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881B1 - 골프티 - Google Patents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881B1
KR102240881B1 KR1020200150028A KR20200150028A KR102240881B1 KR 102240881 B1 KR102240881 B1 KR 102240881B1 KR 1020200150028 A KR1020200150028 A KR 1020200150028A KR 20200150028 A KR20200150028 A KR 20200150028A KR 102240881 B1 KR102240881 B1 KR 10224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central core
golf
ground
golf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운
Original Assignee
손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운 filed Critical 손재운
Priority to KR102020015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퍼들이 골프공을 올려놓고 티샷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Golf Tee)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골프채와 충돌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골퍼의 샷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티샷의 구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퍼가 티샷 후 본인의 샷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다시 펼쳐 재사용이 가능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티 {GOLF TEE}
본 발명은 골퍼들이 골프공을 올려놓고 티샷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Golf Tee)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골프채와 충돌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골퍼의 샷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티샷의 구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퍼가 티샷 후 본인의 샷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다시 펼쳐 재사용이 가능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티(Golf Tee)는 골프장에서 골퍼들이 티 그라운드(Tee Ground;각 홀의 출발구역) 내에서 티샷을 할 때 골프공을 받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골프티는 종래에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이나 목재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목재로 제조되는 경우 골퍼가 골프공과 함께 골프티를 타격하는 경우 손상이 발생되어 매번 새로운 골프티를 사야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하였고,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지면에 고정하기가 불편하며 골퍼의 샷 위치에 맞게 지면에 관통되는 위치를 조절하기도 다소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특히,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부에 빈 공간으로 만들어져 유연성이 양호하도록 제작되나 골프공 타격시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내부 빈 공간에 채워져있던 공기가 급팽창하게 되므로 터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골퍼가 골프공과 함께 골프티를 타격하여도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된 내구성을 갖는 골프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5110호에는 "골프 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면으로 꽂히는 하부는 지면에 고정되기 쉽도록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고, 골프공을 받치는 상부는 유연성을 높여 복원될 수 있음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골프티는 골퍼의 티샷 방향에 따라 휘어지거나 뽑혀져 나감으로써 골퍼는 자신의 샷 방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본인의 문제점, 개선점 등을 찾을 수 있는 반면 상술된 선행기술은 다시 복원되기 때문에 골퍼가 본인의 티샷 방향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조립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순간 강한 힘을 발휘하는 골프샷이 가해질 경우 분리되어 골프공의 이동방향에도 영향을 줄 우려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5110호 "골프 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7039호 "골프용 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골프채와 충돌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골퍼의 샷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티샷의 구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퍼가 티샷 후 본인의 샷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다시 펼쳐 재사용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골퍼가 본인의 샷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지면에 고정할 수 있고, 내삽된 상태로 지면에 더욱 밀착고정되어 골프티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를 통해 골프티 타격시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거치구는 꽃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가 중앙구를 가압하여 골프티를 지면에 고정시 꽃잎구는 하측을 향하여 골프공을 가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고, 꽃잎형상에 색상을 달리하여 시인성 및 식별력을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주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티샷을 위한 골프티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관통부; 관통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지면밖으로 노출되는 몸체부; 및 하부에 연장된 중앙심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심 상단에는 골프공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구가 구비된 거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중앙심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심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관통부의 중앙을 수직관통하여 결합고정되고, 상기 거치구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골프티는 골프채와 충돌하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중앙심이 구부러지고, 인력을 통해 상기 중앙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몸체부도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통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되 중앙에 직경이 확장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의 상측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상측으로 수직연장된 수용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은 상면 중앙이 내측으로 함몰된다.
