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986A - 실내용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용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986A
KR20220130986A KR1020210035931A KR20210035931A KR20220130986A KR 20220130986 A KR20220130986 A KR 20220130986A KR 1020210035931 A KR1020210035931 A KR 1020210035931A KR 20210035931 A KR20210035931 A KR 20210035931A KR 20220130986 A KR20220130986 A KR 2022013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sing
indoor
seating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179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넥팅닷유나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넥팅닷유나이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넥팅닷유나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003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1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용 겔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켜 실내로 분사하여 실내의 공기를 소독할 수 있는 실내용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를 이용하여 실내를 소독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과 전면에 형성되는 도어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도어 개방 시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소독용 겔;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소독용 겔에 UV를 조사하는 램프모듈; 상기 램프모듈에서 조사되어 상기 소독용 겔에 공급되는 UV량을 조절하는 조절모듈;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팬모듈; 및 상기 램프모듈의 동작과 상기 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용 소독 장치{Sterilization device for ondoor}
본 발명은 실내용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실내용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물건을 소독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열, 방사선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으로 대상 제품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소독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물컵, 수저를 소독하기 위해 식당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소독기에 관한 등록특허 제838348호를 들 수 있으며, 신발, 옷 등을 소독하기 위한 신발살균소독기에 관한 공개특허 제2011-0074160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방식들은 특정 제품에 대한 소독을 방식으로 실내 내부의 공기에 대한 소독은 별도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공기 청정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광 촉매, 음이온, 자외선, 플라즈마 등에 의해 살균 처리하여 깨끗한 공기로 변화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 청정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있는 먼지를 포집하는 방식으로 정화하거나 활성탄 필터등의 흡착성 활성 소재 등을 이용하여 냄새 등을 탈취시킬 수 있도록 하였을 뿐, 공기 중에 부유하는 유기화합물과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은 원천적으로 살균시키지 못하는 결점 등이 있다.
한편, 이산화염소는 살균, 소독제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로써 본연의 살균기능 뿐만 아니라 폼알데하이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의 유해 물질과, 메틸머캅탄, 이황화메틸황화메틸, 황화수소, 암모니아, 에틸아민, 메틸아민,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등과 같은 냄새 유발 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이산화염소를 겔화하여 인체에 무해한 수치인 0.01ppm 미만의 농도로 장기간 가스 발생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겔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고, 이를 실내에 적절한 속도로 분사하는 경우, 친환경적이면서 넓은 실내의 공기를 소독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실내용 소독 장치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독용 겔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켜 실내로 분사하여 실내의 공기를 소독할 수 있는 실내용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를 이용하여 실내를 소독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과 전면에 형성되는 도어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도어 개방 시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소독용 겔;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소독용 겔에 UV를 조사하는 램프모듈; 상기 램프모듈에서 조사되어 상기 소독용 겔에 공급되는 UV량을 조절하는 조절모듈;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팬모듈; 및 상기 램프모듈의 동작과 상기 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케이싱 전면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는 상기 케이싱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독용 겔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와 상기 용기에 담겨지는 겔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 전면에는 전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에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홀에는 배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안착모듈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모듈은: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끝단에 형성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결합하는 볼부; 및 상기 볼부에 연장형성되는 배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가이드에는 상기 배출가이드의 배출면적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배출가이드와 힌지결합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커버; 및 상기 이동커버에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 외면으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이 힌지결합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모든 블레이드와 힌지결합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 외면으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모듈의 일면에는 필터모듈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소독 장치는 소독용 겔에 UV를 방사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이산화염소를 별도의 팬모듈에 의하여 외부로 분사하고, 간단한 구조로 UV의 방사량을 조절하여 상기 소독용 겔에서 생성되는 이산화염소를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소독 장치의 외형도이며,
도 2는 도 1 상면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착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램프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소독 장치의 조절모듈의 일실시예이며,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팬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배출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모듈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소독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장치의 구조를 지지하고 내부에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되고, 이산화염소가 생성되는 내부공간(1)을 포함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는 안착모듈(20), 상기 안착모듈(20)에 안착되는 소독용 겔(30),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1)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소독용 겔(30)에 UV광을 조사하는 램프모듈(40), 상기 램프모듈(40)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모듈(40)에서 방사되는 UV광량을 조절하는 조절모듈(80), 상기 케이싱(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부공간(1)으로 유입시키는 팬모듈(50), 상기 팬모듈(50)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모듈(60), 상기 케이싱(10)에 상기 내부공간(1)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모듈(70) 및 상기 케이싱(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전체 장치의 조작과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모듈(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0)은 원통형 또는 사각 박스형 또는 다른 다각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내부에 부품들이 장착되고, 이산화염소가 생성될 수 있는 내부공간(1)이 형성되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앞면에는 도어(1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11)는 분리형 또는 여닫이 형태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는 생성된 이산화염소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에는 배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방향과 속도 저절을 위한 배출모듈(70)이 결합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일면에는 상기 제어모듈(90) 중 입력부(91)와 디스플레이부(92)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고, 또한 현재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입력부(91)와 디스플레이부(92)는 도 2에 도시된 경사면을 케이싱(10) 상단에 형성한 후, 상기 경사면에 배치하는 경우, 조작성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안착모듈(20)은 상기 케이싱(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일면은 상기 도어(11)를 개방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안착모듈(20)의 전면에는 안착모듈(20)을 전면으로 손쉽게 이송하기 위한 전면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모듈(2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착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22)에 상기 소독용 겔(30)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안착홀(22)에는 상기 소독용 겔(30)의 분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함몰부(23)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함몰부(23)를 통하여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소독용 겔(30)을 분리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안착모듈(20)은 상기 케이싱(1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이송의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또는 록킹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독용 겔(30)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31)와 상기 용기(31) 내부에 담겨지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겔(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겔(32) 표면에 UV를 조사하는 경우 겔(32)에서 이산화염소가 생성되는 것으로, 일정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하여 아염소산염을 0.9% 내지 10%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1) 상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모듈(40)이 배치된다. 상기 램프모듈(40)은 전원이 인가되면, UV광을 하방향으로 조사한다.
