D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511 is disposed under the lower housing 81, and the lower housing 81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511 is separated vertically upward and crosses the vertical direction D2. It can prevent churn.

하부 하우징(81)에는 가이드부(70)가 안착될 수 있고, 가이드부(7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부(70)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하부 하우징(8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70 may be seated in the lower housing 81, and a groove in which the guide part 70 may be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81 so that the guide part 70 is not separated. .

상부 하우징(86)은, 가이드부(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86)은, 하부 하우징(8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부(70)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upper housing 86 may be coupled to the guide part 70. The upper housing 86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81, but may be indirectly coupled through the guide portion 70 as shown.

상부 하우징(86)은, 상기 이송방향(D1)을 기준으로 말단에 인접한 영역인 상부 연장부(861)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70)로부터 이송방향(D1)을 따라 연장된 부분인 상부 연장부(861)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연장부(861)는 연직방향(D2)으로 관통되어 상부 홀(862)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홀(862)에는 덮개부(60)가 삽입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86 may have an upper extension part 861 that is an area adjacent to an end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direction D1. It may have an upper extension portion 861 that is a portion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from the guide portion 70. The upper extension part 861 may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to form an upper hole 862. The cover part 6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862.

내측 고정 하우징(82)은 하부 하우징(8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내측 고정 하우징(82)은 하부 하우징(81)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하우징(81)과 내측 고정 하우징(82)은, 연직방향(D2)에 수직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fixed housing 82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housing 81 to the lower side. The inner fixed housing 82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housing 81. That is, the lower housing 81 and the inner fixed housing 8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내측 고정 하우징(82)이 연직방향(D2)으로 관통되어, 내측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고정홀에는 동력전달부(51)가 안착될 수 있고, 내측 고정홀을 푸시부(32)와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이 통과할 수 있다. 내측 고정 하우징(82)이, 동력전달부(51)가 연직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fixing housing 82 may be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to form an inner fixing ho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may be seated in the inner fixing hole, and the push unit 32 and the push unit fixing housing 85 may pass through the inner fixing hole. The inner fixed housing 82 can prev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1 from being separated vertically downward.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은 내측 고정 하우징(82)의 연직하측으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내측 고정홀에 삽입되고, 푸시부(32)가 내측에 삽입되는 'T'자 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하우징(80)이다. 푸시부 고정 하우징(85)이 내측 고정 하우징(82)에 삽입 및 결합되고, 푸시부 상부(321)와 푸시부 하부(322)가 형성하는 단턱에 걸려, 푸시부(32)가 연직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ush part fixing housing 85 is inserted into the inner fixing hole from the vertically lower side of the inner fixing housing 82 to the vertically upward direction, and the housing 80 having a'T'-shaped profile into which the push part 3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o be. The push part fixing housing 85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ner fixed housing 82, and caught in the stepped jaws formed by the push part upper part 321 and the push part lower part 322, and the push part 32 is separated vertically downward. Can be prevented.

하부 하우징(81)의 둘레를 따라, 하부 하우징(81)의 하측에 정면 하우징(83)과 측면 하우징(84)이 배치될 수 있다. 정면 하우징(83)은 이송방향(D1)을 바라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81)의 이송방향(D1)측 말단에 결합되고, 내부 고정 하우징(80)의 이송방향(D1)측 말단에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81)과 내부 고정 하우징(8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81, the front housing 83 and the side housing 84 may be disposed under the lower housing 81. The front housing 83 is formed in a plate shape facing the transfer direction D1,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lower housing 81 on the transfer direction D1 side, and the end of the inner fixed housing 80 on the transfer direction D1 side. It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81 and the inner fixed housing 8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정면 하우징(83)에는 이송방향(D1)을 따라 관통되어 정면 홀(831)이 형성될 수 있다. 정면 홀(831)은 동력전달부 홀(512)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잠금 체결구(92)가 외부로부터 동력전달부 홀(512)로 들어가거나, 동력전달부 홀(512)을 통해 나오는 잠금 체결구(92)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공 장치(1)가 전부 조립된 상태에서도, 정면 홀(831)과 동력전달부 홀(512)을 통해, 잠금 체결구(92)가 외부로부터 내부로 제공되어 푸시부(32)와 지지부(10)를 체결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A front hole 831 may be formed in the front housing 83 by penetrating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D1. The front hole 831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so that the locking fastener 92 enter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from the outside or is locked out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Make the fastener 92 come out to the outside. Therefore, even in the state where the processing device 1 is fully assembled, the locking fastener 92 is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rough the front hole 831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512, so that the push unit 32 and the support unit (10) can be fastened, and vice versa.

