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856B1 -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856B1
KR102240856B1 KR1020210032051A KR20210032051A KR102240856B1 KR 102240856 B1 KR102240856 B1 KR 102240856B1 KR 1020210032051 A KR1020210032051 A KR 1020210032051A KR 20210032051 A KR20210032051 A KR 20210032051A KR 102240856 B1 KR102240856 B1 KR 10224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ration
water
pretreatment
overf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21003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94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containing filter material retaining means (e.g. screens, ball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은 전처리조, 여과조 및 역 세척조를 형성하는 처리 구조물; 전처리조 내에 설치되어 전처리조로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내의 부유물 및 쓰레기를 걸러내는 스크린 수단; 여과조 내에 설치되어 여과조로 유입되는 전처리수 내의 무거운 비점오염물질은 침전시키고 가벼운 비점오염물질은 흡착해 걸러내는 여과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은 역 세척조 내로 유입된 여과수를 역 세수로 이용해 여재들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공급부; 및 여재들을 세척한 역 세수를 처리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배출부;를 가지는 역 세척 수단;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물 저감시설{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본 발명은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수질 오염 물질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점오염원(點汚染源; point source pollution)과 비점오염원(非汚染源; non-point source pollution)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발전소, 폐광, 석유탱크, 유정 등과 같이 오염물질 배출원이 하나의 점으로 표현될 수 있는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오염원으로 이동경로가 명확하므로 비교적 처리가 용이하나, 비점오염원은 도시지역,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의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물질 배출원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은 특정한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점오염원과는 달리 산재하여 있으며,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 배출량이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오염물질이 희석,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의 종류에는 토사, 부유물질, 질소, 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름, 중금속, 유기물질, 협잡물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이 강우 시에 집중되고, 비점오염원에서 강우와 함께 유출되는 토사, 영양염류, 고농도의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은 수집 및 처리가 어려우며, 특별한 처리 없이 바로 방류수계로 유입되어 수질을 악화시켜 수생태계를 파괴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로 또는 하천 부지 등에는 비점오염물질을 걸러 저감할 수 있게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초기우수 처리시설)이 시공되고 있다.
전술한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은 스크린형 시설과 여과형 시설이 합쳐진 형태로 제공되는데, 스크린형 시설에서는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에서 비교적 큰 부유물이나 쓰레기 등이 제거되고, 여과형 시설에서는 스크린형 시설에서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즉 전처리수에서 비점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수역으로 배출시킨다.
그런데, 종래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 인해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에서는 여재를 세척하는 세척수가 직접적으로 여재에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재에 대한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이 점층적으로 감소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38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38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52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11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며, 여재의 세척이 용이한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가 빈 대략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고, 내부가 수직한 제 1 및 제 2 측벽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처리조, 여과조 및 역 세척조로 분할되는 처리 구조물; 전처리조 내에 설치되어 전처리조로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내의 부유물 및 쓰레기를 걸러내는 스크린 수단; 및 여과조 내에 설치되어 여과조로 유입되는 전처리수 내의 무거운 비점오염물질은 침전시키고 가벼운 비점오염물질은 흡착해 걸러내는 여과수단;을 가지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에 있어서, 제 1 측벽에는 전처리조 내의 전처리수가 여과조 측으로 월류하는 제 1 월류공이 형성되고, 제 2 측벽에는 여과조 내의 여과수가 역 세척조 측으로 월류하는 제 2 월류공이 형성되며, 전처리조에서 여과조 측으로 연장된 제 1 월류공의 연장단 측에는 제 1 월류공을 월류하는 전처리수를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안내하는 전처리수 유도관로가 설치되고, 제 1 측벽과 마주하는 전처리조의 일측에는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가 형성되며, 제 2 측벽과 마주하는 역 세척조의 일측에는 여과수 유출관로가 형성되되,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는 제 1 월류공 보다 높게 형성되고, 여과수 유출관로는 제 2 월류공 보다 높게 형성되며, 여과수단은, 수평한 타공판으로 제공되며, 전처리수 유도관로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 2 월류공 보다 낮은 