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232B1 -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232B1
KR102239232B1 KR1020190117150A KR20190117150A KR102239232B1 KR 102239232 B1 KR102239232 B1 KR 102239232B1 KR 1020190117150 A KR1020190117150 A KR 1020190117150A KR 20190117150 A KR20190117150 A KR 20190117150A KR 102239232 B1 KR102239232 B1 KR 10223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n
cable
fastening pa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406A (ko
Inventor
조완연
박종헌
이중권
최소연
김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Priority to KR102019011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9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핀, 클램프, 커플링 등과 함께 조립되어 동축케이블의 전기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인슐레이터를 이용해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 매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터 핀을 간편하게 결합되게 하면서 커넥터 핀의 접촉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심(110)이 중앙 전방으로 일부 돌출되면서 구비된 케이블(100)과; 상기 케이블(100)이 내부로 관통삽입되면서 상기 케이블(100)을 끼워지게 하는 클램프(200)와; 상기 내심(1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케이블(100)과 연결되어 전기 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커넥터 핀(300)과; 상기 커넥터 핀(30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200)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핀(300)을 지지하는 본체(400)와; 상기 본체(400)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구조로 상기 케이블(100)을 커넥터 연결 가능하게 하는 커플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커넥터 핀(300)은 상기 내심(110)과 체결되는데, 상기 내심(110)의 체결 측 전단부로 제1체결부(311)가 형성된 센터핀(310); 및 상기 제1체결부(311)에 체결되기 위해 후단 내측에 제2체결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21)의 체결을 통해 상기 센터핀(310)에 조립되면서 전기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접속핀(3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21) 사이에는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납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Solder Paste}
본 발명은 커넥터 핀, 클램프, 커플링 등과 함께 조립되어 동축케이블의 전기 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인슐레이터를 이용해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 매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터 핀을 간편하게 결합되게 하면서 커넥터 핀의 접촉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진 내부의 내심을 절연 및 임피던스 정합(matching) 유전체로 둘러싸고, 상기 유전체 외부를 별도의 도체로 차폐한 것으로 동축케이블의 내심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가 외부의 잡음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장점을 갖음에 따라 주파수가 높은 신호 전송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비교적 굵고 단단하여 전기 접속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동축케이블 전용의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133호를 살펴보면, 플러그가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의 개구부에 텐션스프링을 수납하여, 이 텐션스프링이 삽입된 플러그 외주면을 밀착하여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로서 관통된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절연체에 상기 본체와 접촉되지 않게 핀이 양단부가 노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핀의 일단부를 축으로 그 둘레에 접지편이 돌출되며, 상기 본체의 둘레에는 체결용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링형상을 갖는 몸체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벽 둘레에 복수 개의 탄성편이 돌출된 텐션스프링이 상기 접지편이 돌출된 본체의 개구부 내측벽에 끼움조립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스프링은 상기 핀 및 접지편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의 개구에 삽입된 플러그의 외경을 밀착하여 본체와 플러그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동축케이블의 내심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핀이 서로 단순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접촉이 불안전하고 쉽게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구비되는 인슐레이터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구멍의 개수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133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축케이블의 내심이 커넥터 핀에 나사체결 방식 및 납땜 방식의 이중 조립구조로 접속되게 하여 동축케이블의 내심과 커넥터 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면서 작은 충격에도 내심과 커넥터 핀이 단락되지 않도록 하여 접속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에 구비되는 인슐레이터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구멍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조절을 커넥터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심이 중앙 전방으로 일부 돌출되면서 구비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내부로 관통삽입되면서 상기 케이블을 끼워지게 하는 클램프와;