측면 하우징(84)은 폭 방향(D3)을 따라 하부 하우징(81)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side housing 84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housing 81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내부 측면 하우징(87)은, 폭 방향(D3)을 따라 내부 고정 하우징(80)의 양단에 결합되고, 하부 하우징(81)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81)과 내부 고정 하우징(80)을 더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하우징(84)과 내부 측면 하우징(87)은 폭 방향(D3)을 바라보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ide housing 87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ner fixed housing 80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81, so that the lower housing 81 and the inner fixed housing 80 It can play a role of connecting more. The side housing 84 and the inner side housing 87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facing the width direction D3.

덮개부(60)Cover (60)

덮개부(60)는 상부 연장부(861)와 연결되고, 가압부(20)를 덮는 구성요소이다. 덮개부(60)는, 덮개 삽입부(612)와, 덮개 플랜지(611)를 포함하는 덮개(61)를 가질 수 있다.The cover part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extension part 861 and is a component that covers the pressing part 20. The lid part 60 may have a lid 61 including a lid insertion part 612 and a lid flange 611.

덮개 삽입부(612)는, 상부 연장부(861)의 상부 홀(862)에 삽입되고, 가압부(20)가 배치된 위치에서 가압부(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부(20)의 상단을 덮는다. 덮개 삽입부(612)가 상부 홀(862)에 삽입되되 가압부(20)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 삽입부(612)의 하면은, 연직상방으로 파여 가압부(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862 of the upper extension portion 861 and prevents the pressing portion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pressing portion 20 is disposed, the pressing portion 20 Cover the top of ).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862 and covers the pressing portion 2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is vertically digged upward to allow the pressing portion 20 to be inserted. Can be formed.

이러한 가압부(20)가 삽입되어 덮힐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 삽입부(612)의내측면에, 가압부(20)가 연직방향(D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 가지는, 상부 베어링(62)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베어링(62)은, 가압부 상부(22)의, 연직방향(D2)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에 접촉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which forms a spac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20 is inserted and covered, the pressing portion 20 has to support smoothly rotating around the vertical direction (D2), An upper bearing 62 may be disposed. The upper bearing 62 may contact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part 22 of the pressing part 22 faci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to support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이러한 덮개부(60)가 포함하는 상부 베어링(62)은, 연직방향(D2)과 나란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전동체들이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롤러 베어링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upper bearing 62 included in the cover part 60 may be a roller bearing in which a plurality of rolling elements havi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as a rotation axis are dispos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ut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덮개 삽입부(612)는, 상부 하우징(86)의 상측으로부터, 연직하방으로 상부 홀(86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 플랜지(611)가 상부 하우징(86)에 걸려, 연직하방으로 덮개부(60)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cover insertion part 612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862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using 86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cover flange 611 is caught in the upper housing 86, and the cover part 6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vertically downward.

덮개 플랜지(611)는, 덮개 삽입부(612)가 상부 홀(862)에 삽입될 때 상부 연장부(861)에 걸리도록, 덮개 삽입부(6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외측으로 돌출된다는 말은,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 덮개 삽입부(6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는 의미이다.The lid flange 611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id insertion portion 612 so that the lid insertion portion 612 is caught by the upper extension portion 861 when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862. Here, the word protruding outward means that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 insertion part 612 along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덮개 삽입부(612)에는, 지지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은 제한되되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한 지지부(10)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가능하도록, 지지부 상단돌기(12)가 하측으로부터 연직상방으로 삽입되는 지지부 삽입홀(6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 삽입홀(63)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된 원기둥형이 아닌, 지지부 상단돌기(12)를 연직방향(D2)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e cover insertion part 612, the support part upper protrusion 12 is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wer side so tha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upport part 10 is limited, bu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1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is possible. A support part insertion hole 63 to be inserted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support part insertion hole 63 may have a shape capable of pressing the upper protrusion 12 of the support part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rather tha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삽입홀(63)은,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삽입되는 지지부 상단돌기(12) 역시, 지지부 삽입홀(6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지지부 본체(11)로부터 연직상방으로 돌출되되, 폭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insertion hole 6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The support portion upper protrusion 12 inserted therein may also protrude vertically upward from the support portion main body 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insertion hole 63,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D3.