여과조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여과 플레이트; 수평한 타공판으로 제공되며, 전처리수 유도관로에 간섭되지 않게 여과조의 바닥 측에서 제 1 여과 플레이트 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여과 플레이트; 제 1 여과 플레이트 및 제 2 여과 플레이트 사이에 충진되는 다수의 여재; 및 비점오염물질 여과 시 여재들의 사이 간격을 조밀하게 할 수 있도록 제 2 여과 플레이트를 제 1 여과 플레이트 측으로 상승시키고, 여재들 세척 시 여재들이 유동할 수 있게 제 2 여과 플레이트를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하강시키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되, 승강 작동부는, 제 1 월류공의 하부 측에 인접하게 상기 전처리조 내에 설치되며, 전처리조 내의 전처리수 수위 변동에 따라 그 위치 가변되는 부력부재; 여과조 내에 설치되며, 제 2 여과 플레이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부재; 및 제 1 월류공을 통해 부력부재와 승강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승강부재는, 한 쌍으로 제공되되, 여과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제 1 여과 플레이트에 간섭되지 않게 브라켓을 매개로 여과조의 상부에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지지축; 각각의 승강 지지축들에 설치되며, 승강 지지축들을 따라 좌우로 시소 운동하는 다수의 승강 레버; 및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단 측은 각각의 승강 레버들의 일단 측과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 측은 제 1 여과 플레이트를 관통해 제 2 여과 플레이트의 상부면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의 승강 로드;을 포함하며, 링크부재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전처리조에서부터 제 1 월류공을 관통해 여과조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중심부가 힌지핀을 매개로 각각 제 1 월류공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 한 쌍으로 제공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단 측은 각각 전처리조 측에 배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의 일단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 측은 각각 힌지핀을 매개로 부력부재의 일단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링크대; 및 한 쌍으로 제공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단 측은 각각 여과조 측에 배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의 타단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단 측은 힌지핀을 매개로 제 1 월류공에 인접한 승강 레버들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 3 연결 링크대;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처리조의 바닥은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 측에서 제 1 월류공 측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처리조의 바닥에는 스크린 수단을 통과한 전처리수를 우회시켜 제 1 월류공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우회 격벽이 형성되되, 우회 격벽은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우회 격벽의 일단 또는 양단은 전처리조의 측벽에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수단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되, 스크린 수단은 개방된 일측이 전처리조의 내부 측으로 연장되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의 연장단을 감싸도록 전처리조의 일측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은, 역 세척조 내로 유입된 여과수를 역 세수로 이용해 여재들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공급부; 및 여재들을 세척한 역 세수를 처리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역 세척 수단;을 더 포함하되, 역 세수 공급부는, 역 세척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 1 펌프; 및 제 1 펌프의 토출부 측에 연결되는 역세수 공급 관로;를 포함하되, 역세수 공급 관로는 여과수단의 승강 작동부에 간섭되지 않게 다수로 분기되면서 여과조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고, 여과조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역 세수 공급 관로 상에는 제 1 여과 플레이트 및 여재들 측으로 역 세수를 분사하는 역 세수 분사노즐들이 장착되고, 역 세수 배출부는, 전처리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 2 펌프; 제 2 펌프의 토출부 측에 연결되고 전처리조의 외부로 연장되어 우수관거와 연결되는 역 세수 배출 관로; 및 여과조의 바닥과 전처리조의 바닥을 연결하는 역 세수 이동 관로;를 포함하되, 전처리조 측으로 연장된 역 세수 이동 관로의 연장단 측에는 제 2 펌프의 작동에 의해 전처리조 내부의 수압이 여과조 내부의 수압보다 낮으며 역 세수 배출 관로를 개방시켜 여과조 내부의 역세수 및 상기 여과조 바닥에 침전된 비점오염물질을 전처리조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며, 전처리조 내부의 수압이 여과조 내부의 수압보다 높으면 역 세수 이동 관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 세척수단은, 여재들 세척 시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공기 공급부는, 처리 구조물의 외부로 설치되는 송풍팬; 및 송풍팬의 토출단 측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 관로;를 포함하며, 공기 공급 관로는 다수로 분기되면서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연장되고,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연장된 공기 공급 관로 상에는 제 2 여과 플레이트 및 여재들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노즐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시공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재에 대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을 일측을 절개하여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승강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는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여재가 세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100)은 처리 구조물(110), 스크린 수단(130), 여과수단(140) 및 역 세척수단(170)을 포함한다.
먼저, 처리 구조물(110)는 우수관거(도시되지 않음)의 일측에 시공되며, 처리 구조물(110)에는 스크린 수단(130), 여과수단(140) 및 역 세척수단(170)이 내장된다.
