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609B1 -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 Google Patents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609B1
KR102236609B1 KR1020190036799A KR20190036799A KR102236609B1 KR 102236609 B1 KR102236609 B1 KR 102236609B1 KR 1020190036799 A KR1020190036799 A KR 1020190036799A KR 20190036799 A KR20190036799 A KR 20190036799A KR 102236609 B1 KR102236609 B1 KR 10223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over
face cover
hoo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672A (ko
Inventor
권희성
Original Assignee
권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성 filed Critical 권희성
Priority to KR102019003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60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41D13/0005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의복이 각종 유해환경 대응 및 의복의 다각적 활용과 복합기능이 미비하므로, 상기의 대안으로 얼굴가리개에 가로턱선트임(69)과 가슴트임(88), T트임(68) 구비 및 후드의 트임과 연동이 되는 상기의 트임(69,88,68)을 통하여 얼굴가리개(300)와 후드(400)의 상하부는 교차 내지 부분 탈부착 연동 및 개별 활용기능 생성, 통합, 개방, 착탈의 편리, 기능성복, 평상복으로 기능 전환하여 착탈의 착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의 다양한 기능 생성과 전환이 되는 얼굴가리개(300)와 후드(400)를 통상의 각종 옷(500)과 탈부착되어 완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는 옷과 가리개 활용의 범위룰 확대로 유해환경에 대응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570)과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Face cover clothes with face cover for switching functions through a slit}
본 발명은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이고, 기존의 얼굴가리개 및 의류들의 기능과 활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여 평상복, 가리개, 마스크, 기타 소소한 기능을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에 복합적으로 내재시켜 제작, 착용하므로 변화무쌍한 환경변화에 대처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개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얼굴가리개에 가로방향의 가로턱선트임과 세로방향의 가슴트임을 구비하여 T트임으로 연동하여, 얼굴가리개의 상부와 하부는 얼굴덮개와 목덮개의 가리개로 구성되고, 가슴트임으로 착탈의 여밈이 되며, 다양한 전환기능이 생성과 후드에도 트임기능이 상호 연동되도록 가로턱선트임 환경을 갖추어 얼굴가리개와 후드의 전환기능 부여와 활용의 폭을 넓히는 기술이다. 상기의 다양한 기능 생성과 기능전환 기술이 장착된 얼굴가리개와 후드를 통상의 각종 옷과 박음 내지 탈부착 결합하여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이 완성되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 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구현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들자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얼굴가리개의 얼굴덮개와 후드 상부 중에 하나를 분실하여도 상호 보완적 트임 기술의 연동으로 얼굴덮개와 후드의 가로턱선트임은 실제적인 교차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는 목덮개(200)의 가로턱선 트임은 후드(400) 상부의 가로턱선트임과 탈부착되고, 또한 후드 하부 가로턱선트임과 얼굴덮개 하부 가로턱선트임과 교차 탈부착되어 보조 안면가리개 기능 및 후드 기능으로 연동되는 기술로서 상기의 실시예 외에 상호 대응하여 유해환경에 대처하는 방법이 여럿 생성되게 된다. 상기는 트임을 통해 기능 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과 이를 제작하는 방법이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대기오염, 바이러스, 세균, 햇빛 등 각종 유해환경에 노출 되어있는 얼굴, 목을 포함한 신체를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평상복 착용 만으로는 대처 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여 대부분은 개별 마스크, 얼굴만 가리는 또는 얼굴과 목을 연결하여 가리는 얼굴가리개, 터들넥을 눈선까지 깃을 올려입는 가리개 또는 옷, 후드와 마스크를 연결한 모자, 앞자크를 후드 상단까지 연장하여 제작한 옷 등을 착용하였다. 상기는 활용 기능이 단순하고, 통기성이 적으며, 입 주변에 구멍으로 개방되어 있기도 하며, 대체로 구성체들이 후드를 지지대로 조합되어 있어서, 후드가 없으면 마스크 내지 얼굴가리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등 확산적 기능의 연속성이 없거나, 목 깃이 길어서 숨 쉬기에 답답함을 호소하고, 좋은 원단을 사용하여도 마스크 착용은 불편한 일상을 초래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많은 제품을 제작하므로 환경에도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옷이 지닌 단점을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의 다기능전환 기술로 다각적 활용으로 해결하고, 넉넉한 규격의 부착마스크로 얼굴가리개의 방어력을 높이는 등 의복의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응집시키고, 확산적으로 활용을 넓히는 대안을 찾아서 건강지킴과 가성비, 가심비 및 넓게는 자연환경까지 보호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되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는 얼굴가리개(300)의 트임(88,69,68)을 통해 생성되는 기능으로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570)의 복합적이고 확산적인 활용을 실행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세부적인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이하,'트임'은 '69,88,68'트임의 통칭임)
1. 본 발명의 특징은 트임의 위치를 이동, 배치하여 제작하여도 다각적인 기능이 실행되며, 옷의 몸통(500)에 트임 유무와 상관없이 얼굴가리개(300)의 트임(69,88,68)으로 생성되는 전환 기능이 얼굴가리개옷(570)과 연동되어 복합적인 전환기능으로 실행되고, 일상에서 다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2. 탈부착되는 가로방향의 가로턱선트임(69)과 세로방향의 가슴트임(88)이 T트임(68) 연동하여 외부 후드(400)와 교차탈부착, 개별 내지 통합 활용기능 생성, 가슴트임(88)으로 착탈의 여밈되는 편의성의 상부 얼굴덮개(100)와 하부 목덮개(200) 가리개를 구성하여 트임(69,88,68)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
가로방향의 상하부 탈부착 가로턱선트임(69)과 상하부에 추가 조임및고정부자재(106)를 구비하여 이중 탈부착, 상하부 통합 내지 개별활용 및 외부의 얼굴가리개(300) 트임(69,88,68)과 교차탈부착 할수 있는 후드(hood)(400);
목선(501)을 기점으로 기능전환되는 얼굴가리개(300) 및 후드(hood)(400)의 하단과 연결 박음 내지 탈부착 되는 옷(500);
이 결합하여 제작되는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옷(570)에 있어서, 트임(69,88,68)을 통하여 얼굴가리개(300)와 후드(400)의 상하부는 교차 내지 부분 탈부착 연동 및 개별 활용, 통합, 개방, 착탈의 편리, 기능성복, 평상복으로 기능 전환하여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트임(69,88,68)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 및 후드(400)의 형상과 기능전환 기능을 옷과 통합하므로 기능성복, 평상복으로 전환하여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570)이 과제의 해결수단이 된다.