와셔(40, 40a)Washer (40, 40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1a)의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1a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더 참조로 하여, 와셔(40, 40a)에 대해 설명한다. 와셔(40, 40a)는 가압부(20)와 덮개(61)가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높이를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와셔(40, 40a)는 덮개 삽입부(612)를 감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7, the washers 40 and 40a will be described. The washers 40 and 40a are elements that determine the height of the pressing portion 20 and the cover 6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D2. Washers 40 and 40a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와셔(40, 40a)는 상부 하우징(86)과 덮개 플랜지(611)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와셔(40, 40a)의 높이만큼 상부 하우징(86)과 덮개 플랜지(611)가 이격될 수 있다. 가압부(20)를 교체하지 않는 이상 가압부(20)의 높이는 변화하지 않을 것이므로, 와셔(40, 40a)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가압부(20)와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된 높이가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된 높이를 판단하기 위한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은,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연직 하방을 바라보는 일면을 의미한다.Washers 40 and 40a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86 and the cover flange 611. Accordingly, the upper housing 86 and the cover flange 611 may be spaced apart by the height of the washers 40 and 40a. Since the height of the pressurization unit 20 will not change unless the pressurization unit 20 is replaced,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ization unit 20 and the cover insertion unit 612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ashers 40 and 40a. The heights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vary.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for determining the spaced apart height refers to one surface that is located inside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and looks vertically downward.

구체적으로,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와 지지부(10)가 사용될 때, 제1 높이(H1)를 가지는 와셔(40)가 사용되어, 가압부(20)가 가장 하측에 위치했을 때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and 6, when the pressing portion 20 and the support por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a washer 40 having a first height H1 is used, When the pressing portion 20 is positioned at the lowest position,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value.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서 가공되는 가공대상물(M)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가공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1a)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processing apparatus 1a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for process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M in one embodiment is confirmed. I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연직방향(D2)을 기준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0)와 지지부(10)가 가지는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가압부(20a)와 지지부(10a)가 사용될 수 있다. 더 큰 가공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높이(H1)를 가지는 와셔(40)가 사용되면, 지지부(10a)와 가압부(20a)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고, 덮개(61)에 의해 연직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충분히 지지부(10a)와 가압부(20a)가 상승하지 못하면, 벤딩 또는 커팅이 가공대상물(M)에 대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20a and the supporting portion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ressing portion 20 and the supporting por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D2) (10a) can be used. This is to process a larger object. In this case, as in one embodiment, when the washer 40 having the first height H1 is used, the support portion 10a and the pressing portion 20a do not sufficiently rise, and the cover 61 moves upward vertically. Movement can be blocked. If the support portion 10a and the pressing portion 20a are not sufficiently raised, bending or cutting cannot be properly performed for the object 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 높이(H1)보다 큰 제2 높이(H2)를 가지는 와셔(40a)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10a)와 가압부(20a)의 높이가 증가한 만큼 높이가 증가한 와셔(40a)가 사용될 경우, 덮개 삽입부(612)의 내측면과 가압부(20a)가 연직방향(D2)을 따라 이격된 높이를,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소정의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asher 40a having a second height H2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H1 may be used. When the washer 40a whose height is increased as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10a and the pressing portion 20a increases is use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portion 612 and the pressing portion 20a are spac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2). The height can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value as in an embodimen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가공 장치(1, 1a)를 사용하여, 높이가 상이한 지지부(10a)와 가압부(20a)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도, 덮개(61)의 교체 없이 와셔(40a)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동일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using the processing apparatus 1, 1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dified example thereof, the support portion 10a and the pressing portion 20a having different heights should be used, the replacement of the cover 61 Withou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ame processing by adjusting only the height of the washer (40a).