상기 내심에 체결되면서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기 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커넥터 핀과;
상기 커넥터 핀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핀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구조로 상기 케이블을 커넥터 연결 가능하게 하는 커플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내심과 체결되는데, 상기 내심의 체결 측 전단부로 제1체결부가 형성된 센터핀; 및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되기 위해 후단 내측에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센터핀에 조립되면서 전기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접속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 사이에는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납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케이블의 내심과 커넥터 핀의 연결이 견고해 지면서 작은 충격에도 내심과 커넥터 핀이 쉽게 단락되지 않고 접속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축케이블에 구비되는 인슐레이터의 구멍 개수를 자유롭게 변경함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조절을 커넥터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이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내심(110)을 갖는 케이블(100); 케이블(100)을 끼워지게 하는 클램프(200); 케이블(100)과 연결되어 전기 접속을 수행하는 커넥터 핀(300); 클램프(200)에 결합되어 커넥터 핀(300)을 지지하는 본체(400); 커넥터 연결을 수행하는 커플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블(100)은;
내심(110)이 중앙 전방으로 일부 돌출되면서 구비되는데, 전기 접속을 수행되게 하여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블(100)은; 중앙에 철심 형태의 내심(110), 상기 내심(110)을 둘러싼 절연체(120), 상기 절연체(120)를 둘러싼 외심(130), 상기 외심(130)을 둘러싼 외피(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블(100)은 적용되는 장소에 따라 그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케이블(100)의 양단에는 전기 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커넥터(1)가 각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심(110)의 전단부 외측에는 커넥터 핀(300)의 센터핀(310) 후단에 체결되도록 제3체결부(111)가 마련되고, 상기 제3체결부(111)는 수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나선체결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00)는;
상기 케이블(100)이 내부로 관통삽입되면서 상기 케이블(100)을 끼워지게 하여 커넥터(1)와 케이블(100)의 상호 연결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200)는; 중공의 관체로 내부에 상기 케이블(100)이 관통삽입되면서 끼워지게 하는 클램프몸체(210); 상기 클램프몸체(210)의 전방 외측에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본체(400)에 나선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제1조립부(220); 상기 제1조립부(220)에 인접한 측에 돌출되면서 상기 본체(400)의 나선체결을 보조하는 클램프너트(230); 상기 클램프몸체(210)의 전방 내측으로 본체(400) 사이에 지지되는 완충관(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몸체(210)는, 케이블(100)의 직경에 대응한 중공의 관체로 제작되어 상기 클램프몸체(210)의 내측으로 케이블(100)이 관통삽입되어 끼워지게 한다.
상기 제1조립부(220)는, 클램프몸체(210)의 전방 외측에 수나사로 형성되며, 상기 제1조립부(220)는 본체(400)의 후방 내측에 나사체결구조로 조립되게 한다.
상기 클램프너트(230)는, 제1조립부(220) 후단 둘레로 돌출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프너트(230)는 육각 너트 형태로 돌출되면서 본체(400)와 클램프(200)의 나선결합 중 지지력을 제공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완충관(240)은, 고무 또는 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완충관(240)이 클램프몸체(210)의 전방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케이블(100)의 앞 부분이 클램프몸체(21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된 턱에 걸리면서 고정되는 지지기능을 하고, 상기 완충관(240)의 전방은 클램프몸체(210)의 전방으로 일부 돌출되면서 클램프몸체(210)와 본체(400)의 조립 측 사이로 압착되면서 상기 케이블(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절연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핀(300)은;
상기 내심(1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케이블(100)과 연결되어 전기 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핀(300)은; 내심(110)과 체결되는데, 상기 내심(110)의 체결 측 전단부로 제1체결부(311)가 형성된 센터핀(310); 및 상기 제1체결부(311)에 체결되기 위해 후단 내측에 제2체결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21)의 체결을 통해 상기 센터핀(310)에 조립되면서 전기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접속핀(3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센터핀(310)은, 2단 축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센터핀(310)의 전단부 외주에 제1체결부(311)가 수나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핀(310)의 후단 내측으로 케이블(100)의 내심(110)에 형성된 제3체결부(111)와 나선결합되기 위한 제4체결부(312)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터핀(310)의 전단부로 인슐레이터(330)가 삽입되어 걸리면서 지지되도록 단턱이 마련된다.