3. 상기 상기 얼굴가리개(300)는 임의의 위치에 규칙 내지 불규칙 형태의 가로턱선트임(69), 가슴트임(88)과 연동되는 T트임(68)을 구비하여 상부의 얼굴덮개(100)와 하부의 목덮개(200)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가리개 기능 외에도 후드(hood)(400) 상하부의 가로턱선트임(69)과 교차 탈부착하고, 얼굴덮개(100)의 위치 이동으로 목덮개 기능과 개별 활용기능 생성 및 목덮개(200)를 칼라(collar)로 전환 착용하며, 상기 가슴트임(88)에 겹침 내지 조임및고정부자재(106)로 착탈의 탈부착 여밈을 구비하는 얼굴가리개(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570)이 과제의 해결수단이 된다.
4. 상기 얼굴덮개(100)는 탈부착 물질(33) 내지 물체(33)를 가장자리에 구비한 탈부착 마스크(mask)(103)를 얼굴덮개(100) 앞측 내지 얼굴에 겸용으로 착용하여 유해환경 방어를 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옷(570)이 과제의 해결 수단이 된다.
5. 상기 후드(hood)(400)는 후드(400) 상하부를 분리 내지 탈부착하는 가로방향의 규칙 내지 불규칙 형태의 가로턱선트임(69) 구비와 조임및고정부자재(106)로 탈부착하고, 추가로 보조 조임및고정부자재(106)을 상하부에 구비하여 후드(400)의 이중 탈부착을 할 수 있으며, 머리덮개 기능 외에도 얼굴가림과 목주머니 기능 및 얼굴가리개(300)의 트임(69,88,68)과 연동하여 얼굴가리개(300)의 상하부와 교차탈부착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570)이 과제의 해결 수단이 된다.
상기의 후드(400)와 얼굴가리개(300)의 탈부착 결합에 있어서, 목덮개(200)와 후드(400)상부가 교차 탈부착됨과 더불어, 후드(400)의 상부와 하부도 함께 이중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목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상기의 상호 대체하는 기술 구현은 도 8에 도시되어 상세 설명된다.
6. 트임(69,88,68)의 연동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얼굴가리개(300)의 제작에 있어서, 얼굴가리개(300)와 각종 옷(500)의 디자인, 패턴, 재단, 트임의 모양과 배치 위치, 재봉 방법과 순서는 제작자에 따라서 접근하는 방법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7. 얼굴가리개(300)는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로 세부 구성되고, 얼굴덮개(100)의 하부와 목덮개(200)의 상부가 가로턱선트임(69)을 형성하고, 목덮개(200)의 가슴트임(88) 내지 얼굴덮개(100)의 가슴트임(88)이 상기 가로턱선트임과 연동되어 T트임(68)을 형성하는 것이 기본요소이며, 조임및고정 부자재(106)으로 탈부착되어 '트임을 통해 기능 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로 제작되어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외에도 목덮개(200)의 가로턱선 트임은 후드(400) 상부의 가로턱선트임과 탈부착되고, 또한 후드 하부 가로턱선트임과 얼굴덮개 하부 가로턱선트임과 교차 탈부착되어 보조 안면가리개 기능 및 후드기능을 수행하므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는 도 8에 도시되어 상세 설명된다.
8. 상기 얼굴가리개(300)의 발명을 일상에서 활용하는 방법에서, 여름용은 뒷면에 최대의 빈 공간을 주어 통기성에 중점을 두고, 겨울에는 최대의 가림 면적을 확보하여 보온되도록 제작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9. 상기 얼굴덮개(100)의 가슴트임(88)은 통기성, 탈부착, 분리, 이동, 착탈의 편의, 목도리 등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트임의 위치를 임의로 배치 제작하여도 발명의 원리는 유지 및 실행할 수 있으므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는 도 7에서 상세 도시하여 설명한다.
10. 탈부착마스크(103)는 패치(patch), 부직포, 필터(filter), 메시원단 등의 여과기능 원단 등을 사용한 입체 내지 평면의 마스크 기능의 형태를 만들고,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필요한 부위에 탈부착 물질(33) 또는 물체(33)를 구비하여, 얼굴덮개(100) 앞측과 탈부착한다. 상기의 탈부착 마스크(mask)는 피부에 적합한 탈부착 원단 내지 물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얼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를 정리하면, 각종 마스크 뒷측에 탈부착 물질 내지 물체를 구비한 마스크를 말하는 것으로 도 9에 상세 도시된다.
11. 후드(400)는 얼굴가리개(300)의 트임 원리를 접목하여 구성하였고, 트임 구비를 통하여 얼굴 앞뒤, 아래로 위치 이동 및 옷에서 분리, 제거, 옷의 통기성 제공, 목주머니 실행, 후드(400) 하부 가로턱선트임과 얼굴덮개(100)의 하부 트임의 탈부착과 후드 상부 가로턱선트임과 목덮개 가로턱선트임은 상호 교차 탈부착되어 보조 안면가리개 기능 및 후드기능을 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12. 트임의 탈부착은 트임의 여밈 및 단추, 찍찍이, 지퍼, 고무줄 등의 조임및고정부자재(106)를 택일하여 용도에 맞게 구비하며, 얼굴덮개(100)는 다수개로 제작하여 교체 및 개별 세탁 가능과 독자적으로 가리개, 머리두건, 비상시 붕대역할 등 다양한 활용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13. 본 발명의 구성과 형성 과정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얼굴가리개(300)에 가로턱선트임(69)과 가슴트임(88), T트임(68)을 구비하고, 지퍼 내지 단추, 찍찍이, 고무줄 등의 조임및고정부자재(106)로 트임의 활용도를 높여서, 얼굴가리개(300)의 부분 내지 전체개방, 부분이동, 부분 탈부착 및 제거, 칼라(collar) 기능, 얼굴덮개(100)를 복수개로 제작하여 부분 교체, 평상복과 연동 등 다각적 기능을 도출하였다. 상기 얼굴가리개(300)를 각종 옷 몸통(500)과 박음고정 결합 내지 탈부착 결합하고, 얼굴덮개(100)에 방어율을 강화시키는 탈부착마스크(mask) 구비와 후드(400)에도 얼굴가리개(300)의 트임 기능을 적용하여, 개별적 내지 얼굴가리개와 통합적 기능으로 유해환경을 방어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14.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트임'(69,88,68)의 역활로 '활용'의 다각화를 실행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특히 도 6과 도 7은 발명의 쓰임을 설명하는 실시예입니다.
15. 상기 얼굴가리개(300)의 트임(69,88,68)은 유해물질 방어복, 평상복, 작업복 등의 복합적 기능을 갖춘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570)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의 다각적 활용의 기반이 되는 발명의 구성 요소 및 제조방법은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기타 제작과정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같다.
통상의 옷은 평상복과 더불어 다방면의 유해 환경에 대처하는 기능이 미비하므로, 상기의 단점을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570)'을 통하여 대안을 찾으며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착용으로 유해환경에 대처 및 방어함.
2.부분 내지 전체 개방, 부분이동, 부분탈부착 및 제거, 부분교체, 칼라(collar) 기능의 얼굴가리개를 옷과 결합하여 기능성 및 평상복으로 전환, 착용.
