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454B1 -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454B1
KR102235454B1 KR1020190097569A KR20190097569A KR102235454B1 KR 102235454 B1 KR102235454 B1 KR 102235454B1 KR 1020190097569 A KR1020190097569 A KR 1020190097569A KR 20190097569 A KR20190097569 A KR 20190097569A KR 102235454 B1 KR102235454 B1 KR 10223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ase
bed
mobile
time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780A (ko
Inventor
조일훈
이동규
박동아
양영열
우옥봉
Original Assignee
지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4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 G01K5/2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with means for indicating a maximum or a minimum or bo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대상의 타겟 온도 이상에 노출된 이력의 유무 및 노출되었을 경우 노출 시간 이력이 정량적으로 표시되는 효과가 있으며, 장기간 동안 노출된 이력의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그 크기가 작고 가벼운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력이 정밀하게 표시되는 것은 물론, 상용화 및 대량 생산 시에도 그 정밀 표시 특성의 재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며,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의 확률이 매우 낮고, 장치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의학, 바이오, 식품, 기계, 전자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간온도 인디케이터{Time-temperature indicator}
본 발명은 대상이 특정 온도에 도달한 시기가 있었음을 알리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및 의약품 중 제조 후 또는 개봉 후에 급속히 변질되는 제품의 수명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필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우유 및 유제품, 야채, 과일, 김치, 냉장식품, 냉장육, 해산물, 수산물 등은 제조 시부터 급속히 악화되어 개봉 이후 빠른 시간 내에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혈액, 혈청, 장기, 일부 진단시약, 생물의약품, 백신, 주사액, 인슐린 등의 의약품 또한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저온유통(cold chain)이 필요하며, 이를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얼음이 어는 조건하에서 많은 제품들은 품질 저하, 또는 작동성 저하, 손상 등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이르는 수준으로 급속하게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 저하의 예로 용해성 백신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헤파티티스 B 백신의 운송 중 99%는 사용이 불가능 하였으며, 그 이유는 공급망의 어느 지점에서 발생하게 되는 온도 변화 때문이었다.
이러한 백신의 비작용성은 탐지가 쉽지 않아 그대로 사용될 수밖에 없으므로 백신의 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약, 인간 장기, 약품, 마요네즈, 아이스크림 등의 식품, 섬유 유연재, 페인트 등과 같은 라텍스 제품, 콘크리트 수정 첨가제, 꽃 등을 들 수 있다.
백신의 경우, 2 내지 8℃에서 저장되는 것이 최적이며, 상한 온도를 초과할 경우에도 백신은 기능이 저하되거나 기능을 잃을 수 있으므로, 일정 온도 이하의 온도로 떨어진 것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냉동 표시기로는 한계가 있다.
즉, 특정 온도 이하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대상에 있어서, 그 대상이 목적 온도 이상에 노출되었는지, 그리고 그 온도에서 얼마나 시간 동안 노출되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까지 개발된 온도 확인 장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는 등의 원리로 작동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도 용이하지 않으며 경제성 및 상용성이 좋지 않았다. 특히 1 시간 이상 장기간 동안의 노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장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모세관의 길이를 그만큼 증가시켜야 하므로, 장치의 크기가 비약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대상이 목적 온도 이상에서 얼마나 노출되었는지 정밀하게 표시될 수 있어야 하고, 상용화되어 대량 생산한 장치들 간에 있어서도 시간이 동일하게 정량적으로 표시되는 재현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장치의 제조가 간단하고 그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물론, 장기간 동안의 노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소형화(Compact)할 수 있어야 한다.
US 5215378A (1993.06.01)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의 타겟 온도 이상에 노출된 이력의 유무 및 노출되었을 경우 노출 시간 이력이 정량적으로 표시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의 타겟 온도 이상에서 장기간 동안 노출된 이력의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장치의 크기를 매우 소형화할 수 있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력이 정밀하게 표시되는 것은 물론, 상용화 및 대량 생산 시에도 그 정밀 표시 특성의 재현성이 우수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며, 경제성이 우수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의 확률이 매우 낮고, 장치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학, 바이오, 식품, 기계, 전자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이동상이 고정상을 매체로 침투 및 확산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고정상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거리를 통해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대상이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 이력을 표시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타겟 온도 미만에서 고상인 이동상이 수용된 이동상 수용부; 및 고정상;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상은 상기 타겟 온도 이상에서 액상으로 전환되어 상기 고정상을 매체로 침투 및 확산하며, 상기 이력은 상기 고정상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거리를 통해 상기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이 결정된다.
