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085B1 -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085B1
KR102236085B1 KR1020167007652A KR20167007652A KR102236085B1 KR 102236085 B1 KR102236085 B1 KR 102236085B1 KR 1020167007652 A KR1020167007652 A KR 1020167007652A KR 20167007652 A KR20167007652 A KR 20167007652A KR 102236085 B1 KR102236085 B1 KR 10223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lap
wall
blank
reinforc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341A (ko
Inventor
니콜라 르레이
기욤 피에라
Original Assignee
디에스 스미스 패키징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 스미스 패키징 프랑스 filed Critical 디에스 스미스 패키징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6006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4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both integral corner posts and 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integral corner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5Separate or attached st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3Integral reinforcements, e.g. folds,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5/0027Making boxes from blanks consisting of side wall panels integral with a bottom panel and additional side wal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4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5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integral corner pos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8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incisions defining foldable flaps hinged to it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되는 트레이(1)로서, 직사각형 바닥부(3)와, 측벽들로 구성된, 즉 제1 벽인 2개의 대향하는 제1 측벽(5, 6) 및 제2 벽인 2개의 대향하는 제2 측벽(7, 8)으로 구성된 링(4)으로서, 상기 제1 측벽(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서 제2 절첩선(15)에 의해 제2 플랩(14)에 각각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는 제1 플랩인 단부 플랩(10, 11)에 제1 절첩선(9)에 의해 각각의 측부에서 연결되는, 측벽들로 구성된 링을 포함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제2 벽(7, 8)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 l2보다 짧은 길이 l1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20)을 포함하고, 패널(20)은 상기 패널의 측방향 단부들 각각에서 제3 절첩선(21)에 의해, 절첩되어 중앙 패널(20)에 그리고/또는 인접한 제1 벽의 제1 플랩에 접착되는 필러(22)를 형성하는 보강 부재에, 즉 인접한 제1 벽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1 보강 요소 및 제2 보강 요소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장치 및 방법{TRAY MADE FROM CARDBOARD SHEET MATERIAL,BLANK,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RAY}
본 발명은 직사각형 바닥부와 벽의 일부분의 절첩에 의해 형성된 필러에 의해 보강된 측벽의 링을 포함하는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장치 및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임의의 유형의(강성의 또는 가요성의) 패키징된 상품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트레이의 분야에 특히 중요하게 적용되며, 본 발명의 용도는 (만족스런 강성 및 양호한 압축 강도를 요구하는) 운송에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선반 상에 상품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데 적합하다.
그런 트레이는 모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어서 형태들의 조합을 허용하는데, 이로 인해 트레이는 다양한 상품의 배송 및/또는 다양한 상품의 동시적인 판촉에 적합해진다.
트레이가 리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트레이는 개방이 용이해진다. 측부에서 개방된 경우라면, 트레이로 인해 상품을 관측할 수가 있어서 또한 소비자가 상품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단부 플랩의 절첩에 의해 달성된 코너 필러를 구비한 골판지 트레이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FR 2 747 643).
그런 트레이는 양호한 압력 강도를 제공하지만, 측부에서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가 없다.
절첩에 의해 달성된 측부 필러에 의해 위쪽의 트레이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 요소를 구비한 모듈식 트레이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EP 2 036 827).
그런 패키징은 결합 로드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실시하는 것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모든 크기의 상품, 동질의 선형 POS 또는 팔레트화된 디스플레이에 맞게 사용될 수 있으며 판매 공간을 최적화하고 브랜드의 우수한 식별을 허용하면서 상품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며 그리고 (30 스트라이크/분을 초과하는) 자동화된 고처리량 제조가 가능한 트레이를 제안함으로써, 지금까지 공지된 트레이보다 실용적인 요구에 양호하게 부응하는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 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동일한 팔레트 상에 다양한 상품을 저장할 수 있는 트레이의 모듈 특성으로 인해 다중 포장 비용이 추가로 절감된다.
유사하게는, 전체적으로 재활용될 수도 있는 하나의 카톤에 의해 최적화된 강도/표면 면적/중량 비율이 달성됨으로써, CO2 배출이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그런 트레이는 트레이를 선형으로 전개할 때 이동 횟수가 제한되어, 선반 상으로의 배치시에 예리한 칼날 및/또는 사전 절단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되는 트레이로서, 직사각형 바닥부와, 측벽들로 구성된, 즉 제1 벽인 2개의 대향하는 제1 측벽 및 제2 벽인 2개의 대향하는 제2 측벽으로 구성된 링으로서, 상기 제1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에서 제2 절첩선에 의해 제2 플랩에 각각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는 제1 플랩인 단부 플랩에 제1 절첩선에 의해 각각의 측부에서 연결되는, 측벽들로 구성된 링을 포함하는, 트레이에 있어서, 제2 벽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의 측방향 단부들 각각에서 제3 절첩선에 의해, 절첩되어 상기 중앙 패널에 그리고/또는 인접한 제1 벽의 제1 플랩에 접착되는 필러를 형성하는 보강 요소에, 즉 상기 인접한 제1 벽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1 보강 요소 및 제2 보강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를 특히 제안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그리고/또는 대안적으로 다음의 구성들 중 하나의 구성 및/또는 다른 구성을 이용한다:
- 제1 보강 요소는 대응하는 제2 벽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접착된 수직 설부에 의해 형성된다;
- 제1 보강 요소는, 제4 절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180°로 절첩되어 서로에 대해 접착되는 2개의 설부에 의해 형성된다;
- 제1 보강 요소는 제4 절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된 3개의 직사각형 수직 설부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제1 설부는 삼각형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며, 제3의 단부 설부는 대응하는 제2 벽의 내부면에 또는 인접한 제1 벽의 제1 플랩의 내부면에 접착된다;
- 제1 보강 요소는 제4 절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된 4개의 직사각형 수직 설부에 의해 형성되고, 2개 또는 3개의 제1 설부는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며, 제4의 단부 설부는 대응하는 제2 벽의 내부면에 또는 인접한 제1 벽의 제1 플랩에 접착된다;