3. 얼굴덮개 앞측에 탈부착마스크(103)를 장착할 수 있음
4. 얼굴덮개를 분리하여 독자적 활용과 후드와 탈부착 기능.
5. 트임을 통하여 얼굴, 목, 몸통에 통기성 제공, 착탈의 편의 제공.
6. 목덮개로 후드 뒷 목부분의 공간을 감싸서 겨울철에 신체 보온 강화
7. 유사시에 후드 상부로 얼굴을 가리거나 앞주머니로 활용.
8. 유해환경에 대응하는 다수 기능을 내재하고 있으며, 평상복, 방한복,내복,유해환경 방어복,유아보호복,작업복,운동복에 적용 가능.
9. 가성비와 가심비 증가, 건강증진, 물자절약 및 환경보호 등의 발명의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 봉재선과 시접분 도시는 다수 생략임)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 구성 및 T트임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얼굴가리개옷(570)의 구성 및 제작과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얼굴가리개(300)의 구성과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후드(400)의 구성, 활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을 A-A'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중앙종단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각적 기능과 활용을 도시하여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가슴트임(88)의 다각적 배치 및 이의 제작 실시예 도시
도 8은 본 발명의 100&200&400의 트임 연동 및 교차 탈부착 구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탈부착마스크의 원리와 구현을 설명한 도면.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및 이의 제작 방법'에 대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하,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570)'을 축약하여 '얼굴가리개옷(570)'으로 통칭하며, 상기 발명 도출의 기반은 가로턱선트임(69), 가슴트임(88), T트임(68)이다.
<얼굴가리개옷(570) 제작 원리>
얼굴가리개옷(570)제작 과정과 형상은 도 1 내지 도 9 및 아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가 각종 옷 형태와 융합, 장착되어 기능전환 얼굴가리개옷(570)으로 제작된다.
상기 얼굴가리개(300)에 형성하는 트임(69,88,68)은 발명의 기반이 되는 기술 구성 요소이며, 상기는 얼굴덮개(100)의 탈부착 기능,이동,제거,개별사용 및 목덮개(200)의 칼라(collar)로 전환, 후드와 호환, 통기성, 착탈의 편의 등의 기능전환 기술을 실행시키는 발원 기술이 된다.
<얼굴가리개(300) 제작시 부자재와 부가 사항>
원단류, 치수, 트임의 위치, 트임 수량, 트임 규격, 부착 마스크(mask) 재질과 부착 방법, 박음질 종류, 시접량, 디자인 응용, 부자재류(106) 선택, 주머니 유무, 안감 유무, 고정심 유무 등은 얼굴가리개(300)가 지닌 '트임' 기반 내에서 택일 및 응용할 수 있음. 본 도면에서 시접과 박음선 도시는 다수 생략하여 도시함.
또한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조임및고정부자재 중에서 지퍼를, 각종 옷 중에서 점퍼 류를 통하여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도시 설명 하였으며, 실제 제작 시에는 제작 용도와 취지 및 디자인 구상에 맞게 상기 부자재와 옷류를 택일하면 된다.
< 얼굴가리개옷(570)제작 준비물>
각 구성체들의 패턴, 초크(chalk), 자, 메쉬(mesh) 및 필터, 탄성력 원단 등의 겉감 및 안감원단, 바늘, 실, 싱, 집게, 조임및고정 부자재(지퍼(zipper는 한방향과 양방향 및 긴줄과 짧은 줄 택일이며, 샘플에서는 복합 구비함), 단추, 고무줄, stopper, 똑딱단추, 고정심, 찍찍이 등), 가위, 미싱, 누름쇠, 송곳, 다리미, 연필, 지우개, 전지, 부착물질 내지 물품 등.
<패턴 제작에 대한 세부 사항>
①착용자의 체격에 맞는 규격으로 전지 위에 각 구성 개체의 패턴을 그린다.
상기의 패턴 제작은 발명 기술의 기반 내에서의 규격, 평면, 입체 형태의 응용은 제한이 없고, 제작자가 택일할 수 있다.
②여밈단의 겹침량과 기타 솔기 시접량은 자유이고, 본 도면의 치수에는 미포함 됨)
③얼굴가리개(300)와 얼굴가리개옷(570)의 패턴, 재단, 재봉의 방법과 순서에서, 접근하는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제작자에 따라서 본 샘플의 순서와 다를 수 있으며, 트임(69,88,68)이 발명의 구성요소인 것이 중요하다.
④본 도면 도 1 내지 도 7은 얼굴가리개(300), 후드(400), 옷의 몸통(500), 탈부착마스크(103) 패턴을 중심으로, 임의의 치수로 마름질하여 얼굴가리개옷(570)을 제작한 실시예이다.
<원단 재단>
준비된 원단 위에 각 부위의 옷본(pattern)을 배치하고, 초크(chalk)로 마름질선을 그린 후 원단을 재단한다.(본 도면에서는 재단시에 시접을 별도 포함하여 자름).
<얼굴가리개(300) 구성과 설명>
얼굴가리개(300)의 구성과 제작 과정은 도 3에 상세 도시하였다.
1.본 발명의 얼굴가리개(300)는 트임을 통하여 각종 기능이 용도와 환경에 맞게 전환하여 착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얼굴가리개(300)는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로 세분화 되고, 상기는 얼굴덮개(100)의 하부와 목덮개(200)의 상부가 가로턱선트임(69)을 형성하여 탈부착되고, 상기 가로턱선트임(69)은 목덮개(200)의 가슴트임(88) 내지 얼굴덮개(100)의 가슴트임(88)과 연동되어 T트임(68)을 형성하며, 다수 기능이 전환되는 얼굴가리개(300)를 완성한다.
2.상기 트임(69,88,68)은 얼굴가리개(300) 내에서 목덮개(200)가 칼라(collar)로 전환, 얼굴덮개(100)의 이동, 탈부착, 통기성, 제거, 교체, 착탈의 편의 등의 기능전환을 실행시키는 기술 기반이 된다.
3.트임의 탈부착 지점은 귀를 중심으로 머리 뒷측, 얼굴 앞, 옆측 등 선택 할 수 있다.
4.얼굴가리개(300)는 인체의 목과 얼굴 앞측을 가리는 것을 기준으로 하며, 머리 뒷측도 연장하여 가릴 수 있으며, 계절과 환경, 취하고자 하는 기능 실행의 강도에 따라서 트임의 규격(기장, 너비, 높이), 얼굴가리개 디자인, 트임 위치를 제작자가 정한다. 본 도면과 샘플에서는 얼굴, 목의 전체를 감싸 듯 가리는 방법을 중심으로 도시 함.
5.상기 얼굴가리개(300) 제작시 여름용은 뒷면 덮개에 최대의 빈 공간을 주어 통기성에 중점을 두고, 겨울에는 최대의 가림 면적을 확보하여 보온되도록 제작한다.
