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444B1 -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7444B1 KR102237444B1 KR1020200107312A KR20200107312A KR102237444B1 KR 102237444 B1 KR102237444 B1 KR 102237444B1 KR 1020200107312 A KR1020200107312 A KR 1020200107312A KR 20200107312 A KR20200107312 A KR 20200107312A KR 102237444 B1 KR102237444 B1 KR 1022374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pin
- connection member
- fixing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6—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ead, e.g. diadem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45D8/008—Orna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ed to small strands of 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헤어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에 꽂아 미려한 모양과 형상을 표출하기 위한 장식용 장신구를 조립하여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머리를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본체(10)의 내측 결합부(16)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2결합공(17)에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의 하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44)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의 상단에 결합된 제1연결구(4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3결합공(43)에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의 하단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54)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의 상단에 결합된 제2연결구(5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4결합공(53)에 종단 연결부재(60)의 제4핀(61)의 하단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64)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본체(10)의 전면 결합부(11)의 표면에 마련된 제1결합공(12)에 커버부재(20)의 제1핀(21)의 하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22)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본체(10)의 후면 결합부(14)에 고정부재(30)의 일측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 연결부재(40)에 다른 주 연결부재(40) 또는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하거나, 상기 중간 연결부재(50)에 다른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그리고 쉬운 탈착에 의한 분리가 가능하여 빠른 시간 내에 헤어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평면이나 입체적인 헤어장신구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어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에 꽂아 미려한 모양과 형상을 표출하기 위한 장식용 장신구를 조립하여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미적 아름다움을 돋보이기 위하여 헤어스타일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 예컨대, 헤어 길이, 펌, 염색 등을 비롯하여 헤어스타일의 심미감과 기능성을 위하여 각종의 장신구를 달거나 착용하기도 한다.
더욱이 각종 결혼식, 돌잔치, 파티, 기념연회 등에 참석하거나 또는 한복을 입고 올림머리를 한 경우에 헤어스타일을 연출을 위하여 다양한 장신구를 머리에 꽂기도 한다. 이러한 장신구로 각자의 개성과 헤어스타일에 따라 선택된다.
종래에 헤어스타일의 연출을 위한 헤어장신구는 이미 제작된 것을 이용하거나 또는 헤어장신구의 제작을 위한 각종의 요소들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미 제작된 헤어장신구는 자신의 헤어스타일이나 개성에 적합한 것을 고르기가 어렵고, 헤어장신구를 직접 제작하는 경우에도 미적인 심미감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머리를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 줄의 와이어(10)를 구비하여 그 와이어의 일단에서부터 와이어를 구부려 두 줄이 되게 한 후 새끼줄 꼬듯이 와이어를 꼬아가는 연사단계; 와이어를 꼬는 도중 또는 와이어를 꼬기 전 원하는 위치에 와이어에 관통되게 장식부재(20)를 설치하고, 관통된 장식부재(20)가 유동되지 않도록 와이어를 꼬아 고정하는 장식부재 설치단계; 상기 장식부재를 설치하면서 와이어(10)를 꼬는 과정을 거쳐 장식부재가 관통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골격을 만들어가는 골격형성단계; 상기 골격형성단계에서 완성된 골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동일한 형상의 골격이 반복되게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반복형성단계; 골격을 모두 완성한 후 존재하는 두 줄의 와이어(10)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고, 그 절단된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헤어장신구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은 와이어를 꼬는 동안 손가락의 통증을 느낄 수 있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원하는 모양 및 형상으로 고정하기가 쉽지 않고, 수정을 위하여 한번 꼰 와이어를 풀거나 또, 푼 