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876Y1 - 골프 티 - Google Patents

골프 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876Y1
KR200181876Y1 KR2019990026991U KR19990026991U KR200181876Y1 KR 200181876 Y1 KR200181876 Y1 KR 200181876Y1 KR 2019990026991 U KR2019990026991 U KR 2019990026991U KR 19990026991 U KR19990026991 U KR 19990026991U KR 200181876 Y1 KR200181876 Y1 KR 200181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golf
corrugated pipe
he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이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복 filed Critical 이승복
Priority to KR2019990026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3Golf tees foldable or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골프 티는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오목한 안착면(22a)을 갖추고 있는 머리부재(22)와; 상기 머리부재(22)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길이조절가능함과 아울러 굴곡이 자유로운 주름관부재(24)와; 상기 주름관부재(24)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땅속에 박기 위한 몸통부재(26); 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골프 티의 머리부 아래 부분이 신축가능하면서 굴곡이 자유로운 주름관으로 형성됨으로써, 티의 길이조절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규격의 티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한 종류의 티만을 구비하면 되는 간편함이 있으며, 주름관 부분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골퍼의 취향이나 그라운드 상황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타구시 주름관 부분이 휘어지면서 충격이 감폭되어 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티{Golf Tee}
본 고안은 골프 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하나의 티가 다양한 사이즈의 티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가능함으로써 코스에 따라 티를 교체하거나 여러가지 규격의 티를 다량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동시에, 티의 굴곡이 자유로운 구조로 클럽 임팩트시에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골프 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골프는 코스 위에 정지해 있는 골프공을 클럽으로 잇달아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의 과다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이다.
이러한 골프는 일반적으로 18홀로 이루어진 코스에서 행해지게 되며, 각 홀의 제 1구는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에서 행해지게 되는데, 본 고안의 대상이 되는 티(Tee)는 티잉 그라운드에서 골퍼가 타구하기에 앞서 골프공을 올려놓게 되는 '펙(peg)' 또는 '지지대'를 지칭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에는 이러한 골프 티의 전형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골프 티(10)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혹은 목재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에 있어, 티(10)의 상단에 머리부(12)를 갖추고 있고, 이의 머리부(12)에는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오목한 안착면(12a)을 갖추고 있으며 , 머리부(12)의 아래쪽으로는 몸통부(14)가 연장된 구조를 갖추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4) 하단은 땅속에 용이하게 박기 위하여 예리한 모양을 취하고 있다.
위와 같은 티(10)를 티잉 그라운드에 박은 다음 머리부(12)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면(12a)에 골프공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클럽으로 공을 타격하면, 클럽의 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를 가하는 순간, 티(10) 역시 클럽 헤드의 임팩트에 의하여 기울어지거나 땅으로부터 뽑혀 이탈되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티(10)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고려가 없기 때문에 임팩트시의 충격에 의하여 부러지는 경우가 허다하고, 이에 경기에 임하는 골퍼는 티(10)를 충분히 많이 준비할 수 밖에 없는 폐단이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티는 그 규격도 다양하여 높이가 낮은 티(10)로부터 중간의 높이를 갖는 티(10a), 보다 높은 사이즈의 티(10b)등, 통상적으로 3종 내지 4종의 티가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골퍼는 각 홀별로 정해진 타구수, 골퍼 각자의 체형 및 취향, 그라운드 상태 등, 처해진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티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항상 여러가지 사이즈의 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낭비적인 요소가 있고, 매 홀마다 다시 적절한 사이즈의 티를 찾아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티를 구성함으로써 여러종류의 티를 구비할 필요없이 한 종류의 티로 다종의 티를 대체가능함과 아울러, 임팩트에 대하여 완충적인 구조로 구비함으로써 티의 손상 내지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 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골프 티는,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오목한 안착면을 갖추고 있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길이조절가능함과 아울러 굴곡이 자유로운 주름관부와; 상기 주름관부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땅속에 박기 위한 몸통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골프 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골프 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골프 티 22 : 머리부재
22a : 안착면 24 : 주름관부재
26 : 몸통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골프 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좌측에는 완성된 상태의 티(20)를 나타내고 있고, 우측에는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 티(20)는 티 본체가 위로부터 머리부재(22), 주름관부재(24) 및 몸통부재(26)로 3분할되어서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재(22)는 통상적인 티의 머리부분만을 절단한 형태로서, 그 상면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오목한 안착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재(26)는 직접적으로 땅 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통상적인 티에서 머리부분이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름관부재(24)는 상기 머리부재(22)와 몸통부재(26)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서, 중간에 형성된 주름부(24)의 상,하에 각각 상기 머리부재(22)와 몸통부재(26)의 삽입을 위한 결합부(24b)(24c)를 갖추고 있다. 상기 각 결합부(24b)(24c)는 상기 머리부재(22)와 몸통부재(26)에 본딩(bonding) 등의 방법으로 접착되게 된다.
이러한 주름관부재(24)는 구조 또는 제조적인 측면에서 플라스틱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름관부재(24)의 주름부(24a)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면서 측방으로 굴곡이 자유로운 것인 바, 그 기능적 및 구조적인 측면에서, 현재 널리 유통되고 있는 통상의 음료용 스트로우(Straw)의 주름관 부분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부(24a)는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바, 이렇게 함으로써 골프공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가장 단순한 일자형 형태 즉, 주름부(24a)의 직경을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할 수도 있고, 중간부분을 불룩하게 하면서 상,하부가 좁은 형태로도 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름부(24a)는 확장과 신축에 따라 내부로 공기 입출이 자유롭도록 공기구멍(24d)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재(22)와 몸통부재(26)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통상적인 골프 티 재질과 같이 플라스틱 혹은 나무로 제작할 수 있으며, 하나는 플라스틱으로 나머지 하나는 나무로 제작할 수도 있다. 특히 플라스틱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별도의 주름관부재(24)를 마련한 다음, 머리부재(22)와 몸통부재(26)를 사출성형할 시 동시에 주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골프 티(20)는 주름부(24a)가 신축가능하므로 그 신장량을 고려하여 주름부(24a)를 압축하였을 때의 길이가 종래에서 가장 낮은 높이의 티와 동일한 높이로, 또는 가장 낮은 높이의 티보다 더 낮은 높이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골프 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통상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티(20)의 몸통부재(26)를 티잉 그라운드에 박고, 머리부재(22)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면(22a)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다음 타구함으로써 티샷이 가능케 되는데, 먼저 본 고안에 의한 골프 티(20)는 머리부재(22)의 아래가 신축가능하면서 굴곡자재한 주름부(24a)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첨부도면 도 3의 최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머리부재(22)와 몸통부재(26)를 잡아 당기다가 적절한 선에서 멈추면, 공기구멍(24d)을 통하여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게 되고, 주름부(24a)중 몇개의 주름만 펴지면서 길이가 증가하게 되며, 머리부재(22)와 몸통부재(26)를 최대로 당기게 되면, 도 3의 중간 부분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주름부(24a)의 주름들이 모두 펴져서 가장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퍼는 여러가지 높이의 티를 다량으로 준비할 필요없이 본 고안에 따른 한 종류의 티(20)만을 약간 여유있는 수량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족하므로 비용과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새로운 홀을 만날 때마다 적절한 티를 고르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며, 상기 주름부(24a)가 하나의 주름에 해당하는 만큼씩 즉 주름 하나하나마다 개별적으로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이 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골퍼의 체형이나 취향 및 각종의 주변 상황에 한층 더 충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하여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골프 티(20)의 안착면(22a)에 골프공(B)을 올려놓고 클럽으로 공을 타격하면, 클럽의 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를 가함과 아울러, 이의 충격이 티(20)의 머리부재(22)에 가해질 시, 첨부도면 도 3의 최우측 도면과 같이, 머리부(22) 아래에 형성된 주름부(24a)가 굴곡되게 되는 한편, 굴곡되는 과정에서 머리부재(22)에 가해진 충격력이 감폭됨으로써 머리부재(22)의 파단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골프 티의 머리부 아래 부분이 신축가능하면서 굴곡이 자유로운 주름관으로 형성됨으로써, 티의 길이조절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규격의 티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한 종류의 티만을 구비하면 되는 간편함이 있으며, 주름관 부분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골퍼의 취향이나 그라운드 상황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타구시 주름관 부분이 휘어지면서 충격이 감폭되어 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오목한 안착면(22a)을 갖추고 있는 머리부재(22)와;
    상기 머리부재(22)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길이조절가능함과 아울러 굴곡이 자유로운 주름관부재(24)와;
    상기 주름관부재(24)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땅속에 박기 위한 몸통부재(2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KR2019990026991U 1999-12-03 1999-12-03 골프 티 KR200181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91U KR200181876Y1 (ko) 1999-12-03 1999-12-03 골프 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91U KR200181876Y1 (ko) 1999-12-03 1999-12-03 골프 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876Y1 true KR200181876Y1 (ko) 2000-05-15

