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410B1 -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 Google Patents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410B1
KR102239410B1 KR1020210020894A KR20210020894A KR102239410B1 KR 102239410 B1 KR102239410 B1 KR 102239410B1 KR 1020210020894 A KR1020210020894 A KR 1020210020894A KR 20210020894 A KR20210020894 A KR 20210020894A KR 102239410 B1 KR102239410 B1 KR 102239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door
module
sterilization
vi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인용
정성찬
한주백
이재준
박현준
Original Assignee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9Sanitary doorknobs or handles, e.g. comprising a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기존에 설치된 다양한 규격의 도어 손잡이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되고, 손잡이를 이용하는 동작 신호에 연계되어 수시로 살균 소독을 실시하여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도어 손잡이를 항상 무균 상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살균바이저(10), 자외선 살균모듈(20), 센서모듈(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Anti virus door visor system}
본 발명은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핸들 주변에 부착되는 바이저를 이용하여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도어 손잡이 표면을 소독할 수 있는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개인위생 준수와 생활 방역 강화 등 생활 속 지속 가능한 생활 방역 환경을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불특정 다수가 가장 많이 접촉하는 도어 손잡이를 통해 감염이 일어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즉, 코로나 바이러스는 도어 손잡이 표면의 재료에 따라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거쳐 생존함으로써 수시로 소독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분무식 또는 액체 세정액을 사용하여 매일 2~3회 직접 손잡이 표면을 닦는 과정을 거치고 있으나,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시설 도어 손잡이의 경우 접촉 시마다 매번 소독이 불가능하므로 세정액을 이용한 방역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실용 제20-0410373호에서, 문 손잡이의 일측에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문 손잡이와 인접하는 일 측면에 복수의 통풍홀이 구비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균 등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을 상기 문 손잡이에 발하는 UV램프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UV램프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발열 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공기 흐름을 생성하여 상기 발열 수단으로 송풍시켜 상기 문 손잡이를 온풍 건조시키는 송풍수단으로 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에 살균 및 탈취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 각종 세균 및 악취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나, UV램프가 손잡이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에 노출되는 영역이 제한되므로 살균효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다양한 규격의 도어 손잡이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되고, 손잡이를 이용하는 동작 신호에 연계되어 수시로 살균 소독을 실시하여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도어 손잡이를 항상 무균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도어(1)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살균바이저(10);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측으로 자외선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살균모듈(20); 및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측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외선 살균모듈(20) on/off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모듈(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로부터 도어손잡이(2) 측면으로 출력되는 자외선 일부를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전달하는 자외선 확산모듈(22)이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확산모듈(22)은, 도어손잡이(2)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22a)와, 커버(22a) 내에 인서트몰딩되어, 일단이 도어손잡이(2) 측면에서 자외선 살균모듈(20) 측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노출되는 광섬유(22b)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에서 출력되는 자외선 일부는 광섬유(22b)를 타고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출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작동에 연계되어 소독액을 분사하는 무전원 약액분사모듈(40)이 구비되고, 상기 무전원 약액분사모듈(40)은, 도어손잡이(2) 회전축(2a)에 체결되고, 외주면에 링크홀(41a)이 형성되는 클램프(41)와, 링크홀(41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살균바이저(12) 내부로 연장되어 경사형 캠레일(42a)이 형성되는 링크바(42)와,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일단에 캠롤러(43a)가 구비되는 피스톤(43)과, 피스톤(43)이 수용되고, 일단에 T형 분기관(44)이 연결되는 실린더(45)와, T형 분기관(44)의 일측 유로(44a)에 연결되고, 제 1체크밸브(46a)에 의해 약액 공급이 허용되는 약액통(46)과, T형 분기관(44)의 다른 일측 유로(44a)에 연결되어 도어손잡이(2)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 2체크밸브(47a)에 의해 약액 토출이 허용되는 노즐(47)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손잡이(2)를 선회작동시, 링크바(42)의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롤러(43a)의 캠운동에 의해 피스톤(43)이 직선운동되어 실린더(45)에 수용된 약액이 토출되면, 제 1체크밸브(46a) off 작동, 제 2체크밸브(47a) on 작동 상태로 약액이 노즐(47)을 통하여 도어손잡이(2) 측으로 분사되고, 이어서 도어손잡이(2)가 원위치로 선회작동시, 링크바(42)의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롤러(43a)의 캠운동에 의해 피스톤(43)이 직선운동되어 실린더(45)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면, 제 1체크밸브(46a) on 작동, 제 2체크밸브(47a) off 작동 상태로 약액통(46)에 저장된 약액이 실린더(45) 내부로 충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다양한 규격의 도어 손잡이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되고, 손잡이를 이용하는 동작 신호에 연계되어 수시로 살균 소독을 실시하여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도어 손잡이를 항상 무균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을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의 자외선 확산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의 자외선 확산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의 무전원 약액분사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기존에 설치된 다양한 규격의 도어 손잡이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되고, 손잡이를 이용하는 동작 신호에 연계되어 수시로 살균 소독을 실시하여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도어 손잡이를 항상 무균 상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살균바이저(10), 자외선 살균모듈(20), 센서모듈(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을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의 자외선 확산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의 자외선 확산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의 무전원 약액분사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바이저(10)는 도어(1)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대향하게 구비된다.