- 단부 설부는 제2 벽의 높이에 비해 돌출되어 있는 테넌(tenon)을 형성하는 단부를 포함하며, 트레이의 바닥부는 아래쪽 트레이의 테넌의 매입식 끼워맞춤을 위해 상기 테넌과 일치하게 배열되는 상보적 형태의 개구를 포함한다;
- 각각의 제2 벽의 중앙 패널은 상기 제2 벽에 수직인 트레이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 제2 벽의 각각의 중앙 패널의 측단부들 중 하나의 측단부는 대응하는 보강 요소로 코너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동일한 제1 벽에 인접해 있으며, 상기 패널의 다른 단부는 상기 패널의 보강 요소들 중의 다른 보강 요소로 중간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벽의 중간 위치에 위치된다;
- 보강 요소들은 중간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벽에 수직인 트레이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다;
- 제1 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5의 이중 절첩선에 의해 상기 제1 벽에 연결되는 제3 플랩을 상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랩은 상기 대응하는 제1 벽의 내부면 상으로 트레이의 내부를 향해 절첩된다;
- 각각의 제1 벽은 제3 플랩을 포함한다;
- 제1 벽(들)은 제2 벽보다 짧은 제3 플랩을 갖추고 있으며, 제1의 단부 플랩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제5 절첩선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제6의 이중 절첩선에 의해 대응하는 제2 플랩에 연결된다;
- 제1 플랩은, 제7 절첩선에 의해 상기 제1 플랩에 각각 연결되며 그리고 제1 플랩에 대해 제2 플랩에 대향하는 측부에 위치되는 제4 플랩을 추가로 포함한다;
- 제4 플랩은 사다리꼴 형태이고, 트레이의 바닥부의 외부면에 접착되며, 아래쪽 트레이의 필러의 측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트레이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블랭크를 또한 제안한다.
본 발명은 트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블랭크로서, 트레이의 벽을 형성할 수 있는 4개의 직사각형 리프에, 즉 2개의 대향하는 제1 리프 및 2개의 대향하는 인접한 제2 측부 리프에 결합선에 의해 연결되는 직사각형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측부에서 제1 플랩인 단부 플랩에 제1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며, 그리고 제1 플랩은 제1 리프의 대응하는 결합선의 연장부에 위치된 측부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제1 플랩의 주연부에서 제2 절첩선에 의해 2개의 제2 플랩에 연결되는, 블랭크에 있어서, 제2 리프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의 측단부들 각각에서 트레이의 형성시 필러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에 제3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를 또한 제안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필러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는 제4 절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된 2개, 3개 또는 4개의 직사각형 설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설부가 상기 필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마지막 단부 설부는 대응하는 제2 벽의 내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블랭크는 제1 리프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5의 이중 절첩선에 의해 상기 제1 리프에 연결되는 제3 플랩을 외주연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랩은 트레이의 형성시 상기 대응하는 제1 리프의 내부면 상으로 내부를 향해 절첩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또한 제안한다.
본 발명은 블랭크로부터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는 트레이의 벽을 형성할 수 있는 4개의 직사각형 리프에, 즉 2개의 대향하는 제1 리프 및 2개의 대향하는 인접한 제2 측부 리프에 결합선에 의해 연결되는 직사각형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측부에서 제1 플랩인 단부 플랩에 제1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며, 그리고 제1 플랩은 제1 리프의 대응하는 결합선의 연장부에 위치된 측부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제1 플랩의 주연부에서 제2 절첩선에 의해 2개의 플랩에 연결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리프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의 측단부들 각각에서 제2 측부 리프와의 결합면을 갖춘 보강 요소에 제3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편평한 블랭크의 수직 스택으로부터 블랭크를 제거하고 그리고 상기 보강 요소의 전개를 위해 제1 스테이션을 향해 블랭크를 이송하는 단계로서, 이송 중에 상기 보강 요소의 상기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와,
역압 부재를 블랭크의 위에서 제3 절첩선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와,
절첩에 의해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전개된 보강부의 형태에 상보적인 형태의 대응하는 성형기와 함께 상기 역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면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상기 보강 요소를 압력하에서 수납하는 단계와,
역압 부재와 성형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플랩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전개된 보강 요소를 갖춘 블랭크를 최종 성형 스테이션을 향해 이송하는 단계와,
캐비티의 상승에 의해 또는 캐비티 내에서의 수직 펀치에 의한 피스톤 유사 운동에 의해 상기 최종 성형 스테이션에서 트레이를 형성하며 그리고 그런식으로 형성된 트레이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또한 제안한다.
유리하게는, 필러를 형성할 수 있는 보강 요소는 결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된 3개 또는 4개의 직사각형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고, 2개 또는 3개의 제1 스트립이 삼각형 또는 다각형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제3 또는 제4의 단부 스트립은 단부 설부를 대응하게 형성된 트레이의 제2 벽의 내부면 상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상술된 바와 같은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또한 제안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하에 제공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판독하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센터링 장치를 갖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트레이의 부분적인 스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편평한 블랭크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제4 실시예(도 7) 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과 도 11 및 도 12는 한편으론 동일한 높이의 제1 벽과 제2 벽을 갖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론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트레이 및 블랭크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겹쳐진 트레이의 스택을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평면도 및 그런 블랭크로 제조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4c는 도 14b의 트레이의 중간 필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d 및 도 14e는 설부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를 위한 중간 필러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2개의 설부를 갖춘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간 필러의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f 및 도 17a 내지 도 17c는 각각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설부를 갖춘 중간 필러의 단면도 및 4개의 설부를 갖춘 중간 필러의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 및 대응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되는 단계들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측벽들 또는 리프들로 구성된, 즉 2개의 대향하는 제1 벽 또는 리프(5, 6) 및 2개의 대향하는 제2 벽 또는 리프(7, 8)로 구성된 링(4)과, 직사각형 바닥부(3)를 예컨대 포함하는 3밀리미터 두께의 골판지 시트로 제조된 트레이(1) 및 블랭크(2)를 각각 도시한다.