<얼굴가리개(300) 만들기>
다음은 얼굴가리개(300)의 상부와 하부에 속하는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 구성체를 구비하여 '얼굴가리개(300) 만들기'에 대한 설명이며, 도 3에서 상세 도시하였다. 또한 얼굴가리개(300) 재작에 필요한 조임및고정 부자재(106)의 종류는 자유 선택이다.
1.얼굴덮개(100) 만들기
①재료와 규격(임의의 치수) 및 원단: 재단된 얼굴덮개 겉감(세로높이16cm, 가로너비 상단56cm, 하단 58cm, 가슴트임(88) 높이 11cm의 직사각형 형태를 등분한 겉감 3장), 세로트임(88)의 좌우측 여밈단 2장(너비8cm, 높이 11cm), 시접(하단 약3cm, 상단 약2cm) 재단시 별도 추가, 조임및고정 부자재(106)(한방향 지퍼 약21cm 2줄, 찍찍이, 고무줄, 고정심, 똑딱단추, 싱),얼굴덮개 규격과 부자재 종류는 자율선택임.
②원단은 각종 원단 가능하고, 특히 얼굴덮개는 메쉬(mesh)원단 등 유해물질 차단율이 높은 원단을 사용함이고, 기타 상기의 덮개는 1겹~다수겹 가능, 안감 유무도 제작자가 택일 조정하여 제작 가능하고, 조임및고정 부자재(106)는 발명을 실행할 수 있는 시중의 각종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③상기의 재단된 얼굴덮개 겉감 조각들을 쌈솔 등의 박음질로 등분된 세로줄의 면을 이어 붙이고, 전체 테두리를 오버로크(overlock) 등으로 올 풀림을 정리한다.
④상기의 얼굴덮개(100) 겉감은 인체의 눈 아래 눈선(105)에서 약15~16cm 내려온 부위(임의의 지점이고, 턱을 덮을 수 있다)의 얼굴둘레를 가릴 수있게 된다.
⑤상기의 덮개를 평면 재단 할 경우에는 조각내지 않아도 됨
⑥상기에서 이어 붙인 겉감 눈선(105)의 콧등 부위의 겉감과 시접사이에 고정심(106)을 삽입하여 박음질한다.
⑦상기 눈선(105) 좌,우측 끝단에서 중심쪽으로 약13cm 구간의 겉감과 시접 사이에 조임및고정 부자재(106) 고무줄을 삽입, 박음하여 탄성력의 주름을 만들고 시접을 정리한다.(시접과 고무줄 대신 탄성력의 바이어스 테이프 사용도 가능하고, 얼굴가리개의 탄성력의 주름은 디자인, 재질, 규격에 따라 탄성력 주름을 주지 않음도 됨)
⑧하단 지퍼달기 및 시접정리
얼굴덮개(100) 겉감의 하단에 시접을 약3cm 주어서 얇은 싱을 붙이고, 시접에 덮개 중심 임의의 위치를 기점으로 좌우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자크 구멍창을 내고, 지퍼 2줄을 1쪽씩만 각각 박음하여 단다. 다른 한쪽은 목덮개에 대응하여 달기 위하여 남겨둔다.
지퍼는 용도에 따라 한방향 2줄 외 양방향 지퍼 긴 1줄로 사용할 수 있음이고, 상기 하단 시접은 목덮개(200)와 겹쳐지며, 겹쳐지는 분량은 자유임. 본 샘플에서 지퍼 달기는 창구멍이나 싸개없이 박음질하여 달았다.
⑨필요한 경우에 밑단 좌우측 말미에 탄성 주름을 만들고, 밑단 시접을 정리한다. 얼굴덮개에 구비하는 탄성 주름 구비 여부는 제작자가 택일이고, 본 샘플에는 사용함.
⑩좌우측 여밈단의 겉감 안쪽에 얇은 싱을 붙이고 반으로 접어, 상하 밑단의 시접을 안으로 접어넣어 다림질하고, 측면은 큰 창구멍으로 남겨두고, 상하단 위를 박음질하여 붙인다. 상기의 여밈단의 좌우측 큰 창구멍으로 얼굴덮개 겉감의 좌우측 각각의 세로면을 약1cm 끼워넣고 박음하여 여밈단과 얼굴덮개 겉감을 연결한다. 상기의 좌우측 각각의 여밈단은 상호 탈부착되어 얼굴덮개의 가슴트임(88)이 된다. 얼굴덮개 가슴트임(88)은 머리 뒷측에 배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택일할 수 있다. 본 도면은 머리 뒷측에 탈부착 여밈단을 구비하였다.
⑪상기의 좌우측 여밈단에 조임및고정 부자재(106) 찍찍이와 똑딱이 단추를 상호 탈부착으로 대응되도록 달아서 얼굴덮개(100)를 완성시킨다.
⑫상기의 좌우측 여밈단은 상호 겹치거나 부자재로 연결되거나 하여, 여밈단의 부자재 사용없이 목덮개 상단과 연결되거나, 탈부착 방법은 다양하게 선택하여 취하고, 본 도면의 샘플 제작에서는 부자재를 달아서 상호 겹쳐서 탈부착시켰다.
⑬얼굴덮개(100)의 활용 방법
㉠상기 얼굴덮개(100)의 가슴트임(88)은 통기성, 이동, 착탈의에 편의를 돕기 위한 기능을 갖고있어서 트임의 방향, 위치를 임의로 지정하여 배치할 수 있다.
㉡얼굴덮개(100)를 분리하여 후드(400) 하부 가로턱선트임(69)과 탈부착하여도 가리개 기능이 실행된다.
㉢상기 얼굴덮개(100)의 디자인은 발명의 원리를 기반으로 겨울철에는 도 1과 같이 머리 전체를 감싸는 디자인으로 보온을 제공하고, 여름철에는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에 넓은 공간을 주어 조임및고정 부자재(106)로 연결, 탈부착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가슴트임(88)이 필요없는 디자인의 얼굴덮개(100)를 제작할 때에는 가슴트임(88)을 박음처리하여 패쇄하고, 가로턱선트임(69)으로 얼굴덮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체 등분되는 가로턱선트임(69)으로도 얼굴덮개의 가리개, 이동, 분리, 통기성이 실행되지만 분리는 안된다. 상기도 본 발명의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인체의 코와 입 중심으로 얼굴덮개(100)의 앞측에 마스크 기능의 평면 내지 입체의 여과기능 원단 내지 물체가 탈부착 할 수 있는 지지대 구역을 만들어준다. 상기의 예로는 흡착으로 탈부착되는 비닐류, 엉킴 탈부착기능의 찍찍이, 이물질 제거가 잘되는 원단 접목 등이 있으며, 상기는 탈부착 마스크(mask)(103)를 탈부착하는 지지대가 된다.
