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188B1 - 현악기용 카포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카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188B1
KR101566188B1 KR1020140026438A KR20140026438A KR101566188B1 KR 101566188 B1 KR101566188 B1 KR 101566188B1 KR 1020140026438 A KR1020140026438 A KR 1020140026438A KR 20140026438 A KR20140026438 A KR 20140026438A KR 101566188 B1 KR101566188 B1 KR 101566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guide member
pressing body
neck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739A (ko
Inventor
김학렬
Original Assignee
김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렬 filed Critical 김학렬
Priority to KR102014002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1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4Brid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용 카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된 넥의 지판과,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로 이루어진 현악기용 카포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가 상호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도입하여, 통상적으로 현악기의 지판을 따라 수평으로 배열된 각각의 현들에 대하여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양질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용 카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는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된 넥의 지판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 현악기에서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며, 내부에 수직공간부가 구비된 제2가압체; 및 상기 제1가압체와 상기 제2가압체가 상호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 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1가압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공간부에 삽입되어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제2가압체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외부 손잡이를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가 상측 방향으로 스윙 변위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상기 안내부재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악기용 카포{CAPO FOR STRINGS}
본 발명은 현악기용 카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된 넥의 지판과,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로 이루어진 현악기용 카포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와 제2가압체가 상호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도입하여, 통상적으로 현악기의 지판을 따라 수평으로 배열된 각각의 현들에 대하여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양질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용 카포에 관한 것이다.
카포는 현악기의 현의 진동 길이를 짧게 하는데 사용된다. 카포는 두 개의 플렛(fret) 사이에서 현악기의 넥(neck) 둘레를 가압함으로써, 플렛 상에서 현을 가압, 고정하여 음의 높이(키)를 높이거나, 연주하는 코드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현악기용 카포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1991-0007409호(1991.09.26.) "기타용 카포"(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1은 기타목(넥)에 체결되는 반원형의 몸체와, 몸체의 일측 전단에 핀으로 체결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홈에 체결되면서 기타줄(현)을 압착토로 하는 압봉과, 상기 몸체의 뒤편에 스프링과 핀으로 체결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회동작동에 의해 카포를 기타목에 고정 및 해제토로 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1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용이성이 떨어지고, 제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현악기의 넥에 체결하여 사용하기에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4606호(2014.02.12.) "기타용 카포"(이하 종래 기술 2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2는 기타넥의 배면에 밀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집게부 및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집게부의 회전 위치를 고정 및 해제시켜 주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 2는 위치고정수단으로써, 탄성스프링과 스토퍼와 탄성력조절기를 구비되고, 이에 따라 집게부가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집게부의 스윙에 의하여 지판의 가압이 이루어진 후 위치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이 경우 집게부의 가압력이 다열 배열된 현들에 대하여 동일하게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인접한 부위에 배치된 현에 대하여는 집게부의 가압이 강하게 작용하는데 반하여, 힌지 결합부에서 먼 부위에 배치된 현에 대하여는 집게부의 가압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되므로, 카포를 이용하여 음의 높이나 코드를 변환한 상태에서 연주할 때 각 현들을 고정시키는 가압력이 다르게 되어 현들마다 변환된 음의 높이나 코드가 미세하게 달라 양질의 음악 연주를 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 2에 따른 카포를 사용할 때 사용 초기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인지할 수 없으나, 상기 종래 기술 2에 따른 카포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탄성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집게부의 스윙 변위 고정력이 동반하여 저하되면서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부각되므로 이에 따라 카포를 추가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순 구조 설계를 통하여 카포의 제조 용이성 확보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하고, 특히 제1, 제2가압체에 의한 가압, 고정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져 모든 현들에 대하여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압, 고정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제2가압체가 상하 수직 직선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현악기용 카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가압체를 사용자가 쉽게 가압,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제1, 제2가압체의 수직방향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고정체를 도입하고, 상기 관통홀의 직경을 상기 안내부재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여 고정체가 스윙 변위된 상태로 안내부재에 고정되어 제1, 제2가압체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현악기용 카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카포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스윙 