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57B1 - 퍼머용 보조패드 - Google Patents

퍼머용 보조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57B1
KR102236157B1 KR1020190062326A KR20190062326A KR102236157B1 KR 102236157 B1 KR102236157 B1 KR 102236157B1 KR 1020190062326 A KR1020190062326 A KR 1020190062326A KR 20190062326 A KR20190062326 A KR 20190062326A KR 102236157 B1 KR102236157 B1 KR 10223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
hair
present
auxiliary pad
bind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598A (ko
Inventor
박언정
Original Assignee
박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언정 filed Critical 박언정
Priority to KR102019006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18Protecting devices or packages for hair curlers or the like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8Protecting mantles; Shoulder-shields; Collars; B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4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hem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2006/005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osmetic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머액이 무단으로 두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퍼머작업시 퍼머용 롯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퍼머작업효율은 물론 퍼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머리카락들이 관통되면서 결속고정되도록 형성된 결속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퍼머용 보조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퍼머용 보조패드{Support Pad for perm}
본 발명은, 퍼머액의 작용을 통해 모발을 성형하는 퍼머작업을 수행할 때 적용되는 퍼머용 보조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머액이 무단으로 두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퍼머작업시 와인딩 기구(퍼머용 롯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퍼머작업효율은 물론 퍼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퍼머용 보조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스타일에 따라 사람의 인상이 크게 좌우되므로, 많은 사람들이 헤어 스타일을 다양하게 연출하기 위하여 미용실을 찾게 되며, 미용실에서는 헤어스타일의 연출을 위한 다양한 헤어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헤어시술 중에서 대표적으로 퍼머액의 작용으로 모발 조직에 변화를 주어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모발을 성형하는 퍼머가 있다.
이와 같은 퍼머는 사용되는 퍼머액은 화학약품인 산화재와 중화재로 이루어져 특유의 냄새와 성분 때문에 피부에 닿으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됨과 함께 피부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어 퍼머작업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5-0005045호(명칭: 헤드착용식 퍼머액 차단기구/2015.07.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의 띠 형태를 갖는 극세사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는 상호간의 착탈을 위한 착탈수단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길이조정을 위한 신축부가 형성되며, 이마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퍼머액의 낙하를 차단하는 헤드밴드부와, 상기 헤드밴드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앞머리 전방을 가로막음으로써 퍼머액의 안면쪽 유입을 차단하는 안면보호시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면보호시트부는, 극세사 원단으로 이루어진 챙시트와, 상기 챙시트의 후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원호 형태로 오므려지면서 이마에 착용된 상기 헤드밴드부의 전면에 착탈되는 결합단과, 상기 챙시트와 결합단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결합단이 원호 형태로 오므려지면서 헤드밴드부 전면에 결합되면, 상기 챙시트가 헤드벤드부의 위쪽으로 세워지면서 앞머리 전방쪽을 가로막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헤드착용식 퍼머액 차단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즉, 퍼머액이 사용자의 얼굴로 흘러내리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퍼머액을 통해 퍼머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통상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원통형 록트와 상기 롯트에 파마액이 도포된 소정량의 머리카락을 엔딩페이퍼와 함께 필요한 길이만큼 와인딩 한 후 와인딩 된 머리카락을 롯트에 고정시키는 클립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05325호(명칭: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2006.02.2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머리카락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하기 위한 로드에 있어서,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양단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제 1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외주면 상에 탈착홈이 형성되는 로드본체와, 상기 로드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 내에 각각 체결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 2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본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압박부재와, 상기 로드본체의 타측에 끼워지는 고정클립부재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가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퍼머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먼저, 퍼머넌트 웨이브가 시술될 일정량의 머리카락을 정리한 다음, 롯트를 통해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머리카락을 와인딩한다.