㉥얼굴덮개(100)는 복수개로 제작하여 얼굴가리개(300)에서 분리하여 교환 및 세탁 가능하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 독자적으로 얼굴가림, 머리 두건 또는 비상시 붕대기능을 한다.
2.목덮개(200) 만들기
목덮개(200)는 얼굴가리개(300)의 구성에서 얼굴덮개(100)의 하부에 위치함.
①재료와 규격(임의로 정함) 및 원단: 재단된 목덮개 겉감(목덮개(200) 세로 높이(목덮개의 가슴트임(88)이 됨)8cm, 가로너비 상단53.5cm와 하단54.5cm의 직사각형 형태) 2장, 한방향 지퍼 약21cm 2줄, 얇은 싱, 시접은 사방 약1cm씩 재단시에 추가함, 세로트임(88)의 탈부착 부자재 준비.
②원단 및 조임및고정 부자재(106)는 시중에 각종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목덮개의 겉감은 1겹~다수겹 택일 가능함.
③목덮개 역할은 목 보호, 얼굴덮개(100) 기능 전환의 지지대, 목덮개의 트임을 통한 몸통과 얼굴의 통기성 제공과 착탈의 편의 등이고, 목덮개 기장의 장단은 유동적이고,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 가능함.
④상기의 준비된 겉감의 1장에 얇은 싱을 붙이고(목덮개의 내부가 됨), 테두리의 올 풀림을 오버로크 등으로 정리한다.
⑤지퍼 구멍창을 내거나 덧단을 대거나 택일하여, 상단면 좌우측 임의의 높이에서 지퍼가 외부로 보이도록, 얼굴덮개(100)에서 남겨둔 한쪽의 지퍼를 각각 달아서 얼굴덮개의 하단과 탈부착되도록 단다.(지퍼 구멍창을 사용하면 지퍼 부착이 깨끗하며, 목덮개가 칼라로 전환될 때 예쁘다. 부착 방법은 제한 없음) 상기의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가 상호 대응하는 트임은 얼굴가리개(300)의 가로턱선트임(69)이 된다.
⑥겉감 2장의 상,하단 짝을 맞추어, 상단 가로 테두리 시접 겉감을 맞대어 박음질하여 붙이고(가로턱선트임(69)이 됨), 나머지 3면은 시접을 다림질하여 안쪽으로 꺾어 접어 넣는다.
⑦목덮개(200)의 세로방향 가슴트임(88)의 착탈의 탈부착 여밈단의 탈부착 부자재(106)는, 옷몸통(500) 디자인에 따라서 단독으로 준비 및 부착하여 마무리하거나, 옷 몸통(500)의 조임및고정 부자재(106)를 목덮개(200)까지 하나로 연결하든지 결정은 제작자가 한다.
본 샘플 제작에서는 목덮개(200)의 가슴트임(88)과 옷의 몸통(500) 가슴트임(88)을 1줄의 긴 지퍼(106)로 후 공정에서 하나로 연결하기 위하여, 목덮개(200)의 가슴트임(88) 탈부착을 미완성으로 남겨 두었다.
⑧상기 ⑦번과 같이 목덮개(200)의 가슴트임(88)과 하단은 다음 공정에서 몸통(500)과 연결되며, 상기 ⑦번 공정까지 정리하고 목덮개(200) 제작을 마무리한다.
⑨상기의 목덮개(200) 가슴트임(88)은 얼굴덮개(100)의 가로턱선트임(69)와 연동되어 T트임(68)이 되며, T트임은 얼굴가리개 및 얼굴가리개옷의 활용 용도와 범위를 확장시키고 착탈의 편의와 통기성 및 얼굴가리개옷을 입고도 T트임을 적당히 개봉하여 식사를 할 수 있게한다.
⑩상기의 같감의 장수는 1겹 내지 다수겹으로 제작자의 제작 디자인에 따라서 선택한다.
3.구성체 결합 및 트임 구성과 얼굴가리개(300) 완성
①상기 1번과 2번에서 만든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는 상호 대응하는 가로너비의 테두리(69) 내지 면(69)이 탈부착 결합되어 얼굴가리개(300)가 완성된다.
②상기의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가 상호 대응하는 가로방향 면의 테두리는 가로턱선트임(69)이 되고, 얼굴덮개(100)의 세로방향의 여밈단과 목덮개(200)의 좌우 끝단은 가슴트임(88)이 된다. 또한 상기의 가로턱선트임(69)과 가슴트임(88)들은 상호 연동되어 T트임(68)으로 형성된다. 트임을 통하여 얼굴덮개의 분리, 제거와 이동, 목덮개의 칼라기능 기타 통기성, 착탈의 편의 등의 기능을 환경에 맞게 전환할 수 있다.
③목덮개(200)의 가로 방향의 상단면 내지 테두리는 얼굴덮개(100)의 하단면 내지 하단 가로 테두리와 탈부착되고, 목덮개(200)의 하단 테두리는 옷 몸통(500)의 목선(501)과 박음 연결 내지 탈부착 연결된다. 상기는 가로턱선트임(69)에 해당되며 또한 목덮개(200)의 가로턱선트임(69)은 얼굴덮개(100) 외에도 후드(400) 상부의 가로턱선트임(69)과도 탈부착이 된다.
④얼굴덮개(100) 말미의 여밈단은 목덮개(200)와 대응하여 조임및고정부자재(106)로 탈부착 하거나, 상호 가슴트임(88)여밈단으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도면의 샘플은 겹침여밈의 가슴트임(88) 여밈단으로 처리하였다.
⑤결합방법의 응용에 있어서. 상기 ②번에서 얼굴덮개(100)의 기능 중에서 얼굴덮개의 전체 제거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의 결합 부위가 부분 박음 및 부분 탈부착으로 제작하여 발명의 트임을 활용할 수 있고, 상기는 얼굴덮개를 통째로 분리하는 기능은 안된다.
<탈부착 마스크(mask)(103) 만들기>
①본 발명에서 탈부착 마스크(mask)(103)는 도 3에서 상세하게 도시 하였으며, 유해환경에서 필요할 시에 마스크 기능으로 얼굴덮개(100) 앞측에 탈부착된다. 상기 탈부착 마스크(mask)(103)는 상시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②인체의 코와 입 중심으로 얼굴덮개(100)의 앞측에 필터 내지 여과기능 원단 등으로 만들어진 마스크를 탈부착 할 수 있는 지지대 구역을 만들어준다.(흡착기능 비닐류, 엉킴기능의 찍찍이, 이물질 제거가 잘되는 원단 등 제작자가 선택함)
본 샘플 재작에서는 얼굴덮개의 원단을 이물질 제거가 잘되는 원단류를 활용하여 지지대 역할을 겸함.(기타 흡착력 원단 사용 가능)
③먼지, 비말 등을 여과하는 기능의 원단 및 필터(filter) 등으로 입체 내지 평면의 마스크 기능의 형태로 만들고, 상기의 만들어진 마스크 가장자리 둘레를 기준으로 탈부착 물질(33) 또는 물체(33)를 구비하여, 얼굴덮개(100) 앞측에 마스크(mask)(103) 기능이 탈부착되도록 완성한다. 상기의 마스크는 통상의 완성품을 구입하여 탈부착 물질(33) 또는 물체(33)를 구비하여도 된다.(마스크 자체를 얼굴덮개 내지 얼굴에 탈부착하는 원리임)
④상기의 탈부착 마스크(mask)(103) 규격은 통상의 가로10cm * 세로15cm 크기를 기준으로 아주 크거나 작아도 되며, 마스크(mask)(103) 규격은 넉넉하고 큰 규격을 추천함.
