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697B1 -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697B1
KR102236697B1 KR1020200171319A KR20200171319A KR102236697B1 KR 102236697 B1 KR102236697 B1 KR 102236697B1 KR 1020200171319 A KR1020200171319 A KR 1020200171319A KR 20200171319 A KR20200171319 A KR 20200171319A KR 102236697 B1 KR102236697 B1 KR 102236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alignment
seated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철
한덕선
이선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시스
Priority to KR102020017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일측에 이송장치를 설치하고, 이 이송장치 양측에 이차전지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장치를 설치하며, 이송장치 상부에 이차전지를 집어 이차전지 방향을 변경하되, 상, 하 및 전, 후로 이동되어 이송장치 상에 안착시키는 방향조정부를 형성함으로써, 방향조정부가 이차전지를 집어 이차전지의 방향을 변경하되, 그 상태에서 상, 하 및 전, 후로 이동되어 이송장치 상에 방향이 변경된 이차전지를 안착시키고, 이때, 정렬장치가 이차전지를 이송장치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복수개의 이차전지를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되게 정렬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조정부로 이차전지를 집어, 이송장치 상에 복수개의 이차전지를 손쉽게 안착 공급할 수 있고, 이때, 방향조정부에 의해 이차전지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한 상태에서 이송장치 상에 안착하여, 이차전지의 안착면 또는 안착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외부장치(예컨대, 검사장비)로 공급되기 이전에 이송장치 상에 눕혀진 이차전지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뒤 바뀌도록 이차전지 방향이 자동으로 변경되거나 혹은 이차전지가 직립 또는 눕혀진 상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송장치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가 정렬장치에 의해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자동 정렬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Secondary battery alignment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조정부로 이차전지 방향을 변경하여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되, 이 이송장치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를 정렬장치를 통해 일렬로 정렬 배치하여, 이송장치로 정렬된 이차전지를 이송시키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PC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구조가 경량화 또는 고기능화 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제품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2차 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차 전지는 충방전에 의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전지, 니켈 아연전지, 리튬 2차 전지 등이 있다.
여기서, 2차전지는 제조과정에서 그 외관 상태를 검사해야 하고, 이 검사장비로 단위셀로 구성된 복수개의 2차전지를 동시에 공급하여, 2차전지 외관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특히, 검사장치로 2차전지를 공급하기 이전에, 2차전지를 일렬로 정렬한 상태에서, 검사장치로 공급하여, 검사장치 내에서 신속한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단위셀 정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단위셀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단위셀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의해 파지된 단위셀의 비틀림 조정하는 제1정렬수단과, 파지부에 의해 파지된 단위셀의 Y축 위치를 조정하는 제2정렬수단 및 파지부에 의해 파지된 단위셀의 X축 위치를 조정하는 제3정렬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복수개의 단위셀은 컨베이어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단위셀이 위치정보 생성부 하단에 위치되면, 이 위치정보생성부가 컨베이어 선단에 도달한 단위셀의 현재 위치상태를 측정하여 정렬부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정렬부에서 단위셀의 X축 및 Y축 위치를 조절하여, 단위셀를 정렬하게 된다.
