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649A -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649A
KR20230073649A KR1020210160247A KR20210160247A KR20230073649A KR 20230073649 A KR20230073649 A KR 20230073649A KR 1020210160247 A KR1020210160247 A KR 1020210160247A KR 20210160247 A KR20210160247 A KR 20210160247A KR 20230073649 A KR20230073649 A KR 2023007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visitor
gate
disinfectant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중옥
Original Assignee
차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중옥 filed Critical 차중옥
Priority to KR1020210160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649A/ko
Publication of KR2023007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인식하면서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자에게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수 포함되고 그 자체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균, 소독, 탈취 기능이 탁월하여 살균 소독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살균 소독제, 예를 들어 산소계 소독제를 살포함과 아울러 고속의 에어(air)로 미세 먼지와 세균 제거는 물론 잔류 살균 소독액을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전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에어 블로워 모듈(air blower module)를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상하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에어 샤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GATE-MOUNTED TYPE SYSTEM FOR PREVENTION OF EPIDEMICS}
본 발명은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인식하면서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자의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다수 포함되고 그 자체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균, 소독, 탈취 기능이 있는 살균 소독제를 살포함으로써, 전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방지할 수 있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대부분의 생활이 실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면서 실내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실내 공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관계로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 정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기 정화기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불순물을 여과하여 다시 공급하는 단순한 여과장치로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실내에서의 유해균에 의한 감염이나 오염 등으로부터의 피해를 예방하는데 미흡한 점이 있다.
더욱이, 병원이나 학교 또는 식당 등과 같이 특히 위생에 대해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장소에서 공기의 살균 및 소독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각종 세균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각종 바이러스성 조류 인플루엔자나 세균성 전염병 등이 발생하여 많은 동물의 생명이 위협을 받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일부는 인체 감염의 문제도 생기고 있다. 이런 일들을 대비하여 각종 방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감염이 예상되는 지역에 살균제 등을 살포하지만, 이미 발생한 미생물의 전염을 제대로 방어하기는 쉽지 않다.
그 예로, 중국 후베이성 우한 시에서 발병한 유행성 질환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19는 '우한 폐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 19'라고도 하며, 변종에 의한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호흡기 전염병으로만 알려졌으나, 2003년 유행했던 사스(SARS,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및 2012년 유행했던 메르스(MERS, 중동 호흡기증후군)과 같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신종인 것으로 2020년 1월 7일 밝혀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전 세계 여러 나라로 확산되자 1월 30일 '국제 공중보건비 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 방법이 없기 때문에 예방이 필수적이며, 질병관리본부는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이 질환의 특성을 바탕으로 외출 전후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자주 씻고 말릴 것과 외출 시 위생 마스크를 착용하여 호흡을 통한 전염을 예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은 맨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작은 생물로서, 진균(Fungi), 원생동물(Protozoa), 세균(Bacteria), 바이러스(Virus), 조류(Algae) 등을 포함하고 있어 감염 확산을 막기란 쉽지 않다. 특히,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으로 인해 범국가적인 비상사태로 번지게 되어 심각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한편, 바이러스를 비롯한 여러 병원균을 살균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것 중 하나가 자외선(Ultraviolet Ray, UV)이다.
자외선(UV) 에너지는 1900년대 초반부터 박테리아와 미생물을 죽이는데 사용되었다. 자외선은 충분한 양의 에너지가 가해지면 미생물을 매우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으나, 자외선 수치가 낮고 자외선 방사의 균일성이 부족하면 자외선의 살균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래에는 실내공기를 자외선으로 살균하거나 기구나 물건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장치나 시스템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으나, 인체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치료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자외선의 인체 유해성 문제로 그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청정 작업을 요하는 반도체 공장이나 정밀 산업 현장의 무진 실(clean room)에 에어 샤워 시스템이 설치되어 작업자의 몸에 붙어있는 미세먼지 등을 에어의 힘으로 떼어내어 필터에서 걸러주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어 샤워는 미세먼지를 떼어내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인체에 붙어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지역과 질병의 원인인 세균과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살균 및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종되어 전염성이 강한 병균으로의 발병이 잦아지고 있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의증환자나 유병자가 있더라도 발열 여부는 확인하지 못한 채 사전 감염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소독 시스템으로만 한정되어 있고,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수 포함되고 그 자체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먼지에 대한 대응방법은 전혀 제시되지 못하였으며, 도어나 다수의 센서에 의한 고가의 구성 형태로 인해 일상적인 시설에서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 공급되지 못하여 여전히 건강이 위험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0329호(공개일자: 2009.09.2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0035호(공개일자: 2011.05.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인식하면서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자에게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수 포함되고 그 자체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균, 소독, 탈취 기능이 탁월하여 살균 소독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살균 소독제, 예를 들어 산소계 소독제를 살포함과 아울러 고속의 에어(air) 분사로 미세 먼지와 세균 제거는 물론 잔류 살균 소독액을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전염병 확산을 차단하고 방지할 수 있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에어 블로워 모듈(air blower module)을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상하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에어 샤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은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 소독하기 위하여 살균 소독액 분사홀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살균 소독액 분사홀을 통해서 상기 출입자의 통과 영역을 향하여 고속으로 살균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실내의 게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통과 영역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출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근접센서; 상기 통과 영역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열 감지 센서; 상기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이물질 제거 및 살균 소독액을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에어 블로워 모듈; 상기 