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976B1 - 카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76B1
KR102234976B1 KR1020200011975A KR20200011975A KR102234976B1 KR 102234976 B1 KR102234976 B1 KR 102234976B1 KR 1020200011975 A KR1020200011975 A KR 1020200011975A KR 20200011975 A KR20200011975 A KR 20200011975A KR 102234976 B1 KR102234976 B1 KR 10223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lever
neck
pressing body
cap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기
Original Assignee
김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기 filed Critical 김창기
Priority to KR102020001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53Capos, i.e. capo tastos

Abstract

본 발명은 카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되는 넥의 지판과 현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 상기 제2가압체를 구동하는 연동수단을 구비하되, 사용자가 연동수단의 레버를 잡으면 상기 넥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되, 구조를 간단히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2가압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 움직이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현에 동일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카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포 어셈블리{CAPO ASSEMBLY}
본 발명은 카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되는 넥의 지판과 후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 상기 제2가압체를 구동하는 연동수단을 구비하되, 사용자가 연동수단의 레버를 잡으면 상기 넥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되, 구조를 간단히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2가압체가 수평을 유지한 채 움직이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현에 동일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카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카포는 현악기의 현의 진동 길이를 짧게 하는데 사용된다. 카포는 두 개의 플렛(fret) 사이에서 현악기의 넥(neck) 둘레를 가압함으로써, 플렛 상에서 현을 가압, 고정하여 음의 높이(키)를 높이거나, 연주하는 코드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현악기용 카포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1991-0007409호(1991.09.26.) "기타용 카포"(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1은 기타목(넥)에 체결되는 반원형의 몸체와, 몸체의 일측 전단에 핀으로 체결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홈에 체결되면서 기타줄(현)을 압착토로 하는 압봉과, 상기 몸체의 뒤편에 스프링과 핀으로 체결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회동작동에 의해 카포를 기타목에 고정 및 해제토로 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1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용이성이 떨어지고, 제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현악기의 넥에 체결하여 사용하기에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4606호(2014.02.12.) "기타용 카포"(이하 종래 기술 2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2는 기타넥의 배면에 밀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집게부 및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집게부의 회전 위치를 고정 및 해제시켜 주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 2는 위치고정수단으로써, 탄성스프링과 스토퍼와 탄성력조절기를 구비되고, 이에 따라 집게부가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집게부의 스윙에 의하여 지판의 가압이 이루어진 후 위치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이 경우 집게부의 가압력이 다열 배열된 현들에 대하여 동일하게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인접한 부위에 배치된 현에 대하여는 집게부의 가압이 강하게 작용하는데 반하여, 힌지 결합부에서 먼 부위에 배치된 현에 대하여는 집게부의 가압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되므로, 카포를 이용하여 음의 높이나 코드를 변환한 상태에서 연주할 때 각 현들을 고정시키는 가압력이 다르게 되어 현들마다 변환된 음의 높이나 코드가 미세하게 달라 양질의 음악 연주를 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종래기술는 공개특허 제10-2015-0104739호 "현악기용 카포"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 3 이라 함.)