즉, 상기 램프모듈(40)을 통하여 방사되는 UV광은 상기 안착모듈(20)에 안착된 소독용 겔(30)의 표면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램프모듈(40)은 상기 겔(32)의 표면에서 점증적으로 고르게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투과력이 약한 200nm 내지 400nm의 파장의 UV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UV 파장이 320nm 이상인 경우, 겔(32) 깊숙히 자외선이 작용하면서 초기에는 많은 가스한 후 이후에 이산화염소 가스의 발생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산화염소의 농도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통상 이산화염소는 0.01 내지 0.03ppm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살균력을 나타내며, 0.1ppm이하의 농도에서 하루 8시간 이하로 노출되는 경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상기의 범위로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램프모듈(40) 하방에는 상기 램프모듈(40)에서 방사되는 UV광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모듈(80)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모듈(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81)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커버(82)와 상기 이동커버(82)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10) 외면으로 노출되는 조절부(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83)를 조절하는 경우 이동커버(82)가 상기 램프모듈(40)의 일부를 차단하여 UV광을 조절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조절부(83)는 랙 앤 피니언을 적용하여 회전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모듈(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85)에 다수의 블레이드(86)가 수직으로 회전결합하고,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모든 블레이드(86)와 회전결합하는 연결바(87)와 상기 연결바(87)의 측면에서 상기 케이싱(10)의 외면으로 연장되는 조절부(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83)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86)의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겔(32)에 조사되는 UV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듈(80)은 UV가 직접 조사되므로, UV에 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배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팬모듈(50)은 별도의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한 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팬모듈(5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부공간(1)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팬모듈(5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램프모듈(40)의 작용에 의하여 겔(32)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상기 배출모듈(70)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팬모듈(50)은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측에 공기를 배출하여 이산화염소와 공기가 혼합되어 상기 배출모듈(70)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므로, 직접 이산화염소와 격리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에 의한 팬모듈(50)에 포함된 모터와 전기장치들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팬모듈(50)의 흡입측 또는 배출측에는 필터모듈(60)을 장착할 수 있으나, 흡입측에 장착하는 것이 교체 등과 같이 관리적이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모듈(60)은 실제 공기 청정기에 적용되는 필터를 장착하여 기본적인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램프모듈(4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팬모듈(50)만 구동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은 이산화염소가 생성되고, 상기 팬모듈(5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같이 외부로 배출되는 곳으로 'ㄴ'자 형태로 구성하며, 필요한 경우 코너부는 원활한 유동을 위해서 라우딩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모듈(70)은 상기 배출구(12)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이산화염소를 소독 장치 주변에 분사하는 경우에는 배출모듈(70) 없이 구동하고, 특정한 위치로 분사할 경우에는 상기 배출모듈(70)을 상기 배출구(12)에 장착하여 분사 방향과 분사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배출모듈(7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2)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베이스(71), 상기 베이스(71)의 끝단에 형성되는 구형상의 소켓부(72), 상기 소켓부(72)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형상의 볼부(73), 상기 볼부(73)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가이드(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71), 소켓부(72), 볼부(73) 및 배출가이드(74)는 배관과 같이 내부가 연통되는 구성이며, 상기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 이산화염소와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상기 배출가이드(74)는 상기 볼부(73)와 소켓부(72) 결합에 의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설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배출가이드(74)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가이드(74)와 일끝단이 힌지결합하는 중간판(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75)의 회전 각도를 사용자가 조절하면, 상기 배출가이드(74)의 배출 단면적이 조절되므로, 결과적으로 이산화염소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중간판(75)과 상기 배출가이드(74) 힌지부는 적절한 회전 저항이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각도로 설정하면,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출모듈(70)은 배출되는 이산화염소를 배출방향과 배출 속도들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9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91)와 디스플레이부(92)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91)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램프모듈(40)과 팬모듈(50)을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램프모듈(40)은 램프의 특성 상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나, 상기 팬모듈(50)은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동작시키는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속도로 상기 팬모듈(50)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소독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내부공간 10: 케이싱