이때, 수용관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은 상기 수용관 외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홀 내부를 거쳐 상기 수용관의 내측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관통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관통부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은 상기 관통부 하단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부 외측면과 이격되어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티샷을 위한 골프티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관통부; 관통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지면밖으로 노출되는 몸체부; 및 하부에 연장된 중앙심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심 상단에는 골프공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구가 구비된 거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상단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상측으로 수직연장되며, 상면 중앙이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은 상기 수용관 내측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관 내측에는 상기 수용관 외측방향으로 함몰되되, 상측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하단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 상기 몸체부가 결합시 상기 몸체부 하단이 상기 수용관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내삽되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중앙심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심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관통부의 중앙을 수직관통하여 결합고정되고, 상기 거치구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골프티는 골프채와 충돌하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중앙심이 구부러지고, 인력을 통해 상기 중앙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몸체부도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골프채와 충돌하여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골퍼의 샷으로 인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티샷의 구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퍼가 티샷 후 본인의 샷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다시 펼쳐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골퍼가 본인의 샷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지면에 고정할 수 있고, 내삽된 상태로 지면에 더욱 밀착고정되어 골프티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를 통해 골프티 타격시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거치구는 꽃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가 중앙구를 가압하여 골프티를 지면에 고정시 꽃잎구는 하측을 향하여 골프공을 가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고, 꽃잎형상에 색상을 달리하여 시인성 및 식별력을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적용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관통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동작시 펼침바가 펼쳐지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샷 방향에 따라 골프티가 구부러지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성을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결합예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적용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관통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동작시 펼침바가 펼쳐지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샷 방향에 따라 골프티가 구부러지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1)는 골퍼들이 골프공을 올려놓고 티샷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면에 직접 관통하여 고정되는 관통부(100)와, 상기 관통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골프공을 지지하는 몸체부(200) 및 하단 중앙에는 상기 관통부(100) 및 몸체부(200)를 관통하는 중앙심(310)이 구비되며, 상단에는 골프공이 안착되는 거치부(300)로 구성된다.
관통부(100)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단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부(100)에는 지면에 내삽되는 정도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파악하기 위해 눈금이 표시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100)의 상단에는 지면에 일정부분 이상 파묻히지 않도록 외측면을 따라 확장된 걸림턱(101)이 형성되고, 걸림턱(101)을 중심으로 직경이 확장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수용관(110)이 관통부(100) 상단에 형성된다.
수용관(110)은 상면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내측에 몸체부(200) 및 거치부(300)의 중앙심(3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용관(110)의 외측에도 몸체부(200)가 구비되어 걸림턱(101)을 중심으로 걸림턱(101)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100)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몸체부(200) 및 수용관(110)은 지면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골프채로 충돌하더라도 몸체부(200)가 수용관(1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수용관(110)의 내측 하면 중앙에는 중앙심(31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심(31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심 체결홈(120)이 형성될 수 있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심 체결홈(120) 내측에는 다수개의 돌기나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앙심(310)과의 밀착력을 높이거나 나사결합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부(100)의 하단에는 지면에 내삽된 상태로 쉽게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외측면을 따라 걸림돌기(130)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30)는 관통부(100)의 하단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관통부(100)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펼쳐지는 형상을 가지며, 이를 통해 골프티(1)가 타격 등으로 인해 상측으로 들릴 시 걸림돌기(130)가 상부의 흙 등에 걸려 쉽게 들어올리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관통부(100)의 테이퍼 형상으로 된 최하단에는 십자 드라이버와 같은 십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도 2 참조).