처리 구조물(110)은 내부가 빈 대략 박스(box) 형상으로 제공되고, 내부가 수직한 제 1 및 제 2 측벽(112, 116)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처리조(C1), 여과조(C2) 및 역 세척조(C3)로 분할된다.
그리고 제 1 측벽(112)에는 전처리조(C1) 내의 전처리수가 여과조(C2) 측으로 월류하는 제 1 월류공(114)이 형성되고, 제 2 측벽(116)에는 여과조(C2) 내의 여과수가 역 세척조(C3) 측으로 월류하는 제 2 월류공(118)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월류공(114, 118)은 전처리조(C1)의 바닥 및 여과조(C2)의 바닥에 침전되는 토사(土砂) 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이 월류하지 못하도록 일정 높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처리조(C1)에서 여과조(C2) 측으로 연장된 제 1 월류공(114)의 연장단 측에는 전처리조(C1)에서 월류하는 전처리수를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안내하는 전처리수 유도관로(126)가 설치된다.
즉, 전처리수 유도관로(126)의 시작단은 제 1 월류공(114)과 연결되게 제 1 측벽(112)에 고정 장착되며, 전처리수 유도관로(126)의 연장단은 제 1 측벽(112)을 따라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처리 구조물(11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현장에서 시공되거나 또는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 시공된다.
한편, 전처리조(C1), 여과조(C2) 및 역 세척조(C3)와 마주하는 처리 구조물(110)의 상부 측에는 관리를 위해 전처리조(C1), 여과조(C2) 및 역세척조(C3)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제 1, 제 2 및 제 3 맨홀(M1, M2, M3)들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측벽(112)과 마주하는 전처리조(C1)의 일측에는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가 형성되고, 제 2 측벽(116)과 마주하는 역세척조(C3)의 일측에는 여과수 유출관로(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는 배관 등을 매개로 우수관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여과수 유출관로(122)는 배관을 매개로 우수관거(도시되지 않음) 또는 수역(水域)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는 제 1 월류공(114) 보다 높게 형성되고, 여과수 유출관로(122)는 제 2 월류공(118) 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처리조(C1)의 바닥은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 측에서 제 1 월류공(114) 측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스크린 수단(130)을 통과한 전처리수에 포함된 비교적 무거운 토사 및 금속 등이 전처리조(C1)의 바닥에 침전시켜 쌓이게 하게 위함이다.
또한, 전처리조(C1)의 바닥에는 스크린 수단(130)을 통과한 전처리수를 우회시켜 제 1 월류공(114)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우회 격벽(124)이 형성된다.
우회 격벽(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와 제 1 월류공(114)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처리조(C1)의 바닥에서 전처리조(C1)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우회 격벽(124)의 일단 또는 양단은 전처리조(C1)의 측벽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는, 스크린 수단(130)을 거친 전처리가 우회 격벽(124)에 부딪힌 후 우회 격벽(124)의 일단 또는 양단을 우회하면서 전처리조(C1)를 내부를 채워 제 1 월류공(114) 측으로 안내되게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처리수 내의 비교적 무거운 토사 및 금속 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이 바닥에 침전시켜 쌓이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우회 격벽(124)의 높이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스크린 수단(130)은 전처리조(C1) 내부로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내의 비교적 큰 비점오염물질을 걸러낸다.
이를 위해서, 스크린 수단(130)은 전처리조(C1)의 내부 측으로 연장된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의 연장단 측과 마주하도록 전처리조(C1)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스크린 수단(130)은 일측이 개방된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되, 스크린 수단(130)은 비교적 큰 비점오염물질은 걸러내고 비교적 작은 비점오염물질은 통과시킬 수 있도록 통상의 크림프망(crimp screen), 또는 더블크림프망(double crimp screen), 또는 프렛트 탑 스크린(flat-top screen), 또는 타공망 등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스크린 수단(130)은 개방된 일측이 전처리조(C1)의 내부 측으로 연장되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의 연장단 측을 감싸도록 전처리조(C1)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스크린 수단(130)은 유지보수를 위해 상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내식성 및 강도가 우수한 금속 또는 비철금속 또는 FRP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스크린 수단(130)의 내부로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120)를 통해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며, 스크린 수단(130)은 유입된 강우 유출수 내의 부유물 및 쓰레기 등과 같은 비교적 큰 비점오염물질을 걸러내고 비교적 작은 토사 및 협잡물 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스크린 수단(130)을 통과한 비점오염물질 중 토사 및 금속 등과 같은 무거운 입자성 비점오염물질은 전처리조(C1)의 바닥에 침전되어 쌓이게 되고 나머지 비점오염물질은 전처리수와 함께 여과조(C2) 측으로 유입된다.