이후, 단위셀의 정렬이 완료되면, 폴딩블록 방향으로 단위셀을 이동시켜, 분리막 상에 정렬된 상태의 단위셀이 안착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단위셀이 컨베이어에 의해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그대로 이동되어 단위셀의 방향 변경이 어렵고, 단위셀 방향 변경의 어려움으로, 단위셀의 상면 및 하면을 검사장치로 검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리버스가 단위셀을 뒤집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간당 장비 생산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장비 애러가 발생 했을때 리버스가 단위셀을 다시 짚고 원위치 회전하는 시간과 최종 조치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1정렬수단과 제2정렬수단이 배치됨으로 유닛 구성이 많고 복잡하며, 단위셀을 길이방향으로 정렬을 할때 정렬 상태가 불규칙하게 되서 정렬 상태가 불규칙한 단위셀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게 되며단위셀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여, 단위셀 외관 검사상태가 불균일하고, 이에따라, 정상품과 불량품 판별에 어려움이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8-0010005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 일측에 이송장치를 설치하고, 이 이송장치 양측에 이차전지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장치를 설치하며, 이송장치 상부에 이차전지를 집어 이차전지 방향을 변경하되, 상, 하 및 전, 후로 이동되어 이송장치 상에 안착시키는 방향조정부를 형성함으로써, 방향조정부가 이차전지를 집어 이차전지의 방향을 변경하되, 그 상태에서 상, 하 및 전, 후로 이동되어 이송장치 상에 방향이 변경된 이차전지를 안착시키고, 이때, 정렬장치가 이차전지를 이송장치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복수개의 이차전지를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되게 정렬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일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이차전지를 안착시켜, 상기 이차전지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장치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이차전지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 상부에 설치되어 상, 하 및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복수개의 상기 이차전지를 집어 고정하되, 상기 이차전지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이송장치 상에 안착시키는 방향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그 상면에 상기 이송장치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이차전지가 일렬로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이차전지 공급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판재 형상으로, 그 상면에 상기 이차전지의 양 측면을 고정하여, 상기 이차전지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클램프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는, 상기 이송장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를 구비하고, 이 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장치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이송장치 상에 안착된 한 쌍의 상기 이차전지를 밀어내는 가압바를 형성한 가압부; 상기 가압부와 서로 대칭되는 가이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장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장치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 이동되는 지지바를 형성한 지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지탱부는, 상기 이차전지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가압바 및 상기 지지바 일면에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가압바 및 상기 지지바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부는, 상기 작업대 상면에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전, 후 이동하는 수평이동프레임;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 하로 승강 이동하는 수직이동프레임; 상기 수직이동프레임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차전지를 집어 고정하되, 이 이차전지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의 방향을 변경하는 그립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는, 상기 수직이동프레임 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실린더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차전지를 압입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차전지를 물어 고정하되,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이차전지의 방향을 변경하는 지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이차전지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지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는, 상기 수직이동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실린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실린더를 수직축을 기준으로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조정부로 이차전지를 집어, 이송장치 상에 복수개의 이차전지를 손쉽게 안착 공급할 수 있고, 이때, 방향조정부에 의해 이차전지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한 상태에서 이송장치 상에 안착하여, 이차전지의 안착면 또는 안착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외부장치(예컨대, 검사장비)로 공급되기 이전에, 이송장치 상에 눕혀진 이차전지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뒤 바뀌도록 이차전지 방향이 자동으로 변경되거나 혹은 이차전지가 직립 또는 눕혀진 상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송장치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가 정렬장치에 의해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자동 정렬되고, 이 자동 정렬된 복수개의 이차전지를 외부장치로 공급하여, 외부장치에서 이차전지 방향을 별도로 변경할 수 필요가 없어, 작업 능률 향상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의 정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의 방향조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의 방향조정부로 이차전지를 집어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물림된 이차전지를 직립상태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물림된 이차전지의 방향을 직교되게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작업대(100)는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100)는 상기 이송장치(200), 정렬장치(300) 및 방향조정부(400)가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 상에 위치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작업대(100)는 그 상면에 상기 이송장치(20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이차전지(B)가 일렬로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이차전지 공급부(101)를 더 형성한다.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는 직립된 상태 또는 눕혀진 상태의 이차전지(B)를 일렬로 정렬되게 공급받는다.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는 외부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이차전지(B)를 자동으로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장치(200)는 상기 작업대(100) 일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이차전지(B)를 안착시켜, 상기 이차전지(B)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장치(200)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이차전지(B)를 안착시켜 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장치(200)는 상기 방향조정부(400)로 부터 복수개의 이차전지(B)를 일렬 방향으로 공급받아, 그 상면에 안착된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정렬장치(300)에 의해 정렬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이송장치(200)는 판재 형상으로, 그 상면에 상기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고정하여, 상기 이차전지(B)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클램프(201)를 더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201)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그 갯수는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되는 이차전지(B)의 갯수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201)는 상기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밀착 고정하여, 상기 이송장치(200)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차전지(B)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클램프(201)는 상기 정렬장치(300)에 의해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의 정렬이 완료되면 작동되어 상기 이차전지(B)를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고정한다.