제1 벽(5)은 직사각형이며, 그리고 블랭크(2)의 종축(12)에 대해 대칭인 직사각형인 또는 사실상 직사각형인(예컨대, 기부에서 5°내지 45°의 각도를 갖는 사다리꼴인 또는 부분적인 사다리꼴인) 단부 플랩(10, 11)에 제1 절첩선(9)에 의해 양측에서 연결된다.
단부 플랩(10, 11) 자체는 상부에서, 즉 평행한 외주연부(12)에서 그리고/또는 제1 리프(5)의 상주연부(상부에 대응)(13)의 연장부에서, 예컨대 80°내지 45°의, 예컨대 70°의 축에 대한 각도 α로 축(12) 및 패널(3)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제6의 이중 절첩선(15)을 통해 제2 플랩(14)에 연결된다.
플랩(10, 11)의 폭 L1 및 제2 플랩의 폭 L2는 플랩들이 트레이를 형성하도록 절첩될 때 대면하는 제2 리프(7)와의 부분적인 중첩부가 존재하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폭 L1 및 L2를 조절함으로써(L1 < L2) 그리고 또한 이하에서 기술될 콘서티나(concertina) 필러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강 요소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크기 조절가능한 폭 L2를 갖는 서랍/디스플레이 유닛(16)이 이에 따라 제조된다.
제1 벽 또는 제1 리프(5)는, 제3 플랩(17)이 제1 벽의 내부면(19) 상으로 절첩되는 것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두꺼운 제5의 이중 절첩선(18)에 의해 제1 벽에 연결된 직사각형의 제3 플랩(17)을 상주연부(상부에 대응)(13)에 또한 포함한다.
리프(5)는 높이 h1을 가지며, 플랩(6)은 h1보다는 높지만 이제 기술될 제2 리프의 높이 H보다는 낮은 높이 h2를 갖는다.
트레이는 실제로, 높이 H와, 바닥부의 길이 l2보다 짧은, 예컨대 상기 길이 l2의 1/2 내지 4/5인, 예컨대 3/4와 동일한 길이 l1을 갖는 직사각형 중앙 패널(20)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제2 리프 또는 벽(7, 8)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중앙 패널(20)은, 중앙 패널의 내부면(23) 상으로 절첩되어 이 내부면 상에 접착되는 필러를 형성하는 콘서티나 요소(22)에 제3 절첩선(21)에 의해 중앙 패널의 각각의 단부에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콘서티나 요소는 제3 절첩선(21)에 평행한 3개의 수직 설부에 의해, 즉 절첩선(28 또는 29)에 의해 서로 각각 연결된 직사각형이며 쌍으로 동일한 제1 및 제2 설부(24, 25 및 26, 27)와, 대응하는 내부면(23) 상으로 접착될 수 있는 또는 트레이의 형성시 접착될 수 있는 사실상 직사각형이며 더 짧은 길이를 갖는 (바닥부에 노치를 포함하는) 제3 설부(30, 31)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제3 설부(30, 31)는 제2 리프의 주연부에 대해 그리고/또는 제2 벽의 높이 H에 비해 돌출되어 있는 예컨대 사다리꼴 형태의 테넌을 형성하는 단부(32)를 상부에 포함하며 그리고 대응하는 노치를 바닥부에 포함한다.
한편, 트레이의 바닥부(3)는 서로 적층된 경우 직립되어 있는 아래쪽 트레이의 테넌에 상보적인 형상의 개구(33)를(슬롯을)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슬롯은 직사각형이고, 골판지의 두께를 갖거나 골판지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며, 바닥부(3)와 제2 플랩(7, 8) 사이의 결합선(34)과 통합된 측부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중앙 패널(7, 8)은 제2 벽에 수직인 트레이의 횡방향 중심축(35)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데, 패널의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절첩선(21)]는 대응하는 콘서티나 요소(22)를 갖춘 코너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이 예에선 플랩이 없는 직사각형인 또는 사실상 직사각형인 패널로 구성되는 하나의 동일한 제1 벽(6)에 인접해 있다.
이에 따라 절첩선(21)은 블랭크가 편평하게 놓여 있을 때 제1 리프(6)와 바닥부(3) 사이의 결합선(36)의 연장부이다.
한편, 동일한 패널과 관련된 다른 필러(22)는 벽에 대해 중간 위치에서 다른 단부에 배열되며, 아래쪽 트레이와 관련된 코벨(corbel)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부분(16)에 대한 외부 지지점의 역할을 한다.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요소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데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3 및 도 4는, 제7 절첩선(40)에 의해 제1 플랩에 각각 연결되고 그리고 제1 플랩에 대해 제2 플랩(14)에 대향하는 측부에 위치되는 제4의 사다리꼴 플랩(39)을 추가로 갖는다는 점에서만 상술된 트레이와 블랭크와 상이한 트레이(37) 및 블랭크(38)를 도시한다.
제4 플랩은 아래쪽 트레이의 필러(22)의 상부에서 측부(42)와 일치하도록 배열된 센터링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제4 플랩이 접착되는 트레이의 바닥부(3)의 외부면(41) 상으로 절첩된다.