상기 종래기술 3은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된 넥의 지판과,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로 이루어진 현악기용 카포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가 상호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도입하여, 통상적으로 현악기의 지판을 따라 수평으로 배열된 각각의 현들에 대하여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양질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용 카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3은 손잡이를 눌러 가압력을 해정 또는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손으로 동작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빠르게 코드를 변경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복잡한 구조에 의해 고장의 빈도가 증가하여 내구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1가압체가 구비되는 본체와, 제2가압체가 구비되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을 동작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제2가압체와 제1가압체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연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버유닛의 레버를 누르면 상기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가 멀어져 넥을 가압하지 않도록 하고, 레버를 놓으면 탄성부재에 의해 제2가압체(또는 제1가압체)가 움직여 넥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카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함에 따라 구조를 간단히 하고 한손으로 동작이 가능한 카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2가압체가 제1가압체와 평행을 유지하도록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현에 가해지는 압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카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조절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사용하는 현악기의 넥의 두께에 따라 가압력을 달리할 수 있는 카포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포 어셈블리는
현악기에서 넥의 현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와, 상기 제1가압체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제1가압체와 구동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현악기에서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체와, 상기 제2가압체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직선운동하는 인입부재를 포함하는 가압유닛;
상기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와, 상기 제1가압체와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체 일측에 구비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가 제1가압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버유닛;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는 제1톱니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제1톱니부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톱니기어와, 상기 인입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톱니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2톱니부로 이루어지는 연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레버를 상기 제1가압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2가압체가 제1가압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여 넥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상기 레버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레버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가압체와 제1가압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움직임으로서 넥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포 어셈블리는
레버를 누르면 넥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레버를 놓으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가 넥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한 손으로 손쉽게 동작이 가능하여 빠르게 음의 키 또는 코드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가압체와 제1가압체가 서로 평행을 유지한 채 이동하여 상기 넥의 현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각각의 현에 가해지는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함에 따라 정확한 음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의 탄성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 넥에 대응하여 사용함에 따라 범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포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포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포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포 어셈블리의 탄성조절수단의 일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포 어셈블리(A)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가압유닛(20), 레버유닛(30) 및 연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와 가압유닛(20)은 현악기의 넥을 가압하여 음을 조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는 현악기에서 넥의 현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11)와, 상기 제1가압체(11) 일 측에 형성되는 구동부(13) 및 상기 제1가압체(11)와 구동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가압체(11)는 바 형상의 부재로서, 넥의 현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압체(11)의 일 측에는 구동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레버유닛(30)의 회전체(31)를 비롯한 구동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구동부(13)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13)에는 원형의 공간부(13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31)에 후술하는 레버유닛(30)의 회전체(31) 및 탄성부재(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부(131)의 일 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간부(131)에서 상기 제1가압체(11) 방향에는 상기 공간부(131)를 침범하는 원형의 기어안착공간(13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기어안착공간(133)에는 안착돌기(133A)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톱니기어(4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13)와 상기 제1가압체(11) 사이에는 상기 기어안착공간(133)을 침범하도록 형성된 직선형의 가이드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15)에는 후술하는 인입부재(23)가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13)에는 상기 공간부(131)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135)가 별도로 더 구비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135) 내측에 내부덮개가 더 구비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35)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공간부(131)에 인입되는 회전체(31)를 갖는 레버유닛(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버유닛(30)은 상기 공간부(131)에 인입되는 회전체(31)와, 상기 회전체(31) 일 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가압체(11)와 