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661B1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661B1
KR102238661B1 KR1020190125970A KR20190125970A KR102238661B1 KR 102238661 B1 KR102238661 B1 KR 102238661B1 KR 1020190125970 A KR1020190125970 A KR 1020190125970A KR 20190125970 A KR20190125970 A KR 20190125970A KR 102238661 B1 KR102238661 B1 KR 10223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mp
brightness
doo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최기현
전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도어의 개폐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개폐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 폐쇄인지 판단하고, 도어의 상태가 개방이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도어의 상태가 폐쇄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조명부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전방 시야를 주시하면서 차량의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실외 조명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실외 조명부는 조명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차량은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 및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러스터에는 브레이크 경고등 및 시트벨트 경고등, ABS(Anti-lock Brake System) 경고등, TCS(Traction Control System) 경고등, 그리고 기타 차량 내 부속 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경고상태 등을 표시하는 실내 조명부가 더 마련되어 있다.
차량의 센터페시아에는 오디오, 공기 조화기, 비상등과 같은 각종 기기의 조작 버튼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조작 버튼들에는 야간 주행 시 또는 터널이나 주차장 주행 시, 운전자의 시각적 인지를 위한 조명부가 내장되어 있다.
차량의 내장에는 차량 실내의 조명을 위한 실내 조명부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식으로 저항 방식, 리니어 제어 방식이 있다.
이 중 저항 방식은 회로가 단순하고 설계 원가가 낮으나 정전류 제어가 불가하여 조명부의 밝기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리니어 방식은 전압 변동에도 조명부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단순한 회로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조명부의 램프 1개당 공급할 수 있는 전류값이 정해져 있고 발열이 심하여 충분한 PCB면적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 원가를 줄이면서 조명부의 밝기를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 측면은 도어의 개방 및 폐쇄에 대응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변화시키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입력부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변화시키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적어도 하나의 램프;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개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검출부; 및 개폐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 상태인지 폐쇄 상태인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개폐 신호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만을 개폐 신호로 인식한다.
제어부는, 개폐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하강 에지 신호와 상승 에지 신호를 가지는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인지, 로우인지를 판단하고 생성된 펄스 신호의 하강 에지 신호, 상승 에지 신호 및 판단된 입력 포트의 레벨에 기초하여 에러 신호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에러 신호라고 판단된 에지 신호를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제외하고 에러 신호가 제외된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최대 밝기로 증가되기 전에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폐쇄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된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차량은 원격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도어의 잠금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도어의 잠금 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온 명령 또는 오프 명령을 수신하는 온오프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명령에 대한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오프 명령에 대한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킨다.
제어부는,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제어부는, 도어의 폐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때,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온오프 입력부는, 오버헤드콘솔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램프는, 오버헤드콘솔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피드백하고, 피드백된 펄스 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고장을 진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도어의 개폐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개폐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 폐쇄인지 판단하고, 도어의 상태가 개방이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도어의 상태가 폐쇄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킨다.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 폐쇄인지 판단하는 것은, 개폐 신호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만을 개폐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 폐쇄인지 판단하는 것은, 개폐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하강 에지 신호와 상승 에지 신호를 가지는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인지, 로우인지를 판단하고, 생성된 펄스 신호의 하강 에지 신호, 상승 에지 신호 및 판단된 입력 포트의 레벨에 기초하여 에러 신호를 판단하고, 에러 신호라고 판단된 에지 신호를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제외하고, 에러 신호가 제외된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최대 밝기로 증가되기 전에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폐쇄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된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원격 제어기로부터 도어의 잠금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잠금 해제 명령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 증가 중에 도어의 잠금 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명령에 대한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명령에 대한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도어의 폐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때,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마련되는 실내 램프들과 차량의 인터페이스를 일원화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실내에 벌브(BULB)와 발광 다이오드(LED)가 모두 마련된 경우,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인터페이스를 일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의 밝기 제어 시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조명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고장 인식으로 인한 점검에 따른 손실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를 개방하거나 원격 제어기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조명부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도어를 폐쇄시키거나 원격 제어기로부터 잠금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조명부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조명부에 대한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신호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도어의 개폐 검출 신호 중 에러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장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짐이 적재되는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 및 전후좌우 도어(101: 101a, 101b)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라스를 포함한다.
