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30B1 -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30B1
KR102236130B1 KR1020190065369A KR20190065369A KR102236130B1 KR 102236130 B1 KR102236130 B1 KR 102236130B1 KR 1020190065369 A KR1020190065369 A KR 1020190065369A KR 20190065369 A KR20190065369 A KR 20190065369A KR 102236130 B1 KR102236130 B1 KR 10223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eak
valve
outlet pip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960A (ko
Inventor
정하익
Original Assignee
정하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익 filed Critical 정하익
Priority to KR102019006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3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F16K13/08Arrangements for cutting-off not used
    • F16K13/10Arrangements for cutting-off not used by means of liquid or granular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간편성으로 인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누수를 감지하면 부피가 확장되는 리크 패드(Leak pad)의 부피팽창력을 통해 간편하게 유로를 차폐토록 함으로서 그 작용 또한 매우 간편 명료하게 되어 있어 고장이나 손상의 염려가 없는 경제적이며 사용자가 조립시 정확한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누수 감지 및 차단을 신속 정확하게 하도록 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는 절개부(11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단 외주면 양측 중앙에는 고정공(121)이 천공된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수용공간부(100) 바닥에 안착되며 수분을 함유시 부피가 팽창되는 리크패드(20)와, 상기 리크패드(20) 상측에 밀착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측에는 바닥부(4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440) 상측으로는 몸체부(430)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는 개폐부재(4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승강밸브(40')와, 상면이 밀폐된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430)가 삽입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면 중앙에 관통공(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00) 외주면 소정의 위치 일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된 유입관(311)이 타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되되 상기 승강밸브(40')의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45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관통공(300)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유출관(310)이 구비된 고정밸브(30')와, 밀폐된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 양측에 상기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이 체결토록 절개홈 형태의 삽입부(500)가 구비된 캡(50)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와,
상기 승강밸브(40')의 몸체부(430)외주면에는 다단으로 실링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리크 패드의 확장력을 통해 고정밸브의 유입관 및 유출관과 승강밸브의 연통홀의 소통 또는 불통토록 하거나 또는 리크 패드의 확장력을 통해 고정밸브의 유출관을 승강밸브의 개폐부재가 개폐토록하여 소통 또는 불통을 통해 기존 기술과 달리 매우 간편하고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서도 기존 기술보다 더욱 확실하게 유체의 공급경로를 차폐할 수 있고 부품의 간편화로 인해 고장 및 손상의 우려도 기존 기술보다 현격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이점 및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Leakage Detection and Breaking Device}
본 발명은 부품의 간편성으로 인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누수를 감지하면 부피가 확장되는 리크 패드(Leak pad)의 부피팽창력을 통해 간편하게 유로를 차폐토록 함으로서 그 작용 또한 매우 간편 명료하게 되어 있어 고장이나 손상의 염려가 없는 경제적이며 사용자가 조립시 정확한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누수 감지 및 차단을 신속 정확하게 하도록 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이 있다.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세라믹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자연여과식은 세라믹 필터의 기공의 크기보다 작은 바이러스, 중금속, 발암물질, 화학오염물질 등 미세한 오염물질 제거에 한계가 있고 청소와 필터교환을 자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는 직결여과식은 물이 수압에 의하여 마이크로필터를 지나면서 불순물이 걸러지는데 자연여과식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가 힘들며, 필터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온교환수지식은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이용하여 물 속에 녹아 있는 금속 이온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으로 유기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증류식은 물이 끓을 때 생기는 수증기를 식혀서 정수하는 것으로 용존산소나 미네랄까지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역삼투압식은 압력으로 물이 반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불순물을 걸러주는 방식으로 오염물질뿐 아니라 미네랄까지 제거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정수기를 렌탈하거나 구입하여 사용하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공간에서 정수기 누수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정수기는 주로 싱크대 내부에 설치거나 수도 배관과 연결이 용이한 공간에 설치되는데, 정수기 내부 부품의 결함으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누수가 주로 발생하는데, 이러한 부분들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수기 누수를 사용자가 미리 확인하거나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정수기 누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은 정수기 누수가 일정시간 진행되어 바닥으로 물이 고이거나, 마루바닥 또는 타일에 얼룩이 지거나, 아래층으로 누수된 물이 흘러 아래층 천장 벽지가 손상되는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429616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621769호 국내 특허등록 제10-0794132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1936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의 간편성으로 인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누수를 감지하면 부피가 확장되는 리크 패드(Leak pad)의 부피팽창력을 통해 간편하게 유로를 차폐토록 함으로서 그 작용 또한 매우 간편 명료하게 되어 있어 고장이나 손상의 염려가 없는 경제적이며 사용자가 조립시 정확한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누수 감지 및 차단을 신속 정확하게 하도록 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는 절개부(11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단 외주면 양측 중앙에는 고정공(121)이 천공된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수용공간부(100) 바닥에 안착되며 수분을 함유시 부피가 팽창되는 리크패드(20)와, 상기 리크패드(20) 상측에 밀착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측에는 바닥부(4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440) 상측으로는 몸체부(430)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는 개폐부재(4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승강밸브(40')와, 상면이 밀폐된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430)가 삽입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면 중앙에 관통공(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00) 외주면 소정의 위치 일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된 유입관(311)이 타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되되 상기 승강밸브(40')의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45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관통공(300)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유출관(310)이 구비된 고정밸브(30')와, 밀폐된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 양측에 상기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이 체결토록 절개홈 형태의 삽입부(500)가 구비된 캡(50)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와,