와이어의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시간이 짧으며 구성요소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형상의 표출이 가능하고 분리와 재조립이 가능한 헤어장신구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머리를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본체의 내측 결합부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2결합공에 주 연결부재의 제2핀의 하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주 연결부재의 제2핀의 상단에 결합된 제1연결구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3결합공에 중간 연결부재의 제3핀의 하단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제3핀의 상단에 결합된 제2연결구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4결합공에 종단 연결부재의 제4핀의 하단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본체의 전면 결합부의 표면에 마련된 제1결합공에 커버부재의 제1핀의 하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본체의 후면 결합부에 고정부재의 일측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 연결부재에 다른 주 연결부재 또는 중간 연결부재 또는 종단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하거나, 상기 중간 연결부재에 다른 중간 연결부재 또는 종단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하는,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 연결부재의 제2핀, 중간 연결부재의 제3핀 및 종단 연결부재의 제4핀에 각각 탄성스프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 결합부는 평면 또는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꽃이나 보석 장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U클립핀, 집게핀, 비녀핀 또는 빗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의 후면 결합부에 구성된 결합부재에 삽입되어 탄성 결합되거나 후면 결합부에 용접 또는 접착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종단 연결부재의 상단의 장식구로 구슬, 원반, 다면체, 별, 꽃, 하트, 곡옥, 잎사귀, 다이아몬드, 크라운 또는 열매 모양 및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결합공 내지 제4결합공의 상단 가장자리에 분리홈이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핀은 커버부재와 탈착되고, 제2핀은 제1연결구와 탈착되며, 제3핀은 제2연결구와 탈착되고, 제4핀은 장식구와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어장신구의 제작이 간편하고, 핀의 굵기에 따라 나무 가지와 흡사한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 내에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헤어장신구의 쉬운 분리와 해체로 재사용이 가능하며, 평면이나 입체적인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본체에 주 연결부재, 중간 연결부재 및 종단 연결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주 연결부재, 중간 연결부재 및 종단 연결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종단 연결부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주 연결부재, 중간 연결부재, 종단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본체의 후면 결합부에 비녀핀, 집게핀 및 빗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를 제작한 것을 예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주 연결부재, 중간 연결부재 및 종단 연결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종단 연결부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주 연결부재, 중간 연결부재, 종단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본체의 후면 결합부에 비녀핀, 집게핀 및 빗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를 제작한 것을 예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헤어장신구(1)의 본체(10)는 대략 원통형의 장구와 같은 형상으로, 본체(10)의 전면에는 원반 형상의 전면 결합부(11)가 구성되고, 본체(10)의 후면에는 원반 형상의 후면 결합부(14)가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 결합부(11)와 후면 결합부(14) 사이를 결합하는 내측 결합부(16)로 구성된다. 내측 결합부(16)는 전면 결합부(11)와 후면 결합부(14)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전면 결합부(11)의 중심에는 제1결합공(12)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12)은 커버부재(20)의 후면에 돌출된 제1핀(21)의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제1결합돌기(22)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즉, 도 3a에서, 제1핀(21)의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22)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상태에서 제1결합돌기(22)는 제1핀(21)에서 외측으로 탄성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1결합돌기(22)를 제1결합공(1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면, 제1결합돌기(22)는 제1결합공(12)의 내벽에 탄성 결합된다. 