정렬장치(300)는 상기 이송장치(200)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이차전지(B)의 위치를 정렬한다.
상기 정렬장치(300)는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가 상기 이송장치(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 배치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정렬장치(300)는 상기 이송장치(200)의 중앙부에 복수개의 상기 이차전지(B)가 일렬로 배칠되도록 상기 이차전지(B)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장치(300)는 상기 이송장치(200)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311)를 구비하고, 이 실린더(311)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한 쌍의 상기 이차전지(B)를 밀어내는 가압바(312)를 형성한 가압부(310)와, 상기 가압부(310)와 서로 대칭되는 가이드장치(321)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장치(3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 이동되는 지지바(322)를 형성한 지탱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바(312)는 상기 실린더(311)에 의해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되고, 그 양단으로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한 쌍의 상기 이차전지(B)를 밀어낸다.
상기 가압바(312)는 그 중앙부가 상기 실린더(31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압부(310)는 상기 이차전지(B)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가압바(312) 일면에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가압바(312)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300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지탱부(320)의 가이드장치(321)는 볼 스크류방식에 의해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바(322)로 상기 이차전지(B)를 떠받쳐 지지한다.
상기 지지바(322)는 상기 가이드장치(321)를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B)를 떠받쳐 지지한다.
상기 지지바(322)는 상기 가이드장치(321)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장치(321) 양측으로 연장된 연장판부(미부호)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장치(321)에 의해 정해진 거리 이동된다.
상기 완충부재(300a)는 상기 가압바(312)의 양 단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바(312) 양단이 상기 이차전지(B)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부재(300a)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조정부(400)는 상기 이송장치(200) 상부에 설치되어 상, 하 및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복수개의 상기 이차전지(B)를 집어 고정하되, 상기 이차전지(B)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시킨다.
상기 방향조정부(400)는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되는 상기 이차전지(B)의 안착면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정부(400)는 상기 이차전지(B)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 이차전지(B)를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눕혀지도록 안착하거나 혹은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직립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방향조정부(400)는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로 공급된 복수개의 상기 이차전지(B)를 동시에 집어 고정하되, 그 상태에서 상기 이송장치(200)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복수개의 상기 이차전지(B)를 동시에 안착한다.
상기 방향조정부(40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410)와, 상기 가이드부(410) 사이에 설치되어 전, 후 이동하는 수평이동프레임(420),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 하로 승강 이동하는 수직이동프레임(430) 및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차전지(B)를 집어 고정하되, 이 이차전지(B)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B)의 방향을 변경하는 그립퍼(44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10)는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이 전, 후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은 상기 가이드부(410)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을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 상부 또는 상기 이송장치(200)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은 상, 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그립퍼(440)를 상기 이차전지(B) 상단에 위치시킨다.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이차전지(B)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기 이차전지(B)가 눕혀지거나 혹은 직립하도록 그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 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실린더(441)와, 상기 베이스실린더(441)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차전지(B)를 압입하는 가압판(442) 및 상기 가압판(442)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차전지(B)를 물어 고정하되,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이차전지(B)의 방향을 변경하는 지그(443)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실린더(441)는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에 의해 상, 하로 승강 이동되되, 그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442)을 서로 마주보거나 혹은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상기 지그(443)는 상기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물어 고정한 상태에서,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이차전지(B)를 눕혀지도록 하거나 혹은 직립하도록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 지그(443)는 상기 이차전지(B)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지그(44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그(443)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B) 측면을 감싸 압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과 상기 베이스실린더(44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실린더(441)를 수직축을 기준으로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445)를 더 형성한다.