또한, 제4 플랩(39)은 코벨 부분(16)을 강화시킴으로써, 이 코벨 부분이 보다 안정화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의 트레이 및 블랭크와 아주 유사하지만 트레이의 횡축(35)에 대해 대칭인 필러(22)의 구성을 갖는 트레이(43) 및 이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4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이런 필러 구성에 따라 h1 < H이기 때문에 2개의 개구부가 남겨진다.
도 7 및 도 8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한편으론 각각의 제1 리프(5, 6)에 제3 플랩(17)을 포함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론 포카 요케(poka-yoke) 수단 및/또는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해 사다리꼴의 제4 플랩(39)을 포함하는 트레이(45) 및 블랭크(46)의 일 실시예이다.
도 9 및 도 10은 동일한 높이의 4개의 벽(48, 49), 즉 2개의 동일한 제1 벽 또는 리프(48) 및 2개의 동일한 제2 벽 또는 리프(49)를 구비하고 있는 트레이(47)를 도시한다.
동일한 직사각형의 제1 리프(48)는 트레이의 종축(12)에 대해 대칭인 2개의 제1의 단부 플랩(50)을 갖추고 있다.
각각의 제1 플랩(50)은, 제2 플랩(49)과의 결합선(34)과 일치하도록 배열된 제1 플랩의 측부에 대향하는 외주연 측부에 절첩선(52)에 의해 부착된 제2 플랩(51)과, 대응하는 제1 리프(48)의 외부면(54) 상으로 절첩되어 이 외부면 상에 접착될 수 있는 제5 후크 플랩(53)을 갖추고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와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이 예에서 트레이(55)는 동일한 높이의 4개의 필러(22) 및 제4 후크 플랩(53)과, 4개의 리프(48, 49)를 갖추고 있다.
트레이는, 절첩선(57)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트레이의 바닥부의 외부면(58) 상에 접착될 수 있는 이등변 사다리꼴의 형태인 제5 플랩(56)을 또한 포함한다.
제2 플랩(51)이 부착되는 제1 플랩의 단부(60)와 후크의 경사진 주연부(59) 사이의 후크의 각도 β와, 삼각형인 횡단면의 필러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61)의 경사진 벽과 리프(49)의 내부벽과의 각도 γ는, 접착된 경우 제5 후크 플랩(53)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요소와 필러(22)의 상부 사이에서 제5 플랩이 매입식 끼워맞춤되도록 제5 플랩의 사다리꼴의 형태에 상보적이다.
상보적인 센터링 요소가 이에 따라 구성된다.
도 13은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의 스택(60)을 도시한다.
센터링 요소에 의해 조정되는 방식으로 서로 겹쳐진 필러(22)는 트레이에 내장된 요소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트레이에 내장된 요소의 관측을 허용하는 코벨(16)을 남겨둔 상태에서 압축력을 수용한다.
도 1, 도 2 및 도 13과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 및 스택(60)의 제조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제 제공된다.
편평하게 놓인 블랭크에서부터, 필러는 [제3의 단부 설부(30)의 내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에) 콘서티나 요소(22)의 절첩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리프(7, 8)가 직립되고 그리고 제1 리프(6)의 측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설부(21)의 외부면 상으로 압착되는데, 이 제1 리프의 측단부는 성형 중에 리프(8, 7)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필러 요소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배열된다.
한편, 제1 리프(5)는 일측에 있는 필러와 타측에 있는 제1 벽 사이에서 적절히 매입식 끼워맞춤되도록 배열된 임의 형태의 플랩(14)의 절첩에 의해 형성된다. 후속하여 상기 플랩을 대응하는 제1 플랩의 내부면 상에 접착시키도록 준비하고, 제3 플랩 자체가 대응하는 리프(5)의 내부면 상으로 접철되고 그리고/또는 이 내부면 상에 접착되며, 후속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우 강한 다중모듈식 팔레트화가능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후속적으로 적층되는 트레이를 그런식으로 구성하기 위해 전체 조립체가 접철되고 그리고 플랩(10, 11)이 없는 단부들이 인접한 제2 리프(7, 8)의 외부면 상에 접착된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직사각형 바닥부(3) 및 제1 벽(71, 72)을 포함하는 트레이(70) 및/또는 트레이의 구성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벽(71)은 제1 벽의 중앙부에서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원의 아크의 일부분의 형태이거나 곡선의 형태인 2개의 단부 부분(73)에 의해 형성되고(벽의 나머지 부분은 이에 따라 완전히 없는 상태임), 그리고 제1 절첩선(75)에 의해 곡선형 단부 부분에 연결된 단부 플랩(74)을 포함한다.
다른 제1 벽(72)은 플랩이 없는 단순한 직사각형이다. 트레이는 트레이의 종축(78)에 대해 대칭인 2개의 동일한 제2 벽(76, 77)을 또한 포함하는데, 상기 패널의 길이 l1은 바닥부의 길이 l2보다 짧다. 한편으론, 각각의 벽 또는 패널(76, 77)은 제1 플랩(71)과의 바닥부의 절첩선으로부터 거리 l2 - l1에 위치된 이중 절첩선(80)에 의해 패널에 연결된 직사각형 플랩에 의해 형성된 보강 요소(79)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론, 각각의 벽 또는 패널은 도 2와 관련하여 기술된 유형의 보강 요소(81)를, 즉 절첩선(21)에 의해 패널에 연결된 제1 설부(24), 절첩선(28)에 의해 예컨대 이 경우엔 이중 절첩선에 의해 제1 설부에 연결된 제2 설부(25), 및 제3 설부(30)를 포함하는데, 이들 3개의 설부 모두는 삼각형 단면의 코너 필러(83)를 형성한다.