상기 확산거리는 상기 이동상의 점도 및 상기 고정상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의 특성은 수분흡수도, 두께, 평량 및 투기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은 ASTM D2177 측정법으로 120 내지 300 초의 수분흡수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은 TAPPI T-410 측정법으로 315 내지 325 g/m2의 평량, TAPPI T-460 측정법으로 1,000 내지 1,200 ㎖/min의 투기도 및 445 내지 455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상기 이동상이 상기 고정상의 표면 위로 흐르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고정상의 일면에 적층되는 배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은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시트 형상으로 상기 이동상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리어는 상기 이동상과 인접한 고정상의 측단부 일면에 적층되되, 고정상의 폭 전체를 가로질러 적층되어 이동상의 과도한 유출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 수용부는 상기 이동상이 수용된 밀봉된 상태에서 인위적 개봉됨으로써 이동상이 유출되어 상기 고정상으로 침투 및 확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은 25℃에서 5 내지 1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은 녹는점 조절제 및 확산속도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은 안정제 및 염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대상이 타겟 온도 8℃ 이상에서 60 분 이상 노출된 시간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하면시트 및 상기 하면시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면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면시트의 내부는, 상기 타겟 온도 미만에서 고상인 이동상이 수용되어 밀봉된 이동상 수용부;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시트 형상이며, 상기 이동상 수용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상; 및 상기 이동상과 인접한 고정상의 측단부 상하면에 각각 적층되되 고정상의 폭 전체를 가로질러 적층되는 제1 및 제2 배리어;가 수용되어 상기 상면시트에 의해 덮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고정상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상의 확산 유무를 관측할 수 있도록 관통된 개시홀; 상기 이동상이 확산하는 방향으로 개시홀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시간 이력을 관측할 수 있도록 관통된 도착홀; 및 상기 이동상 수용부 내 이동상이 상기 고정상으로 인위적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이동상 수용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 수용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하부와 연결된 하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상기 하측부의 일부가 찢어져 상기 이동상이 유출되어 고정상으로 침투 및 확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고정상의 폭보다 클 수 있으며, 배리어의 양측단이 상기 하면시트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대상의 타겟 온도 이상에 노출된 이력의 유무 및 노출되었을 경우 노출 시간 이력이 정량적으로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대상의 타겟 온도 이상에서 장기간 동안 노출된 이력의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그 크기가 작고 가벼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상기 이력이 정밀하게 표시되는 것은 물론, 상용화 및 대량 생산 시에도 그 정밀 표시 특성의 재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며,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고장의 확률이 매우 낮고, 장치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의학, 바이오, 식품, 기계, 전자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의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및 이의 함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의 작동 전(상측)과 작동 후(하측)를 각각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단수 형태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의 단위는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시트”의 용어는 각 재료가 연속체(continuum)를 이루며 폭과 길이 대비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디멘젼(dimension)을 가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시트”의 용어에 의해, 2차원의 편평한 평면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대상이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 이력을 표시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로서, 상기 타겟 온도 미만에서 고상인 이동상이 수용된 이동상 수용부(400); 및 고정상(2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상은 상기 타겟 온도 이상에서 액상으로 전환되어 상기 고정상(200)을 매체로 침투 및 확산하며, 상기 이력은 상기 고정상(200)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거리를 통해 상기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고정상을 매체로 이동상이 침투 및 확산함으로써, 고정상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거리를 통해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이 정밀하게 결정되는 것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며, 온도, 압력, 충격 등의 변수에 대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고장, 기능 손상 등이 최소화되는 높은 안정성 및 내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가 작동 시 이동상이 고정상을 매체로 하여 침투 및 확산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상은 개시홀(111) 하측의 고정상(200)의 영역으로 침투하고 확산하여 도착홀(112) 하측의 고정상(200)의 영역으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상-고정상의 확산에서, 이동상의 점도 특성과 고정상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인하여 이동상의 확산속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이동상과 고정상(200)의 특성이 정밀하게 제어된 것임에 따라, 단시간은 물론, 특히 장시간까지도 확산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종래에 어려웠던 타겟 온도 이상에서의 장기간 계측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상용화 및 대량 생산 시에도 그 정밀 표시 특성의 재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개시홀(111) 및 도착홀(112)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상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이며, 상기 공간으로부터 노출되는 고정상의 일면까지 이동상이 확산되어 색이 변하게 되며, 도착홀(112)로부터 노출되는 고정상(200)의 색 변화는 그 확산 시간만큼 인디케이터(100)가 타겟 온도에 노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착홀(112)로부터 노출되는 고정상(200)의 영역의 색이 변하면, 타겟 온도에서 타겟 시간만큼 노출됨을 의미하는 지표가 된다.