11: 도어 12: 배출구
20: 안착모듈 21: 전면 홈
22: 안착홀 23: 함몰부
30: 소독용 겔 31: 용기
32: 겔 40: 램프모듈
50: 팬모듈 60: 필터모듈
70: 배출모듈 71: 베이스
72: 소켓부 73: 볼부
74: 배출가이드 75: 중간판
80: 조절모듈 81: 고정부
82: 이동커버 83: 조절부
85: 고정프레임 86:블레이드
87: 연결바 90: 제어모듈
91: 입력부 92: 디스플레이부
100: 실내용 소독 장치

Claims (11)

  1. 이산화염소를 이용하여 실내를 소독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과 전면에 형성되는 도어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도어 개방 시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소독용 겔;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소독용 겔에 UV를 조사하는 램프모듈;
    상기 램프모듈에서 조사되어 상기 소독용 겔에 공급되는 UV량을 조절하는 조절모듈;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팬모듈; 및
    상기 램프모듈의 동작과 상기 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케이싱 전면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케이싱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용 겔은 상면이 개방된 용기와 상기 용기에 담겨지는 겔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전면에는 전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에는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에는 배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안착모듈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착모듈은: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끝단에 형성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결합하는 볼부; 및
    상기 볼부에 연장형성되는 배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에는 상기 배출가이드의 배출면적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배출가이드와 힌지결합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커버; 및
    상기 이동커버에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 외면으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이 힌지결합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모든 블레이드와 힌지결합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 외면으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모듈의 일면에는 필터모듈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소독 장치.
KR1020210035931A 2021-03-19 2021-03-19 실내용 소독 장치 KR10261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931A KR102615179B1 (ko) 2021-03-19 2021-03-19 실내용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931A KR102615179B1 (ko) 2021-03-19 2021-03-19 실내용 소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986A true KR20220130986A (ko) 2022-09-27
KR102615179B1 KR102615179B1 (ko) 2023-12-19

Family

ID=8345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931A KR102615179B1 (ko) 2021-03-19 2021-03-19 실내용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1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009A (ja) * 1999-01-12 2000-07-25 San Seal:Kk 殺菌脱臭ガス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JP2012533720A (ja) * 2009-07-17 2012-12-27 テクニカル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デンマーク 微生物及び空気中の健康有害物質の広がりを低減するための並びに/又は微生物及び空気中の健康有害物質から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70126349A (ko) * 2016-05-09 2017-11-17 최영철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KR101840140B1 (ko) * 2016-12-29 2018-03-21 현대건설주식회사 자동개폐식 내부 송풍기 연결덕트
KR20210019263A (ko) * 2019-08-12 2021-02-22 이준식 공간 살균 탈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009A (ja) * 1999-01-12 2000-07-25 San Seal:Kk 殺菌脱臭ガス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JP2012533720A (ja) * 2009-07-17 2012-12-27 テクニカル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デンマーク 微生物及び空気中の健康有害物質の広がりを低減するための並びに/又は微生物及び空気中の健康有害物質から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70126349A (ko) * 2016-05-09 2017-11-17 최영철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KR101840140B1 (ko) * 2016-12-29 2018-03-21 현대건설주식회사 자동개폐식 내부 송풍기 연결덕트
KR20210019263A (ko) * 2019-08-12 2021-02-22 이준식 공간 살균 탈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179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23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KR102160799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KR101116042B1 (ko) 초음파 가습원리를 이용한 과산화수소 의료용 소독장치
KR20080039263A (ko) 공기 제균 장치
KR102045846B1 (ko) 실내 살균 및 탈취부스
CN105102005A (zh) 用于生物杀灭剂的聚焦气相应用的装置和方法
KR200454036Y1 (ko) 문이 없는 신발장 및 개방된 곳을 살균하는 살균기
KR200384758Y1 (ko) 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자외선 램프와 광촉매 타공판을 장착한 공기 디퓨져
KR102615175B1 (ko) 실내 소독 장치용 제어 장치
KR20220130986A (ko) 실내용 소독 장치
AU2020270504A1 (en) Photo-electronic air disinfector
CN213913114U (zh) 一种具备杀菌功能的垃圾房用换气除臭装置
CN112443915A (zh) 一种加湿器及其控制方法
KR20030079818A (ko) 가습기와 살균기를 내장한 공기청정기
KR102294999B1 (ko)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KR20080050174A (ko) 공기청정 기능이 있는 자외선 살균기
JP4779146B2 (ja) 脱臭装置
KR100701634B1 (ko) 항균공조기의 에어공급라인 소독장치
KR20160072486A (ko) 신발장 살균 장치
JP2007000101A (ja) 植物病害防除装置
CN110522395A (zh) 一种干鞋机
CN107715136A (zh) 一种消毒杯
KR20210117083A (ko) 공기 살균 기능이 있는 멀티살균장치
KR200367428Y1 (ko) 살균 탈취 맨홀 덮개
CN217154466U (zh) 一种吸入式紫外线消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