나란한 위치에 구비되는 레버(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회전체(31)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35)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된 부재이고, 상기 회전체(31)의 외면에는 제1톱니부(4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31)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31)에는 상기 공간부(13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가압체(11)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레버(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31)가 구동부(13) 내(공간부(131))에서 공회전하면 상기 레버(33)는 선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13)의 일 측에는 상기 레버(33)의 선회운동을 확보하기 위한 장홀(137)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에는 넥의 후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압유닛(2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가압유닛(20)은 상기 넥의 전면부를 가압하기 위한 제2가압체(21)와, 상기 제2가압체(21)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5) 내에 인입되는 인입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가압체(21)는 상기 제1가압체(11)와 나란하게 위치하되 상기 레버(33)와 제1가압체(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가압체(11)로부터 절곡 형성된 인입부재(23)는 상기 가이드공(15) 내에 인입되어 가이드공(15) 내에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공(15)이 제1가압체(11)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유닛(20)이 사선방향으로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 도면을 기준으로 가이드공(1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가압체(21)를 제1가압체(11)와 평행을 유지한 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레버(33)를 잡으면(상기 제1가압체(11)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가압체(11)와 제2가압체(21)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고, 레버(33)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레버(33)가 원위치 되어 상기 제1가압체(11)와 제2가압체(21)가 가까워져 이들 사이에 끼워지는 넥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동수단(40)을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연동수단(40)은 상기 회전체(31)에 형성되는 제1톱니부(41)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톱니기어(43)와, 상기 인입부재(23)에 형성되는 제2톱니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회전체(31)의 외면 일 측에는 제1톱니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톱니부는 상기 기어안착공간(133)과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안착공간(133)에는 톱니기어(43)가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되며, 이 톱니기어(43)에 상기 제1톱니부(41)가 맞물려 상기 회전체(31)가 공회전하면 상기 톱니기어(43)가 회전체(31)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부재(23)에는 제2톱니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공(15)의 일 측이 상기 기어안착공간(133)을 침범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톱니부(45)가 가이드공(15) 일 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톱니기어(43)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톱니기어(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인입부재(23)는 가이드공(15) 내에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동수단(40)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레버(33)를 잡으면 상기 인입부재(23)가 움직여 상기 제1가압체(11)와 제2가압체(21)가 서로 멀어지게 되면, 상기 레버(33)가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면 상기 제1가압체(11)와 제2가압체(21)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압유닛(20)이 움직여 넥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은 탄성부재(35)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레버(33)를 잡지 않는 경우에는 가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회전체(31)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31)의 회전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공간부(131)의 중앙에 구비되는 끼움돌기(131A)에 끼워지며,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31)의 중앙, 즉 수용공간(311)에 위치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5)가 상기 회전체(31)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35)의 일단은 상기 본체(10)의 구동부(13)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35)의 타단은 상기 회전체(31)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13),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간부(131)에는 상기 탄성부재(35)의 일단이 내삽 되는 고정홈(131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31)에는 상기 탄성부재(35)의 타단이 내삽 되어 고정되는 고정홀(3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31)는 상기 레버(33)가 상기 제1가압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아,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레버(33)를 누르지 않으면 상기 제1가압체(11)와 제2가압체(21)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넥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확보 및 유지하도록 이루어지고,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레버(33)를 잡으면 상기 제1가압체(11)와 제2가압체(21) 사이가 멀어지도록 이루어져 사용자가 카포를 넥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인입부재(23)가 직선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가압유닛(20)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는 상기 제1가압체(11)와 제2가압체(21)가 서로 평행을 유지한 채 상기 제2가압체(21)가 이동되는 것을 의미함으로서, 이에 따라 각각의 현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보다 정확하게 키 또는 음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가압체(11) 또는 제2가압체(21) 또는 이들 모두에는 가압하는 넥의 보호를 위하여 완충부재(C)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 완충부재(C)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탄성조절수단(50)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탄성부재(35)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장착하고자 하는 현악기의 종류에 맞게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조절수단(50)은 상기 커버(135)에 형성되는 이동홀(531)과, 상기 이동홀(531) 일 측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걸림홀(533)로 이루어지는 조절홀(53)과, 상기 탄성부재(35)의 타단이 끼워지도록 제1고정다리(511)와 제2고정다리(513) 및 상기 이동홀(531)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조절봉(517)을 포함하는 조절부재(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조절홀(53)은 상기 커버(135)에 형성되는 곡선형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홀(531)과, 상기 