그리고 제1결합공(12)에 결합된 제1결합돌기(22)를 외측으로 일정의 힘을 가하여 빼내면 제1결합공(12)의 내벽에서 탄성을 발휘하던 제1결합돌기(22)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0)에 결합된 제1핀(21)은 커버부재(20)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커버부재(20)는 다양한 꽃 모양이거나 보석 장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제1결합공(12)의 상단 가장자리에 분리홈(19)이 형성된 걸림턱(18)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1결합돌기(22)가 제1결합공(12)에 삽입될 때에 제1핀(21)의 내측으로 압축된 상태로 걸림턱(18)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 제1결합돌기(22)는 탄성에 의하여 제1결합공(12)의 내벽에 탄성으로 밀접하게 접촉되고, 제1핀(21)을 무단으로 뽑으려 할 때 걸림턱(18)에 의하여 제1결합돌기(22)는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핀(21)을 제1결합공(12)으로부터 뽑기 위하여 제1핀(21)의 제1결합돌기(22)의 상단이 분리홈(19)의 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킨 다음 뽑으면 제1핀(21)을 제1결합공(12)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전면 결합부(11)와 커버부재(20)는 각각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산(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전면 결합부(11)와 커버부재(20)는 접착제 또는 용접 등에 의한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커버부재(20)의 직경은 전면 결합부(11)의 직경보다 큰 것이 좋다. 또한, 본체(10)의 전면 결합부(11)는 복수의 제1결합공(12)이 형성된 반구형으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커버부재(20)를 대략 방사상으로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서, 후면 결합부(14)에는 결합부재(15)가 구비된다. 결합부재(15)는 삽입된 고정부재(30)의 일단을 탄성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결합부재(15)는 양측이 후면 결합부(14)에 고정 결합되어 후면 결합부(14)의 표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그 공간사이로 고정부재(30)의 일단, 예컨대, U클립핀(31)의 상단을 삽입하여 탄성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더욱이 도 5a에서, 고정부재(30)로서 비녀핀(32)이 적용된 경우에는 비녀핀(32)의 상단을 결합부재(15)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 고정부재(30)로서 집게핀(33)이 적용된 경우에는 집게핀(33)의 상단을 결합부재(15)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c에서, 고정부재(30)로 빗핀(34)이 적용된 경우에도 빗핀(34)의 고정걸이(35) 부분을 결합부재(15)의 공간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면 결합부(14)의 표면에 대응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30)를 나사 결합이나 접착제 또는 용접 등에 의한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주 연결부재(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2핀(41)의 하단부에 제2결합돌기(44)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제2핀(41)의 상단부에는 제1연결구(42)가 결합된다. 제1연결구(42)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3결합공(43)이 형성된다. 제2핀(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44)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 절곡된 상태에서 제2결합돌기(44)는 제2핀(41)에서 외측으로 탄성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 3a에서, 제2결합돌기(44)를 본체(10)의 내측 결합부(16)의 제2결합공(17)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면, 제2결합돌기(44)는 제2결합공(17)의 내벽에 탄성 결합된다. 그리고 제2결합공(17)에 결합된 제2결합돌기(44)를 외측으로 일정의 힘을 가하여 빼내면 제2결합공(17)의 내벽에서 탄성을 발휘하던 제2결합돌기(44)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주 연결부재(40)에 결합된 제2핀(41)은 제1연결구(42)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제2결합공(17)의 상단 가장자리에 분리홈(19)이 형성된 걸림턱(18)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2결합돌기(44)가 제2결합공(17)에 삽입될 때에 제2핀(41)의 내측으로 압축된 상태로 걸림턱(18)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 제2결합돌기(44)는 탄성에 의하여 제2결합공(17)의 내벽에 탄성으로 밀접하게 접촉되고, 제2핀(41)을 무단으로 뽑으려 할 때 걸림턱(18)에 의하여 제2결합돌기(44)는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핀(41)을 제2결합공(17)으로부터 뽑기 위하여 제2핀(41)의 제2결합돌기(44)의 상단이 분리홈(19)의 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킨 다음 뽑으면 제2핀(41)을 제2결합공(17)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더욱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본체(10)의 내측 결합부(16)에 복수로 형성된 제2결합공(17)에 다른 주 연결부재(40)를 결합하거나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 등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체(10)의 내측 결합부(16)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주 연결부재(40),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연결하여 결합함으로써, 헤어장신구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것이다.