변위 상태를 강제하는 탄성체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포를 자주 교체해줘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로써, 탄성연결부와 탄성절곡부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을 도입한 현악기용 카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연결부를 제2가압체의 외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이 발휘되는 형태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탄성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탄성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연결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연결부의 일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접촉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현악기용 카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가압체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벌어질 때 안내부재가 제2가압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공간부의 상면 내측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도입하고, 현악기의 넥에서 카포를 분리할 때 고정체에 구비된 손잡이를 쉽게 가압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제1, 제2가압체의 가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이 구비된 현악기용 카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는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된 넥의 지판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
현악기에서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며, 내부에 수직공간부가 구비된 제2가압체; 및
상기 제1가압체와 상기 제2가압체가 상호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 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1가압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공간부에 삽입되어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제2가압체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외부 손잡이를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가 상측 방향으로 스윙 변위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상기 안내부재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2가압체의 수용부에 결합되는 탄성연결부와, 상기 탄성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탄성절곡부로 구성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에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탄성연결부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을 보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에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수직공간부의 상면 내측에 접촉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공간부에는 상기 스토퍼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는 단순 구조 설계를 통해 제조 용이성 확보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제2가압체의 가압, 고정 및 해제가 쉽게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는 제2가압체 내부에 수직공간부를 도입하고 상기 수직공간부에 삽입되면서 제1가압체에 결합되어 제1, 제2가압체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변위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수단을 도입하여 제1가압체가 현악기의 넥의 지판에 배열된 모든 현들에 대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 고정하게 되므로 현들에 다른 음색의 차이가 없으므로 양질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상기 안내부재가 관통하는 고정체의 관통홀의 직경을 안내부재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고, 탄성체를 통해 고정체가 일측으로 스윙 변위되도록 강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제2가압체를 파지하여 누르는 것만으로 쉽게 현악기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분리할 경우 고정체와 연결된 손잡이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자동으로 제1, 제2가압체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는 탄성력 저하가 최소화되는 판스프링을 도입하여 고정체의 스윙 변위 상태를 강제하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카포로써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판스프링의 탄성연결부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유선형 구조로 변위시키는 가압돌기를 도입하여 외측방향으로 발휘되는 탄성력이 더욱 강하게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제2가압체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는 안내부재에 스토퍼와,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도입하여 카포를 현악기에서 분리할 때 손잡이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제1, 제2가압체가 벌어지므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포의 분해 사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카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현악기로써 기타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복수의 현이 넥의 지판에 배치되어 현을 파지한 후 현의 진동을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현악기로써, 기타만이 아니라 우쿨렐레(ukulele), 만돌린, 벤조 등과 같은 다양한 현악기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특히 제1가압체(10)와 제2가압체(20)가 연결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고, 제1, 제2가압체(10)(2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에 따라 전방과 좌측, 후방과 우측을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카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포는 크게 넥(1)의 지판(3)을 가압하여 현(2)을 고정시키는 제1가압체(10)와, 넥(1)의 후면부(4)를 가압하여 카포가 넥(1)에 체결되도록 하는 제2가압체(20) 및 상기 제1, 제2가압체(10)(20)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변위되도록 하는 승강 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체(10)는 상부 분체(11)와 하부 분체(15)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분체(1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상면에 하측방향으로 오목 형성된 부재로써, 후방에 제2가압체(20)가 통과하여 제1, 제2가압체(10)(20)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과부(15A)가 구비된다.
상기 통과부(15A)의 내측면에는 제1가압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소정 깊이로 관통 형성된 체결홈(12)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기타와 관련된 구성은 도 1 참고.), 상기 하부 분체(15)는 상기 상부 분체(11)가 상면을 덮으면서 결합되며, 하측에는 넥(1)의 지판(3)에 배열된 복수의 현(2)(기타의 경우 총 6 줄의 현)을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 패드(16)가 장착되어 있다.