상기 살균바이저(10)는 일단이 자착식 테이프,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도어(1)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1) 표면에서 돌출되어 도어손잡이(2) 측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일예로서, 도 1에서 한 쌍의 살균바이저(10)는 도어손잡이(2)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이때 한 쌍의 살균바이저(10)는 도어손잡이(2) 선회작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모듈(20)은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측으로 자외선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은 도 3과 같이 도어손잡이(2)와 대응하는 내측벽면에 설치되고, 배터리 또는 상시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은 도어손잡이(2)를 살균소독함과 더불어 손잡이를 조작하는 불특정 다수의 손 부위를 살균소독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센서모듈(30)은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측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외선 살균모듈(20) on/off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센서모듈(30)을 통하여 도어손잡이(2) 주변 영역에 움직임 감지되면 도 4와 같이 살균모듈(20)을 on 작동하여 자외선을 출력하고, 센서모듈(30)을 통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후 소정의 설정 시간이 지나면 살균모듈(20)을 off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로부터 도어손잡이(2) 측면으로 출력되는 자외선 일부를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전달하는 자외선 확산모듈(22)이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 확산모듈(22)은, 도어손잡이(2)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22a)와, 커버(22a) 내에 인서트몰딩되어, 일단이 도어손잡이(2) 측면에서 자외선 살균모듈(20) 측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노출되는 광섬유(22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22a)는 유연하게 변형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자착식 테이프 또는 탄성 밴드에 의해 도어손잡이(2)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에서 출력되는 자외선 일부는 광섬유(22b)를 타고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출력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살균바이저(10)를 도어손잡이(2) 대비 낮게 형성하더라도 도어손잡이(2) 전면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이 자외선에 노출되어 살균소독 효율이 향상된다.
도 6에서,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작동에 연계되어 소독액을 분사하는 무전원 약액분사모듈(40)이 구비된다.
상기 무전원 약액분사모듈(40)은, 도어손잡이(2) 회전축(2a)에 체결되고, 외주면에 링크홀(41a)이 형성되는 클램프(41)와, 링크홀(41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살균바이저(12) 내부로 연장되어 경사형 캠레일(42a)이 형성되는 링크바(42)와,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일단에 캠롤러(43a)가 구비되는 피스톤(43)과, 피스톤(43)이 수용되고, 일단에 T형 분기관(44)이 연결되는 실린더(45)와, T형 분기관(44)의 일측 유로(44a)에 연결되고, 제 1체크밸브(46a)에 의해 약액 공급이 허용되는 약액통(46)과, T형 분기관(44)의 다른 일측 유로(44a)에 연결되어 도어손잡이(2)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 2체크밸브(47a)에 의해 약액 토출이 허용되는 노즐(47)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도어손잡이(2)를 선회작동시, 링크바(42)의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롤러(43a)의 캠운동에 의해 피스톤(43)이 직선운동되어 실린더(45)에 수용된 약액이 토출되면, 제 1체크밸브(46a) off 작동, 제 2체크밸브(47a) on 작동 상태로 약액이 노즐(47)을 통하여 도어손잡이(2) 측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2)가 원위치로 선회작동시, 링크바(42)의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롤러(43a)의 캠운동에 의해 피스톤(43)이 직선운동되어 실린더(45)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면, 제 1체크밸브(46a) on 작동, 제 2체크밸브(47a) off 작동 상태로 약액통(46)에 저장된 약액이 실린더(45) 내부로 충전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무전원 약액분사모듈(40)이 도어손잡이(2) 조작력에 연계되어 무전원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유지관리가 간단하고, 자외선 살균모듈(20)과 함께 복합적으로 운영되어 살균소독 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10: 살균바이저 20: 자외선 살균모듈
30: 센서모듈 40: 무전원 약액분사모듈

Claims (3)

  1. 도어(1)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살균바이저(10);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측으로 자외선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살균모듈(20); 및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측 영역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외선 살균모듈(20) on/off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로부터 도어손잡이(2) 측면으로 출력되는 자외선 일부를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전달하는 자외선 확산모듈(22)이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확산모듈(22)은, 도어손잡이(2)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22a)와, 커버(22a) 내에 인서트몰딩되어, 일단이 도어손잡이(2) 측면에서 자외선 살균모듈(20) 측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노출되는 광섬유(22b)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모듈(20)에서 출력되는 자외선 일부는 광섬유(22b)를 타고 도어손잡이(2) 전면으로 출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바이저(1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2) 작동에 연계되어 소독액을 분사하는 무전원 약액분사모듈(40)이 구비되고,