상기 접속핀(320)은, 2단 축 형태로 제작되는데, 전단부가 커넥터(1)의 전기 접속을 위해 첨예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핀(320)의 후단 내측으로 센터핀(310)의 제1체결부(311)에 나선결합되기 위한 제2체결부(321)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접속핀(320)이 센터핀(310)에 나선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터핀(310) 전단부에 끼워진 인슐레이터(330)를 압박시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21) 사이에는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납땜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솔더 페이스트는 솔더 크림으로도 지칭되며, 땜납 분말에 플럭스를 혼합하여 페이스트상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센터핀(310)과 접속핀(32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21)의 체결 측 사이에 수용 도포시킨 후 별도 가열 기기를 통해 가열함으로 상기 센터핀(310)과 접속핀(320)의 조립 측에 대한 땜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땜납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커넥터 핀(300)에 나사체결 방식 및 땜납 방식의 이중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 커넥터 핀(300)이 견고하게 조립되면서 작은 충격에도 커넥터 핀(300)의 조립 측이 단락되는 접속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핀(300)은; 센터핀(310)과 접속핀(320) 사이에 구비되는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에어홀(331)이 하나 이상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인슐레이터(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슐레이터(330)는 중공의 관체로 상기 센터핀(310)의 전단부 외측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커넥터(1)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시 출력측과 입력측의 임피던스 차를 매칭시키면서 반사를 줄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 핀(300)은 내심(110)의 전단부 외주에 형성된 제3체결부(111)에 체결되기 위하여 센터핀(310)의 후단 내측에 제4체결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111)와 제4체결부(312)의 체결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과 나선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400)는;
상기 커넥터 핀(30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200)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핀(3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400)는; 클램프(200)에 결합되기 위한 메인몸체(410)가 중공의 관체로 제작되며, 상기 메인몸체(410)의 내부 중공에는 인서트링(420)의 체결을 위한 단턱(411)이 마련되고, 상기 단턱(411)의 후방에는 클램프(200)의 제1조립부(220)에 나선체결되기 위한 제2조립부(412)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몸체(410)의 단턱(411)에는 상기 커넥터 핀(300)의 인슐레이터(330)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링(420)이 메인몸체(410) 사이로 인슐레이터(330)가 지지되는 측에 삽입결합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링(420)은 메인몸체(410)의 단턱(411)에 조립되면서 인슐레이터(330)의 외주를 지지하는 중공의 관체로 제작되는데, 상기 인서트링(420)의 전단은 단턱(411)에 지지되고, 상기 인서트링(420)의 후단은 클램프(200)의 완충관(240) 전단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몸체(410)와 인서트링(420) 사이로 인슐레이터(330)를 압박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500)은;
상기 본체(400)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구조로 상기 케이블(100)을 커넥터 연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커플링(500)은; 육각 또는 팔각 등의 너트 구조로 제작되는데, 상기 커플링(500)의 전방 내측으로 커넥터 연결을 위한 나사산 등의 체결구조가 마련될 수 있고, 커넥터(1)가 다른 전자기기 및 또 다른 커넥터(1)와 연결되는 상황에서 상기 커플링(500)의 체결 구조를 이용해 간편하게 커넥팅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500)은 본체(400)에 결합되는 측 사이로 상기 본체(400)와 연계하여 형성되는 끼움홈(511)이 마련되는데, 상기 끼움홈(511)에 삽입되면서 상기 본체(400)와 커플링(500) 사이에 걸림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커플링(500)이 본체(400)에 결합된 상태로 자유회전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5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끼움홈(511)은, 본체(400)의 메인몸체(410) 전단부 외주와 커플링(500)의 내주에 서로 대응된 위치로 고정링(510)이 삽입 가능한 크기의 홈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링(510)은, 스냅링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511)에 끼워지면 상기 커플링(500)이 본체(400)에 조립되면 걸림 작용이 발휘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커넥터 중 인슐레이터의 구성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 중 상기 인슐레이터(330)는; 센터핀(310)과 접속핀(320) 사이로 축 결합되는데, 상기 축 결합측 둘레로 에어홀(331)이 하나 이상 등간격 관통형성된 제1편체(332); 및,