수용관(110)의 외측면에는 측면방향으로 가압시 관통부(100) 내측으로 인입되는 스위치(140)가 존재하고, 스위치(140)는 관통부(100)에 내장된 가압바(150)의 상단을 가압하여 가압바(150) 하단이 걸림턱(101)의 하측에 위치한 관통부(100)에 밀착된 펼침바(160)가 관통부(100)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펼침바(160)는 걸림턱(101) 하측에 형성된 내삽홈(161)의 형상에 맞게 끼움결합되되, 펼침바(160) 하단은 관통부(100) 내측에 구비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펼침바(160)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삽홈(161)의 내측 상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걸림구(162)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걸림구(162)에 펼침바(160) 상단이 걸려진 상태로 구비되고,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140)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내장된 가압바(150)의 상단을 가압하여 펼침바(160)와 함께 내삽홈(161) 내측에 구비된 가압바(150) 하단이 스위치(140)의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펼침바(160)를 가압하여 펼침바(160)가 내삽홈(161) 외측으로 회동되어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의 스위치(14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관통부(100)를 지면에 고정한 상태로 스위치(140)를 동작시켜 펼침바(160)가 고정된 지면 내부에서 펼쳐짐으로써 골프티(1)의 지면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수용관(110) 외측에는 몸체부(20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스위치(140)의 위치 및 가압이 어려울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 6 및 7과 같이 스위치(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몸체부(200)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굴곡면(220)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굴곡면(220)을 가압하여 스위치(1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 굴곡면(220)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관통부(100)는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지면에 쉽게 고정될 수 있고,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골퍼가 몸체부(200) 외 지면에 인접한 관통부(100)측을 타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200)는 지면에 고정된 수용관(110) 외측을 감싸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주로 지면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상단에는 거치부(300)의 거치구(3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거치구(320)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티샷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몸체부(200)는 실리콘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구성을 가져 사용자의 골프채와 충돌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유연성을 가져 후술된 중앙심(310)을 따라 구부러진 뒤 다시 사용자가 중앙심(3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중앙심(310)을 따라 지면에 수직한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술된 몸체부(200)는 거치부(300)와의 결합 등을 위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융된 상태로 관통부(100) 및 거치부(300)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도 3 내지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제작된 관통부(100)를 골프티(1) 형상의 캐비티를 가지는 금형(P)에 넣은 뒤 도 4와 같이 거치부(300)의 중앙심(310)이 관통부(100)의 심 체결홈(120) 내측으로 인입되어 거치부(300)의 하단이 수용관(110) 내측 중앙에 고정된 상태로 금형(P) 내 캐비티(C)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원료주입관(O)으로부터 몸체부(200)를 이루는 합성수지 원료가 용융된 상태로 금형(P)의 캐비티(C)로 제공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때 같이 금형(P) 내부로 용융된 몸체부(200)가 주입되면 수용관(110)에 형성된 유입홀(111)을 통해 용융된 몸체부(200)가 수용관(110) 내측으로 주입되면서 몸체부(200)가 관통부(100) 내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압축, 경화하여 몸체부(200), 관통부(100) 및 거치부(3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몸체부(200)의 하단 중앙에는 수용관(110)의 내측형상과 동일하게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부(1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되, 유입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유입홀(111)의 내부형상과 대응되게 몸체 중앙에 형성된 원통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의 중앙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중앙심(310)이 내삽관통되는 심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된 방법을 통해 몸체부(200) 및 골프티(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 골프티의 단점인 공기가 내장된 내부공간을 최소화하여 골프채와의 충돌로 인해 골프티(1)가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10과 같이 기 제작된 상태로 몸체부(200)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도 10 및 11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성을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결합예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몸체부(200)는 심 관통홀(210)이 형성된 상태로 수용관(110) 내측형상과 동일하게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심(310)을 통해 관통부(100)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이때, 수용관(110) 내부 양측에는 결합홈(112)이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결합홈(112)의 내측형상과 동일한 결합돌기(230)가 몸체부(200) 하단 외측면에 결합홈(112)의 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용관(110) 내측에 몸체부(200) 하단을 끼우게 되면 결합돌기(230)가 결합홈(112)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되고, 다시 몸체부(200)를 상측으로 들게되면 결합돌기(230)가 결합홈(112) 내측에 걸려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아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몸체부(200) 내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상술된 바와 같이 골프채와의 충돌로 인해 골프티(1)가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조립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작의 편의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때, 관통부(100)는 외측에 몸체부(200)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140)가 구비되는 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술된 굴곡면(2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는 스위치(140)를 동작시켜 지면에 고정된 관통부(100)에서 펼침바(160)가 펼쳐져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거치부(300)는 관통부(100)에 결합된 몸체부(200)와 상기 관통부(100)를 관통하는 중앙심(310)과, 중앙심(310) 상단과 결합되어 골프공이 거치되는 거치구(320)로 구성된다.
중앙심(310)은 철재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며 다시 펴질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된다. 이러한 중앙심(310)은 관통부(100) 및 몸체부(200)의 중심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고정된다.