이동홀(531)로부터 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는 걸림홀(533)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홀(533)의 개수는 둘 이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걸림홀(533)을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 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35)의 타단이 끼워지는 조절부재(5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재(51)는 서로 이격된 제1고정다리(511)와 제2고정다리(513)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5)의 타단이 끼워지고, 이 제1고정다리(511) 및 제2고정다리(513)를 연결하는 브릿지(515)가 구비되며, 이 브릿지(515) 단부에 상기 조절봉(517)이 형성되어 이 조절봉(517)이 상기 조절홀(5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5)는 꼬임 정도에 따라 탄성력이 변형되는 스프링의 일종으로, 상기 조절부재(51)를 상기 이동홀(531)을 따라 이동시킨 후, 원하는 탄성력에 맞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홀(533)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35)의 꼬임 정도가 변경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탄성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성조절수단(5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절부재(5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31)에 구비되는 고정홀(313)은 탄성부재(35)의 타단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카포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카포 어셈블리 C : 완충부재
10 : 본체 11 : 제1가압체
13 : 구동부 131 : 공간부
131A : 끼움돌기 131B : 고정홈
133 : 기어안착공간 133A : 안착돌기
135 : 커버 137 : 장홀
15 : 가이드공 20 : 가압유닛
21 : 제2가압체 23 : 인입부재
30 : 레버유닛 31 : 회전체
311 : 수용공간 313 : 고정홀
33 : 레버 35 : 탄성부재
351 : 탄성부재의 일단 353 : 탄성부재의 타단
40 : 연동수단 41 : 제1톱니부
43 : 톱니기어 45 : 제2톱니부
50 : 탄성조절수단 51 : 조절부재
511 : 제1고정다리 513 : 제2고정다리
515 : 브릿지 517 : 조절봉
53 : 조절홀 531 : 이동홀
533 : 걸림홀

Claims (4)

  1. 현악기에서 넥의 현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11)와, 상기 제1가압체(11)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13), 상기 제1가압체(11)와 구동부(13)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15)을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현악기에서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체(21)와, 상기 제2가압체(21)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공(15)에 삽입되어, 가이드공(15) 내에서 움직이는 인입부재(23)를 포함하는 가압유닛(20);
    상기 구동부(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31)와, 상기 제1가압체(11)와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체(31) 일측에 구비되는 레버(33) 및 상기 레버(33)가 제1가압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체(3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버유닛(30);
    상기 회전체(31)에 형성되는 제1톱니부(41)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제1톱니부(41)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톱니기어(43)와, 상기 인입부재(23)에 구비되되 상기 톱니기어(43)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2톱니부(45)로 이루어지는 연동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레버(33)를 상기 제1가압체(11)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2가압체(21)가 제1가압체(11)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여 넥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상기 레버(33)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35)에 의해 레버(33)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가압체(21)와 제1가압체(11)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움직임으로서 넥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체(21)는 상기 제1가압체(11)와 평행을 유지하면서 움직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포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11) 또는 제2가압체(21) 또는 이들 모두에는 완충부재(C)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포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탄성부재(3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넥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포 어셈블리.
KR1020200011975A 2020-01-31 2020-01-31 카포 어셈블리 KR10223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975A KR102234976B1 (ko) 2020-01-31 2020-01-31 카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975A KR102234976B1 (ko) 2020-01-31 2020-01-31 카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976B1 true KR102234976B1 (ko) 2021-04-01

Family

ID=7544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975A KR102234976B1 (ko) 2020-01-31 2020-01-31 카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21Y1 (ko) * 1984-06-30 1986-05-21 금성전선 주식회사 선반용 가공물 고정장치
KR101566188B1 (ko) * 2014-03-06 2015-11-05 김학렬 현악기용 카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21Y1 (ko) * 1984-06-30 1986-05-21 금성전선 주식회사 선반용 가공물 고정장치
KR101566188B1 (ko) * 2014-03-06 2015-11-05 김학렬 현악기용 카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3476B2 (en) Capo tasto
JP5479065B2 (ja) 改善された調整可能なレバーアーム付きカポ
US8581083B2 (en) Stringed instrument practice device
US9190033B2 (en) Capo
US20150013520A1 (en) Capo
CN101833139A (zh) 一种光纤夹具
US7390948B2 (en) Capo applicable to dobro and slide guitars, and other raised-string instruments
KR102234976B1 (ko) 카포 어셈블리
US20110036228A1 (en) Stringed Instrument Improvement
US9508327B2 (en) Pitch adjustment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150310838A1 (en) Self-compensating tunable bridge for string musical instrument
KR101364606B1 (ko) 기타용 카포
JP2020502594A5 (ko)
US8884145B1 (en) Percussion device for cajon
JP2020502594A (ja) 木管楽器用リガチャー
EP2608194B1 (en) Device for modeling (shaping) surface of fret, fret board, or fingerboard of string instrument
JP2007518139A5 (ko)
CN201522843U (zh) 提琴弓手柄
US11398209B2 (en) Clamping mechanism for guitar capo
KR101566188B1 (ko) 현악기용 카포
JP2018525686A (ja) 楽器のマウスピースに単一の振動リー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リガチャー
WO2016111627A1 (en) Clamping device for a string instrument
KR102517578B1 (ko)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US8779257B2 (en) Stringed instrument
WO2022198382A1 (en) Cap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