중간 연결부재(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3핀(51)의 하단부에 제3결합돌기(54)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제3핀(51)의 상단부에는 제2연결구(52)가 결합된다. 제2연결구(52)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4결합공(53)이 형성된다. 제3핀(5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54)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 절곡된 상태에서 제3결합돌기(54)는 제3핀(51)에서 외측으로 탄성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 3a에서, 제3결합돌기(54)를 주 연결부재(40)의 제1연결구(42)의 제3결합공(4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면, 제3결합돌기(54)는 제3결합공(43)의 내벽에 탄성 결합된다. 그리고 제3결합공(43)에 결합된 제3결합돌기(54)를 외측으로 일정의 힘을 가하여 빼내면 제3결합공(43)의 내벽에서 탄성을 발휘하던 제3결합돌기(54)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중간 연결부재(50)에 결합된 제2핀(41)은 제2연결구(52)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제3결합공(43)의 상단 가장자리에 분리홈(19)이 형성된 걸림턱(18)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3결합돌기(54)가 제3결합공(43)에 삽입될 때에 제3핀(51)의 내측으로 압축된 상태로 걸림턱(18)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 제3결합돌기(54)는 탄성에 의하여 제3결합공(43)의 내벽에 탄성으로 밀접하게 접촉되고, 제2핀(41)을 무단으로 뽑으려 할 때 걸림턱(18)에 의하여 제3결합돌기(54)는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3핀(51)을 제3결합공(43)으로부터 뽑기 위하여 제3핀(51)의 제3결합돌기(54)의 상단이 분리홈(19)의 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킨 다음 뽑으면 제3핀(51)을 제3결합공(43)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더욱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주 연결부재(40)의 제3결합공(43)에 다른 주 연결부재(40)를 결합하거나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 등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주 연결부재(40)의 제3결합공(4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주 연결부재(40),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연결하여 결합함으로써, 헤어장신구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것이다.
종단 연결부재(6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4핀(61)의 하단부에 제4결합돌기(64)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제4핀(61)의 상단부에는 장식구(63)가 결합된다. 장식구(63)는 구슬, 원반, 다면체, 별, 꽃, 하트, 곡옥, 잎사귀, 다이아몬드, 크라운 또는 열매 모양 및 형상 등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성될 수 있다. 제4핀(6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64)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 절곡된 상태에서 제4결합돌기(64)는 제4핀(61)에서 외측으로 탄성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 3a에서, 제4결합돌기(64)를 중간 연결부재(50)의 제2연결구(52)의 제4결합공(5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면, 제4결합돌기(64)는 제4결합공(53)의 내벽에 탄성 결합된다. 그리고 제4결합공(53)에 결합된 제4결합돌기(64)를 외측으로 일정의 힘을 가하여 빼내면 제4결합공(53)의 내벽에서 탄성을 발휘하던 제4결합돌기(64)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종단 연결부재(60)에 결합된 제4핀(61)은 장식구(63)와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제4결합공(53)의 상단 가장자리에 분리홈(19)이 형성된 걸림턱(18)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4결합돌기(64)가 제4결합공(53)에 삽입될 때에 제4핀(61)의 내측으로 압축된 상태로 걸림턱(18)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 제4결합돌기(64)는 탄성에 의하여 제4결합공(53)의 내벽에 탄성으로 밀접하게 접촉되고, 제4핀(61)을 무단으로 뽑으려 할 때 걸림턱(18)에 의하여 제4결합돌기(64)는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4핀(61)을 제4결합공(53)으로부터 뽑기 위하여 제4핀(61)의 제4결합돌기(64)의 상단이 분리홈(19)의 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킨 다음 뽑으면 제4핀(61)을 제4결합공(53)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더욱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중간 연결부재(50)의 제4결합공(53)에 다른 중간 연결부재(50)를 