상기 확산거리는 상기 이동상의 점도 및 상기 고정상(200)의 특성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고정상(200)의 특성의 제어되어야 할 하위 요소가 많음에 따라, 정밀하게 시간이 계측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게 제어된 특성을 갖는 고정상(200)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정상(200)은 이동상이 침투되어 확산할 수 있는 소재이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특성은 수분흡수도, 두께, 평량 및 투기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상(200)의 수분흡수도가 높을수록, 두께가 작을수록, 평량이 작을수록, 투기도가 높을수록 이동상의 확산속도는 증가하고 계측되는 노출 시간은 감소한다.
좋게는, 상기 고정상(200)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장기간의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서도 정밀한 시간 계측이 가능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상(200) 특성으로서, 고정상(200)의 수분흡수도는 ASTM D2177 측정법으로 100 내지 400 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300 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초일 수 있다. 고정상(200)의 평량은 TAPPI T-410 측정법으로 150 내지 500 g/m2,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g/m2, 일 실시예로서 315 내지 325 g/m2일 수 있다. 고정상(200)의 투기도는 TAPPI T-460 측정법으로 700 내지 1,500 ㎖/min,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1,300 ㎖/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200 ㎖/min일 수 있다. 고정상(200)의 두께는 200 내지 700 ㎛,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00 ㎛, 일 실시예로서 445 내지 455 ㎛일 수 있다. 이를 만족할 경우, 보다 정밀한 시간 계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상(200)은 상술한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상(200)의 소재는 이동상이 침투 및 확산할 수 있는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다공성 섬유, 즉, 부직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섬유가 고정상(200)으로 사용될 경우, 이동상의 침투 및 확산을 더 용이하게 하여 확산이 중간에 끊기나 확산속도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좋을 수 있다. 이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고정상(200)은 그 형태가 컬(Curl) 및 웨이브(wave) 등이 최소화될수록, 매끄럽고 평탄하도록 표면 요철이 최소화되도록 한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확산속도를 보다 일정하게 하여 목적하는 시간으로서 정밀하게 작동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는 이동상이 고정상(200)을 매체로 하여 침투 및 확산함으로써 확산속도 및 확산시간이 결정되며, 이때 이동상이 고정상(200)으로 최초 침투하는 시기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의 작동 전(상측)과 작동 후(하측)를 각각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작동 전, 즉, 대기 상태에서는 이동상 수용부(400) 내부에 수용된 이동상이 이동상 수용부 바깥으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주변 온도가 타겟 온도를 초과하더라도 고정상(200)에 이동상이 확산되지 않아 작동하지 않는다. 반면,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이동상 수용부(400)의 돌출부(410)에 물리적 충격을 가하게 되면, 이동상 수용부(400)로부터 이동상이 유출되며, 타겟 온도 미만의 환경에서는 이동상이 고상으로 존재함에 따라, 작동 시에도 인디케이터(100)는 이동상이 고정상(200)으로 침투 및 확산하지 않으므로, 도착홀(112)로 노출되는 고정상(200)의 영역이 색 변화하지 않으며, 이는 타겟 온도를 초과하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100)의 이동상의 온도가 타겟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비로소 이동상이 액상으로 전환되어 고정상으로 확산하므로, 타겟 온도에 노출된 시간 이력이 계측화된다. 이를 통해 타겟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이동상이 고정상(200)에 얼마나 확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인디케이터(100)가 얼마의 시간 동안 타겟 온도 이상에 노출되었는지를 의미하는 지표가 된다.