차량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차량의 모든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램프들을 가지는 외부 조명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 조명부의 램프들은 조명 기능뿐 아니라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외부 조명부의 램프들은 차량 전명과 후면의 좌우에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02: 102a, 102b)와, 대시 보드(103)와, 대시 보드(103) 상에 배치되고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 및 차량 정보를 안내하는 클러스터(즉, 계기판, 104)와, 공기조화기의 조절판이 마련된 센터 페시아(105)를 포함한다.
시트(102)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로,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02a)과, 운전석의 옆에 마련되고 탑승자가 앉는 조수석(102b)을 포함하고, 운전석과 조수석의 후방에 마련되고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뒷좌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센터페시아(105)에 마련되고 오디오 장치, 공기 조화기, 블루투스 장치 및 시트의 열선 등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106)과, 도어(101)의 상측에 마련되고 천장 내장을 형성하는 헤드 라이닝(107)과, 센터페시아(105)에 마련되고, 주차 단, 후진단, 중립 단 및 주행 단 중 어느 하나로 위치를 이동되는 변속 레버와, 변속 레버의 주변에 위치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차량의 구현 예에 따라 차량에는 주차 버튼이 아닌 사이드 브레이크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차량에 수행되는 기능의 동작 정보, 차량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108)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108)는 입력부(130)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08)는 센터 페시아(105), 헤드 유닛(106) 및 클러스터(104)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내장은 헤드 라이닝(107)에 마련된 오버헤드 콘솔(110)과, 헤드 라이닝(107)에 마련되고 실내의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용 조명부(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용 조명부(120) 중 일부 램프는 오버헤드 콘솔(110)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센터 페시아(105), 헤드 유닛(106), 스티어링 휠 및 멀티 펑션 조작 레버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입력부(13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헤드 라이닝(107) 및 오버헤드콘솔(11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30)는 물리적인 버튼, 키, 스위치 및 레버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차량용 단말기(AVN)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30)는 차량에서 수행 가능한 각종 기능의 온오프 명령, 각종 기능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설정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130)는 실내용 조명부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실외 조명부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며, 실외 조명부의 점멸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측 멀티 펑션 조작 레버와 우측 멀티 펑션 조작 레버 중 좌측 멀티 펑션 조작 레버에 마련된 입력부는 외부 조명부의 복수 개의 램프의 온오프 명령, 자동 점등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고, 우측 멀티 펑션 조작 레버에 마련된 입력부는 와이퍼의 온오프 명령, 와이퍼의 이동 속도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오버헤드 콘솔(110)은 실내용 조명부(120: 121, 122)와, 도어 개폐 명령 및 실내용 조명부의 점소등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130: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헤드 콘솔(110)에 마련된 실내용 조명부(120)는, 오버헤드 콘솔(110)의 제1사이드에 마련되고 차량의 실내 중 운전석(102a)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제1램프(121)와, 오버헤드 콘솔(110)의 제2사이드에 마련되고 차량의 실내 중 조수석(102b)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제2램프(122)를 포함한다.
실내용 조명부(120)는 헤드 라이닝(107)의 제1사이드에 마련되고 뒷좌석의 영역 중 운전석 뒤쪽의 좌석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제3램프(123)와, 헤드 라이닝(107)의 제2사이드에 마련되고 뒷좌석의 영역 중 조수석 뒤쪽의 좌석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제4램프(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버헤드 콘솔(110)에 마련된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으로 도어의 개폐 명령에 대한 개폐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입력부(130: 131), 사용자 입력으로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 명령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입력부(130: 132)를 포함한다.
도어의 개폐 명령은,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명령일 수 있다.