여과수단(140)은 여과조(C2) 내부로 유입되는 전처리수 내의 비교적 가벼운 비점오염물질(협잡물 등)을 걸러내고, 비점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가 역 세척조(C3) 측으로 유입되게 한다.
여과수단(140)은 여과조(C2) 내부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여과 플레이트(142, 144)와, 제 1 및 제 2 여과 플레이트(142, 144) 사이에 충진되는 여재(146)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여재(146)는 일례로 통상의 섬유여재 또는 자갈 또는 쇄석 등으로 제 1 및 제 2 여과 플레이트(142, 144)의 형성된 타공으로 빠지지 않을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재(146)들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여재층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여과 플레이트(142, 144)는 수평한 타공판으로 제공되되, 제 1 및 제 2 여과 플레이트(142, 144)는 여과조(C2)의 길이 및 폭과 같거나 여과조(C2)의 길이 및 폭보다 작은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여과 플레이트(142)는 전처리수 유도관로(126)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 2 월류공(118) 보다 낮은 여과조(C2)의 대략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제 2 여과 플레이트(142)는 전처리수 유도관로(126)에 간섭되지 않게 여과조(C2)의 바닥 측에서 제 1 여과 플레이트(142) 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전처리수 유도관로(126)를 통해 여과조(C2)의 바닥으로 안내된 전처리수는 제 2 여과 플레이트(144)와 여재(146)들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전처리수 내의 비교적 무거운 비점오염물질(토사 및 금속 등)은 여과조(C2) 바닥에 침전되고, 전처리수 내의 비교적 가벼운 비점오염물질(협잡물 등)은 여재(146)에 흡착된다.
그리고 여재(146)를 거치며 비점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제 1 여과 플레이트(142)를 거쳐 여과조(C2)의 상부 측을 채우게 되고, 이렇게 여과조(C2)의 상부 측에 채워지는 여과수는 제 2 월류공(118)을 통해 역 세척조(C3) 측으로 유입되며, 역 세척조(C3)에 채워지는 여과수는 여과수 유출관로(122)를 월류해 우수관거(도시되지 않음) 또는 수역(水域)으로 유입된다.
한편, 여과수단(140)은 비점오염물질 여과 시 여재(146)들의 사이 간격을 조밀하게 할 수 있도록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를 제 1 여과 플레이트(142) 측으로 상승시키고, 여재(146)들 세척 시 여재(146)들이 유동할 수 있게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를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하강시키는 승강 작동부(148)를 더 포함한다.
승강 작동부(148)는 부력부재(150)와, 승강부재(152) 및 링크부재(160)를 포함한다.
부력부재(150)는 전처리조(C1) 내의 전처리수 수위 변동에 따라 그 위치(높이)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부력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월류공(114)의 하부 측에 인접하게 전처리조(C1) 내에 설치된다.
즉, 전처리조(C1) 내에 전처리수의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부재(150)는 제 1 월류공(114) 측으로 상승하고, 전처리조(C1) 내에 전처리수의 수위가 내려가면 부력부재(150)는 제 1 월류공(114)의 하부 측으로 하강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부력부재(150)의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부력부재(150)가 전처리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그 위치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승강부재(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C2)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부재(152)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승강 지지축(154)과, 승강 지지축(154)들과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를 연결하는 승강 로드(158)들을 포함한다.
승강 지지축(15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C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제 1 여과 플레이트(142)에 간섭되지 않게 브라켓을 매개로 여과조(C2)의 상부에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승강 지지축(154)에는 승강 지지축(154)들을 따라 좌우로 시소 운동 가능하게 복수의 승강 레버(156)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된다.
한편, 승강 로드(158)들은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승강 레버(156)와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를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서, 승강 로드(158)들의 상단 측은 각각 승강 레버(156)들의 일단 측과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승강 로드(158)들의 하단 측은 제 1 여과 플레이트(142)를 관통해 제 2 여과 플레이트(144)의 상부면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된다.