결합하거나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간 연결부재(50)의 제4결합공(5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연결하여 결합함으로써, 헤어장신구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의 직경은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의 직경보다 크고,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의 직경은 종단 연결부재(60)의 제4핀(6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실제 나무 가지의 굵기와 같이 주 줄기에서 분기된 가지와 분기된 가지에서 다시 분기되는 가지의 굵기로 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로부터 제2핀(41) 내지 제4핀(61)의 굵기에 따라 각각 삽입되는 주 연결부재(40)의 제1연결구(42)의 제2결합공(17), 중간 연결부재(50)의 제2연결구(52)의 제3결합공(43)의 직경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연결구(42)의 제3결합공(43)과 제2연결구(52)의 제4결합공(53)은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에 탄성스프링(45)이 형성되고,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에 탄성스프링(55)이 형성되며, 종단 연결부재(60)의 제4핀(61)에 탄성스프링(65)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45, 55, 65)은 착용자가 걸어 다니는 동안 외부의 가벼운 충격이나 바람 등에도 주 연결부재(40),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가 탄성으로 진동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헤어장신구의 전체 또는 부분이 흔들리는 효과를 발휘하여 심미적인 느낌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헤어장신구(1)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준비된 본체(10)의 전면 결합부(11)에는 커버부재(20)를 결합하고, 후면 결합부(14)에는 고정부재(30)를 각각 결합한다. 즉, 전면 결합부(11)의 제1결합공(12)에 커버부재(2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제1핀(21)의 제1결합돌기(22)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한다. 이때, 전면 결합부(11)의 제1결합공(12)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0)는 꽃 모양이거나 보석 모양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면 결합부(11)가 반구 형상으로 복수의 제1결합공(12)이 형성된 경우에는 복수의 커버부재(20)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후면 결합부(14)에 구성된 결합부재(15)에 고정부재(30), 예컨대, 제작자의 선택에 의하여 U클립핀(31)이나 집게핀(33) 또는 비녀핀(32) 또는 빗핀(34) 등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고정부재(30)는 후면 결합부(14)에 용접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체(10)의 내측 결합부(16)에 형성된 제2결합공(17)에 일정 길이를 갖는 제2핀(41)이 구비된 주 연결부재(40)를 결합한다. 이때,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의 하단부에 측면으로 일정 각도로 돌출 형성된 제2결합돌기(44)를 제2결합공(17)에 삽입한다. 제2결합돌기(44)가 제2결합공(17)에 삽입되면 제2결합돌기(44)의 돌출된 부분이 제2결합공(17)의 내벽에 탄성 결합된다. 따라서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내측 결합부(16)의 제2결합공(17)에 복수의 주 연결부재(40)를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본체(10)에 주 연결부재(40)가 결합되면, 주 연결부재(40)의 제1연결구(42)에 다른 주 연결부재(40)를 결합하거나 중간 연결부재(50)를 하나 이상으로 결합한다. 주 연결부재(40)의 제1연결구(42)에 중간 연결부재(50)의 결합은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3결합돌기(54)를 주 연결부재(40)의 제1연결구(42)에 형성된 제3결합공(43)에 삽입하여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주 연결부재(40)의 제1연결구(42)에는 방사상으로 제3결합공(43)이 형성되어 있어 보다 입체적인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주 연결부재(40)에 중간 연결부재(50)가 결합되면, 중간 연결부재(50)의 제2연결구(52)에 다른 중간 연결부재(50)를 결합하거나 종단 연결부재(60)를 하나 이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중간 연결부재(50)의 제2연결구(52)에 종단 연결부재(60)의 결합은 종단 연결부재(60)의 제4핀(61)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4결합돌기(64)를 중간 연결부재(50)의 제2연결구(52)에 형성된 제4결합공(53)에 삽입하여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중간 연결부재(50)의 제2연결구(52)에는 방사상으로 제4결합공(53)이 형성되어 있어 보다 입체적인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종단 연결부재(60)의 상단부에 구성된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의 