개폐 입력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는 개방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폐쇄에 대응하는 폐쇄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온오프 입력부(130: 132)는 제1램프(121)의 점등 또는 소등 명령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온오프 입력부(132a)와, 제2램프(122)의 점등 또는 소등 명령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온오프 입력부(132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온오프 입력부(132a)는 제1램프(121)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온오프 입력부(132b)는 제2램프(122)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온오프 입력부(132a)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램프의 온 명령에 대응하는 온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램프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는 오프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제2 온오프 입력부(132b)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2램프의 온 명령에 대응하는 온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2램프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는 오프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입력부(130)는 헤드 라이닝(107)의 제1사이드에 마련되되 제3램프(123)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제3램프(123)의 점등 또는 소등 명령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온오프 입력부(132c)와, 헤드 라이닝(107)의 제2사이드에 마련되되 제4램프(124)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제4램프(124)의 점등 또는 소등 명령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온오프 입력부(13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온오프 입력부(132c)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3램프의 온 명령에 대응하는 온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3램프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는 오프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제4 온오프 입력부(132d)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4램프의 온 명령에 대응하는 온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4램프의 오프 명령에 대응하는 오프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오버헤드 콘솔(110)에 마련된 입력부(130)는, 제1, 2, 3 및 4 램프의 통합 점등 또는 통합 소등 명령에 대한 통합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온오프 입력부(13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온오프 입력부(132e)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체 램프의 통합 온 명령에 대응하는 통합 온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체 램프의 통합 오프 명령에 대응하는 통합 오프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 2, 3 및 4 램프는 맵 램프일 수 있다.
차량은 복수 개의 도어(101)에 각각 마련되고 각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개폐 검출부(140)를 더 포함한다.
각 개폐 검출부(140)는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는 개방 검출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도어의 폐쇄에 대응하는 폐쇄 검출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개폐 검출부(140)는 마그네틱 센서, 광센서, 리드 스위치, 홀센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개폐 검출부(140)는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펄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펄스 신호 중 온오프 신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온오프 신호의 시간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검출 신호인지, 도어의 폐쇄 검출 신호인지를 판단하며 도어의 개폐 검출 여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 및 개폐 입력부에 의해 수신된 온오프 입력 신호 및 개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소등 및 밝기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검출부(140)로부터 도어의 개폐 신호를 수신하는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와,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에서 출력된 개폐 검출 신호, 개폐 입력부에서 수신된 도어의 개폐 입력 신호, 제1, 2, 3, 4의 온오프 입력 신호 및 통합 온오프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와 복수 개의 램프의 점소등 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152)와, 인식부(152)에서 인식된 도어의 개폐 상태와 복수 개의 램프의 점소등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램프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도 있고, 벌브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램프들 중 일부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도 있고, 나머지는 벌브일 수도 있다.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펄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펄스 신호 중 오프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오프 신호의 시간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검출 신호인지, 도어의 폐쇄 검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검출부(140)는 도어의 개폐 검출에 대응하여 120Hz의 영(0) V에서 12V 사이의 전압을 가진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개폐 검출부(140)는 도어의 개방 시 영(0) V의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도어의 폐쇄 시에 12V 의 펄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펄스 신호는 영(0) V에서 5V 사이의 전압을 가진 펄스 신호로 신호 처리되되 위상이 반전되도록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된 펄스 신호는 개폐 신호일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에는 위상이 반전된 펄스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입력된 펄스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구형파의 펄스 신호로 생성한다. 이때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가지는 파형만을 정상 파형으로 인식하고 정상 파형으로 인식된 신호만을 구형파의 펄스 신호로 생성한다. 이를 통해 신호 누락 후 발생하는 에러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는 120Hz(8.3ms)이다. 아울러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서 오차 범위(상하 10%) 내의 주파수를 포함한다.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할 때, 제1기준 전압과 제2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에지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기준 전압은 대략 4V일 수 있고, 제2기준 전압은 대략 1V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에지 신호가 하강 에지(Falling Edge) 신호인지, 상승 에지(Rising Edge) 신호를 판단하기 위해 각 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확인한다.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에지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에지 신호별로 입력 포트의 레벨을 확인하며 에지별로 확인된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인지 로우인지를 판단하여 에지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 에러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입력 포트는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개폐 검출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포트일 수 있다. 입력 신호는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가진 구형파의 펄스 신호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첫 번째 하강 에지 신호가 인식된 후 입력 포트의 레벨이 로우이고, 두 번째 상승 에지 신호가 인식된 후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이며, 세 번째 하강 에지 신호가 인식된 후 입력 포트의 레벨이 로우이면 첫번 째 하강 에지 신호, 두 번째 상승 에지 신호 및 세 번째 하강 에지 신호를 모두 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한다.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세 번째 하강 에지 신호가 인식된 후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이면 세 번째 하강 에지 신호를 에러 신호로 인식하여 세 번째 하강 에지 신호를 제외함으로써 에러 신호에 대응하는 에지 신호를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제외한다. 이를 통해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는 에러 신호를 처리한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도어 상태 인식부(152a)에 전송한다.