이와 같이, 머리카락의 와인딩이 완료되면, 별도의 클립을 롯트의 외주면에 끼움결속하여 롯트에 와인딩 되어 있는 머리카락을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하고, 퍼머용액 및 중화재 등을 도포해 준 후, 소정시간 가열하여 모발을 성형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머리카락을 와인딩된 상태로 고정하는 다수의 롯트들의 배열각도 및 간격에 따라, 모발의 형태가 가변됨에 따라, 비숙련자들을 통해서는, 원하는 퍼머형태를 구현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5-0005045호(명칭: 헤드착용식 퍼머액 차단기구/2015.07.28.)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05325호(명칭: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세트/2006.02.27.)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퍼머기구들은, 머리카락을 와인딩된 상태로 고정하는 다수의 롯트들의 배열각도 및 간격에 따라, 모발의 형태가 가변됨에 따라, 비숙련자들을 통해서는, 원하는 퍼머형태를 구현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퍼머액이 두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여 보건상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비숙련자를 통한 퍼머작업효율은 물론 퍼머품질을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퍼머액이 무단으로 두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퍼머작업시 와인딩 기구(퍼머용 롯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퍼머작업효율은 물론 퍼머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퍼머용 보조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머리카락들이 관통되면서 결속고정되도록 형성된 결속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공은, 상기 본체에서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다수의 결속공들이 수직상 사이간격을 형성하면서 수평상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는, 사용자의 머리와 헤어용 와인딩기구(퍼머용 롯트)의 사이에 본체가 배치되면서 퍼머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퍼머액이 무단으로 두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에 대하여 본체의 수직상 배치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머리에 대한 다수의 와인딩기구(퍼머용 롯트)들의 원하는 배치각도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비숙련자들도 퍼머작업효율은 물론 퍼머품질을 향상시키면서 퍼머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를 구성하는 결속공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를 구성하는 결속공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1)는, 퍼머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머리카락(10)을 결속하여 퍼머작업시 퍼머액이 무단으로 두피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적용되는 것으로, 헤어 와인딩기구(1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때 보조함으로써, 퍼머작업효율은 물론 퍼머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1)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머리카락(10)들이 관통되면서 결속고정되도록 형성된 결속공(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속공(3)에 사용자의 머리카락(10)을 끼워고정한 후, 상기 본체(2)의 외부에서 상기 결속공(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머리카락(10)을 별도의 와인딩기구(100)를 통해 와인딩하여 머리카락(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하고, 퍼머용액 및 중화재 등을 도포해 준 후, 소정시간 가열하여 모발을 성형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면 퍼머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퍼머용액 및 중화재 등이 상기 본체(2)에 의해 두피측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결속공(3)은, 상기 본체(2)에서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즉, 상기 결속공(3)이 상기 본체(2)상에서 선택된 길이로 절개되면서 형성되어, 머리카락(10)을 얇게 펴서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할 수 있게됨은 물론, 제조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결속공(3)의 양단에는, 내경을 가지면서 관통형성된 원형의 관통공(31)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속공(3)을 통해 머리카락을 관통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공(3)을 벌려 머리카락(10)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할 때, 상기 결속공(3)의 양단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상기 관통공(31)이 상쇄하여 무단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공(3)은,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수직상 사이간격이 점차 증대하되; 그 최대폭인 상기 관통공(31)의 내경에 대하여 1/4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공(3)을 벌려 머리카락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할 때,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결속공(3)을 벌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1)에서, 상기 본체(2)에는, 다수의 상기 결속공(3)들이 수직상 사이간격을 형성하면서 수평상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다수의 상기 결속공(3)들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카락(10)을 수직상 다단으로 분리하면서 각각 지지고정하여 퍼머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하여 상기 본체(2)의 수직상 배치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사용자의 머리카락(10)에 대한 다수의 와인딩기구(100)들의 원하는 배치각도를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전체 머리에서 각각의 수직상 위치에 따라 일률적인 각도로 머리카락(10)을 와인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비숙련자들도 퍼머작업효율은 물론 퍼머품질을 향상시키면서 퍼머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퍼머용 보조패드(1)에서, 상기 본체(2)는, '신축성재질'로 이루어져 선택적 굽힘변형과 자체적 형상복귀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2)는, '부직포'들 중 하나인 '휠트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공(3)들의 가공성이 용이하고, 머리카락(10)에 대한 지지고정 작업성이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보조패드 10 : 머리카락
100 : 와인딩 기구 2 : 본체
3 : 결속공 31 : 관통공