삭제
상기 승강밸브(40')의 몸체부(430)외주면에는 다단으로 실링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리크 패드의 확장력을 통해 고정밸브의 유입관 및 유출관과 승강밸브의 연통홀의 소통 또는 불통토록 하거나 또는 리크 패드의 확장력을 통해 고정밸브의 유출관을 승강밸브의 개폐부재가 개폐토록하여 소통 또는 불통을 통해 기존 기술과 달리 매우 간편하고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서도 기존 기술보다 더욱 확실하게 유체의 공급경로를 차폐할 수 있고 부품의 간편화로 인해 고장 및 손상의 우려도 기존 기술보다 현격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이점 및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있어서 누수없이 원활하게 소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있어서 누수가 발생되어 리크패드가 확장되어 불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의 도 4에 있어서 누수없이 원활하게 소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의 도 4에 있어서 누수가 발생되어 리크패드가 확장되어 불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있어서 누수없이 원활하게 소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있어서 누수가 발생되어 리크패드가 확장되어 불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의 도 4에 있어서 누수없이 원활하게 소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의 도 4에 있어서 누수가 발생되어 리크패드가 확장되어 불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부호 10은 케이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는 절개부(11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단 외주면 양측 중앙에는 고정공(121)이 천공된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리크패드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크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부(100)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누수 발생시 발생된 누수에 의해 즉, 수분을 함유시 부피가 팽창토록 한 것이다.
지시부호 30은 고정밸브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밸브(30)은 상기 리크패드(20)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에 관통공(300)이 형성되어 있는 상하가 개구된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관통공(300) 외주면 소정의 위치 일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된 유입관(311)이 타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된 유출관(310)이 일체로 구비된 것이다.
지시부호 40은 승강밸브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밸브(40)은 상기 관통공(300) 내부로 삽입 상하 슬라이딩되는 'T'자 형상으로서 상측에는 헤드부(4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410) 하측으로는 몸체부(430)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430)의 소정의 위치 양측 외주면에 연통홀(420)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밸브(40)의 몸체부(430)외주면에는 다단으로 실링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400)은 상기 승강밸브(40)가 상기 고정밸브(30)의 내측을 승강시 구애받지 아니하면서도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50은 캡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50)은 상기 헤드부(41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 양측에 상기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이 체결토록 절개홈 형태의 삽입부(500)가 구비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가 발생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고정밸브(30)의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과 승강밸브(40)의 연통홀(420)이 소통 가능하도록 되어 원활하게 유체의 흐름을 유지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감지될 경우 즉,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리크 패드(20)에 의해 누수가 감지될 경우 즉, 누수된 수분이 리크 패드(20)의 부피를 팽창하게 되면서 승강밸브(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이와 같이 승강밸브(40)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면, 상기 승강밸브(40)에 구비된 연통홀(420)과 고정밸브(30)의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이 소통되지 아니하여 유체의 공급경로를 차폐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리크 패드(20)의 확장력을 통해 고정밸브(30)의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과 승강밸브(40)의 연통홀(420)의 일치 여부에 따른 소통 또는 불통을 통해 기존 기술과 달리 매우 간편하고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서도 기존 기술보다 더욱 확실하게 유체의 공급경로를 차폐할 수 있고 부품의 간편화로 인해 고장 및 손상의 우려도 기존 기술보다 현격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과 차이가 존재하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은 그 구성요소가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수용공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는 절개부(11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단 외주면 양측 중앙에는 고정공(121)이 천공된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리크 패드(20)도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수용공간부(100) 바닥에 안착되며 수분을 함유시 부피가 팽창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 1의 차이는,
지시부호 40'는 승강밸브로서 상기 승강밸브(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크패드(20) 상측에 밀착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측에는 바닥부(4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440) 상측으로는 몸체부(430)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는 개폐부재(4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밸브(40')의 몸체부(430)외주면에는 다단으로 실링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400)은 상기 승강밸브(40')가 하기에서 설명하는 고정밸브(30')의 내측을 승강시 구애받지 아니하면서도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30'는 고정밸브로서 상기 고정밸브(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밀폐된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430)가 삽입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면 중앙에 관통공(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00) 외주면 소정의 위치 일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된 유입관(311)이 타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되되 상기 승강밸브(40')의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45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관통공(300)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유출관(310)이 구비된 것이다.