상기 제1편체(332)에 면접되도록 상기 센터핀(310)과 접속핀(320) 사이로 축 결합되는데, 상기 축 결합측 둘레로 상기 제1편체(332)의 에어홀(331)에 연결되어 통홀(s)을 형성하는 에어홀(331)이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된 제2편체(3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편체(332) 또는 제2편체(333)가 센터핀(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상기 제1편체(332)의 에어홀(331)과 제2편체(333)의 에어홀(331)이 연결된 통홀(s)의 크기를 가변하면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조절을 임의로 수행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편체(332)는, 인슐레이터(330)의 후단부가 되는 것이며, 상기 센터핀(310)의 전단부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제1편체(332)가 센터핀(310)에 끼워지는 둘레로 하나 이상의 에어홀(331)이 관통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편체(333)는, 인슐레이터(330)의 전단부가 되는 것이며, 상기 제1편체(332)의 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핀(310)의 전단부 외측에 끼워지는데, 상기 센터핀(310)과 접속핀(32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2편체(333)가 제1편체(332)에 면접되면서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2편체(333)가 센터핀(310)에 끼워지는 둘레로 하나 이상의 에어홀(331)이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2편체(333)의 에어홀(331)은 상기 제1편체(332)의 에어홀(331)에 연결되면서 서로 통하는 통홀(s)을 제공하고, 상기 통홀(s)은 인슐레이터(330)가 임피던스 매칭을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징적으로 상기 인슐레이터(330)가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편체(332) 또는 제2편체(333)가 센터핀(31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구조로 상기 에어홀(331)을 연결하는 통홀(s)의 크기가 가변되면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에어홀(331)의 단면적이 줄거나 늘어나고,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를 더 부가함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에어홀(331)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조절을 커넥터(1)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임피던스 매칭 조절을 위한 다양한 인슐레이터의 제작이 필요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동축케이블 커넥터 중 인슐레이터의 구성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 중 상기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는 서로 면접되는 측으로 요철(凹凸) 형태로 서로 끼워지게 하는데, 상기 요철이 상호 연속적 체결되는 구조로 제1편체(332) 또는 제2편체(333)의 회전을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돌기(335)와 홈(33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기(335)와 홈(334)은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의 서로 면접되는 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1편체(332)의 일면 둘레로 다수의 홈(33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2편체(333)의 면접 측으로 상기 홈(334)에 끼워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홈(334)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로 상기 홈(334)에 대응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편체(332) 또는 제2편체(333)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335)가 다수의 등간격 홈(334)을 따라서 타고넘어가면서 끼워지는 작용으로 상기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가 순차적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기(335)는 다수의 홈(334)을 효율적으로 타고 넘어가 걸릴 수 있도록 라운드 형의 돌기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335)와 홈(334)을 이용해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가 순차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의 에어홀(331)이 상호 연결되어 마련된 통홀(s)의 크기를 일정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돌기(335)와 홈(334)을 더 부가함에 따라 인슐레이터(330)의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가 돌기(335)와 홈(334)의 끼움 구조를 통해 순차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 상기 제1편체(332) 및 제2편체(333)의 회전에 따라 에어홀(331)의 연결 크기를 가변하는 통홀(s)의 가변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임피던스 매칭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커넥터 100; 케이블
110; 내심 120; 절연체
130; 외심 140; 외피
200; 클램프 210; 클램프몸체
220; 제1조립부 230; 클램프터느
240; 완충관 300; 커넥터 핀
310; 센터핀 320; 접속핀
330; 인슐레이터 400; 본체
410; 메인몸체 420; 인서트링
500; 커플링 510; 고정링

Claims (5)

  1. 내심(110)이 중앙 전방으로 일부 돌출되면서 구비된 케이블(100)과;
    상기 케이블(100)이 내부로 관통삽입되면서 상기 케이블(100)을 끼워지게 하는 클램프(200)와;
    상기 내심(1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케이블(100)과 연결되어 전기 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커넥터 핀(300)과;
    상기 커넥터 핀(30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200)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핀(300)을 지지하는 본체(400)와;
    상기 본체(400)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구조로 상기 케이블(100)을 커넥터 연결 가능하게 하는 커플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커넥터 핀(300)은 상기 내심(110)과 체결되는데, 상기 내심(110)의 체결 측 전단부로 제1체결부(311)가 형성된 센터핀(310); 및 상기 제1체결부(311)에 체결되기 위해 후단 내측에 제2체결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21)의 체결을 통해 상기 센터핀(310)에 조립되면서 전기접속을 수행되게 하는 접속핀(3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21) 사이에는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납땜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핀(300)은 센터핀(310)과 접속핀(320) 사이에 구비되는데,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에어홀(331)이 하나 이상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인슐레이터(3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터(330)는 센터핀(310)과 접속핀(320) 사이로 축 결합되는데, 상기 축 결합측 둘레로 에어홀(331)이 하나 이상 등간격 관통형성된 제1편체(332); 및,