이 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1)는, 각 회전되는 요소들 사이 또는 회전되는 요소와 정지된 요소 사이에서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해 각종 보조 베어링(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배치되는 베어링의 수와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arious auxiliary bearings 94 to reduce friction between each rotating element or between a rotating element and a stationary element. have. However,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bearings to be arranged are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1a : 가공 장치
10, 10a : 지지부
11 : 지지부 본체
12 : 지지부 상단돌기
13 : 지지부 하단돌기
14 : 지지부 슬릿
15 : 지지부 홈
20, 20a : 가압부
21 : 가압부 본체
22 : 가압부 상부
23 : 가압부 하부
24 : 가압부 개구
25 : 가압부 홀
26 : 가압부 홈
31 : 높이결정부
32 : 푸시부
40, 40a : 와셔
51 : 동력전달부
52 : 구동부
60 : 덮개부
61 : 덮개
62 : 상부 베어링
63 : 지지부 삽입홀
70 : 가이드부
71 : 제1 가이드부
72 : 제2 가이드부
80 : 하우징
81 : 하부 하우징
82 : 내측 고정 하우징
83 : 정면 하우징
84 : 측면 하우징
85 : 푸시부 고정 하우징
86 : 상부 하우징
87 : 내부 측면 하우징
91 : 연결 링
92 : 잠금 체결구
93 : 푸시부-높이결정부 체결구
94 : 보조 베어링
111 : 벤딩 지지부분
112 : 커팅 지지부분
131 : 지지부 체결홈
211 : 벤딩 부분
212 : 커팅 부분
311 : 실린더
312 : 피스톤
321 : 푸시부 상부
322 : 푸시부 하부
511 : 동력전달부 본체
512 : 동력전달부 홀
513 : 동력전달부 돌출부
514 : 동력전달부 체결홀
521 : 구동원
522 : 구동기어
611 : 덮개 플랜지
612 : 덮개 삽입부
711 : 제1 가이드 슬릿
721 : 제2 가이드 슬릿
811 : 하부 고정홀
831 : 정면 홀
861 : 상부 연장부
862 : 상부 홀
3211 : 푸시부 홈
3212 : 잠금 체결구 통과홀
D1 : 이송방향
D2 : 연직방향
D3 : 폭 방향
D4 : 회전방향
H1 : 제1 높이
H2 : 제2 높이
M : 가공대상물
1, 1a: processing equipment
10, 10a: support
11: support body
12: upper protrusion of support
13: lower protrusion of support part
14: support slit
15: support part groove
20, 20a: pressurization part
21: pressurizing part main body
22: upper part of the pressurization part
23: lower part of the pressurization part
24: pressing part opening
25: pressing part hole
26: pressure part groove
31: height determination unit
32: push part
40, 40a: washer
51: power transmission unit
52: drive unit
60: cover
61: cover
62: upper bearing
63: support part insertion hole
70: guide part
71: first guide part
72: second guide part
80: housing
81: lower housing
82: inner fixed housing
83: front housing
84: side housing
85: push part fixing housing
86: upper housing
87: inner side housing
91: connecting ring
92: locking fastener
93: push part-height determining part fastener
94: auxiliary bearing
111: bending support part
112: cutting support part
131: support part fastening groove
211: bending part
212: cutting part
311: cylinder
312: piston
321: upper push part
322: lower push part
511: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512: power transmission hall
513: power transmission part protrusion
514: power transmission part fastening hole
521: drive source
522: drive gear
611: cover flange
612: cover insert
711: first guide slit
721: second guide slit
811: lower fixing hole
831: front hall
861: upper extension
862: upper hole
3211: push part groove
3212: Through hole for locking fastener
D1: Transfer direction
D2: vertical direction
D3: width direction
D4: direction of rotation
H1: first height
H2: second height
M: object to be processed