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현(2)들은 각각의 음 높이에 따라 그 직경이 서로 상이한데, 상기 가압 패드(16)는 수평 배열된 현(2)들과 접촉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직경이 작은 현보다 직경이 큰 현이 접촉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압 패드(16)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횡방향(제1가압체(10)의 길이 방향과 수평적으로 직교되는 방향)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며(제1가압체(10)와 제2가압체(20)의 연결부를 직경이 큰 현 방향으로 체결할 경우), 경우에 따라 제1가압체(10) 전체의 횡방향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 패드(16)가 서로 다른 두께의 현들과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지므로 제1가압체(10)의 압력이 어느 현의 한쪽으로만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 패드(16)가 넥(1)의 지판(3)과 하부 분체(15)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각각의 현(2)들은 하부 지판(3)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눌리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직경이 두꺼운 현(낮은 음 높이의 현, 예를 들어 기타의 경우 1번 현)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얇은 현(높은 음 높이의 현, 기타의 경우 2~6번 현들) 보다 가압 패드(16)로 파고드는 깊이가 더 얕게 형성되어 모든 현(2)들에 대하여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분체(15)의 후방에는 상기 상부 분체(11)의 체결홈(12)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5A)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안내부재(31)의 수평몸체부(31A)가 상기 상부 분체(11)의 체결홈(12)에 체결된 상태에서 안내부재(31)와 하부 분체(15)의 지지홈(15A) 사이에 상부 분체(11)의 체결홈(12) 바닥면이 위치하게 되므로 제1가압체(10)의 견고한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상, 하부 분체(11)(15)들 모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한 쌍의 제1측면 분체(미표시)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져, 상기 체결홈(12) 및 지지홈(15A)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후술하는 안내부재(31)의 걸림홈(31b)과 상부 분체(11)의 걸림돌기(미도시)와의 조립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체(10)와 결합되는 제2가압체(20)는 한 쌍의 제2측면 분체(21)가 수평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수직공간부(22) 등의 제조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제2측면 분체(21)의 일측면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제2가압체(20)는 기타 넥(1)의 후면부(4) 형상에 상응하도록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압체(20)의 후방 상측 단부가 상기 제1가압체(10)의 일측에 구비된 통과부(15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1, 제2가압체(10)(20)의 전방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 기타의 넥(1)에 체결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제1, 제2가압체(10)(20)를 기타의 넥(1)에 끼운 후 제1, 제2가압체(10)(20)를 가압하여 누르면 제2가압체(20)의 상측 단부가 상기 통과부(15A)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변위가 이루어져 기타 넥(1)의 지판(3)과 후면부(4)에 가압, 고정되면서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 제1, 제2가압체(10)(20)의 수직 방향 승하강을 위하여 후술하는 승강 수단(30)과 별도로 상기 제1가압체(10)의 통과부(15A)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가압체(20)의 제2측면 분체(21)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홈(28)이 구비된다.
그리고 유선형 구조의 제2가압체(20)의 내측면에는 기타 넥(1)의 후면부(4)에 접촉되는 탄성 패드(29)가 더 구비되어 카포 체결 시 기타 넥(1)에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현악기(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현악기라도)마다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넥(1)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을 보장하여 카포를 견고하게 체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압체(20)의 제2측면 분체(21) 중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벽체(22a)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공간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공간부(22)를 형성하는 벽체(22a)와 제2측면 분체들의 외벽 사이에는 수용부(23)가 형성된다.
다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체(10)와 상기 제2가압체(20)가 상호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승강 수단(30)으로써,
일측이 상기 제1가압체(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공간부(22)에 삽입되어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31)와,
상기 제2가압체(20)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31)가 관통하는 관통홀(33A)과 외부 손잡이(34)를 갖는 고정체(33)와,