Family

ID=1959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991U KR200181876Y1 (ko) 1999-12-03 1999-12-03 골프 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8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64Y1 (ko) * 2014-04-11 2015-07-17 김순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KR101964715B1 (ko) * 2017-11-20 2019-04-02 박성태 골프 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64Y1 (ko) * 2014-04-11 2015-07-17 김순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KR101964715B1 (ko) * 2017-11-20 2019-04-02 박성태 골프 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654A (en) Golf tee setting apparatus
US7458906B2 (en) Flexible golf tee for driving range
KR200243144Y1 (ko) 부러지지 않는 오뚜기 골프티
CA2532940A1 (en) Golf tee
US6942583B2 (en) Golf tee
EP0484499B1 (en) Golf tee
WO2008013378A1 (en) A golf tee for preventing breakage and loss
US7344456B2 (en) Flexible golf tee
KR200181876Y1 (ko) 골프 티
US20070032316A1 (en) High perform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JP7275384B2 (ja) 調節可能なゴルフティー
KR10097740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200260610Y1 (ko) 골프 티
KR20010099365A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골프 티
KR200199080Y1 (ko) 분실 방지형 골프티
KR102249074B1 (ko) 골프티
KR200327568Y1 (ko) 이중연결골프 티
KR200245110Y1 (ko) 골프 티
KR200494757Y1 (ko) 휴대 가능한 분실방지용 골프티
KR200490706Y1 (ko) 골프 연습장용 골프티
KR101260240B1 (ko) 자립형 골프티
KR200230662Y1 (ko) 골프 티
JPH10155955A (ja) ゴルフティー
KR100421086B1 (ko) 골프 티
KR200410165Y1 (ko)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