즉,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의 작동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그 작동 시기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며, 작동이 시작된 이후 타겟 온도 이하에서는 노출 이력이 표시되지 않으며, 타겟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노출 이력이 표시된다. 작동시키는 수단은 이동상 수용부(400) 내부에 장입된 이동상이 이동상 수용부(400) 외부로 유출되어 고정상(200)의 일측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상 수용부(400)는 상기 이동상이 수용된 밀봉된 상태에서 인위적 개봉됨으로써 이동상이 유출되어 상기 고정상(200)으로 침투 및 확산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트(110)의 관통홀(114)을 통해 노출된 이동상 수용부(400)의 외면에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이동상 수용부(40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동상 수용부(400)의 일부분이 찢어져 내부의 이동상이 유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예로 들 수 있다.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은 충격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을 가지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압력 상승에 의해 찢어지는 이동상 수용부(400)의 일부분은 압력 상승에 의해 찢어지기 용이한 소재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상 수용부(400)의 소재는 이동상 수용부(400) 내부의 이동상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인 것이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동상의 유출 유무의 판별이 용이한 측면에서 좋을 수 있다. 이동상 수용부(400)의 찢어지는 부분은 찢어짐이 잘 유발될 수 있는 소재 또는 특정 부위의 두께가 더 얇도록(칼집 형성, 접힘 등) 구성된 것 등의 다양한 수단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소재의 일 예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다양한 플라스틱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이동상 수용부(400)의 일부분이 찢어져 이동상이 유출될 경우, 유출 순간 높은 압력에 의해 이동상이 초기 빠른 속도로 유출되어,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가한 물리적 충격이 고정상(200)에 대한 확산속도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즉, 인위적으로 가하는 물리적 충격의 세기가 사용자마다 다름에 따라 이동상이 초기 고정상(200)에 접하는 때의 초기 유출속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의 정밀한 시간 계측이 어려워지게 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상이 초기 고정상(200)에 접할 때, 이동상의 유출속도가 과도하게 빠른 경우, 이동상이 고정상(200)을 매체로 하여 침투 및 확산하는 경로 외에도 이동상이 고정상(200)의 표면 위로 흐르는 경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상의 초기 유출속도가 고정상(200)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른 다양한 세기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이동상이 이동상 수용부(400)로부터 다른 유출속도로 유출되더라도, 이러한 유출속도의 변수가 이동상이 고정상(200)으로 확산하는 확산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배리어(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는, 이동상이 고정상(200)의 일 표면 위로 흐르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고정상(200)의 일면에 적층되는 배리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좋게는, 상기 배리어는 2 개 이상으로서 제1 배리어(310) 및 제2 배리어(320)가 고정상(200)의 양측면, 즉,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상(200)의 상면에 위치한 제1 배리어(310)의 하측인 고정상의(200)의 하면의 위치에 제2 배리어(320)가 위치하는 것이 배리어(300)의 측단에 대응되는 고정상(200)의 영역에서 도착홀(112)에 대응되는 고정상(200)의 영역까지의 거리 및 그 거리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속도가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는 측면에서 더욱 좋다.
이렇게 배리어(300)가 더 구비될 경우, 타겟 시간에 대한 고정상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거리는, 고정상(200)의 일 표면 위로 이동상이 흐르는 경로는 배리어(300)와 처음 접촉하는 부분에서 차단되므로, 이동상이 배리어(300)와 접하는 배리어(300)의 일측단에서 도착홀(112)까지의 거리로서 제어된다.
개시홀(111)은 이동상이 고정상(200)으로 침투를 시작한 것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배리어(300)와 이동상 수용부(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홀(111)이 배리어(300)을 넘어서는 위치, 즉, 배리어(300)와 도착홀(112)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 시간이 계측되도록 하는 고정상(200)의 매체 확산경로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주변 환경이 상기 매체 확산경로에 물리/화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정밀한 계측이 방해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고정상(200)은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시트 형상으로 이동상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리어(300)는 이동상과 인접한 고정상(200)의 측단부 일면에 적층되되, 고정상(200)의 폭 전체를 가로질러 적층되어 이동상의 과도한 유출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300)는 고정상(200)의 일 표면 위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막으로서, 이동상이 실질적으로 투과할 수 없는 소재라면 무방하며, 일 예를 든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다양한 플라스틱류, 금속류, 세라믹류, 금속-플라스틱 다층복합체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상의 점도는 상기 고정상(200)의 특성과 함께 제어되어 요구 타겟 시간을 가지도록 조절되면 무방하며, 일 예로 25℃에서 5 내지 100 cps,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 cps,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cps일 수 있다.