즉, 승강 로드(158)들은 승강 지지축(154)들을 따라 좌우로 시소 운동하는 승강 레버(156)들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는 승강 로드(158)들을 따라 승강 작동하게 된다.
링크부재(160)는 제 1 월류공(114)을 통해 전처리조(C1)에 설치된 부력부재(150)와 여과조(C2)에 설치된 승강부재(152)를 연결시킨다.
링크부재(160)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1 연결 링크대(162)와, 한 쌍으로 제공되며 제 1 연결 링크대(162)들과 부력부재(15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링크대(164)들 및 한 쌍으로 제공되고 제 1 연결 링크대(162)들과 승강부재(15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 링크대(166)들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연결 링크대(16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조(C1)에서부터 제 1 월류공(114)을 관통해 여과조(C2)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제 1 연결 링크대(162)들의 중심부는 힌지핀을 매개로 각각 제 1 월류공(114)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연결 링크대(164)들은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전처리조(C1) 내에 배치되되, 제 2 연결 링크대(164)들의 상단 측은 각각 전처리조(C1) 측에 배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162)들의 일단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 2 연결 링크대(164)들의 하단 측은 힌지핀을 매개로 각각 부력부재(150)의 일단 및 타단 측에 연결된다.
또한, 제 3 연결 링크대(166)들은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여과조(C2) 내에 배치되되, 제 3 연결 링크대(166)들의 하단 측은 각각 여과조(C2) 측에 배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162)들의 타단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 3 링크대(166)들의 상단 측은 힌지핀을 매개로 제 1 월류공(114)에 인접한 승강 레버(156)들의 타단과 연결된다.
즉, 전처리조(C1)에 전처리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부재(150)는 제 1 월류공(114) 측으로 상승하고, 이렇게 부력부재(150)가 상승함에 따라 여과조(C2) 측에 배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162)의 타단 측 및 제 3 연결 링크대(166)들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 3 연결 링크대(166)들이 하강함에 따라 승강 레버(156)들의 타단 측도 하강하게 되고, 승강 로드(158)들이 연결된 승강 레버(156)들의 일단 측은 상승하게 되는데, 승강 로드(158)들이 상승함에 따라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는 제 1 여과 플레이트(142) 측으로 상승하면서 여재(146)들의 사이 간격이 조밀해지도록 여재(146)들을 제 1 여과 플레이트(142) 측으로 가압한다.
이렇게 여재(146)들의 사이 간격을 조밀하게 하는 것은 여재(146)들을 통과하는 전처리수 내의 비점오염물질 중 협잡물을 용이하게 흡착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전처리조(C1)에 전처리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부재(150)는 제 1 월류공(114)의 하부 측으로 하강하고, 이렇게 부력부재(150)가 하강함에 따라 여과조(C2) 측에 배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162)의 타단 측 및 제 3 연결 링크대(166)들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제 3 연결 링크대(166)들이 상승함에 따라 승강 레버(156)들의 타단 측도 상승하게 되고, 승강 로드(158)들이 연결된 승강 레버(156)들의 일단 측은 하강하게 되는데, 승강 로드(158)들이 하강함에 따라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는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여재(146)들은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여재(146)들이 유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여재(146)들 세척 시 여재(146)들에 흡착된 협잡물을 용이하게 씻어 낼 수 있게 하게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여과 플레이트(144)의 가장자리에는 제 2 여과 플레이트(144)가 용이하게 승강 작동할 수 있게 하는 롤러(168)이 설치될 수 있다.
역 세척수단(170)은 역 세척조(C3) 내로 유입된 여과수를 역 세수로 이용해 여재(146)들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공급부(172)와, 여재(146)들을 세척한 역 세수를 처리 구조물(1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배출부(180)를 포함한다.
역 세수 공급부(172)는 역 세척조(C3)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 1 펌프(174)와, 제 1 펌프(174)의 토출부 측에 연결되는 역세수 공급 관로(176)를 포함한다.
이때, 역 세수 공급 관로(176)는 여과수단(140)의 승강 작동부(148)에 간섭되지 않게 다수로 분기되면서 여과조(C2)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고, 여과조(C2)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역 세수 공급 관로(176) 상에는 제 1 여과 플레이트(142) 및 여재(146)들 측으로 역 세수를 분사하는 역 세수 분사노즐(178)들이 장착된다.