단부 플랩의 단부(32)는 상술된 바와 같이 개구(33) 내에서의 센터링을 허용하며, 대면하는 개구(33)가 방해받지 않도록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매입식 끼워맞춤을 허용하도록 플랩(79)의 하부에 노치가 제공된다.
도 14c는 180°로 절첩되어 리프(76)의 내부면 상에 접착된 플랩(79)으로 제조된 보강부(84)의 단면을 도시한다.
플랩(74)의 길이 p는, 예컨대 설부(79)의 폭보다 긴 길이에 걸쳐 벽(76)의 외부면 상으로의 플랩의 대면 접착을 허용하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즉, 벽의 외부면 상으로의 플랩의 대면 접착을 허용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도 14d 및 도 14e는 설부(87, 88)를 갖춘 필러의 두 가지 다른 실시예(85, 86)를 도시하는데, 각각의 설부는 패널(76)이 외부면 상에 그리고 플랩(74)의 내부면 상에 접착됨으로써 부착되거나(도 14d), 패널(76)의 내부면 상에 그리고 플랩(74)의 내부면 상에 부착된다(도 14e).
도 15a 내지 도 15d는 각각 180°로 절첩되어 서로 접착된 그리고 플랩(74)의 내부면 상에 접착된 2개의 설부(91, 92)를 갖춘 중간 보강부(87, 88, 89, 90)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 플랩 자체는 패널(76)의 외부면 상에 접착됨으로써 부착될 수도 있거나(도 15a) 또는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도 15b).
도 15c 및 도 15d는 패널(76)에 대해 180°로 절첩된 제1 설부(91) 및 패널(76)의 내부면과 상기 제1 설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2 설부(92)를 도시하는데, 플랩(74)의 내부면은 벽(76) 상에(도 15c) 또는 제1 설부(91)의 외부면 상에(도 15d) 접착된 상태이다.
이런 마지막 두 경우에서, 2개의 설부 사이의 결합선은 반전을 허용하기 위한 이중 절첩선이다.
도 16a 내지 도 16f는 3개의 설부를 갖춘 중간 필러의 여섯 가지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처음 다섯 가지 실시예(91, 92, 93, 94, 95)에선 콘서티나형인 역삼각형 단면의 필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정삼각형(도 16a), 제1 설부에서의 직각 삼각형(도 16b), 이등변 삼각형(도 16c), 제2 설부에서의 직각 삼각형(도 16d), 및 임의의 삼각형(도 16e)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설부(96)는 적절한 예각으로 벽(76)의 내부를 향해 절첩되고 그리고 제2 설부는 (제1 설부의 길이에 대해) 적절한 길이를 갖도록 설부(96, 97, 98)가 이루어진다.
이들 다섯 가지 실시예에서, 제3 설부(98)는 한편 벽(76)의 내부면 상에 접착된다.
제6 실시예(99)는 도 16f의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설부(96)는 외부를 향해 절첩되어 있으며, 제3 설부(98)는 플랩(74)의 내부면 상에 접착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이 플랩은 벽(76)의 외부면 상에 접착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4개의 설부(103, 104, 105, 106)로 제조된 중간 필러(100, 101, 102)를 도시한다.
도 17a는 마지막 설부(106)가 패널(76)의 내부면 상에 접착된 상태인 정사각형 단면의 필러를 도시한다.
도 17b는 180°로 절첩되어 패널(76)의 내부면 상에 접착된 제1 설부(103), 삼각형을 형성하는 다음 2개의 설부, 및 패널(76)의 내부면 상에 다시 접촉되어 있는 마지막 설부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7c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필러 구성을 제공하는 4개의 설부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곤 도 16f의 실시예와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명세서에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도시한다.
블랭크(109)의 스택(108)의 편평한 상태에서의 저장을 위한 매거진(107)으로부터, 블랭크가 그 자체로 공지된 흡입 수단(110)에 의해 파지되어, 보강 요소(22)의 전개를 위해 제1 스테이션(111)을 향해 이송되는데, 이송 중에 (도시 안 된 인젝터 건에 의해) 상기 보강 요소의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블랭크의 위치에서 제3 절첩선과 일치하게 되는 예컨대 평행 육면체로 형성된 역압 부재(112)가 예컨대 이송 중에 블랭크와 접촉되도록 후속하여 배치된다.
다음에, 코너 필러와 중간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전개된 보강부의 형태에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성형기(113)와 함께 상기 압축 부재가 결합면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보강 요소(22)를 압력하에서 수납한다(도 18b 참조).
역압 부재와 파지 수단의 철수 후에, 성형기(113)가 제거된다(화살표 114 - 도 18c 참조).
후속하여, 보강 요소가 형성된 상태의 블랭크가 (도시 안 된 접착제 도포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플랩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편평한 상태로(단계 115 - 도 18a) 최종 성형 스테이션(116)을 향해 이송된다(도 18c).
후속하여, 트레이 및 트레이의 편평하게 사전 형성된 필러에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펀치 요소(118)에 의한 캐비티(117) 내에서의 예컨대 피스톤 유사 운동에 의해 트레이가 펀치의 둘레에서 형성되며, 그리고 그런식으로 형성된 트레이(1)가 후속하여 119에서 송출된다(도 18c).
상술된 바로부터 또한 당연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은 모든 변경예를, 특히 필러가 4개를 초과하는 설부에 의해 형성되어 다각형 단면을 갖는 변경예, 제3 플랩이 플랫폼을 형성하는 변경예, 및 분리에 의해 간단히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는 접착 지점들에 의해 트레이에 부착되어 있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된 리드를 트레이가 추가로 포함하는 변경예를 포함한다.