상기 회전실린더(445)는 상기 베이스실린더(441)를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지그(443)에 물림 고정된 상기 이차전지(B)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직교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이차전지(B)의 방향을 변경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가 이차전지(B)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는 제1검사장치(10) 이전단계와, 제1검사장치(10) 이후단계 및 제2검사장치(20) 이후단계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검사장치(10) 및 제2검사장치(20)는 카메라로 상기 이차전지(B)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작업대(100) 상에 설치된 이차전지 공급부(101)로 이차전지(B)가 공급되도록 허용하여, 이 이차전지 공급부(101)에 이차전지(B)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로 공급되는 상기 이차전지(B)는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에서 직립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 방향을 향해 상기 방향조정부(400)의 수평이동프레임(420)을 이동시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에 설치된 그립퍼(440)가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에 일렬 배치된 상기 이차전지(B)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은 상기 가이드부(410)를 따라 수평이동되어,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을 상기 이차전지(B)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을 승강 이동시켜, 상기 그립퍼(440)가 상기 이차전지(B)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440)의 베이스실린더(441)를 작동시켜, 상기 가압판(442)이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가압판(442)에 설치된 지그(443)가 상기 이차전지(B) 양 측면에 위치되고, 이때, 상기 베이스실린더(441)를 작동시켜 상기 가압판(44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그(443)에 의해 상기 이차전지(B)가 물림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443)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물어 고정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기 그립퍼(440)가 상기 이차전지(B)를 물어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 및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에 의해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지그(443)가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이차전지(B)를 눕혀지도록 하고, 이에따라, 상기 이차전지(B)의 상면이 상방을 향하되, 저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그 방향이 변경된다.
이어서,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 및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에 의해 상기 이송장치(200) 상방에 위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와 반대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베이스실린더(441)를 작동시켜 상기 가압판(442) 사이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그(443)에 물림된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그립퍼(440)에서 이탈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 및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에 의해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B) 방향으로 이동되고, 한편,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는 상기 정렬장치(300)에 의해 그 위치가 정렬된다.
즉, 상기 정렬장치(300)의 지탱부(320)에 형성된 지지바(322)가 상기 가이드장치(321)에 의해 상기 이차전지(B)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 이동되고, 이후, 상기 가압부(310)의 실린더(311)가 상기 가압바(312)를 상기 이차전지(B)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가압바(312)로 상기 이차전지(B)를 상기 지지바(322)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가압바(312)에 밀려 이동되다가 상기 지지바(322)에 밀착되어, 그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따라, 상기 이송장치(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차전지(B)가 일렬로 정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바(312) 및 상기 지지바(322)는 독립적으로 상기 이차전지(B)를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B)의 위치를 정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서 일렬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201)가 작동되어 상기 이차전지(B) 양측을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310)의 실린더(311)가 상기 가압바(312)를 후퇴 이동시키되, 이어서, 상기 지탱부(320)의 가이드장치(321)가 상기 지지바(322)를 후퇴이동시켜,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상기 이차전지(B)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장치(321)는 상기 지지바(322)를 볼스크류 방식으로 전, 후진 이동시켜, 상기 이차전지(B)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서 고정된 상기 이차전지(B)는 상기 이송장치(200)에 의해 제1검사장치(10)로 공급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1검사장치(10)에서 상기 이차전지(B)의 상면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검사장치(10)에서 배출된 상기 이차전지(B)는 다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의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로 공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와 동일한 작동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에 공급되는 이차전지(B)는 상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로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기 방향조정부(400)의 그립퍼(440)로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에 구비된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물어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440)를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그(443)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B)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뒤바뀌도록 방향을 변경한다.