근접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업다운 모듈; 및 출입자에 살균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을 실행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건조하며 업다운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은 상기 통과 영역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기; 및 상기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미리 등록받아 저장하며, 상기 리더기에서 읽어들인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출입일자 및 시간을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파이프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설치되거나,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블로워 모듈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회전하는 회전 원판; 상기 회전 원판을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모터; 및 에어를 고압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원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에어 분사 노즐; 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 모듈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힌지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를 상하로 업다운 시키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를 상기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의 상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 클램프;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인식하면서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자에게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수 포함되고 그 자체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균, 소독, 탈취 기능이 탁월하여 살균 소독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살균 소독제, 예를 들어 산소계 소독제를 살포함과 아울러 고속의 에어(air) 분사로 미세 먼지와 세균 제거는 물론 잔류 살균 소독액을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전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에어 블로워 모듈(air blower module)을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상하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에어 샤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에서 읽어들인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의 신분을 확인한 후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출입 일자 및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출입자의 출입정보를 통제함으로써, 전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 업다운 모듈의 구동에 의해서 마운팅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 파이프 프레임을 이동하기 위한 캐스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 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 복수의 파이프 프레임을 연결하여 설치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 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 업다운 모듈의 구동에 의해서 마운팅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 파이프 프레임을 이동하기 위한 캐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 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100)은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 소독하기 위하여 살균 소독액 분사홀(111a)을 다수 구비하고, 살균 소독액 분사홀(111a)을 통해서 출입자의 통과 영역(P)을 향하여 고속으로 살균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실내의 게이트(gate)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 파이프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20);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출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근접센서(130);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열 감지 센서(140);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이물질(세균 및 바이러스 등) 제거 및 살균 소독액을 건조하기 위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에어 블로워 모듈(150); 근접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업다운 모듈(160); 및 출입자에 살균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을 실행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건조하며 업다운 모듈(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100)에서,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은 실내의 게이트(gate)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다수의 파이프(111)가 연결구(112)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각 파이프(111)에는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 소독하기 위하여 살균 소독액 분사홀(111a)이 다수 구비된다.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살균 소독제 저장탱크(113)가 연결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펌프(pump)의 작동에 의해서 살균 소독액 분사홀(111a)을 통해서 출입자의 통과 영역(P)을 향하여 살균 소독제 저장탱크(113)의 살균 소독액을 고속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파이프 프레임(11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17)가 설치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 되도록 하거나, 이동을 위한 캐스터(118)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는 파이프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업다운 모듈(160)에 의해서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130)는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출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30)의 설치 위치는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 감지 센서(140)는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될 수 있다. 열 감지 센서(140)의 설치 위치는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블로워 모듈(150)은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살균 소독액을 건조하기 위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블로워 모듈(150)은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회전하는 회전 원판(151); 회전 원판(151)을 회전하기 위하여 마운팅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모터(152); 및 에어를 고압 분사하기 위하여 회전 원판(1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에어 분사 노즐(153); 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 모듈(160)은 근접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업다운 모듈(160)은 마운팅 플레이트(120)의 양단부에 힌지(H)로 연결 설치되고,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하로 업다운 시키는 유압 실린더(161); 및 유압 실린더(161)의 하부에 설치되고,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의 상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 클램프(162);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100)은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기(170); 및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미리 등록받아 저장하며, 리더기(170)에서 읽어들인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출입일자 및 시간을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100)에서는, 리더기(170)가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읽어들인다. 메모리(180)는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미리 등록받아 저장하며, 리더기(170)에서 읽어들인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출입일자 및 시간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출입자 정보를 통해서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에는 발판(119)가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 먼지나 세균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이 서로 연결되어 여러명의 출입자가 동시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방역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에서는, 우선
출입자가 통과 영역(P) 안으로 진입하면, 근접센서(130)가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출입을 인식하고, 열 감지 센서(140)는 출입자의 발열 유무를 확인한다. 제어부(C)에서는 출입자가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으로 판단하는 경우, 음성(voice)을 출력하여 진입을 차단하며, 출입자가 코로나 바이러스 음성으로 판단하는 경우, 살균 소독액 분사홀(111a)을 통해서 통과 영역(P)을 향하여 고속으로 살균 소독액을 분사하여 방역을 실행한다.