이렇게 제 1 펌프(174)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어 역 세수 분사노즐(178)들을 통해 분사되는 역 세수는 여재(146)들에 흡착된 협잡물 등을 씻어 낼 수 있게 하며, 여재(146)들에서 씻겨진 협잡물 등은 여과조(C2)의 바닥에 침전되어 쌓이게 된다.
역 세수 배출부(180)는 전처리조(C1)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 2 펌프(182)와, 제 2 펌프(182)의 토출부 측에 연결되고 전처리조(C1)의 외부로 연장되어 우수관거와 연결되는 역 세수 배출 관로(184)를 포함한다.
또한, 역 세수 배출부(180)는 여과조(C2)의 바닥과 전처리조(C1)의 바닥을 연결하는 역 세수 이동 관로(186)를 더 포함하는데, 전처리조(C1) 측으로 연장된 역 세수 이동 관로(186)의 연장단 측에는 통상의 체크밸브(188)가 장착된다.
이때, 체크밸브(188)는 여재(146)들 세척 시 제 2 펌프(182)의 작동에 의해 전처리조(C1) 내부의 수압이 여과조(C2) 내부의 수압보다 낮은 역 세수 이동 관로(186)를 개방시켜 여과조(C2) 내부의 역세수 및 여과조(C2) 바닥에 침전된 협잡물 등이 전처리조(C1)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며, 제 2 펌프(182)는 역세수 이동 관로(186)를 통해 전처리조(C1) 측으로 유동된 역세수와 협잡물 등을 흡입해 역세수 배출 관로(184)를 통해 처리 구조물(1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반대로, 체크밸브(188)는 전처리조(C1) 내부의 수압이 여과조(C2) 내부의 수압보다 높으면 역세수 이동 관로(186)를 폐쇄시킨다.
한편, 역 세척수단(170)은 여재(146)들 세척 시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공급부(190)를 더 포함한다.
공기 공급부(190)는 처리 구조물(110)의 외부로 설치되는 송풍팬(도시되지 않음)과, 송풍팬의 토출단 측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 관로(192)를 포함한다.
이때, 공기 공급 관로(192)는 다수로 분기되면서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연장되고,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연장된 공기 공급 관로(192) 상에는 제 2 여과 플레이트(142) 및 여재(146)들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노즐(194)들이 장착된다.
이렇게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어 공기 분사노즐(194)들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여재(146)들을 부상시켜 여재(146)들에 흡착된 협잡물 등이 역세수에 의해 용이하게 씻겨 지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비점오염물 저감시설(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강우 시 강우 유출수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100) 내로 유입되면, 강우 유출수는 스크린 수단(130)을 걸쳐 전처리조(C1)의 수위를 상승시킨다.
이때, 강우 유출수 내의 부유물 및 쓰레기는 스크린 수단(130)에 의해 걸러지고 스크린 부재(130)를 통과한 비교적 무거운 비점오염물질(토사 및 금속 등)은 전처리조(C1)의 바닥에 침전된다.
그리고 전처리조(C1)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전처리수는 제 1 월류공(114)를 통해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전처리조(C1)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여과수단(140)의 승강 작동부(148)는 여재(146)들이 제 1 여과 플레이트(142) 측으로 가압되도록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를 상승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조(C2) 측으로 유입된 전처리수는 제 2 여과 플레이트(144)와 여재(146)들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전처리수 내의 비교적 무거운 비점오염물질(토사 및 금속 등)은 여과조(C2) 바닥에 침전되고, 전처리수 내의 비교적 가벼운 비점오염물질(협잡물 등)은 여재(146)에 흡착된다.
그리고 여재(146)들를 거치며 비점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제 1 여과 플레이트(142)를 거쳐 여과조(C2)의 상부 측을 채우게 되고, 이렇게 여과조(C2)의 상부 측에 채워지는 여과수는 제 2 월류공(118)을 통해 역 세척조(C3) 측으로 유입되며, 역 세척조(C3)에 채워지는 여과수는 여과수 유출관로(122)를 월류해 우수관거(도시되지 않음) 또는 수역(水域)으로 유입된다.