이어서, 상면과 하면이 서로 뒤바뀐 상기 이차전지(B)를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에서와 같이 정렬장치(300)로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를 정렬한 후, 상기 클램프(201)로 고정하여 상기 이송장치(200)를 통해 제2검사장치(20)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제2검사장치(20)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이송장치(20) 상에 안착된 상기 이차전지(B)의 저면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2검사장치(20)에서 배출된 상기 이차전지(B)는 또 다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의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에 공급되는 이차전지(B)는 저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로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기 방향조정부(400)의 그립퍼(440)로 상기 이차전지 공급부(101)에 구비된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물어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440)를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그(443)를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B)가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방향을 변경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실린더(441)와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 사이에 설치된 회전실린더(445)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베이스실린더(441)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90도 각도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그립퍼(440)에 물림 고정된 상기 이차전지(B)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상기 이차전지(B)가 직립한 상태로 안착되면, 상기 정렬장치(300)의 작동을 제한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이송장치(200)가 직립된 상태의 상기 이차전지(B)를 일 방향으로 그대로 이동시켜, 외부장치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향조정부(400)로 이차전지(B)의 방향을 변경하여, 이 방향이 변경된 이차전지(B)를 이송장치(200)에 안착시켜, 이송장치(200) 상에서 정렬장치(300)로 이차전지(B)를 일렬로 정렬하는 구조는, 방향조정부(400)로 이차전지(B)를 집어, 이송장치(200) 상에 복수개의 이차전지(B)를 손쉽게 안착 공급할 수 있고, 이때, 방향조정부(400)에 의해 이차전지(B)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한 상태에서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하여, 이차전지(B)의 안착면 또는 안착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외부장치(예컨대, 검사장비)로 공급되기 이전에, 이송장치(200) 상에 눕혀진 이차전지(B)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뒤 바뀌도록 이차전지(B) 방향이 자동으로 변경되거나 혹은 이차전지(B)가 직립 또는 눕혀진 상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가 정렬장치(300)에 의해 이송장치(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자동 정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제1검사장치 20 : 제2검사장치
100 : 작업대 101 : 이차전지 공급부
200 : 이송장치 201 : 클램프
300 : 정렬장치 300a : 완충부재
310 : 가압부 311 : 실린더
312 : 가압바 320 : 지탱부
321 : 가이드장치 322 : 지지바
400 : 방향조정부 410 : 가이드부
420 : 수평이동프레임 430 : 수직이동프레임
440 : 그립퍼 441 : 베이스실린더
442 : 가압판 443 : 지그
445 : 회전실린더 B : 이차전지

Claims (9)

  1.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일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이차전지(B)를 안착시켜, 상기 이차전지(B)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200);
    상기 이송장치(200)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이차전지(B)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장치(300); 및
    상기 이송장치(200) 상부에 설치되어 상, 하 및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복수개의 상기 이차전지(B)를 집어 고정하되, 상기 이차전지(B)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시키는 방향조정부(400);
    로 구성된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부(40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410)와, 상기 가이드부(410) 사이에 설치되어 전, 후 이동하는 수평이동프레임(420), 상기 수평이동프레임(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 하로 승강 이동하는 수직이동프레임(430) 및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차전지(B)를 집어 고정하되, 이 이차전지(B)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B)의 방향을 변경하는 그립퍼(440)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 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실린더(441)와;
    상기 베이스실린더(441)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차전지(B)를 압입하는 가압판(442);
    상기 가압판(442)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차전지(B)를 물어 고정하되,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이차전지(B)의 방향을 변경하는 지그(44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는,
    그 상면에 상기 이송장치(20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개의 이차전지(B)가 일렬로 공급되도록 허용하는 이차전지 공급부(101)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200)는,