Claims (15)

삭제delete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 및
상기 가압부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안착되며, 상기 높이결정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연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높이결정부에 결합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the processed object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transfer direction;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during pressurization by the pressing part;
A height determin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selectively bends or cu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The pressing portion is seated, the support portion is seated so as not to rotate relatively, and a push portion coupled to the height determining portion so as to move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height determining portion. , Processing devic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연직방향에서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도록, 상기 푸시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잠금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locking fastener for fastening the push part and the support part so as to interlock the movement of the push part and the support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부 본체와, 상기 동력전달부 본체를 상기 연직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상기 푸시부와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되 상기 연직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프로파일이 원형이 아닌 동력전달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대상물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부를 상기 동력전달부가 위치시키는 상태인 기본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부 본체를 상기 연직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력전달부 체결홀이, 상기 잠금 체결구가 상기 푸시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되고,
상기 동력전달부 홀에 삽입된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은, 상기 동력전달부 홀을 정의하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동력전달부 홀에 삽입된 상기 푸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동력전달부에 접촉하지 않는,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and the push unit and the pressing unit are insert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rofile of the cross section cut in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that is not circular. And, further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rotating the pressing unit by rotating about the vertical direction,
In a basic state in which the pressing unit is positioned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positioned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not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ody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cking fastener is align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fastene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inserted in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defin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unit inserted in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hole does not contac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압부를 상기 연직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가압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은, 상기 가공대상물이 삽입되고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는 가압부 개구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가공 장치.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the processed object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transfer direction;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during pressurization by the pressing part; And
And a height determin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selectively bends or cu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portion hole penetrating the pressing por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an opening of a press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inserted and discharg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가압부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은 가능하나, 연직방향을 따라서는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지 못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부 홈과, 상기 가압부 홀을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압부 홈에 삽입되는 연결 링을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part and the pressing part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ut the support part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pressing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defining the pressing part hole so as not to have a relative movemen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ring inserted into the minor groove.
삭제delete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하여 벤딩하게 마련되는 벤딩 부분과, 상기 벤딩 부분에서 상기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하여 커팅하게 마련되는 커팅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결정부는, 상기 벤딩 부분과 상기 커팅 부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하게, 상기 가압부를 상기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공 장치.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the processed object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transfer direction;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during pressurization by the pressing part; And
And a height determin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selectively bends or cu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bending portion provided to pressurize and bend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cutting portion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ending portion and provided to press the processing object to cut,
The height determination unit, wherein any one of the bending portion and the cutting portion presses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moves the pressing por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벤딩 부분과 커팅 부분은, 상기 가공대상물이 삽입되고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는 가압부 개구를 정의하고,
상기 벤딩 부분이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 개구의 일부분의 폭은, 상기 커팅 부분이 정의하는 상기 가압부 개구의 다른 일부분의 폭보다 큰,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bending portion and the cutting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define an opening of the press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inserted and discharged,
A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a width of a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defined by the bending portion is larger than a width of anoth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opening defined by the cutt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가공대상물이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진입하여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벤딩 또는 커팅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삽입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부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일부분의 외측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외측면을 가져, 단차가 형성되는, 가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upport part, a support part slit that penetrates the support part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nd supports the inserted object to be processed is formed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enters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nd is bent or cut by rotation of the pressing part. ,
A portion of the support part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par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oth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portion has an outer surface that is depressed inward than an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step is formed.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 중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가공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벤딩 또는 커팅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연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높이결정부;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이 삽입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가공대상물을 상기 가압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 가이드 슬릿을 가지고,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상류측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안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인 상부 연장부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연장부가 상기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덮는 덮개 삽입부와, 상기 덮개 삽입부가 상기 상부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상부 연장부에 걸리도록 상기 덮개 삽입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덮개 플랜지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덮개 삽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덮개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the processed object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transfer direction;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during pressurization by the pressing part;
A height determining unit for moving the press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unit selectively bends or cuts the object to be processed;
A lower housing into which a reg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unit is inserted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 guide portion having a guide slit provided to guide the object to be processed to the pressing portion, and seated in the lower housing from an upstream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and having an upp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guide portion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pressing portion is disposed, a cover insertion portion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ver insertion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 cover portion including a cover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 insertion portion so as to be caught i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when inserted into the hole; And
And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cover flange so as to determine a height at which the press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소정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된 가공대상물의 벤딩 또는 커팅 시에 상기 가공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벤딩 또는 커팅하기 위해 회전 중에 가압하는 가압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이 삽입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말단에 인접한 부분인 상부 연장부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연장부가 상기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가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덮는 덮개 삽입부와, 상기 덮개 삽입부가 상기 상부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상부 연장부에 걸리도록 상기 덮개 삽입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덮개 플랜지를 포함하는 덮개부; 및
상기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덮개 삽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덮개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when bending or cutting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long a predetermined transport direction;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during rotation to bend or c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A lower housing into which a reg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unit is inserted based on a vertical direction;
An upper housing that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and has an upper extension that is a portion adjacent to an end of the lower housing;
The upper extens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hole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ressing par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pressing part is disposed, A cover portion including a cover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ver insertion portion so as to be caught on the upper extension portion when inserted into the hole; And
And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cover flange so as to determine a height at which the press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nsertion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90091937A 2019-07-29 2019-07-29 Processing apparatus KR1022413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37A KR102241314B1 (en) 2019-07-29 2019-07-29 Processing apparatus
CN202010717746.XA CN112296681B (en) 2019-07-29 2020-07-23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37A KR102241314B1 (en) 2019-07-29 2019-07-29 Proces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85A KR20210013985A (en) 2021-02-08
KR102241314B1 true KR102241314B1 (en) 2021-04-16