장식구(63)를 취사선택하여 중간 연결부재(50)에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종단 연결부재(60)의 제4핀(61)의 상단부에 구성된 장식구를 탈착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는 제4핀(61)의 상단에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의 장식구(63)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작자에 따라 먼저 본체(10)에 주 연결부재(40), 중간 연결부재(50), 종단 연결부재(60)를 연결하면서 결합한 후에 다음으로 본체(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커버부재(20)와 고정부재(30)를 선택적으로 결합한 후에 할 수도 있고, 먼저 본체(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커버부재(20)와 고정부재(30)를 선택적으로 결합한 다음, 본체(10)에 주 연결부재(40), 중간 연결부재(50), 종단 연결부재(60)를 연결하면서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7에서, 본체(10)의 내측 결합부(16)에 방사상으로 하나 이상의 주 연결부재(40)를 결합하거나 또는 중간 연결부재(50)나 종단 연결부재(60)를 직접 연결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일정 길이로 주 연결부재(40)를 일정의 방향으로 연속 결합한 후에 복수의 중간 연결부재(50)를 연속 결합할 수 있으며, 주 연결부재(40)나 중간 연결부재(50)에 종단 연결부재(6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평면상 또는 입체적인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의 장식구(63)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헤어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헤어장신구(1)는 착용자의 머리에 꽂아 사용한 후에 다시 쉽게 분리한 후에 다른 모양 및 형상의 헤어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헤어장신구를 제작하는 방법에 따르면,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그리고 쉬운 탈착에 의한 분리가 가능하여 빠른 시간 내에 헤어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평면이나 입체적인 헤어장신구의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헤어장신구
10: 본체 11: 전면 결합부 12: 제1결합공 13: 나사산 14: 후면 결합부 15: 결합부재 16: 내측 결합부 17: 제2결합공 18: 걸림턱 19: 분리홈
20: 커버부재 21: 제1핀 22: 제1결합돌기
30: 고정부재 31: U클립핀 32: 비녀핀 33: 집게핀 34: 빗핀 35: 고정걸이
40: 주 연결부재 41: 제2핀 42: 제1연결구 43: 제3결합공 44: 제2결합돌기 45: 탄성스프링
50: 중간 연결부재 51: 제3핀 52: 제2연결구 53: 제4결합공 54: 제3결합돌기 55: 탄성스프링
60: 종단 연결부재 61: 제4핀 63: 장식구 64: 제4결합돌기 65: 탄성스프링
10: 본체 11: 전면 결합부 12: 제1결합공 13: 나사산 14: 후면 결합부 15: 결합부재 16: 내측 결합부 17: 제2결합공 18: 걸림턱 19: 분리홈
20: 커버부재 21: 제1핀 22: 제1결합돌기
30: 고정부재 31: U클립핀 32: 비녀핀 33: 집게핀 34: 빗핀 35: 고정걸이
40: 주 연결부재 41: 제2핀 42: 제1연결구 43: 제3결합공 44: 제2결합돌기 45: 탄성스프링
50: 중간 연결부재 51: 제3핀 52: 제2연결구 53: 제4결합공 54: 제3결합돌기 55: 탄성스프링
60: 종단 연결부재 61: 제4핀 63: 장식구 64: 제4결합돌기 65: 탄성스프링
Claims (9)
- 머리를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본체(10)의 내측 결합부(16)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2결합공(17)에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의 하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44)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의 상단에 결합된 제1연결구(4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3결합공(43)에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의 하단에 형성된 제3결합돌기(54)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의 상단에 결합된 제2연결구(5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4결합공(53)에 종단 연결부재(60)의 제4핀(61)의 하단에 형성된 제4결합돌기(64)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본체(10)의 전면 결합부(11)의 표면에 마련된 제1결합공(12)에 커버부재(20)의 제1핀(21)의 하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22)를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본체(10)의 후면 결합부(14)에 고정부재(30)의 일측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 연결부재(40)에 다른 주 연결부재(40) 또는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하거나,