    판재 형상으로, 그 상면에 상기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고정하여, 상기 이차전지(B)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클램프(201)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300)는,
    상기 이송장치(200)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311)를 구비하고, 이 실린더(311)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이송장치(200) 상에 안착된 한 쌍의 상기 이차전지(B)를 밀어내는 가압바(312)를 형성한 가압부(310);
    상기 가압부(310)와 서로 대칭되는 가이드장치(321)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장치(3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장치(200)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 이동되는 지지바(322)를 형성한 지탱부(3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310) 및 상기 지탱부(320)는,
    상기 이차전지(B)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가압바(312) 및 상기 지지바(322) 일면에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가압바(312) 및 상기 지지바(322)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300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443)는,
    상기 이차전지(B)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지그(44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440)는,
    상기 수직이동프레임(430)과 상기 베이스실린더(44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실린더(441)를 수직축을 기준으로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445)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KR1020200171319A 2020-12-09 2020-12-09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KR102236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19A KR102236697B1 (ko) 2020-12-09 2020-12-09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19A KR102236697B1 (ko) 2020-12-09 2020-12-09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697B1 true KR102236697B1 (ko) 2021-04-06

Family

ID=7547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319A KR102236697B1 (ko) 2020-12-09 2020-12-09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6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281B1 (ko) * 2021-10-06 2022-07-20 (주) 지피아이 파우치형 2차전지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 정렬장치
KR20220167526A (ko) * 2021-06-14 2022-12-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셀 이재장치
CN117059869A (zh) * 2023-10-11 2023-11-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加压装置、电池生产线及加压方法
WO2024019576A1 (ko) * 2022-07-21 2024-01-25 (주)에이프로 배터리 셀 그립퍼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이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005A (ko) 2006-07-25 200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지의 단위셀 정렬장치
KR20160107570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 정렬장치
KR2019010585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005A (ko) 2006-07-25 200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지의 단위셀 정렬장치
KR20160107570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 정렬장치
KR2019010585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526A (ko) * 2021-06-14 2022-12-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셀 이재장치
KR102536553B1 (ko) * 2021-06-14 2023-05-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셀 이재장치
KR102423281B1 (ko) * 2021-10-06 2022-07-20 (주) 지피아이 파우치형 2차전지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 정렬장치
WO2024019576A1 (ko) * 2022-07-21 2024-01-25 (주)에이프로 배터리 셀 그립퍼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이송장치
CN117059869A (zh) * 2023-10-11 2023-11-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加压装置、电池生产线及加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697B1 (ko) 이차전지 정렬 공급장치
CN108326545B (zh) 一种遥控器产品组装与测试线体及组装与测试方法
CN108155126B (zh) 晶圆转移装置及晶圆清洗装置
CN108899589A (zh) 一种锂电池组自动组装机
WO2024087709A1 (zh) 一种双半片电池片效率检测装置
CN111682233A (zh) 电池模组pack生产线及电池模组
CN111786027A (zh) 一种锂电池整形设备
CN209465944U (zh) 一种锁头打卡子机
JP4450081B2 (ja) 部品試験装置
CN109904510A (zh) 一种圆柱形锂电池的端部极片自动压平组件及方法
CN115464382A (zh) 全自动锁螺丝机及其工作方法
CN212008360U (zh) 一种基于视觉新能源锂电芯外观检测机
CN219025042U (zh) 检测设备以及手机中框生产线
CN210848848U (zh) 一种物料传输系统及激光加工设备
CN218517221U (zh) 工件外观检测设备
CN216872072U (zh) 一种锂电池自动堆叠机构
CN219767175U (zh) 一种电池焊接机
CN218797413U (zh) 检测系统以及手机中框生产线
CN117116828B (zh) 一种电池片镀膜工艺配套用首端自动供料上料系统及方法
CN218802343U (zh) 一种机械抓手结构
CN219770932U (zh) 一种集流盘上料机构
CN220040215U (zh) 一种检测电池焊接质量的检测装置
CN220073654U (zh) 一种集流盘上料装置
CN218086176U (zh) 分类编带机
CN216213343U (zh) 高速巨量晶粒转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