⑤상기의 탈부착 마스크(mask)(103)는 얼굴덮개(100) 앞측의 지지대와 탈부착하여, 유해환경에서 얼굴가리개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에 적합한 탈부착 물질 내지 원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얼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⑥상기 탈부착마스크(103)의 모양은 제한이 없으며, 착용 시 귀가 아프지 않고 활동이 자유로우며 유해환경 유입의 강도에 따라서 얼굴덮개의 방어력을 보강한다.
재사용 가능한 재질은 세척 살균 후 재부착 사용하고, 탈부착마스크의 부가적인 주변 환경 장식은 자유임.
<후드(hood)(400) 만들기>
후드(hood)(400)의 구성, 제작 과정, 활용은 도 4에서 상세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며, 가로턱선트임(69) 형성과 기능이 구성 요소이다.
①재료와 규격(임의의 치수) 및 원단: 조임및고정 부자재(106)(한방향 지퍼 약21cm 2줄, 똑딱단추 1짝), 후드(400) 총높이 약32cm, 후드 상부 높이22cm, 후드 하부 높이10cm, 후드 테두리 시접 높이 3cm, 후드 가로턱선트임 너비44cm, 후드하부 하단너비 47cm. 원단은 여과기능이 좋은 원단을 추천하며, 각종 원단 가능함, 안감유무 택일.(시접너비 별도)
상기 치수의 후드(400)를 세로방향으로 3조각, 후드 앞시접 약3cm인 후드 패턴을 짠다.
②상기 패턴을 원단 위에 올리고, 세로방향 테두리 시접 약1.5cm씩 주어 재단하고, 조각을 박음질로 이어 붙인다.
③상기 이어붙인 후드 상부 꼭지점에서 아래로 약22cm 지점을 기점으로 가로방향으로 등분하여 자르고, 자른 테두리에 각각 이어 붙일 높이약6cm, 약3cm의 시접을 잘라 둔다.
④상기 등분된 윗쪽은 후드 상부, 아랫쪽은 후드 하부가 되고, 아래와 같이 후드(400)의 가로턱선트임(69)을 형성한다.
⑤상기 후드 상,하부를 탈부착 해주는 조임및고정 부자재(106)를 선택한다. 본 샘플 제작에는 지퍼를 사용하였다.
⑥후드 상부 밑단을 오버로크 치고, 약0.5cm를 외부로 꺾어 다림질한다. 상기의 꺾어 접은 테두리 위 중간 지점으로, 얼굴덮개와 목덮개의 지퍼들과도 균형 맞춰서 지퍼의 한쪽 줄을 박음질하여 단다. 후드 하부는 위와 반대로 약0.5cm의 테두리를 내부로 꺾어 다림질하고, 상부와 대응하는 남겨진 지퍼의 한쪽 줄을 테두리 위에서 지퍼 이빨이 외부로 드러나게 단다.
상기 후드는 얼굴가리개의 트임 구성과 연장선에 있으므로, 지퍼 등 부자재를 달 때에도 상호 대응하여 균형을 맞춰주어 다양한 기능전환이 원활하도록 한다.
⑦본 샘플에서는 한방향 지퍼 약22cm 2줄을 사용하였고, 기타 얼굴가리개(300)의 디자인 구성에 따라서 양방향 지퍼 내지 각종 지퍼 사용 가능하다.
⑧상기 ③번에서 잘라둔 6cm의 시접을 정리하여 반으로 접어서, 후드상부의 지퍼줄 원단 앞면 위에 박음하여 붙인다. 상기 원단은 지퍼를 가려주고, 후드하부 상단면 위에 겹쳐지게 된다.
⑨후드 하부의 상단면에도 ③번에서 잘라둔 3cm의 시접을 반 접어고 정리하여, 자크 뒷면에 박음하여 부착한다. 상기는 지퍼줄 부착을 깔끔하게 정리해준다.
⑩상기의 상부, 하부의 지퍼를 끼워 닫아준다.
⑪후드(400)상,하부의 좌,우측 끝단 내지 가로턱선트임(69)를 기점으로 이중탈부착 여밈단 역할을 하는 똑딱이 단추 또는 일반 단추 등의 조임및고정 부자재(106)를 단다. 상기는 후드(400)상,하부의 좌우 측면의 탈부착을 유지시켜주는 추가 방법으로 후드(400) 다각적 활용의 편의를 제공한다.
⑫상기 후드 상부와 하부가 만나는 절개선은 후드의 가로턱선트임(69)이 되고, 탈부착 결합을 실행하고, 후드(400)를 착용하여 얼굴 앞뒤 이동, 분리, 캥거루 주머니, 얼굴덮개 트임과 탈부착 등으로 기능 전환된다.
⑬후드(400) 앞의 시접도 안으로 접어넣고 정리한다. 상기의 시접에 창구멍을 내어 조임줄을 넣어도 되며, 후드 앞 상단에 탄성력의 주름을 잡거나. 바이어스테이프로 테두리를 감싸고 박음하여 마감하거나 상기와 같은 여러 부가적인 부분은 자유 선택임.
⑭후드 하부의 밑단을 오버로크 치고 후드(400) 만들기를 마무리한다. 상기 밑단은 차후 옷 몸통(500)의 목선(501)과 박음고정 내지 탈부착 연결된다.
상기의 후드 가로턱선트임(69)은 얼굴덮개 하부와 후드 하부 가로턱선트임(69)이 연동되어 교차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바느질 방법, 시접분량, 규격 등과 부가적인 순서와 방법은 제작자가 선택할 수 있다.
⑮후드(400)의 가로턱선트임(69) 활용하기
㉠후드(400)는 가로턱선트임(69)를 통하여 얼굴가림의 전환기능을 지니므로 얼굴가리개로도 활용한다.
㉡후드(400)의 가로턱선트임(69)은 얼굴가리개(300)의 트임과 연동되므로, 얼굴덮개(100)와 후드상부(400) 중에 한쪽의 부자재가 고장이나도 상호 보완적 연동으로 얼굴덮개(100)와 후드(400)하부 트임은 교차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발명의 가리개 기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후드(400) 좌우측은 절개하지 않고, 중간 일정 구간에 부분 가로턱선트임(69)을 구비하여도 단순한 기능전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후드를 전체 탈착하거나 얼굴덮개와 연계는 할 수 없다. 용도에 맞는 트임규격을 선택하여 가로턱선트임(69)를 활용할 수 있다.