    상기 제1편체(332)에 면접되도록 상기 센터핀(310)과 접속핀(320) 사이로 축 결합되는데, 상기 축 결합측 둘레로 상기 제1편체(332)의 에어홀(331)에 연결되어 통홀(s)을 형성하는 에어홀(331)이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된 제2편체(3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편체(332) 또는 제2편체(333)가 센터핀(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상기 제1편체(332)의 에어홀(331)과 제2편체(333)의 에어홀(331)이 연결된 통홀(s)의 크기를 가변하면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조절을 임의로 수행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300)은 내심(110)의 전단부 외주에 형성된 제3체결부(111)에 체결되기 위하여 센터핀(310)의 후단 내측에 제4체결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111)와 제4체결부(312)의 체결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과 나선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500)은 본체(400)에 결합되는 측 사이로 상기 본체(400)와 연계하여 형성되는 끼움홈(511)이 마련되는데, 상기 끼움홈(511)에 삽입되면서 상기 본체(400)와 커플링(500) 사이에 걸림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커플링(500)이 본체(400)에 결합된 상태로 자유회전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510)을 더 포함한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0)는 본체(400) 사이에 지지되는 완충관(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관(24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본체(400)의 조립 측 사이로 탄성력을 이용해 압착되어 케이블(100)을 지지하는 것을 더 포함한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20190117150A 2019-09-24 2019-09-24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223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150A KR102239232B1 (ko) 2019-09-24 2019-09-24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150A KR102239232B1 (ko) 2019-09-24 2019-09-24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406A KR20210035406A (ko) 2021-04-01
KR102239232B1 true KR102239232B1 (ko) 2021-04-12

Family

ID=7543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150A KR102239232B1 (ko) 2019-09-24 2019-09-24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4950A1 (en) * 2021-10-15 2023-04-20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Vacuum soldered connector having an insulator with a check valve to prevent water ingress
CN114665343B (zh) * 2022-03-22 2024-04-05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插座及车载射频同轴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915A (ja) 2008-02-05 2009-08-20 Shintake Sangyo Kk プラグとその製造方法
KR200474785Y1 (ko)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및 커넥터 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133Y1 (ko) 2005-03-15 2005-06-07 주식회사 금강유니콤 동축케이블 연결용 컨넥터
JP6163455B2 (ja) * 2014-05-28 2017-07-12 Smk株式会社 気密型同軸コネクタ
KR102123717B1 (ko) * 2016-12-30 2020-06-16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915A (ja) 2008-02-05 2009-08-20 Shintake Sangyo Kk プラグとその製造方法
KR200474785Y1 (ko)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및 커넥터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406A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0260A (en) Connector for semi-rigid coaxial cable
US4165911A (en) Rotating collar lock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US7476127B1 (en) Adapter for mini-coaxial cable
US5667409A (en) Structure improvement for the connector of coaxial cable
US4326769A (en) Rotary coaxial assembly
US6183298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with friction locking arrangement
US4431254A (en) Connector element for an armoured cable with two multico-core conductors
US5576675A (en) Microwave connector with an inner conductor that provides an axially resilient coaxial connection
US10553977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102239232B1 (ko)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20170103760A (ko) 보상 슬리이브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구조
CN106469880A (zh) 用于同轴电缆的测试连接器
JPH07335336A (ja) オーディオ用コネクタ
US5545059A (en) Connector for a hollow center conductor of a radio frequency cable
US4886474A (en) Spindle-receiving jack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jack
US586083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robe positionable between a pair of spaced positions
KR102123717B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JPS584279A (ja) 電気コネクタ
JPH0219583B2 (ko)
US4076367A (en) Solderless connector
US10756496B2 (en) Connector with responsive inner diameter
US11588284B2 (en) Cable arrangement
JP6951200B2 (ja) 電気コネクタ
US3295095A (en) Electrical connector means for coaxial cables and the like
US3445794A (en) Coaxial connector plug and receptac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