상기 이동상은 타겟 온도 미만에서는 고상으로 존재하여 고정상(200)에 접촉되더라도 확산하지 않는 반면, 타겟 온도 이상에서는 액상으로 전환되어 비로소 고정상(200)을 매체로 하여 침투 및 확산하게 된다.
상기 “고상”의 의미는 1 기압에서 이동상이 고정상(200)을 매체로 하여 확산하지 못할 정도의 높은 점도를 가지는 상태 또는 유동성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유동성이 전혀 없는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타겟 온도는 임의적으로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이동상의 녹는점을 조절하여 타겟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상은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며, 성분들의 종류 또는 성분들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동상의 녹는점, 즉, 타겟 온도를 요구 온도로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이동상은 녹는점 조절제 및 확산속도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 및/또는 조성비를 제어함으로써 요구 타겟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녹는점 조절제는 이동상의 녹는점을 제어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무방하며, 예컨대 헵틸카프릴레이트(Heptyl Caprylate),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옥틸카프레이트(Octyl Caprate), 메틸미리스테이트(Methyl Myristate), 에틸미리스테이트(Ethyl Myristate), n-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부틸미리스테이트(Butyl Myristate), 데실카프레이트(Decyl Caprate),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라우릴카프르레이트(Lauryl Caprate), 부틸스테아레이트(Butyl Stearate), 데실미리스테이트(Decyl Myristate), 옥타데실아세테이트(Octadecyl Acetate), 라우릴팔미테이트(Lauryl Palmitate) 및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이 외에도 이동상의 녹는점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확산속도 조절제는 고정상(200)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무방하며, 예컨대 글리세린(Glycerin),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 및 리소레시틴(lysolecithin)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이 외에도 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이동상은 안정제 및 염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정제가 더 사용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는 열악한 환경 또는 장시간의 대기 상태에서도 이동상이 굳거나, 이동상의 성분이 침전, 분리되거나 화학적 변성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염료가 더 사용됨으로써 이동상이 고정상(200)의 개시홀(111) 및 도착홀(112)에 의해 노출된 영역까지 도착하였는지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고정상의 색과 대비되는 색인 것이 식별이 용이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고정상은 백색 계열, 염료는 적색계열 또는 흑색계열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정제는 이동상이 굳거나, 이동상의 성분이 침전, 분리되거나 화학적 변성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무방하며, 예컨대 1-메톡시-2-프로판올(1-Methoxy-2-propanol), 2-메톡시에탄올(2-Methoxyethanol), 2-에톡시에탄올(2-Ethocyethanol),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thoxypropionate)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료는 색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 및 이들의 혼합색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일 예로, 로즈 벤갈(Rose bengal), 클로로페놀 레드(Chlorophenol red), 콩고 레드(Congo red), 크레졸 레드(Cresol red), 메틸 레드(Methyl red), 네츄럴 레드(Natural red), 페놀 레드(Phenol) 및 식용색소 적색2호, 적색3호, 적색102호, 적색103호, 적색106호, 피그먼트 레드 254, 255, 264, 291 등의 적색계 염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상의 조성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상의 녹는점, 즉, 타겟 온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든다면, 이동상 전체 중량에 대하여 녹는점 조절제 55 내지 90 중량%, 확산속도 조절제 5 내지 40 중량%, 염료 0.01 내지 1 중량% 및 안정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타겟 온도에 따라 그 조성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겟 온도 및 그 온도에서의 노출 시간(확산 시간)이 정밀하게 제어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를 제공하므로, 타겟 온도 및 노출 시간은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를 든다면, 대상이 타겟 온도 4 내지 12℃ 이상에서 30 내지 300 분 이상 노출된 시간 이력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8℃ 이상에서 60 분 이상 노출된 시간 이력을 표시할 수 있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를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예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는 하면시트(120) 및 상기 하면시트(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면시트(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면시트(120)의 내부는, 상기 타겟 온도 미만에서 고상인 이동상이 수용되어 밀봉된 이동상 수용부(400);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시트 형상이며, 상기 이동상 수용부(40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상(200); 및 상기 이동상과 인접한 고정상(200)의 측단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되 고정상(200)의 폭 전체를 가로질러 적층되는 제1(상면) 배리어(310) 및 제2(하면) 배리어(320);가 수용되어 상기 상면시트(110)에 의해 덮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시트(110)는, 상기 고정상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상의 확산 유무를 관측할 수 있도록 관통된 개시홀(111); 상기 이동상이 확산하는 방향으로 개시홀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시간 이력을 관측할 수 있또록 관통된 도착홀(112); 및 상기 이동상 수용부(400) 내 이동상이 상기 고정상(200)으로 인위적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이동상 수용부(4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상 수용부(400)는, 상기 관통홀(1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410); 및 상기 돌출부(410)의 하부와 연결된 하측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410)에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상기 하측부(420)의 일부가 찢어져 상기 이동상이 유출되어 고정상(200)으로 침투 및 확산할 수 있다.