㉣옷의 몸통(500)에 후드(400)와 얼굴가리개(300)를 달때 배치 순서를 후드를 바깥 뒷편으로 보내는 통상적인 배열 방법과 후드를 안쪽으로 들여서 배치하거나 택일하여 제작을 할 수 있다.
상기는 가로턱선트임(69)을 기반으로 제작, 착용하는 다양한 활용방법이다.
㉤상기의 후드(hood)(400) 상부는 머리 외에도 얼굴 앞면과 목부분 및 목아래까지 이동하여 휴식 시의 수면 안대 역할, 캥거루 목주머니 역할을 하며, 마스크 또는 얼굴덮개가 없을 시에 얼굴덮개 기능으로 기능전환하여 신속하게 코와 입 등을 보호한다.
<옷의 몸통(500) 만들기>
각종 옷의 몸통(500)은 얼굴가리개(300)와 박음 연결 내지 탈부착되며, 몸통(500)의 가슴트임(88) 유무는 얼굴가리개(300)와 얼굴가리개옷(570)의 기능 실행과 상관이 없으며, 가슴트임이 있는 것이 활동에 좋다. 상기 가슴트임(88)의 유무는 제작자가 택일함.
①재료와 규격(임의의 치수) 및 원단: 몸통 총기장 약68cm, 어께너비45cm, 몸통둘레110cm, 목선둘레 54.5cm(시접 별도 좌우 각각 약1cm 재단시 추가), 소매기장 64cm, 지퍼(zipper)약68cm 1줄, 시접은 재단시에 1cm가량 더하여 자름, 가슴트임(88) 여밈단(가로6cm * 세로69cm), 원단 택일, 싱, 안감 유무 택일(본 도면의 샘플 의류는 임의로 택일한 디자인이고, 안감없이 간결하게 제작 됨)등.
②제작하고자 하는 치수로 패턴을 짜고, 각 부위의 패턴을 원단에 올려서 재단하여 겉감의 테두리에 오버로크(overlock) 등으로 가장자리 시접 올풀림을 정리한다.
③몸통(500) 좌우 앞판과 뒷판의 어깨선을 연결 봉제하고, 각 오른쪽 왼쪽의 소매를 몸판과 연결한 다음 앞뒷판 옆선과 함께 소매도 같이 봉제하여 몸통(500)을 만들어 둔다.
④상기에 안감을 포함할 경우는 소매쪽에 창구멍을 내어 옷을 뒤집어주고 창구멍을 막아준다.
⑤몸통(500) 앞판 좌우측 트임 솔기를 1cm 접어서 시접 정리를 한다.
⑥ 상기의 몸통 밑단은 약2cm 접어서 상침하고, 소매단은 고무줄이 들어갈 부분 1.5cm 간격으로 접어서 상침하고, 창구멍으로 고무줄 끼워서 마무리 한다.
⑦지퍼(106)를 달 몸통(500) 가슴트임(88)은 다음 공정에서 지퍼를 얼굴가리개(300)와 연결하여 달기 위해 끝단을 미완성으로 둔다.
상기의 옷 몸통에 가슴트임(88)이 없는 티셔츠 등의 디자인도 얼굴가리개(300)의 기능전환이 실행된다. 몸통 앞판의 여밈단 구비는 택일이고, 옷 몸통(500) 제작을 마무리한다.
<얼굴가리개옷(570) 완성하기>
①상기 실시예 7, 목덮개(200) 만들기, ⑦번에서 미완성으로 남겨둔 목덮개(200)의 가슴트임(88)과 실시예 10, ⑦번에서 미완성으로 남겨둔 몸통(500)의 가슴트임(88)에 조임및고정 부자재(106)를 택일하여 박음질로 단다. 본 도면과 샘플에는 지퍼 부자재로 달았다.(가슴트임(88)의 여밈단 구비와 지퍼 등 부자재 선택은 택일임)
상기 가슴트임(88)은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의 가로턱선트임(69)과 T트임(68)으로 연동되어 얼굴덮개(100)와 목덮개(200)의 활용 범위와 기능을 확장시켜준다.
②상기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제작한 얼굴가리개(300), 후드(hood)(400)를 옷의 몸통(500) 목선(501)을 기점으로 결집하고, 박음 결합 내지 탈부착 결합하여 얼굴가리개옷(570)을 완성한다.
본 샘플 제작에는 박음결합 하였음.
③상기의 결합은 후드(hood)(400)하단 솔기와 옷 몸통(500)의 목선(501) 솔기를 얼굴가리개(300)하단 솔기(목덮개(200)하단)로 감싸서 박음 결합 내지 탈부착 결합한다. 상기의 결합 방법은 다양하므로 제작자가 택일한다. 본 샘플 제작은 박음결합하였음.
④상기의 옷 몸통(500)의 목선(501)에 대한 상세 설명.
옷의 몸통(500) 디자인에 따라서 목선(501)의 위치도 다르다.
상기 목선(501)이 되는 위치는 옷 종류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옷에 맞게 얼굴가리개(300)의 하단 기장과 너비도 조절하여 제작 및 결합하고, 박음결합 및 탈부착 결합은 제작자가 택일한다.
<얼굴가리개옷(570)의 활용>
T트임(68)과 가로턱선트임(69), 가슴트임(88)은 후드(400)상부와 얼굴덮개(200)를 얼굴 앞과 뒤 및 아래로 위치 이동, 옷에서 분리 제거 내지 탈부착, 얼굴덮개의 독자적 가리개 기능 실행, 얼굴가리개 내 및 몸통에 통기성 제공, 후드의 목 주머니 실행, 목덮개의 칼라 기능 생성, 후드의 얼굴가리개 기능, 얼굴덮개와 후드 하부의 결합으로 얼굴가리개 기능 연동, 얼굴덮개로 목싸기, 탈부착 마스크 결합, 기능복과 평상복 전환, 안면보호, 얼굴덮개의 비상시 붕대 기능, 후드와 얼굴덮개를 탈착하여 개별 세탁, 숙면휴식, 얼굴가리개와 후드를 용도에 따라 통합 내지 분리 제작하여 옷의 활용 확대, 착탈의 편의, 정서적 안정 등의 기능전환 수행과 효과를 지닌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및 이의 제작 방법이며, 얼굴가리개(300)와 후드(400) 및 각종 옷(500), 탈부착마스크(103)의 기능을 얼굴가리개옷(570)으로 융합하여 의복의 착용 범위와 기능 확대, 활용의 편의성을 도출하며 종래의 마스크와 가리개 및 옷의 단점을 해소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이 완성된다. 상기의 모든 실시예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된다.