도어의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될 때 펄스 신호 중 오프 신호에 대응하는 오프 시간이 증가하고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될 때 펄스 신호 중 오프 신호에 대응하는 오프 시간이 감소한다. 즉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될 때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증가하고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될 때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감소한다.
인식부(152)는 도어 개폐 신호 수신부(151)에서 출력된 개폐 검출 신호와 개폐 입력부(131)로부터 수신된 도어의 개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 상태인지, 폐쇄 상태인지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대응하여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램프의 온 신호를 신호 생성기(153)에 전송하거나,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램프의 오프 신호를 신호 생성기(153)에 전송하는 도어 상태 인식부(152a)를 포함한다.
도어 상태 인식부(152a)는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획득하고 오프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도어가 폐쇄 상태인지 개방 상태인지를 인식한다.
도어 상태 인식부(152a)는 펄스 신호 중 오프 신호에 대응하는 오프 시간이 증가하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펄스 신호 중 오프 신호에 대응하는 오프 시간이 감소하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
도어 상태 인식부(152a)는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증가하면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감소하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식부(152)는 제1 온오프 입력부(132a), 제2 온오프 입력부(132b), 제3 온오프 입력부(132c) 및 제4 온오프 입력부(132d)로부터 수신된 온오프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1, 2, 3, 4 램프 각각에 대해 점등 상태인지 소등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램프 상태 인식부(152b)와, 제5 온오프 입력부(132e)로부터 수신된 통합 온오프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든 램프가 점등 상태인지 소등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통합 상태 인식부(152c)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램프 상태 인식부(152b)는 제1 온오프 입력부(132a)로부터 제1램프(121)의 온오프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램프(121)의 온오프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1램프(121)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인식하고, 제2 온오프 입력부(132b)로부터 제2램프(122)의 온오프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램프(122)의 온오프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2램프(122)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인식한다.
램프 상태 인식부(152b)는 제3 온오프 입력부(132c)로부터 제3램프(123)의 온오프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3램프(123)의 온오프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3램프(123)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인식하고, 제4 온오프 입력부(132d)로부터 제4램프(124)의 온오프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4램프(124)의 온오프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4램프(124)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인식한다.
램프 상태 인식부(152b)는 제1 온오프 입력부(132a), 제2 온오프 입력부(132b), 제3 온오프 입력부(132c) 및 제4 온오프 입력부(132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온 입력 신호 또는 오프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신호 생성부(153)에 전송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합 상태 인식부(152c)는 통합 온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1, 2, 3, 4 램프가 모두 점등되도록 통합 온 신호를 신호 생성부(153)에 전송하고, 통합 오프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1, 2, 3, 4 램프가 모두 소등되도록 통합 오프 신호를 신호 생성부(153)에 전송한다.