한편, 캡(50)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밀폐된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 양측에 상기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이 체결토록 절개홈 형태의 삽입부(500)가 구비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가 발생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고정밸브(30')의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이 소통 가능하도록 되어 원활하게 유체의 흐름을 유지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감지될 경우 즉,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리크 패드(20)에 의해 누수가 감지될 경우 즉, 누수된 수분이 리크 패드(20)의 부피를 팽창하게 되면서 승강밸브(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이와 같이 승강밸브(40')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게 되면, 상기 승강밸브(40')의 개폐부재(450)이 유출관(310)의 절곡된 상부 유로공을 밀폐토록 함으로서 유체의 공급경로를 차폐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리크 패드(20)의 확장력을 통해 고정밸브(30')의 유출관(310)의 절곡된 상부 유로공을 개폐부재(450)의 개폐여부에 따른 소통 또는 불통을 통해 기존 기술과 달리 매우 간편하고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서도 기존 기술보다 더욱 확실하게 유체의 공급경로를 차폐할 수 있고 부품의 간편화로 인해 고장 및 손상의 우려도 기존 기술보다 현격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케이스 20 : 리크패드
30, 30' : 고정밸브 40, 40' : 승강밸브
50 : 캡 100 : 수용공간부
110 : 절개부 120 : 고정부
121 : 고정공 300 : 관통공
310 : 유출관 311 : 유입관
400 : 실링부 410 : 헤드부
420 : 연통홀 430 : 몸체부
440 : 바닥부 450 : 개폐부재
500 : 삽입부

Claims (3)

  1. 삭제
  2. 내부에 수용공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는 절개부(11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하단 외주면 양측 중앙에는 고정공(121)이 천공된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수용공간부(100) 바닥에 안착되며 수분을 함유시 부피가 팽창되는 리크패드(20)와,
    상기 리크패드(20) 상측에 밀착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측에는 바닥부(4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440) 상측으로는 몸체부(430)가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는 개폐부재(4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승강밸브(40')와,
    상면이 밀폐된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430)가 삽입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면 중앙에 관통공(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00) 외주면 소정의 위치 일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된 유입관(311)이 타측은 상기 관통공(300)과 연통되되 상기 승강밸브(40')의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45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관통공(300)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유출관(310)이 구비된 고정밸브(30')와,
    밀폐된 상기 몸체부(430) 상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 양측에 상기 유입관(311) 및 유출관(310)이 체결토록 절개홈 형태의 삽입부(500)가 구비된 캡(50)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밸브(40')의 몸체부(430)외주면에는 다단으로 실링부(4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1020190065369A 2019-06-03 2019-06-03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10223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69A KR102236130B1 (ko) 2019-06-03 2019-06-03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69A KR102236130B1 (ko) 2019-06-03 2019-06-03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60A KR20200138960A (ko) 2020-12-11
KR102236130B1 true KR102236130B1 (ko) 2021-04-02

Family

ID=7378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69A KR102236130B1 (ko) 2019-06-03 2019-06-03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16B1 (ko) * 2013-04-26 2014-08-13 정하익 누수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32B1 (ko) 2007-01-12 2008-0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누수 감지 장치
KR20090076882A (ko) * 2009-06-24 2009-07-13 유수연 누름 개폐식 밸브
KR101193629B1 (ko) 2012-08-02 2012-10-23 장진용 정수기의 누수감지차단장치
KR101621769B1 (ko) 2014-08-06 2016-05-18 정하익 누수차단장치
KR102507948B1 (ko) * 2015-10-30 2023-03-09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유로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16B1 (ko) * 2013-04-26 2014-08-13 정하익 누수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60A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101574660B1 (ko) 소수성막을 이용한 기액 분리기
KR102236130B1 (ko) 누수 감지 및 차단장치
KR101751124B1 (ko) 필터 인서트
CN104039714B (zh) 净水滤筒以及净水器
CN106673135B (zh) 一种家用净水器
US7138054B2 (en) Cartridge filter system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20170060637A (ko) 필터의 누수방지구조
US20160023153A1 (en) Multi-stage filter with pressure relief apparatus
JP2013150948A (ja) 気液分離器
KR200452261Y1 (ko)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KR102064984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커넥팅구조
KR20170021041A (ko) 진공펌프용 화학물질 포집장치
KR200384535Y1 (ko) 정수기
KR20070113911A (ko) 생수기
JP5754809B2 (ja) 気液分離器
KR0137538Y1 (ko) 정수기
KR20180046776A (ko) 정수기용 생활용수 밸브
CN211570276U (zh) 一种更换便捷的净水机滤芯
KR20120038281A (ko) 필터섬프 체결용 커넥터
KR102115321B1 (ko) 정수기의 미분 방지 필터 모듈
JP2010162479A (ja) 気液分離器
KR20090083813A (ko) 정수기
KR101568218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