한편, 여재(146)들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 2 펌프(182)를 작동시켜 역세수 배출 관로(184)를 통해 전처리조(C1) 내부의 전처리수 및 침전된 토사 및 금속 등을 처리 구조물(1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전처리수의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여과수단(140)의 승강 작동부(148)는 제 2 여과 플레이트(144)를 하강시키며, 체크 밸브(188)는 역세수 이동 관로(186)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 1 펌프(174)는 역 세척조(C3) 내의 여과수(역세수)를 역세수 공급 관로(176)를 통해 여과조(C2)의 상부 측으로 공급해 역세수를 여재(146)들 측으로 분사하고, 송풍팬은 외부 공기를 공기 공급 관로(192)를 통해 여과조(C2)의 바닥 측으로 공급해 공기를 여재(146)들 측으로 분사하는데, 이때 여재(146)들은 하부 측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부상 유동하게 되고, 동시에 여재(146)들에 흡착된 협잡물 등은 상부 측에서 분사되는 역세수에 의해 씻겨 진다.
그리고 여재(146)들에서 씻겨져 여과조(C2)의 바닥에 침전된 협잡물 등은 역세수와 함께 제 2 펌프(182)의 작동에 의해 역세수 이동 관로(186)를 통해 전처리조(C1) 측으로 유입된 후 제 2 펌프(182)에 의해 역세수 배출 관로(184)를 처리 구조물(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100)은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시공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시설(100)은 여재(146)들에 대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내부가 빈 대략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고, 내부가 수직한 제 1 및 제 2 측벽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처리조, 여과조 및 역 세척조로 분할되는 처리 구조물; 상기 전처리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조로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내의 부유물 및 쓰레기를 걸러내는 스크린 수단; 및 상기 여과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로 유입되는 전처리수 내의 무거운 비점오염물질은 침전시키고 가벼운 비점오염물질은 흡착해 걸러내는 여과수단;을 가지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에는 상기 전처리조 내의 전처리수가 상기 여과조 측으로 월류하는 제 1 월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에는 상기 여과조 내의 여과수가 상기 역 세척조 측으로 월류하는 제 2 월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처리조에서 상기 여과조 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 1 월류공의 연장단 측에는 상기 제 1 월류공을 월류하는 전처리수를 상기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안내하는 전처리수 유도관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벽과 마주하는 상기 전처리조의 일측에는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벽과 마주하는 상기 역 세척조의 일측에는 여과수 유출관로가 형성되되,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는 상기 제 1 월류공 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 유출관로는 상기 제 2 월류공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여과수단은,
    수평한 타공판으로 제공되며, 상기 전처리수 유도관로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 2 월류공 보다 낮은 상기 여과조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여과 플레이트;
    수평한 타공판으로 제공되며, 상기 전처리수 유도관로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여과조의 바닥 측에서 상기 제 1 여과 플레이트 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여과 플레이트;
    상기 제 1 여과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여과 플레이트 사이에 충진되는 다수의 여재; 및
    비점오염물질 여과 시 상기 여재들의 사이 간격을 조밀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여과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여과 플레이트 측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여재들 세척 시 상기 여재들이 유동할 수 있게 상기 제 2 여과 플레이트를 상기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하강시키는 승강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 작동부는,
    상기 제 1 월류공의 하부 측에 인접하게 상기 전처리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전처리조 내의 전처리수 수위 변동에 따라 그 위치 가변되는 부력부재;
    상기 여과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여과 플레이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 1 월류공을 통해 상기 부력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한 쌍으로 제공되되, 상기 여과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여과 플레이트에 간섭되지 않게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지지축;
    각각의 상기 승강 지지축들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지지축들을 따라 좌우로 시소 운동하는 다수의 승강 레버; 및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단 측은 각각의 상기 승강 레버들의 일단 측과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 측은 상기 제 1 여과 플레이트를 관통해 상기 제 2 여과 플레이트의 상부면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의 승강 로드;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상기 전처리조에서부터 상기 제 1 월류공을 관통해 상기 여과조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중심부가 힌지핀을 매개로 각각 상기 제 1 월류공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연결 링크대;
    한 쌍으로 제공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단 측은 각각 상기 전처리조 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연결 링크대의 일단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 측은 각각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부력부재의 일단 및 타단 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링크대; 및
    한 쌍으로 제공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하단 측은 각각 상기 여과조 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연결 링크대의 타단 측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단 측은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제 1 월류공에 인접한 상기 승강 레버들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 3 연결 링크대;를 포함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의 바닥은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 측에서 상기 제 1 월류공 측으로 높아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처리조의 바닥에는 상기 스크린 수단을 통과한 전처리수를 우회시켜 상기 제 1 월류공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우회 격벽이 형성되되, 상기 우회 격벽은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우회 격벽의 일단 또는 양단은 상기 전처리조의 측벽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수단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스크린 수단은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전처리조의 내부 측으로 연장되는 강우 유출수 유입관로의 연장단을 감싸도록 상기 전처리조의 일측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시설은,