신호 생성부(153)는 인식부(152)에서 인식된 도어 상태 정보와 램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램프(121)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제1램프(121)에 전송하는 제1PWM 신호 생성부(153a)와, 인식부(152)에서 인식된 도어 상태 정보와 램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램프(122)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제2램프(122)에 전송하는 제2PWM 신호 생성부(153b)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생성부(153)는 인식부(152)에서 인식된 도어 상태 정보와 램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3램프(123)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제3램프(123)에 전송하는 제3PWM 신호 생성부(153c)와, 인식부(152)에서 인식된 도어 상태 정보와 램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4램프(124)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제4램프(124)에 전송하는 제4PWM 신호 생성부(153d)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구성부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 제어부(150)의 구성별로 구분지어 설명하지 않고, 제어부(150) 하나의 구성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개폐 검출부(140)로부터 도어의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실내용 조명부의 모든 램프(즉, 제1-4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모든 램프에 온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모든 램프의 점등을 제어할 때, 모든 램프에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모든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50)는 모든 램프의 밝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증가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를 증가시킨 펄스폭 변조 신호를 모든 램프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펄스폭 변조 신호는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펄스 폭 변조 신호일 수도 있고, 각 램프에 인가된 전압의 펄스 폭 변조 신호일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개폐 검출부(140)로부터 도어의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실내용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온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개폐 검출부(140)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온오프 입력부(132)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듀티비 100 %의 펄스폭 변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램프의 밝기를 제어하고 모든 램프에 전달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100%이면 모든 램프의 밝기를 최대 밝기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최대 밝기는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100%일 때의 밝기일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100%이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모든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개폐 입력부(131)로부터 개방 입력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개폐 검출부(140)를 통해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개방 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 제어 중, 제5온오프 입력부(132e)로부터 통합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통합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감소된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밝기부터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제어부(150)는 듀티비가 0%가 될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가 조절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모든 램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개방 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 제어 중, 제 1, 2, 3, 4 온오프 입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감소된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밝기부터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에 대응하는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고, 나머지 램프의 밝기는 증가 제어를 유지시킨다.
제어부(150)는 개폐 검출부(140)로부터 도어의 폐쇄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실내용 조명부의 모든 램프(즉, 제1-4 램프)의 소등을 제어하도록 모든 램프에 오프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모든 램프의 소등을 제어할 때, 모든 램프에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모든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50)는 모든 램프의 밝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감소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를 감소시킨 펄스폭 변조 신호를 모든 램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개폐 검출부(140)로부터 도어의 폐쇄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실내용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소등을 제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램프는, 도어 개방에 대응하여 점등된 램프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개폐 검출부(140)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온오프 입력부(132)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듀티비 0 %의 펄스폭 변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램프의 밝기를 감소 제어하고 모든 램프에 전달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0%이면 모든 램프를 소등시킨다. 여기서 램프의 소등은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0%일 때인다.
제어부(150)는 개폐 입력부(131)로부터 폐쇄 입력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개폐 검출부(140)를 통해 폐쇄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램프의 소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폐쇄 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 제어 중, 제5온오프 입력부(132e)로부터 통합 온 신호가 수신되면 통합 온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감소된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밝기부터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제어부(150)는 듀티비가 100%가 될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가 조절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모든 램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폐쇄 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 제어 중, 제 1, 2, 3, 4 온오프 입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온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감소된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밝기부터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에 대응하는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나머지 램프의 밝기의 감소 제어를 유지시킨다.
제어부(150)는 듀티비가 100%가 될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로 듀티비가 조절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에 대응하는 램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2, 3, 4 램프의 밝기를 10단계에서 0단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 중 램프들의 밝기가 3단계까지 감소한 상태에서 제1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제1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밝기(즉 3단계)부터 10단계까지 제1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제2, 3, 4 램프의 밝기는 3단계에서 0단계까지 계속적으로 감소시킨다.