    상기 무전원 약액분사모듈(40)은, 도어손잡이(2) 회전축(2a)에 체결되고, 외주면에 링크홀(41a)이 형성되는 클램프(41)와, 링크홀(41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살균바이저(12) 내부로 연장되어 경사형 캠레일(42a)이 형성되는 링크바(42)와,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일단에 캠롤러(43a)가 구비되는 피스톤(43)과, 피스톤(43)이 수용되고, 일단에 T형 분기관(44)이 연결되는 실린더(45)와, T형 분기관(44)의 일측 유로(44a)에 연결되고, 제 1체크밸브(46a)에 의해 약액 공급이 허용되는 약액통(46)과, T형 분기관(44)의 다른 일측 유로(44a)에 연결되어 도어손잡이(2) 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 2체크밸브(47a)에 의해 약액 토출이 허용되는 노즐(47)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손잡이(2)를 선회작동시, 링크바(42)의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롤러(43a)의 캠운동에 의해 피스톤(43)이 직선운동되어 실린더(45)에 수용된 약액이 토출되면, 제 1체크밸브(46a) off 작동, 제 2체크밸브(47a) on 작동 상태로 약액이 노즐(47)을 통하여 도어손잡이(2) 측으로 분사되고,
    이어서 도어손잡이(2)가 원위치로 선회작동시, 링크바(42)의 경사형 캠레일(42a)과 캠롤러(43a)의 캠운동에 의해 피스톤(43)이 직선운동되어 실린더(45)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면, 제 1체크밸브(46a) on 작동, 제 2체크밸브(47a) off 작동 상태로 약액통(46)에 저장된 약액이 실린더(45) 내부로 충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KR1020210020894A 2021-02-17 2021-02-17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KR10223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94A KR102239410B1 (ko) 2021-02-17 2021-02-17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94A KR102239410B1 (ko) 2021-02-17 2021-02-17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410B1 true KR102239410B1 (ko) 2021-04-12

Family

ID=7543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94A KR102239410B1 (ko) 2021-02-17 2021-02-17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049A (ja) * 2002-02-14 2003-10-31 Yoshisada Watanabe ドアノブ用殺菌装置並びにドアノブ等の殺菌システム
KR102167793B1 (ko) * 2020-05-29 2020-10-19 해피이엔씨(주) 살균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049A (ja) * 2002-02-14 2003-10-31 Yoshisada Watanabe ドアノブ用殺菌装置並びにドアノブ等の殺菌システム
KR102167793B1 (ko) * 2020-05-29 2020-10-19 해피이엔씨(주) 살균소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0389C (en) Uv-c sterilizer
US6911177B2 (en) Ultraviolet area sterilizer and method of area sterilization using ultraviolet radiation
US9205162B2 (en) Instrument disinfector
US106466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erilization
US7829016B2 (en) C-band disinfector
EP1973578B1 (en) Use of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in health care environments
US20210015959A1 (e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ultraviolet irradiation method, illumination device, and ultraviolet irradiation system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US201000864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erilization
US20130234041A1 (en) Disinfection device and method
WO2009097389A1 (en) Areasterlizer and method of disinfection
US20220047736A1 (en) Uv pathogen control device and system
JP2020116430A (ja) 紫外線を用いたドアノブなどの除菌装置
KR20080103037A (ko) 자외선 uv램프를 이용한 덕트의 공기정화장치
KR102239410B1 (ko) 안티 바이러스 도어 바이저시스템
KR19990030943U (ko) 가습기의 살균장치
KR100530595B1 (ko) 살균 및 건조용 신발수납장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KR20210112758A (ko) 자외선 소독기
Bharath et al. An Automated Patient Bed Cleaner Using UV Rays
US20240009335A1 (en) A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using ultraviolet rays
KR200385204Y1 (ko)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KR200490394Y1 (ko)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용 공급케이블
KR0115656Y1 (ko) 미용기구 살균 소독기
KR20070048282A (ko) 소독장치병설 공조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