그 다음, 에어 블로워 모듈(150)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살균 소독액을 건조한 후 출입자를 통과시킨다.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때에, 회전모터(152)가 작동하여 회전 원판(151)을 회전함에 따라 에어 분사 노즐(153)을 통해서 분사되는 에어가 선회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전체에 묻은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잔류하는 살균 소독액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업다운 모듈(160)은 근접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유압 실린더(161)가 신장하거나 축소하면서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에어 블로워 모듈(150)의 높낮이가 출입자의 신장에 알맞게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출입자에 살균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을 실행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잔류하는 살균 소독액을 건조하며, 업다운 모듈(160) 작동 등의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진입하는 출입자를 인식하면서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자에게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수 포함되고 그 자체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균, 소독, 탈취 기능이 탁월하여 살균 소독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살균 소독제, 예를 들어 산소계 소독제를 살포함과 아울러 고속의 에어(air)로 미세 먼지와 세균 제거는 물론 잔류하는 살균 소독액을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전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에어 블로워 모듈(air blower module)를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상하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에어 샤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에서 읽어들인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의 신분을 확인한 후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출입 일자 및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출입자의 출입정보를 통제함으로써, 전염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111: 살균 소독액 분사홀
110: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
117: 받침대
118: 캐스터
120: 마운팅 플레이트
130: 근접센서
140: 열 감지 센서
150: 에어 블로워 모듈
151: 회전 원판
152: 회전모터
153: 에어 분사 노즐
160: 업다운 모듈
161: 유압 실린더
162: 거치 클램프
170: 리더기
180: 메모리
C: 제어부
H: 힌지
P: 통과 영역

Claims (5)

  1.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 소독하기 위하여 살균 소독액 분사홀(111a)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살균 소독액 분사홀(111a)을 통해서 상기 출입자의 통과 영역(P)을 향하여 고속으로 살균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실내의 게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
    상기 파이프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20);
    상기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출입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근접센서(130);
    상기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열 감지 센서(140);
    상기 출입자의 몸 및 의복에 묻은 살균 소독액을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에어 블로워 모듈(150);
    상기 근접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출입자의 신장에 맞게 선별적으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업다운 모듈(160); 및
    출입자에 살균 소독제를 분사하여 방역을 실행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잔류하는 살균 소독액을 건조하며, 상기 업다운 모듈(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영역(P)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기(170); 및
    상기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를 미리 등록받아 저장하며, 상기 리더기(170)에서 읽어들인 출입자의 바코드 또는 QRS 코드 정보와 출입일자 및 시간을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180); 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상기 파이프 프레임(11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17)가 설치되거나, 이동을 위한 캐스터(1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워 모듈(150)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에 회전하는 회전 원판(151);
    상기 회전 원판(151)을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모터(152); 및
    에어를 고압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원판(1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에어 분사 노즐(153); 을 포함하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모듈(160)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의 양단부에 힌지(H)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하로 업다운시키는 유압 실린더(161); 및
    상기 유압 실린더(16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상기 살균 소독제 살포용 파이프 프레임(110)의 상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 클램프(162); 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KR1020210160247A 2021-11-19 2021-11-19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KR20230073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47A KR20230073649A (ko) 2021-11-19 2021-11-19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47A KR20230073649A (ko) 2021-11-19 2021-11-19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49A true KR20230073649A (ko) 2023-05-26

Family

ID=8653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47A KR20230073649A (ko) 2021-11-19 2021-11-19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6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329A (ko) 2009-09-03 2009-09-23 배경록 살균장치가 장착된 살균처리 부스제작 방법과 그 이용 방법
KR20110050035A (ko) 2009-11-06 2011-05-13 김용평 무인 자동 살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329A (ko) 2009-09-03 2009-09-23 배경록 살균장치가 장착된 살균처리 부스제작 방법과 그 이용 방법
KR20110050035A (ko) 2009-11-06 2011-05-13 김용평 무인 자동 살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873B2 (en) Antinfection protecting healthcare workers to prevent spreading of communicable and nosocomial infections
KR102225026B1 (ko) 고열감지용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JPH07500271A (ja) 生体調整殺菌ドライヤー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98250A (ko) 구제역 인체 소독시스템
KR102250257B1 (ko) 비접촉 적외선 생체인식을 통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220053712A (ko) Uv-c led를 이용한 실내 표면 및 공기 살균 정화 장치
US202303725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v-c mask sanitization
KR100744707B1 (ko) 하나의 살균실로 이루어진 통합형 살균실
KR20100107235A (ko) 장비세척장비 및 이를 이용한 감염방지시스템
KR20230073649A (ko) 게이트 장착형 방역 시스템
KR20120006974U (ko) 구제역 인체 소독장치
WO2021206257A1 (ko) 전체소독이 가능한 출입구형 은이온수를 활용한 소독장치
KR102432145B1 (ko)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CN115814132A (zh) 一种用于快速撕裂易脱防护服的消毒除尘装置
Hua et al. Self-protection of medical workers in ophthalmology clinic during COVID-19 epidemic.
KR102225028B1 (ko) 초음파 스캔을 통해 자외선 최적화 드라이빙 기술을 적용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US2021032260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anitizing machines
KR102377145B1 (ko) 소독액 분사부를 포함하는 방역 게이트
KR20220081232A (ko) 엘리베이터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CN211187956U (zh) 一种呼吸内科专用隔离设备
KR20220022229A (ko) 소독부스
KR102351331B1 (ko) 소독가스 분사부를 포함하는 방역 게이트
KR102495943B1 (ko)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406131Y1 (ko) 자외선+적외선을 이용한 살균샤워기
KR20230120150A (ko) 게이트형 살균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