(이하,'트임'은 '69,88,68'트임의 통칭임)
(570):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100):얼굴덮개(얼굴가리개 상부)
(103):탈부착 마스크(mask)(각종 마스크 뒷측에 탈부착 물질 내지
물체를 구비한 마스크)
(105):눈선(얼굴덮게 상단선이며, 높이는 제조자가 정함)
(106):조임및고정부자재(지퍼, 단추, 찍찍이, 고무줄, 스토퍼, 고정심 등 택일, 품조절 또는 탈부착 결합용)
(200):목덮개(얼굴가리개 하부)
(300):얼굴가리개(69,88,68트임을 지님)
(400):후드(hood)(얼굴가리개와 연동 가능)
(500):몸통(각종 옷의 통칭)
(501):목선(옷 몸통의 상단 면 또는 테두리)
(33):흡착, 부착, 결합으로 탈부착되는 물질 내지 물품
(69):가로턱선트임(가로방향 트임으로 불규칙선 포함,형태,너비,위치,탈부착 방법은 택일)
(88):가슴트임(세로방향 트임으로 불규칙선 포함,형태,너비,위치,탈부착 방법은 택일이며, 착탈의 여밈 편의와 통기성에 활용)
(68):T트임(69와 88의 트임이 상호 T자형으로 연동되어 조성됨)

Claims (4)

  1. 탈부착되는 가로방향의 가로턱선트임(69)과 세로방향의 가슴트임(88)이 T트임(68) 연동하여 외부 후드(400)와 교차탈부착, 개별 내지 통합 활용기능 생성의 상부 얼굴덮개(100)와 하부 목덮개(200) 가리개를 구성하며 가슴트임(88)으로 착탈의 여밈되고, 트임(69,88,68)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
    가로방향의 상하부 탈부착 가로턱선트임(69)과 상하부에 추가 조임및고정부자재(106)를 구비하여 이중 탈부착, 상하부 통합 내지 개별활용 및 외부의 얼굴가리개(300) 트임(69,88,68)과 교차탈부착 할수 있는 후드(hood)(400);
    기능전환되는 얼굴가리개(300) 및 후드(hood)(400)의 하단과 연결 박음 내지 탈부착 되는 옷(500);
    이 결합하여 제작되는 얼굴가리개옷(570)에 있어서, 트임(69,88,68)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300) 및 후드(400)의 형상과 기능전환 기능을 옷과 결합하여 통합, 분리, 개방, 구성체 간의 교차탈부착, 착탈의 편리, 기능성복, 평상복으로 기능 전환하여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2. 제1항에 있어서 얼굴가리개(300)는 임의의 위치에 규칙 내지 불규칙 형태의 가로턱선트임(69), 가슴트임(88)과 연동되는 T트임(68)을 구비하여 상부의 얼굴덮개(100)와 하부의 목덮개(200)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가리개 기능 외에도 후드(hood)(400) 상하부의 가로턱선트임(69)과 교차 탈부착하고, 얼굴덮개(100)의 위치 이동으로 목덮개 기능과 개별 활용기능 생성 및 목덮개(200)를 칼라(collar)로 전환 착용하며, 가슴트임(88)에 겹침 내지 조임및고정부자재(106)로 착탈의 탈부착 여밈을 구비하는 얼굴가리개(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3. 제1항에 있어서 얼굴덮개(100)는 탈부착 물질(33) 내지 물체(33)를 가장자리에 구비한 탈부착 마스크(mask)(103)를 얼굴덮개(100) 앞측 내지 얼굴에 겸용으로 착용하여 유해환경 방어를 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옷
  4. 제1항에 있어서 후드(hood)(400)는 상하부를 분리하는 규칙 내지 불규칙 형태의 가로턱선트임(69)을 구비하여 조임및고정부자재(106)로 탈부착하고, 추가로 보조 조임및고정부자재(106)을 상하부에 구비하여 이중 탈부착을 할 수 있으며, 머리덮개 기능 외에도 얼굴가림과 목주머니 기능 및 얼굴가리개(300)의 트임(69,88,68)과 연동하여 얼굴가리개(300)의 상하부와 교차탈부착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KR1020190036799A 2019-03-29 2019-03-29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KR10223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99A KR102236609B1 (ko) 2019-03-29 2019-03-29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99A KR102236609B1 (ko) 2019-03-29 2019-03-29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72A KR20200114672A (ko) 2020-10-07
KR102236609B1 true KR102236609B1 (ko) 2021-04-06

Family

ID=7288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99A KR102236609B1 (ko) 2019-03-29 2019-03-29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461277A1 (en) * 2021-08-25 2024-04-04 Carol PHILIPS Heat releasing water draining head sun prot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472A1 (en) * 2007-07-31 2009-02-05 Helmet House, Inc. Garment with deployable hood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6125176A (ja) * 2015-01-07 2016-07-11 美津濃株式会社 フードの構造体
US20180271196A1 (en) * 2017-03-23 2018-09-27 Zhik Pty Ltd Interchangeable Headwear System For Waterproof Marine Gar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52B1 (ko) * 2010-11-15 2013-03-11 임현주 마스크를 구비한 후드넥워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472A1 (en) * 2007-07-31 2009-02-05 Helmet House, Inc. Garment with deployable hood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6125176A (ja) * 2015-01-07 2016-07-11 美津濃株式会社 フードの構造体
US20180271196A1 (en) * 2017-03-23 2018-09-27 Zhik Pty Ltd Interchangeable Headwear System For Waterproof Marine Gar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72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3591A1 (en) Convertible mask, ascot and visor garment and method of conversion therebetween
CN202122098U (zh) 衬衫
KR200462092Y1 (ko) 반바지
KR200491949Y1 (ko) 여성용 상의
KR102236609B1 (ko)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KR102320740B1 (ko) 개량형 전통 복식 조립체
US20160255887A1 (en) Scarf with Pockets and Hood
CN201767092U (zh) 一种新型防晒服
CN211510629U (zh) 一种新型防蜂衣
CN210248421U (zh) 一种冬装及底部开口的冬装内胆
CN210747374U (zh) 一种拼接服装
KR200463546Y1 (ko)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100862839B1 (ko) 의류용 후드
KR100686580B1 (ko) 빈티지 처리된 모자
CN217364754U (zh) 一种防晒衣
JP3242748U (ja) ケープ付きマスク
JP3174105U (ja) 公序良俗違反のため、不掲載とする。
US20160324244A1 (en) Bespoke Cap Having Two Distinct Fabric Patterns
CN213188204U (zh) 一种3d透气防护口罩
CN212994465U (zh) 头部全包裹多功能防护型服饰
KR20230126206A (ko) 개폐모자챙 가리개
JP3173389U (ja) 作業用頭巾
JP3211725U (ja) シャツ
JP3145291U (ja) 多目的垂れ布付頭巾
CN207202080U (zh) 圆领短袖饰花连衣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