Claims (28)

  1.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되는 트레이(1, 37, 43, 45, 47, 55, 70)로서,
    직사각형 바닥부(3)와,
    측벽들로 구성된, 즉 제1 벽인 2개의 대향하는 제1 측벽(5, 6, 48, 71, 72) 및 제2 벽인 2개의 대향하는 제2 측벽(7, 8, 49, 76, 77)으로 구성된 링(4)으로서, 상기 제1 벽(5, 48, 71)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플랩인 단부 플랩(10, 11, 50, 74)에 제1 절첩선(9)에 의해 각각의 측부에서 연결되는, 링을 포함하는, 트레이에 있어서,
    제2 벽(7, 8, 49, 76, 77)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 l2보다 짧은 길이 l1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20, 49)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패널(20, 49)은 상기 중앙 패널의 측방향 단부들 각각에서 제3 절첩선(21, 80)에 의해, 중앙 패널(20, 49) 및 인접한 제1 벽의 제1 플랩 중 적어도 하나에 절첩되어 접착되는 필러(22, 83, 84)를 형성하는 보강 요소에, 즉 상기 인접한 제1 벽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1 보강 요소 및 제2 보강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보강 요소(84, 85, 86)는 대응하는 제2 벽(76)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접착된 수직 설부(79, 87, 8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보강 요소(87, 88, 89, 90)는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180°로 절첩되어 서로에 대해 접착되는 2개의 설부(91, 9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보강 요소(22, 91, 92, 93, 94, 95, 99)는 제4 절첩선(29)에 의해 함께 연결된 3개의 직사각형 수직 설부(26, 27, 31, 96, 97, 98)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직사각형 수직 설부 중 2개의 설부는 삼각형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며, 나머지 설부(30, 31)는 대응하는 제2 벽의 내부면(23)에 또는 인접한 제1 벽의 플랩(74)의 내부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보강 요소(100, 101, 102)는 제4 절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된 4개의 직사각형 수직 설부(103, 104, 105, 10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직사각형 수직 설부 중 2개 또는 3개의 설부는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며, 나머지 설부는 대응하는 제2 벽의 내부면에 또는 인접한 제1 벽의 제1 플랩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설부는 제2 벽의 높이에 비해 돌출되어 있는 테넌(32)을 형성하는 단부를 포함하며, 트레이의 바닥부(3)는 아래쪽 트레이의 테넌의 매입식 끼워맞춤을 위해 상기 테넌과 일치하게 배열되는 상보적 형태의 개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벽(7, 8, 49)의 중앙 패널(20)은 상기 제2 벽에 수직인 트레이의 중심축(35)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제2 벽의 각각의 중앙 패널(20)의 측단부들 중 하나의 측단부는 대응하는 보강 요소와 코너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동일한 제1 벽에 인접해 있으며, 상기 중앙 패널의 다른 단부는 상기 중앙 패널의 보강 요소들 중의 다른 보강 요소와 중간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벽의 중간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요소들은 중간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벽에 수직인 트레이의 중심축(35)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벽(5, 6) 중 적어도 하나는 제5의 이중 절첩선(18)에 의해 상기 제1 벽에 연결되는 제3 플랩(17)을 상부(13)에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랩(17)은 상기 대응하는 제1 벽의 내부면 상으로 트레이의 내부를 향해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벽(5, 6)은 제3 플랩(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벽(들)(5, 6)은 제2 벽보다 짧은 제3 플랩(17)을 갖추고 있으며, 제1의 단부 플랩(10, 11)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제5의 이중 절첩선(18)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제6의 이중 절첩선(15)에 의해 제2 플랩에 상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랩은, 제2 플랩(14)과, 제7 절첩선(40)에 의해 상기 제1 플랩에 각각 연결되며 그리고 제1 플랩(10)에 대해 제2 플랩(14)에 대향하는 측부에 위치되는 제4 플랩(39)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제4 플랩(39)은 사다리꼴 형태이고, 트레이의 바닥부(3)의 외부면(41)에 접착되며, 아래쪽 트레이의 필러(22)의 측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5. 트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블랭크(2, 38, 44, 46)로서,
    트레이의 벽을 형성할 수 있는 4개의 직사각형 리프에, 즉 트레이의 제1 벽인 제1 대향 벽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리프(5, 6, 48) 및 트레이의 제2 대향 벽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인접한 제2 측부 리프(7, 8, 49)에 결합선(34)에 의해 연결되는 직사각형 바닥부(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측부에서 제1 플랩(10, 11, 50)인 단부 플랩에 제1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며, 그리고 제1 플랩은 제1 리프의 대응 결합선의 연장부 위치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제1 플랩의 주연부에서 제2 절첩선에 의해 2개의 제2 플랩(14, 57)에 연결되는, 블랭크에 있어서,
    제2 리프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패널은 상기 중앙 패널의 측단부들 각각에서 트레이가 조립될 때 필러를 형성할 수 있는 보강 요소, 즉 트레이의 인접한 제1 벽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1 보강 요소 및 제2 보강 요소에 제3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16. 제15항에 있어서, 필러(22)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는 함께 연결된 2개, 3개 또는 4개의 직사각형 설부(24, 25, 30, 26, 27, 31)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설부가 삼각형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마지막 단부 설부는 대응하는 제2 벽의 내부면에 접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17. 제16항에 있어서, 마지막 단부 설부(30, 31)는 제2 리프의 폭에 비해 돌출되어 있는 테넌을 형성하는 단부를 포함하며, 트레이의 바닥부는 아래쪽 트레이의 테넌의 매입식 끼워맞춤을 위해 트레이의 형성시 상기 테넌과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상보적 형태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리프의 중앙 패널(20)은 상기 제2 리프에 수직인 블랭크의 중심축(35)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 리프의 각각의 중앙 패널의 측단부들 중 하나의 측단부는 트레이의 형성시 대응하는 요소와 코너 필러(22)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리프와의 결합선(36)의 연장부에 있으며, 상기 패널의 다른 단부는 상기 트레이의 형성시 상기 패널의 요소들 중의 다른 요소와 중간 필러(22)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리프의 중간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요소들은 트레이의 형성시 중간 필러(22)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리프에 수직인 블랭크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21.