거치구(320)는 종래의 골프티와 같이 내측이 함몰된 뒤집어진 돔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내측이 함몰된 꽃잎 형상으로 제작하고, 꽃잎에 해당되는 부분은 적색, 노란색 등 골프장 잔디로부터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색으로 형성하여 제작함으로써 거치구(320)의 시인성 및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골프티(1)의 심미감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거치구(320)는 골프공을 지지하는 중앙구(321)와, 중앙구(3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어 꽃잎 형상을 가지는 꽃잎구(322)로 구성된다.
꽃잎구(322)는 실리콘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골프티(1)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중앙구(321)를 가압하여 관통부(100) 하단을 지면에 고정하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 꽃잎구(322)는 하측으로 구부려지고, 이를 통해 중앙구(321)에 구비되는 골프공의 하단을 감싸지 않아 사용자가 골프공을 가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골프공이 중앙구(321)에서 분리되면 다시 꽃잎구(322)는 상측으로 올라올 수 있다.
중앙심(310)은 철사와 같은 금속재질의 가는 바(bar) 형상을 가지며, 몸체부(200)를 관통하여 관통부(100)의 심 체결홈(120)에 하단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중앙심(310)의 하단은 심 체결홈(120) 내에 구비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심(310)은 골프채와 충돌하여 샷 방향에 따라 휘어지게 되고, 몸체부(20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앙심(310)과 함께 구부러지게 된다(도 8a 참조). 이후 골퍼는 본인의 샷 방향을 골프티(1)가 구부러진 방향을 보고 판단하여 본인의 샷 방향, 자세 및 패턴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재사용을 위해 도 8b와 같이 구부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 중앙심(310)을 다시 지면에 수직하도록 구부려 골프티(1)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1)를 통해 사용자는 도 9와 같이 샷 방향에 따라 골프티(1)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본인의 티샷 방향, 골프채를 휘두를 때의 자세, 샷 패턴 등을 골프티(1)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확인 후에는 다시 중앙심(310)을 지면에 수직하게 구부려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관통부(100)는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골프채와의 충돌로 인해 지면에서 뽑혀나가거나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몸체부(200)는 실리콘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내구성이 강해 파손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몸체부(200)와 관통부(100) 결합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골프채와의 충돌로 인한 빈 공간 내 잔존하는 공기가 팽창하여 골프티(1)가 파열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골프티
100: 관통부 101: 걸림턱
110: 수용관 111: 유입홀
112: 결합홀 120: 심 체결홈
130: 걸림돌기 140: 스위치
150: 가압바 160: 펼침바
161: 내삽홈 162: 걸림구
200: 몸체부 210: 심 관통홀
220: 굴곡면 230: 결합돌기
300: 거치부 310: 중앙심
320: 거치구 321: 중앙구
322: 꽃잎구
C: 캐비티 O: 원료주입관
P: 금형

Claims (5)

  1. 티샷을 위한 골프티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관통부; 관통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지면밖으로 노출되는 몸체부; 및 하부에 연장된 중앙심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심 상단에는 골프공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구가 구비된 거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중앙심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심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관통부의 중앙을 수직관통하여 결합고정되고, 상기 거치구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골프티는 골프채와 충돌하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중앙심이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인력을 통해 상기 중앙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몸체부도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관통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되 중앙에 직경이 확장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의 상측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상측으로 수직연장된 수용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은 상면 중앙이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수용관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관 외측면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스위치;
    상기 관통부에 내장되어 상단이 상기 스위치에 의해 하단이 외측으로 회동되는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의 하단이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관통부 외측으로 펼쳐지는 펼침바;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은 상기 수용관 외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홀 내부를 거쳐 상기 수용관의 내측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관통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관통부 매설한 뒤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펼침바가 지면 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은 상기 관통부 하단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부 외측면과 이격되어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5. 