제어부(150)는 모든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5온오프 입력부(132e)로부터 통합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램프의 소등을 제어하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가 감소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모든 램프에 전송하고, 모든 램프의 소등 중 개폐 검출부로부터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밝기부터 최대 밝기까지 모든 램프의 밝기가 증가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가 증가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모든 램프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며 소등 중 개폐 입력부로부터 개방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밝기부터 최대 밝기까지 모든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가 증가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모든 램프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모든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1, 2, 3, 4온오프 입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램프의 소등을 제어하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가 감소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램프에 전송하고, 어느 하나의 램프의 소등 중 개폐 검출부로부터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개방 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밝기부터 최대 밝기까지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증가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듀티비가 증가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램프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제1, 2, 3, 4 온오프 입력부 중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를 통해 온 신호가 수신되면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 증가 중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를 통해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되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현재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감소하는 듀티비를 가진 펄스폭 변조 신호를 어느 하나의 램프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제5 온오프 입력부를 통해 통합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제1, 2, 3, 4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제5온오프 입력부를 통해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1, 2, 3, 4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되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2, 3, 4 램프의 밝기가 현재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감소하는 듀티비를 가진 펄스폭 변조 신호를 제1, 2, 3, 4 램프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제1, 2, 3, 4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 중 제5 온오프 입력부를 통해 통합 온 신호가 수신되면 통합 온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1, 2, 3, 4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되 확인된 밝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2, 3, 4 램프의 밝기가 현재 밝기부터 최대 밝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증가하는 듀티비를 가진 펄스폭 변조 신호를 제1, 2, 3, 4 램프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소등이 완료되기 전에 점등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밝기부터 최대 밝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소등이 완료된 이후에 점등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소등부터 최대 밝기까지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기 전에 소등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밝기부터 소등까지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점등이 완료된 이후에 소등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최대 밝기부터 소등기까지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제어부(150)는 각 램프에 전송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피드백하고 피드백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각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변경되는지를 판단하고, 또한 각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었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각 램프에 전송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피드백하여 각 램프와의 회로가 오픈되었는지 쇼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기(2)에 전송된 도어 잠금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원격 제어기(2)에 전송된 도어 잠금 해제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기(2)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 증가 중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현재 밝기에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차량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a)는 원격 제어기(2)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50a)는 각 온오프 입력부와 매칭된 램프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50a)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50a)는 제어부(15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내에 마련된 각종 검출부와 제어부는,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 내에 마련된 각종 검출부와 제어부는,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차량 내부 구성 요소 및 원격제어기(2)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2)는 포브(Fob) 타입의 원격 제어기와, 카드(Card) 타입의 원격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2)는 차량(1)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원격 제어기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차량(1)에 전송한다.
원격 제어기(2)는 차량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별도의 수동 조작 없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측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시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2)는 차량과의 인증에 성공하고 차량과 근접하게 위치하면 차량의 조명부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사이드 미러의 언폴딩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기(2)는 인증 신호 이외에도 도어의 잠금 해제의 제어 신호, 시동 온의 제어 신호, 라이트의 점등 제어 신호 및 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제어기는 차량에 보다 비교적 많은 신호를 전송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차량은 개폐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개폐 검출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도어 개폐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개폐 신호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차량은 개폐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차량은 펄스 신호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파형만을 정상 파형으로 인식하고 정상 파형으로 인식된 신호만을 구형파의 펄스 신호로 생성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는 120Hz(8.3ms)이다. 아울러 차량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서 오차 범위(상하 10%)에 있는 파형을 정상 파형으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할 때, 제1기준 전압과 제2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에지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기준 전압은 대략 4V일 수 있고, 제2기준 전압은 대략 1V일 수 있다.
차량은 에지 신호가 하강 에지(Falling Edge) 신호인지, 상승 에지(Rising Edge) 신호를 판단하기 위해 각 에지 신호에 대응하는 개폐 신호의 전압값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은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에지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에지 신호별로 입력 포트의 레벨을 확인하며 에지별로 확인된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High)인지 로우(Low)인지를 판단하여 에지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 에러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입력 포트는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개폐 검출부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포트일 수 있다. 입력 신호는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를 가진 구형파의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하강 에지 신호일 때 입력 포트의 레벨이 로우이면 정상신호이고, 하강 에지 신호일 때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이면 에러 신호이며, 상승 에지 신호일 때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이면 정상신호이며 상승 에지 신호일 때 입력 포트의 레벨이 로우이면 에러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에러 신호로 판단된 신호를 무시하고 나머지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를 판단(171)한다.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오프 신호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 신호들의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시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확인된 오프 시간들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지 판단하고 오프 시간들이 감소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도어의 상태가 개방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감소하는지 판단하고,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감소한다고 판단되면 도어의 상태가 개방이라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도어의 상태가 개방이라고 판단되면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램프를 점등시킨다. 아울러 차량은 복수 개의 램프를 점등시킬 때,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172).