배리어(300)의 형태 및 크기 및는 고정상(200)의 일 표면 위로 이동상이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고정상(200)은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시트 형상으로 이동상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리어(300)는 이동상과 인접한 고정상(200)의 측단부 일면에 적층되되, 고정상(200)의 폭 전체를 가로질러 적층되어 이동상의 과도한 유출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배리어는 제1 배리어(310) 및 제2 배리어(320)를 포함하고, 제1 배리어(310)는 고정상(200)의 상면에 위치하며, 제2 배리어(320)는 제1 배리어(310)의 하측인 고정상의(20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리어(300)의 측단에서 도착홀(112)까지의 거리 및 그 거리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속도가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300)는 상기 고정상(200)의 폭보다 클 수 있으며, 배리어(300)의 양측단이 상기 하면시트(120)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상 수용부(40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접힘선과 접하는 함몰부(150)가 상기 상면시트(110) 및/또는 상기 하면시트(120)의 양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0)는 내측으로 움푹 파여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접힘선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100)의 일 영역에 인위적인 물리적 힘을 가할 경우, 상기 가상의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힘을 유도하여 이동상 수용부(400)도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상 수용부(400)로부터 이동상이 유출되고 고정상(200)으로 침투 및 확산하도록 인디케이터(100)를 인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2 내지 도 6의 하면시트(120)는 그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고정상(200), 배리어(300), 이동상 수용부(400) 등이 상기 홈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그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시트는 얇을 수 있으며, 상기 홈 없이 상면시트(110)와 하면시트(120)의 각 평평한 면들이 고정상, 배리어, 이동상 수용부(400) 등을 앞뒤로 압착 및 고정하여, 마치 상면시트(110) 및 하면시트(102)를 필름으로 하여 필름 코팅하듯이 인디케이터(100)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조가 더욱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시트의 두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10 내지 5,000 ㎛, 구체적으로 10 내지 500 ㎛, 구체적으로 20 내지 200 ㎛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는 상기 하면시트(120)의 하부에 적층되는 접착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시트가 더 구비될 경우, 시간온도 인디케이터(100)를 대상에 직접 부착하거나 대상에 인접한 근처에 부착함으로써 대상의 온도변화를 더 정밀하게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상면시트(110) 및 하면시트(120)로 75 mm × 35 mm × 0.15 mm 규격의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사용되었으며, 배리어(300)로 15 mm × 3 mm × 0.15 mm 규격의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사용되었다. 또한 배리어(300)와 도착홀(112) 사이의 이격거리(해당 시간 동안 측정되어야 할 이동상의 고정상에 대한 실제 이동 경로의 길이)는 12 mm였으며, 하기 표 1의 특성을 갖는 종이 재질의 부직포가 고정상으로 사용되었다.