Claims (3)

  1.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길이를 가지면서 절개되면서 형성되어 머리카락(10)들이 관통되면서 결속고정되도록 형성된 결속공(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퍼머용 보조패드(1)에 있어서;
    상기 결속공(3)의 양단에는,
    내경을 가지면서 관통형성된 원형의 관통공(31)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속공(3)은,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수직상 그 최대폭인 상기 관통공(31)의 내경에 대하여 1/4의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간격이 점차 증대되도록 되고;
    상기 본체(2)에는,
    사용자의 머리카락(10)을 수직상 다단으로 분리하면서 각각 지지고정하는 다수의 상기 결속공(3)들이 수직상 간격을 형성하고 수평상 길이를 가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보조패드.
  2. 삭제
  3. 삭제
KR1020190062326A 2019-05-28 2019-05-28 퍼머용 보조패드 KR10223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26A KR102236157B1 (ko) 2019-05-28 2019-05-28 퍼머용 보조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26A KR102236157B1 (ko) 2019-05-28 2019-05-28 퍼머용 보조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98A KR20200136598A (ko) 2020-12-08
KR102236157B1 true KR102236157B1 (ko) 2021-04-02

Family

ID=7377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26A KR102236157B1 (ko) 2019-05-28 2019-05-28 퍼머용 보조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843B1 (ko) * 2022-08-23 2023-03-14 방서진 헤어의 셋팅 퍼머용 열차단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965A (ja) * 2004-06-10 2005-12-22 Takashi Mukai 断熱シート
JP2010519952A (ja) * 2007-03-13 2010-06-1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束を分離する器具
KR200461524Y1 (ko) 2012-02-17 2012-07-18 남상철 퍼머용 보호 장치
KR101524838B1 (ko) 2014-03-12 2015-06-02 박병현 파마 시술용 롯드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965A (ja) * 2004-06-10 2005-12-22 Takashi Mukai 断熱シート
JP2010519952A (ja) * 2007-03-13 2010-06-1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束を分離する器具
KR200461524Y1 (ko) 2012-02-17 2012-07-18 남상철 퍼머용 보호 장치
KR101524838B1 (ko) 2014-03-12 2015-06-02 박병현 파마 시술용 롯드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98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3091A (en) Headband following a wearer's hairline
ES2230210T3 (es) Plancha de pelo provista de cubierta de prensa de plancha.
JP4686295B2 (ja) 毛髪トリートメントの施術方法
US3973528A (en) Styling apparatus for hair
KR102236157B1 (ko) 퍼머용 보조패드
US20210007559A1 (en) Multipurpose wearable hair care towel and methods for wearing and using the same
KR200464644Y1 (ko) 국소부위 집중 케어 마스크 팩
US4381791A (en) Permanent wave mandrel device for hair
US2973762A (en) Steam cloth
US9826811B1 (en) Smoothing soft roller
JP4148531B1 (ja) ヘアカーラの構造
JP4426985B2 (ja) 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の方法
US2162081A (en) Permanent wave apparatus
KR102520920B1 (ko) 기능성 헤어롯드
JP2005143846A (ja) パーマ用ロッド熱遮断具
JP2021094107A (ja) まつ毛のカール方法
KR200496709Y1 (ko) 헤어롯드
KR101721367B1 (ko) 헤어볼륨과 웨이브를 동시 성형하는 원터치식 퍼머넌트 기구
JP6277574B1 (ja) 毛髪矯正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毛髪矯正方法
KR20130006667U (ko) 가림판부가 일체로 형성된 퍼머액 흐름방지용 헤어밴드
KR102145869B1 (ko) 웨이브용 헤어클립
KR200461524Y1 (ko) 퍼머용 보호 장치
KR200246295Y1 (ko) 퍼머액 및 중화액 수렴기구
US6311698B1 (en) Anti-drip hair styling device
KR101368246B1 (ko) 일회용 퍼머 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퍼머 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