상기 중간 연결부재(50)에 다른 중간 연결부재(50) 또는 종단 연결부재(6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하는,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연결부재(40)의 제2핀(41), 중간 연결부재(50)의 제3핀(51) 및 종단 연결부재(60)의 제4핀(61)에 각각 탄성스프링(45, 55, 65)이 형성된,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 결합부(11)는 평면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는 꽃이나 보석 장식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U클립핀, 집게핀, 비녀핀 또는 빗핀을 포함하는,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본체(10)의 후면 결합부(14)에 구성된 결합부재(15)에 삽입되어 탄성 결합되거나 후면 결합부(14)에 용접 또는 접착제로 고정 결합되는,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연결부재(60)의 상단의 장식구(63)로 구슬, 원반, 다면체, 별, 꽃, 하트, 곡옥, 잎사귀, 다이아몬드, 크라운 또는 열매 모양 및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12) 내지 제4결합공(53)의 상단 가장자리에 분리홈(19)이 형성된 걸림턱(18)이 형성된,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21)은 커버부재(20)와 탈착되고, 제2핀(41)은 제1연결구(42)와 탈착되며, 제3핀(51)은 제2연결구(52)와 탈착되고, 제4핀(61)은 장식구(63)와 탈착되는, 조립식 헤어장신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312A KR102237444B1 (ko) | 2020-08-25 | 2020-08-25 |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312A KR102237444B1 (ko) | 2020-08-25 | 2020-08-25 |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7444B1 true KR102237444B1 (ko) | 2021-04-07 |
Family
ID=7546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7312A KR102237444B1 (ko) | 2020-08-25 | 2020-08-25 |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744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8976U (ko) * | 1989-10-11 | 1991-06-10 | ||
KR200446056Y1 (ko) * | 2009-06-02 | 2009-09-24 | 나도영 | 바지 밑단 끌림 방지용 액세서리 |
KR20100002967U (ko) * | 2008-09-05 | 2010-03-15 | 조정형 | 자성체가 구비된 장식구 분리형 액세서리 |
KR101191508B1 (ko) | 2012-08-06 | 2012-10-15 | 임순녀 | 헤어장신구 제조방법 |
-
2020
- 2020-08-25 KR KR1020200107312A patent/KR1022374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8976U (ko) * | 1989-10-11 | 1991-06-10 | ||
KR20100002967U (ko) * | 2008-09-05 | 2010-03-15 | 조정형 | 자성체가 구비된 장식구 분리형 액세서리 |
KR200446056Y1 (ko) * | 2009-06-02 | 2009-09-24 | 나도영 | 바지 밑단 끌림 방지용 액세서리 |
KR101191508B1 (ko) | 2012-08-06 | 2012-10-15 | 임순녀 | 헤어장신구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058976 U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76368B1 (en) | Apparatus for styling hair and the method of use | |
US10231501B2 (en) | Hair extensions | |
JP6602963B2 (ja) | 金属プレート切り抜き品に押圧接触されたライニングを備える装飾用ファッション宝飾品 | |
US20060248922A1 (en) | Jewelry system | |
US5154196A (en) | Hair accessory | |
JP2016510841A (ja) | カスケードアイラッシュ | |
KR102237444B1 (ko) | 조립식 헤어장신구 제작방법 | |
KR101364522B1 (ko) | 피어싱 또는 귀걸이로 전환 사용이 용이한 액세서리 | |
US7331197B2 (en) | Decorative earring sleeve | |
KR102023327B1 (ko) | 마찰식 압입구조의 초경량 라이트 장식볼을 갖는 장식줄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장식줄 | |
KR101440097B1 (ko) | 장신구 탈착구조 | |
JP5901852B1 (ja) | プリザーブドフラワアレンジ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4180252A (ja) | イヤホンコード用装飾器具およびイヤホンコード | |
US20170042304A1 (en) | Bendable Wire Frame | |
KR200270326Y1 (ko) | 머리묶음용 머리끈 | |
KR101191508B1 (ko) | 헤어장신구 제조방법 | |
JP3192376U (ja) | 髪留め具 | |
JP3147797U (ja) | 装身具の装飾体 | |
KR102027557B1 (ko) | 매듭이 형성된 열수축성 튜브 고정형 붙임 머리 | |
KR200224193Y1 (ko) | 팔찌 장신용 꽃 | |
KR200371061Y1 (ko) | 머리끈 | |
KR200444775Y1 (ko) | 코일 머리핀 | |
KR20230151944A (ko) | 다중 장신구 결합 반지 | |
KR100864081B1 (ko) | 금속지지선을 이용하여 고목기에 크리스탈을 장식하는 방법 | |
JP3082892U (ja) | 前髪飾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