고정상 특성 기 준 범 위 국제기준명
색 상 백 색 -
평 량(GSM, g/m2) 320 TAPPI T-410
두 께 (㎛) 450 -
수분흡수도(초) 210 ASTM D2177
투기도(㎖/min) 1,100 TAPPI T-460
길이(mm) 27.5 -
폭(mm) 8 -
이동상 수용부(400) 내부에 이동상이 충진되고, 이동상으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 및 조성비와 동일한 혼합 잉크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8℃를 초과한 온도 환경(at 1 atm)에서 각 실시예의 조성비에 따른 도착홀(112)까지 확산 시간(분)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동상 성분 실시예
1 2 3
(중량%)
녹는점 조절제 메틸미리스테이트 50 60 60
에틸미리스테이트 35 15 5
확산속도 조절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000(81380, Sigma-Aldrich) 12.9 22.9 32.9
염료 로즈 벤갈(330000, Sigma-Aldrich) 0.1 0.1 0.1
안정제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2 2 2
점도(cps)(at 25℃) 7.5 25 55
도착홀(112)까지 확산 시간(분) 30 60 150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상기 표 2와 같이 이동상의 조성비 및 이동상의 점도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조성비 및 점도를 달리함으로써 이동상이 고정상을 매체로 하여 도착홀(112)까지 확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의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조하고, 10 개씩 한 그룹으로 하여 제조 후 4주, 8주 및 12주 후에 실시예 2와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도착홀(112)까지 확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각각 측정한 결과, 모두 60(±1.0) 분으로서 편차가 사실상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각각 수분흡수도가 100 초 및 420초인 고정상을 사용하고, 도착홀(112)까지 확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60 분이 되도록 확산속도 조절제의 함량 및 점도를 맞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조하고 실험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각각 평량이 140 g/m2 및 520 g/m2 초인 고정상을 사용하고, 도착홀(112)까지 확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60 분이 되도록 확산속도 조절제의 함량 및 점도를 맞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조하고 실험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각각 투기도가 650 ㎖/min 및 1,550 ㎖/min 초인 고정상을 사용하고, 도착홀(112)까지 확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60 분이 되도록 확산속도 조절제의 함량 및 점도를 맞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조하고 실험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각각 두께가 180 ㎛ 및 550 ㎛ 초인 고정상을 사용하고, 도착홀(112)까지 확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60 분이 되도록 확산속도 조절제의 함량 및 점도를 맞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를 제조하고 실험하였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간온도 인디케이터가 제조된 후 4주, 8주 및 12주 후 도착홀(112)까지 확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각각 측정한 결과, 실시예 2의 경우와 비교하여 모두 편차가 ±5 분 이상으로서 편차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00 :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110 : 상면시트,
111 : 개시홀, 112 : 도착홀,
114 : 관통홀, 120 : 하면시트,
150 : 함몰부, 200 : 고정상,
300 : 배리어, 310 : 제1 배리어,
320 : 제2 배리어, 400 : 이동상 수용부,
410 : 돌출부, 420 : 비노출부

Claims (12)

  1. 대상이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 이력을 표시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상기 타겟 온도 미만에서 고상인 이동상이 수용된 이동상 수용부;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시트 형상으로 상기 이동상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상; 및
    상기 이동상과 인접한 고정상의 측단부 일면에 적층되되, 상기 고정상의 폭 전체를 가로질러 적층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상은 상기 타겟 온도 이상에서 액상으로 전환되어 상기 고정상을 매체로 침투 및 확산하며,
    상기 배리어는, 상기 이동상이 상기 고정상의 표면 위로 흐르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이동상이 투과할 수 없는 소재로 이루어져 고정상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이력은 상기 고정상에 대한 이동상의 확산거리를 통해 상기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이 결정되되, 상기 확산거리는 수분흡수도, 두께, 평량 및 투기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상의 특성 및 상기 이동상의 점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은 ASTM D2177 측정법으로 120 내지 300 초의 수분흡수도를 가지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상은 TAPPI T-410 측정법으로 200 내지 400 g/m2의 평량, TAPPI T-460 측정법으로 1,000 내지 1,200 ㎖/min의 투기도 및 400 내지 500 ㎛의 두께를 가지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은 25℃에서 5 내지 100 cps의 점도를 가지며, 녹는점 조절제 및 확산속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녹는점 조절제는 헵틸카프릴레이트(Heptyl Caprylate),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옥틸카프레이트(Octyl Caprate), 메틸미리스테이트(Methyl Myristate), 에틸미리스테이트(Ethyl Myristate), n-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부틸미리스테이트(Butyl Myristate), 데실카프레이트(Decyl Caprate),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라우릴카프르레이트(Lauryl Caprate), 부틸스테아레이트(Butyl Stearate), 데실미리스테이트(Decyl Myristate), 옥타데실아세테이트(Octadecyl Acetate), 라우릴팔미테이트(Lauryl Palmitate) 및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속도 조절제는 글리세린(Glycerin),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 및 리소레시틴(lysolecithi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10. 대상이 타겟 온도 이상에서 노출된 시간 이력을 표시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시간온도 인디케이터는 하면시트 및 상기 하면시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면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면시트의 내부는,