    상기 역 세척조 내로 유입된 여과수를 역 세수로 이용해 상기 여재들을 세척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공급부; 및
    상기 여재들을 세척한 역 세수를 상기 처리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역 세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역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역 세수 공급부는,
    상기 역 세척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 1 펌프; 및
    상기 제 1 펌프의 토출부 측에 연결되는 역세수 공급 관로;를 포함하되,
    상기 역 세수 공급 관로는 상기 여과수단의 상기 승강 작동부에 간섭되지 않게 다수로 분기되면서 상기 여과조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조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상기 역 세수 공급 관로 상에는 상기 제 1 여과 플레이트 및 상기 여재들 측으로 역 세수를 분사하는 역 세수 분사노즐들이 장착되고,
    상기 역 세수 배출부는,
    상기 전처리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 2 펌프;
    상기 제 2 펌프의 토출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전처리조의 외부로 연장되어 우수관거와 연결되는 역 세수 배출 관로; 및
    상기 여과조의 바닥과 상기 전처리조의 바닥을 연결하는 역 세수 이동 관로; 를 포함하되,
    상기 전처리조 측으로 연장된 상기 역 세수 이동 관로의 연장단 측에는 상기 제 2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처리조 내부의 수압이 상기 여과조 내부의 수압보다 낮으면 상기 역 세수 배출 관로를 개방시켜 상기 여과조 내부의 역세수 및 상기 여과조 바닥에 침전된 비점오염물질이 상기 전처리조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전처리조 내부의 수압이 상기 여과조 내부의 수압보다 높으면 상기 역 세수 이동 관로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가 장착되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역 세척수단은,
    상기 여재들 세척 시 상기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처리 구조물의 외부로 설치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토출단 측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공급 관로는 다수로 분기되면서 상기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과조의 바닥 측으로 연장된 상기 공기 공급 관로 상에는 상기 제 2 여과 플레이트 및 상기 여재들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노즐들이 장착되는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1020210032051A 2021-03-10 2021-03-10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102240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51A KR102240856B1 (ko) 2021-03-10 2021-03-10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51A KR102240856B1 (ko) 2021-03-10 2021-03-10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856B1 true KR102240856B1 (ko) 2021-04-14

Family

ID=7547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051A KR102240856B1 (ko) 2021-03-10 2021-03-10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98B1 (ko) 2021-05-28 2022-03-14 (주)대일이앤지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53B1 (ko) 2008-05-30 2008-10-24 (자)한진개발공사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343859B1 (ko) 2013-04-04 2013-12-20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471180B1 (ko) 2014-02-25 2014-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70117280A (ko) * 2016-04-12 2017-10-23 최영화 강우수 정화장치
KR102023867B1 (ko) 2019-03-20 2019-09-20 임근혁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102081960B1 (ko) * 2019-10-25 2020-02-27 이훈정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102140016B1 (ko) * 2020-04-21 2020-07-3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초기우수처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53B1 (ko) 2008-05-30 2008-10-24 (자)한진개발공사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343859B1 (ko) 2013-04-04 2013-12-20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471180B1 (ko) 2014-02-25 2014-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70117280A (ko) * 2016-04-12 2017-10-23 최영화 강우수 정화장치
KR102023867B1 (ko) 2019-03-20 2019-09-20 임근혁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102081960B1 (ko) * 2019-10-25 2020-02-27 이훈정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102140016B1 (ko) * 2020-04-21 2020-07-3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초기우수처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98B1 (ko) 2021-05-28 2022-03-14 (주)대일이앤지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US9108864B2 (en)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10155670B1 (en) Stormwater polymer treatment system
CN105625545B (zh) 一种基于分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处理系统
KR102203152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023867B1 (ko)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CN105714913A (zh) 一种基于分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处理系统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102291065B1 (ko) 공간절감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고효율 역세척 방법
KR101812917B1 (ko) 정체수 여과조가 추가된 동력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906937B1 (ko)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2240856B1 (ko)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77194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080102867A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KR101764398B1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414675B1 (ko) 하수처리 시스템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18020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