Family

ID=7448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937A KR102241314B1 (en) 2019-07-29 2019-07-29 Proce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1314B1 (en)
CN (1) CN112296681B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991A (en) * 1999-04-07 2000-10-17 Naoki Ogawa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and cutting band blade
KR100388641B1 (en) * 2000-09-29 2003-06-19 송병준 Apparatus for cutting and bending a cutting blade
DE10358991B4 (en) * 2002-12-17 2016-03-17 Komatsu Ltd. Control method for a press line and tandem press line
CN107755973A (en) * 2016-08-20 2018-03-06 青岛立博汽车零部件精密铸造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wind-guiding attachment means prepa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96681B (en) 2023-02-03
CN112296681A (en) 2021-02-02
KR20210013985A (en)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7559B1 (en) Wire feeding apparatus
CN102458784B (en) Chain saw
CN101027504B (en) Push-pull chain and actuator
EP2771261B1 (en) Clutch-brake unit for an accumulation conveyor
KR102241314B1 (en) Processing apparatus
US20090317507A1 (en) Press for producing powder based parts using compaction
JP4885268B2 (en) Energy guide chain
EP1710176A2 (en) Belt conveyor
DE10117040B4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rive device of the belt or belt type
EP2530236A2 (en) Device for guiding a piece of fabric
EP1492968A1 (en) Device for receiving and at least temporarily actuating a shifting element
WO2010108509A1 (en) Electric linear drive
JP5862583B2 (en) Booster mechanism, pressurizing device and press-fit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EP1788248B1 (en) Peristaltic pump
US20140011617A1 (en) Rotary connection
AT11204U3 (en) PROTECTION DEVICE, ESPECIALLY REELABLE SUNSET
US20100140035A1 (en) Bicycle clutch
AT511233B1 (en) TRANSPORT, WITH AT LEAST ONE TRANSPORT ELEMENT AND A DRIVE SYSTEM FOR THE TRANSPORT ELEMENT
US20180340570A1 (en) Mast spacer of helicopter, driving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helicopter including mast spacer, and helicopter
KR102291992B1 (en) Winding shaft of sheet, winding method of sheet with a low tension, and air tight structure of piston used for such the winding method
DE102008050253B4 (en) wedge brake
EP2437992B1 (en) Convey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piece goods
KR20010015352A (en) Apparatus for Bending a Cutting Blade
EP3224186B1 (en) Passenger tranport device with auxiliary brake
JP3615671B2 (en) Knockout device for press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