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1 리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5의 이중 절첩선에 의해 상기 제1 리프에 연결되는 제3 플랩(17)을 외주연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랩은 트레이의 형성시 상기 대응하는 제1 리프의 내부면 상으로 내부를 향해 절첩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리프는 제3 플랩(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23. 제21항에 있어서, 제1 리프 또는 리프들은 제2 리프(7, 8)보다 좁은 제3 플랩(17)을 갖추고 있으며, 제1의 단부 플랩(10, 11)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그리고 제5 절첩선(18)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제6의 이중 절첩선(15)에 의해 대응하는 제2 플랩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24.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1 플랩은, 제7 절첩선(40)에 의해 상기 제1 플랩에 각각 연결되며 그리고 제1 플랩에 대해 제2 플랩에 대향하는 측부에 위치되는 제4 플랩(39)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25. 블랭크로부터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는 트레이의 벽을 형성할 수 있는 4개의 직사각형 리프에, 즉 트레이의 제1 벽인 제1 대향 벽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리프 및 트레이의 제2 대향 벽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인접한 제2 측부 리프에 결합선에 의해 연결되는 직사각형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측부에서 제1 플랩인 단부 플랩에 제1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며, 그리고 제1 플랩은 제1 리프의 대응 결합선의 연장부 위치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제1 플랩의 주연부에서 2개의 제2 플랩에 연결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리프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패널은, 상기 패널의 측단부들 각각에서 트레이가 조립될 때 필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측부 리프와의 결합면을 갖춘 보강 요소, 즉 트레이의 인접한 제1 벽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1 보강 요소 및 제2 보강 요소에 제3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편평한 블랭크의 수직 스택으로부터 블랭크를 제거하고 그리고 상기 보강 요소의 전개를 위해 제1 스테이션을 향해 블랭크를 이송하는 단계로서, 이송 중에 상기 보강 요소의 상기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와,
    역압 부재를 블랭크의 위에서 제3 절첩선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와,
    절첩에 의해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전개된 보강부의 형태에 상보적인 형태의 대응하는 성형기와 함께 상기 역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면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상기 보강 요소를 압력하에서 수납하는 단계와,
    역압 부재와 성형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플랩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전개된 보강 요소를 갖춘 블랭크를 최종 성형 스테이션을 향해 이송하는 단계와,
    캐비티의 상승에 의해 또는 캐비티 내에서의 수직 펀치에 의한 피스톤 유사 운동에 의해 상기 최종 성형 스테이션에서 트레이를 형성하며 그리고 그런식으로 형성된 트레이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필러를 형성할 수 있는 보강 요소는 결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된 3개 또는 4개의 직사각형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고, 2개 또는 3개의 제1 스트립이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마지막 단부 스트립은 단부 설부를 대응하게 형성된 트레이의 제2 벽의 내부면 상에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블랭크로부터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블랭크는 트레이의 벽을 형성할 수 있는 4개의 직사각형 리프에, 즉 트레이의 제1 벽인 제1 대향 벽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제1 리프 및 트레이의 제2 대향 벽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대향하는 인접한 제2 측부 리프에 결합선에 의해 연결되는 직사각형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측부에서 제1 플랩인 단부 플랩에 제1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플랩은 제1 리프의 대응 결합선의 연장부 위치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제1 플랩의 주연부에서 2개의 제2 플랩에 연결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리프 각각은 바닥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직사각형 중앙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패널은, 상기 패널의 측단부들 각각에서 트레이가 조립될 때 필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측부 리프와의 결합면을 갖춘 보강 요소, 즉 트레이의 인접한 제1 벽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1 보강 요소 및 제2 보강 요소에 제3 절첩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장치는,
    편평한 블랭크의 수직 스택으로부터 블랭크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보강 요소의 전개를 위해 제1 스테이션을 향해 블랭크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이송 중에 상기 보강 요소의 상기 결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수단과,
    역압 부재를 블랭크의 위에서 제3 절첩선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절첩에 의해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전개된 보강부의 형태에 상보적인 형태의 대응하는 성형기와 함께 상기 역압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면에 대향하는 측부에 있는 상기 보강 요소를 압력하에서 수납하기 위한 수단과,
    역압 부재와 성형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과,
    전개된 보강 요소를 갖춘 블랭크를 최종 성형 스테이션을 향해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제1 및 제2 플랩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수단과,
    캐비티 내에서 수직 펀치에 의해 수직으로 운동될 수 있거나 피스톤 유사 운동을 할 수 있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상기 최종 성형 스테이션에서 트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그런식으로 형성된 트레이를 송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필러를 형성할 수 있는 보강 요소는 결합선에 의해 함께 연결된 3개 또는 4개의 직사각형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고, 2개 또는 3개의 제1 스트립이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의 상기 필러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마지막 단부 스트립은 단부 설부를 대응하게 형성된 트레이의 제2 벽의 내부면 상에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67007652A 2013-09-27 2014-09-26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장치 및 방법 KR102236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9358A FR3011228B1 (fr) 2013-09-27 2013-09-27 Plateau en matiere en feuille de carton, flan, dispositif e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tel plateau.