    상기 타겟 온도 미만에서 고상인 이동상이 수용되어 밀봉된 이동상 수용부;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시트 형상이며, 상기 이동상 수용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상; 및
    상기 이동상과 인접한 고정상의 측단부 상하면에 각각 적층되되 고정상의 폭 전체를 가로질러 적층되는 제1 및 제2 배리어;가 수용되어 상기 상면시트에 의해 덮여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리어는, 상기 이동상이 상기 고정상의 표면 위로 흐르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이동상이 투과할 수 없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고정상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상의 확산 유무를 관측할 수 있도록 관통된 개시홀;
    상기 이동상이 확산하는 방향으로 개시홀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시간 이력을 관측할 수 있도록 관통된 도착홀; 및
    상기 이동상 수용부 내 이동상이 상기 고정상으로 인위적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이동상 수용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상 수용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하부와 연결된 하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상기 하측부의 일부가 찢어져 상기 이동상이 유출되어 고정상으로 침투 및 확산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고정상의 폭보다 크며, 배리어의 양측단이 상기 하면시트의 일면과 접하는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KR1020190097569A 2019-08-09 2019-08-09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KR10223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569A KR102235454B1 (ko) 2019-08-09 2019-08-09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569A KR102235454B1 (ko) 2019-08-09 2019-08-09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780A KR20210017780A (ko) 2021-02-17
KR102235454B1 true KR102235454B1 (ko) 2021-04-02

Family

ID=7473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569A KR102235454B1 (ko) 2019-08-09 2019-08-09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4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378A (en) 1992-04-17 1993-06-01 Introtech, Inc. Dual temperature indicator
JP3396748B2 (ja) * 1993-12-01 2003-04-14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感熱インジケータ
JPH0843214A (ja) * 1994-08-04 1996-02-16 Nichiyu Giken Kogyo Kk 感熱インジケータ
GB0116878D0 (en) * 2001-07-11 2001-09-05 Timestrip Ltd Time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780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398B2 (en) Time-temperature indicator and monitoring method for monitoring quality state of thermally sensitive article
CN103210289B (zh) 下临界温度指示设备
US20140048010A1 (en) Freeze indicator employing light scatte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GB2471395A (en) Time temperature monitor
WO2010047527A2 (ko) 정밀 임계 온도 표시기
KR102235454B1 (ko) 시간온도 인디케이터
CA1080555A (en) Method of detecting defective portion of sealing
JPH05149797A (ja) 保存温度管理用インジケーター
JP4976090B2 (ja) 温度履歴インジケータ
US20130168279A1 (en) CONTAINER WITH pH INDICATOR
JP2020515861A (ja) 低温での温度変化を監視するための低温指標混合物、装置および方法
CN205643274U (zh) 时间温度指示装置
US8562208B2 (en) Critical temperature indicator
JPH07151613A (ja) 感熱インジケータ
JP2001503358A (ja) 腐敗しやすい食品のパッケージ
US20030123519A1 (en) Device for monitor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US10908031B1 (en) Stimulus indicating device employing the swelling action of polymer gels
US11808637B2 (en) Stimulus indicating device employing thermoreversible amphiphilic gels
US20220178761A1 (en) Time-temperature exposure indicator with delayed threshold response
EP0567018B1 (en) Chemical composition for indicating lifetime of a product
CN207318359U (zh) 一种缺血修饰白蛋白比色法测定试剂盒
KR102415311B1 (ko) 온도변화 이력 표시기기
JP2001002146A (ja) 酸素検知機能付脱酸素剤包装体
JP5200728B2 (ja) 酸素インジケータ付包装体
WO2021018028A1 (en) A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