여기서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각 램프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각 램프에 인가될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듀티 비는 온 신호에 대한 듀티 비일 수 있다.
차량은 개폐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개폐 검출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신호처리된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폐쇄인지를 판단(173)한다.
차량은, 도어의 상태가 폐쇄인지 판단할 때에도, 개폐 검출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신호처리에 의해 생성된 펄스 신호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파형만을 정상 파형으로 인식하고 정상 파형으로 인식된 신호만을 구형파의 펄스 신호로 생성하며 생성된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하강 에지 신호와 상승 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에러 신호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어의 상태가 폐쇄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오프 신호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 신호들의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시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확인된 오프 시간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지 판단하고 오프 시간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도어의 상태가 폐쇄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어의 상태가 폐쇄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증가하는지 판단하고, 오프 신호에 대한 듀티비가 증가한다고 판단되면 도어의 상태가 폐쇄라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도어의 상태가 폐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각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었는지 판단(174)하고, 각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각 램프의 밝기를 최대 밝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각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각 램프의 밝기가 최대 밝기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차량은 각 램프의 점등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램프의 최대 밝기는, 각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100%일 때의 밝기이다.
각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각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100%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도어의 상태라 폐쇄라고 판단되었을 때,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부터 각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각 램프의 밝기 단계가 0단계(소등)부터 10단계(최대 밝기)까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각 램프의 밝기가 7단계에서 도어의 상태가 폐쇄라고 판단되면, 각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175)시키면서 각 램프가 소등되도록 하되, 7단계부터 0단계까지 각 램프의 밝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각 램프의 밝기가 10단계에서 도어의 상태가 폐쇄라고 판단되면, 각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각 램프가 소등되도록 하되, 10단계부터 0단계까지 각 램프의 밝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각 램프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각 램프에 인가될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비율씩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듀티 비는 온 신호에 대한 듀티 비일 수 있다.
차량은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176)하고,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도어가 다시 개방되기 전까지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차량은 도어 폐쇄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램프의 소등이 완료되었는지 판단(177)하고 램프의 소등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복수 개의 램프의 밝기를 계속적으로 감소시키고, 복수 개의 램프의 소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각 램프에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
여기서 복수 개의 램프의 소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각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비가 0%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를 점등시키되,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178)시킨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램프는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와 매치된 램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제1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램프를 점등시키되 제1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제5온오프 입력부로부터 통합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2, 3, 4램프를 모두 점등시키되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차량은 도어 폐쇄에 대응하여 각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도중에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온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각 램프의 밝기를 확인하고,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된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차량은 각 램프의 밝기가 5단계일 때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5단계부터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차량은 도어 폐쇄에 대응하여 각 램프의 소등이 완료된 이후에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0단계의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차량은 어느 하나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179)하고,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었는지 판단(180)하고, 어느 하나의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차량은 어느 하나의 램프의 점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를 최대 밝기 상태에서 점등을 유지하도록 한다.
차량은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를 소등시키되,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181)시킨다.