FR1359358 2013-09-27
PCT/FR2014/052424 WO2015044606A1 (fr) 2013-09-27 2014-09-26 Plateau en matiere en feuille de carton, flan, dispositif e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tel plate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341A KR20160061341A (ko) 2016-05-31
KR102236085B1 true KR102236085B1 (ko) 2021-04-02

Family

ID=4994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652A KR102236085B1 (ko) 2013-09-27 2014-09-26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29045B2 (ko)
EP (1) EP3049336B1 (ko)
JP (1) JP6692292B2 (ko)
KR (1) KR102236085B1 (ko)
FR (1) FR3011228B1 (ko)
PH (1) PH12016500457A1 (ko)
TN (1) TN2016000085A1 (ko)
WO (1) WO2015044606A1 (ko)
ZA (1) ZA2016016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114B1 (fr) * 2014-02-03 2016-02-19 Otor Sa Plateau en matiere en feuille de carton a montage manuel et flan pour la realisation d'un tel plateau
US9826843B1 (en) * 2016-11-11 2017-11-28 Sonoco Development, Inc. Stackable shelf tray for a retai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205978A1 (es) * 1972-11-15 1976-06-23 Sarl Una bandeja de embalaje apilable
JPS50118222U (ko) * 1974-03-14 1975-09-26
JPS53161929U (ko) * 1977-05-24 1978-12-19
JPS5727690Y2 (ko) * 1978-03-28 1982-06-16
GB8425882D0 (en) * 1984-10-12 1984-11-21 Procter & Gamble Container
ES292019Y (es) * 1986-01-29 1987-01-16 Daniel Aguilo Panisello, S.A. (Dapsa) Disposicion de esquina perfeccionada para caja de carton armable y apilable
DE8610403U1 (de) * 1986-04-16 1986-06-05 Herzberger Papierfabrik Ludwig Osthushenrich Gmbh & Co Kg, 3420 Herzberg Vorgeklebte Aufrichteschachtel
GB2281066A (en) * 1993-08-19 1995-02-22 Bowater Packaging Ltd Packaging tray
FR2747643B1 (fr) 1996-04-22 1998-06-19 Otor Sa Plateau en matiere en feuille de carton et flan pour la realisation d'un tel plateau
JP3201724B2 (ja) * 1996-11-27 2001-08-27 花王株式会社 包装箱
JPH10194285A (ja) * 1997-01-13 1998-07-28 Sharp Corp 梱包箱
US20040041015A1 (en) * 2002-03-19 2004-03-04 Fry Stanley L. Containers with tapered side walls and stacking tabs
US6641032B1 (en) * 2002-05-08 2003-11-04 Fruit Growers Supply Company Stackable container with reinforced corner
EP1746034B1 (en) * 2005-07-19 2009-01-14 SCA Packaging Marketing N.V. Transport and display container
DE602005009369D1 (de) * 2005-10-06 2008-10-09 Videcart Sa Auf- und zusammenfaltbare Scha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408452B2 (en) * 2007-08-30 2013-04-0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ontainer with modified corner
DE102007044376B4 (de) 2007-09-17 2011-04-07 Gustav Stabernack Gmbh Stapelbares Modultray
EP2780244A4 (en) * 2011-11-18 2015-08-12 Beer Stephanus Petrus De STACKABLE UPPER OPEN CONTAINER WITH PICKED SIDE MARKERS
US9469432B2 (en) * 2014-11-04 2016-10-18 Westrock Shared Services, Llc Reinforced containers and blanks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9336A1 (fr) 2016-08-03
US20160236810A1 (en) 2016-08-18
US10329045B2 (en) 2019-06-25
EP3049336B1 (fr) 2017-07-26
ZA201601615B (en) 2017-11-29
TN2016000085A1 (fr) 2017-07-05
JP6692292B2 (ja) 2020-05-13
FR3011228A1 (fr) 2015-04-03
KR20160061341A (ko) 2016-05-31
WO2015044606A1 (fr) 2015-04-02
FR3011228B1 (fr) 2015-10-16
PH12016500457B1 (en) 2016-05-16
JP2016531808A (ja) 2016-10-13
PH12016500457A1 (en)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1422B2 (ja) オープンワークフラップを有する段ボール箱及びそれを得るためのブランクのセット
US9796498B2 (en) Method of making a preassembled display with automatic stackable supports
US8800854B2 (en) Reinforcing support assemblies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MX2014011303A (es) Bandeja de exhibicion.
JP6174127B2 (ja) 凸状の中央揃え要素を有する箱、及びこのような箱を製造するためのブランク
MX2007011560A (es) Metodo y maquina para construir un deposito colapsable para material a granel.
MX2013007818A (es) Caja para productos a granel de una sola pieza que tiene una parte inferior de armado automatico y metodos para construirla.
MX2007011559A (es) Deposito colapsable para material a granel y metodos para construirlo.
KR102236085B1 (ko) 판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트레이,및 그런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장치 및 방법
US11603230B2 (en) Self-contained continuous carton system with self erecting stacking shoulders
ES2259142T3 (es) Mejoras en plataformas de carga de carton ondulado y relativas a dichas plataformas de carga.
WO2015066144A1 (en) Preassembled display with automatic stackable supports
JP2019511431A (ja) パレット及びコンテナキット
US5447269A (en) Multiple unit box and blank therefor
CN103648924A (zh) 面板互锁装置
US8573472B2 (en) Reinforced carton, blank and associated method of construction
US20110089799A1 (en) Modular cardboard container for objects requiring easy inspection, consisting of a stackable interchangeable hollow part or &#34;tunnel&#34; and and a pull-out drawer
US201400311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part of a container
CN109923046B (zh) 包装盒和包装盒坯件
US9205947B1 (en) Multi-component container with air cell end panel reinforcements
JP2002308277A (ja) 運搬用容器
EP3757029B1 (en) Assembly of a box and a lid, blanks for folding these, and method of handling at least one product
JP2016120967A (ja) 包装展示兼用箱及びその包装装置
JP3134204U (ja) 梱包用兼陳列用収納箱
JP7030011B2 (ja) バスケット型運搬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