티샷을 위한 골프티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되는 관통부; 관통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지면밖으로 노출되는 몸체부; 및 하부에 연장된 중앙심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심 상단에는 골프공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구가 구비된 거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상단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상측으로 수직연장되며, 상면 중앙이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은 상기 수용관 내측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관 내측에는 상기 수용관 외측방향으로 함몰되되, 상측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하단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 상기 몸체부가 결합시 상기 몸체부 하단이 상기 수용관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내삽되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중앙심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앙심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관통부의 중앙을 수직관통하여 결합고정되고, 상기 거치구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골프티는 골프채와 충돌하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중앙심이 구부러지고, 인력을 통해 상기 중앙심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몸체부도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수용관은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관 외측면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스위치;
    상기 관통부에 내장되어 상단이 상기 스위치에 의해 하단이 외측으로 회동되는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의 하단이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관통부 외측으로 펼쳐지는 펼침바;를 구성하고,
    상기 관통부를 매설한 뒤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펼침바가 지면 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KR1020200150028A 2020-11-11 2020-11-11 골프티 KR10224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28A KR102240881B1 (ko) 2020-11-11 2020-11-11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28A KR102240881B1 (ko) 2020-11-11 2020-11-11 골프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881B1 true KR102240881B1 (ko) 2021-04-15

Family

ID=7544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028A KR102240881B1 (ko) 2020-11-11 2020-11-11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92U (ko) 2021-10-27 2023-05-04 지희일 방향성 및 탄도 개선 골프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919A (en) * 1970-04-29 1972-01-11 Frank J Liccardello Golf tee having a separable turf-inserting part
KR200197039Y1 (ko) 2000-03-25 2000-09-15 주식회사슈페리어 골프용 티
KR200245110Y1 (ko) 2001-03-28 2001-10-10 서영운 골프 티
JP2005296026A (ja) * 2004-03-31 2005-10-27 Tsutomu Osaka ゴルフティー
KR100682482B1 (ko) * 2006-10-16 2007-02-16 유재원 기능성 골프티
US20070202966A1 (en) * 2005-08-08 2007-08-30 Peter Lipidarov High endur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KR20130120585A (ko) * 2012-04-26 2013-11-05 이형춘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919A (en) * 1970-04-29 1972-01-11 Frank J Liccardello Golf tee having a separable turf-inserting part
KR200197039Y1 (ko) 2000-03-25 2000-09-15 주식회사슈페리어 골프용 티
KR200245110Y1 (ko) 2001-03-28 2001-10-10 서영운 골프 티
JP2005296026A (ja) * 2004-03-31 2005-10-27 Tsutomu Osaka ゴルフティー
US20070202966A1 (en) * 2005-08-08 2007-08-30 Peter Lipidarov High endur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KR100682482B1 (ko) * 2006-10-16 2007-02-16 유재원 기능성 골프티
KR20130120585A (ko) * 2012-04-26 2013-11-05 이형춘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92U (ko) 2021-10-27 2023-05-04 지희일 방향성 및 탄도 개선 골프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4974A (en) Golf tee
US20050096148A1 (en) Golf club head with shaft locating device
US8900073B2 (en) Golf te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4854583A (en) Construction of portion connecting golf club-head and golf club shaft
KR102240881B1 (ko) 골프티
WO1988003427A1 (en) A golf club
US7458906B2 (en) Flexible golf tee for driving range
JPS6043139B2 (ja) ゴルフテイ
US8226496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a golf club
US7214144B2 (en) Golf club head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embedded therein
US20080096694A1 (en) Golf Tee
US20080119305A1 (en) Golf tee with shape memory metal and method to produce the same
KR100730023B1 (ko) 골프 티 및 그 제조방법
JP2021502145A (ja) 可変型ゴルフパター
JPH0459917B2 (ko)
KR200348763Y1 (ko) 골프 티
KR200427195Y1 (ko) 골프티
US20070225088A1 (en) Durable Golf Tee Construction
KR200440403Y1 (ko) 골프 티
JPH0626293Y2 (ja) ゴルフ用テイ−
US20130059679A1 (en) Golf Tee Extender
KR200410211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골프티
KR200181876Y1 (ko) 골프 티
KR100623425B1 (ko) 마그넷 부착 길이가변 골프용 티
KR20190032755A (ko) 골프용 빈스윙 연습용 티 및 골프용 빈스윙 연습용 티 헤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