예를 들어, 차량은 제1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1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램프를 소등시키되 제1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고, 모든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5온오프 입력부로부터 통합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2, 3, 4램프를 모두 소등시키되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차량은 온 신호에 대응하여 각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도중에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오프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각 램프의 밝기를 확인하고,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된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차량은 각 램프의 밝기가 5단계일 때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5단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차량은 온 신호에 대응하여 각 램프의 점등이 완료된 이후에 어느 하나의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느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10단계의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차량은 모든 램프의 소등이 완료되기 전까지 모든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고, 모든 램프의 소등이 완료되었다고 판단(182)되면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전송을 중지한다.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소등 중 도어의 상태가 개방이면 소등 중인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소등이 완료된 나머지 램프도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제3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때 도어가 개방되면 제3램프의 밝기를 현재 밝기부터 최대 밝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차량은 각 램프의 점등 및 소등 제어 시. 각 램프에 전송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피드백하고 피드백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각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변경되는지를 판단하고, 또한 각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었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각 램프에 전송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피드백하여 각 램프와의 회로가 오픈되었는지 쇼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원격 제어기(2)에 전송된 도어 잠금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원격 제어기(2)에 전송된 도어 잠금 해제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원격 제어기(2)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 증가 중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현재 밝기에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개시된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 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2: 원격 제어기
107: 헤드 라이닝 110: 오버헤드콘솔
120: 조명부 130: 입력부
131: 개폐 입력부 132: 온오프 입력부
150: 제어부 150a: 저장부
.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도어;
    적어도 하나의 램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개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검출부; 및
    상기 개폐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개폐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오프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신호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만을 개폐 신호로 인식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하강 에지 신호와 상승 에지 신호를 가지는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인지, 로우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생성된 펄스 신호의 하강 에지 신호, 상승 에지 신호 및 상기 판단된 입력 포트의 레벨에 기초하여 에러 신호를 판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 신호라고 판단된 에지 신호를 상기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제외하고 상기 에러 신호가 제외된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최대 밝기로 증가되기 전에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폐쇄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상기 확인된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온 명령 또는 오프 명령을 수신하는 온오프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명령에 대한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오프 명령에 대한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키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상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차량.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폐쇄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때, 상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차량.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입력부는,
    오버헤드콘솔에 마련되는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는,
    오버헤드콘솔에 마련되는 차량.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피드백하고, 상기 피드백된 펄스 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고장을 진단하는 차량.
  13. 도어의 개폐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개폐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 폐쇄인지 판단하되 상기 개폐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오프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의 상태가 개방이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도어의 상태가 폐쇄라고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키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상태가 개방인지 폐쇄인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개폐 신호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만을 개폐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개폐 신호의 전압에 기초하여 하강 에지 신호와 상승 에지 신호를 가지는 구형파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포트의 레벨이 하이인지, 로우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생성된 펄스 신호의 하강 에지 신호, 상승 에지 신호 및 상기 판단된 입력 포트의 레벨에 기초하여 에러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에러 신호라고 판단된 에지 신호를 상기 구형파의 펄스 신호에서 제외하고,
    상기 에러 신호가 제외된 구형파의 펄스 신호의 오프 신호에 대한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최대 밝기로 증가되기 전에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폐쇄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상기 확인된 밝기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로부터 도어의 잠금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잠금 해제 명령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 증가 중에 도어의 잠금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온 명령에 대한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온오프 입력부로부터 오프 명령에 대한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인가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오프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상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폐쇄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때, 상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현재 밝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현재 밝기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90125970A 2019-10-11 2019-10-1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70A KR102238661B1 (ko) 2019-10-11 2019-10-1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70A KR102238661B1 (ko) 2019-10-11 2019-10-1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661B1 true KR102238661B1 (ko) 2021-04-12

Family

ID=7543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970A KR102238661B1 (ko) 2019-10-11 2019-10-11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6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786A (ja) * 1995-04-05 1996-10-2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786A (ja) * 1995-04-05 1996-10-2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21B1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8994228B2 (en)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feedback
US8736173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with diagnosis and warning feature
CN101198914B (zh) 用于选择性地照亮和/或加亮控制接口的车辆控制接口系统和方法
CN108696963B (zh) 用于控制车灯的系统和方法
US9168866B2 (en) Automatic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117602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assenger in vehicle
US10427642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dentific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90225144A1 (en) Notification apparatus
US20200101891A1 (en) Vehicle lighting system
CN108382296A (zh) 车内照明系统
US201601939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 communication of vehicle drive information using a light set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634070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9693640B (zh) 车辆、车辆安全系统和车辆安全方法
US9656603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device
KR10223866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9527430B2 (en) Vehicle headlight leveling control
KR101527518B1 (ko) 차량용 제어장치
KR101534728B1 (ko)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US20180105102A1 (en) In-vehicle production lighting system
KR20210043772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1203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30166651A1 (en) Armrest light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240061768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