상기 고정체(33)가 상측 방향으로 스윙 변위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31)는 상기 수직공간부(22)에 삽입되면서 인출입되는 수직몸체부(31A)와, 상기 수직몸체부(31A)의 상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가압체(10)의 체결홈(12)에 결합되는 수평몸체부(31B)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몸체부(31B)의 외측면에는 걸림홈(31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가압체(10)의 체결홈(12)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31b)에 삽입되어 제1가압체(10)와 안내부재(31)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안내부재와 제1가압체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재(31)의 수평몸체부(31B)를 상기 제1가압체(10)의 체결홈(12)에 삽입하여 걸림돌기와 걸림홈(31b)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나,
제조 용이성 확보 측면에서 상기 상부 분체(11)를 길이방향으로 분리되는 한 쌍의 제1측면 분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부재(31)의 수평몸체부(31B)를 하나의 제1측면 분체 체결홈(12)에 삽입하면서 걸림돌기와 걸림홈(31b)이 결합되도록 한 후에 다른 하나의 제1측면 분체를 결합하는 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가압체(20)에는 상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안내홀(2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분체의 수직공간부(22) 상면(22b)에는 상기 안내부재(31)와 동일한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통과홀(22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체(33)에는 상기 통과홀(22A)과 수직 방향 동일선상에 관통홀(33A)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가 상기 절개부(27)와 관통홀(33A) 및 통과홀(22A)을 지나 수직공간부(22) 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통과홀(22A)은 일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를 상기 고정체(33)의 관통홀(33A)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를 상기 통과홀(22A)에 수평방향으로 삽입한 후 다른 제2측면 분체(21)를 결합하여 상기 안내부재(31)와 상기 제2가압체(2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가압체(10)(20)는 상기 안내부재(31)가 상기 수직공간부(2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변위되면서 오므림, 벌어짐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가압체(10)(특히 상기 가압 패드(16))가 기타 넥(1)의 모든 현(2)들에 대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양질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고정체(33)는 일부가 상기 제2가압체(20)의 후면에 형성된 스윙홀(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부위에는 손잡이(34)가 결합된다. 상기 스윙홀(25)은 제2측면 분체(21)들의 내측면 일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됨으로써 스윙홀(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체(33)의 관통홀(33A) 직경(r2)은 상기 안내부재(31)(수직몸체부(31A))의 직경(r1)보다 소정 간격만큼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 상기 탄성체(35)는 수직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가압체(20)에 구비된 탄성체(3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33)가 전방 단부의 축부(33a)를 기점으로 상측으로 스윙 변위된 상태가 강제되면, 상기 관통홀(33A)의 내측면이 상기 안내부재(31)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가압하여, 안내부재(31)의 승하강 변위를 제한하게 된다.
즉, 도 2의 좌측 상부 단면도 및 도 3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3)의 전방 축부(33a)가 제2가압체(20) 내부에 구속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35)에 의하여 축부(33a)를 기점으로 고정체(33)가 후방 상측을 향하여 스윙 변위된 상태에서는 관통홀(33A)의 직경(r2)이 안내부재(31)의 직경(r1)보다 크더라도 관통홀(33A)의 내측면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안내부재(31)에 접촉되면서 가압하게 되므로 안내부재(31)에 별도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안내부재(31)는 승하강 변위가 제한되어 고정된다.
특히 상기 고정체(33)의 후방이 상측으로 스윙 변위되도록 강제되므로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에 가해지는 하측 방향 압력에 대해서는 고정체(33)의 가압력이 영향을 발휘하지 않아 안내부재(31)가 관통홀(33A)을 통과하여 하강할 수 있는 반면에,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에 가해지는 상측 방향 압력에 대해서는 고정체(33)의 가압력이 작용하여 안내부재(31)가 관통홀(33A)을 통과하여 상승할 수 없다.
또 도 2의 좌측 하부 단면도 및 도 3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4)를 눌러 상기 고정체(33)의 축부(33a)를 기점으로 고정체(33)의 후방을 하강 변위시키면 관통홀(33A)의 내측면이 안내부재(31)의 외주면에서 접촉이 해제되면서 안내부재(31)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소되어 안내부재(31)가 관통홀(33A) 통과하여 승하강 변위(특히 상승)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35)는 상기 제2가압체(20)의 수용부(23)에 결합되는 탄성연결부(36A)와, 상기 탄성연결부(36A)의 상측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33)에 결합되는 탄성절곡부(36B)로 구성된 판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스프링(36)은 하측 단부와 상측 탄성절곡부(36B)가 전방을 향하여 만곡된 유선형 구조를 갖으면서 후방 외측을 향하여 탄성력이 발휘된다.
또 상기 탄성절곡부(36B) 역시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면서 후방 외측을 향하여 탄성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36)의 탄성연결부(36A)가 수용부(23)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탄성절곡부(36B)가 고정체(33)의 하면에 결합(물리적인 결합이 아닌 고정체(33)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는 개념을 포함함.)되어 있으므로 판스프링(36)이 후방 외측을 향하는 탄성력은 상기 고정체(33)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발휘된다.
상기 탄성체(35)로써 공지의 코일스프링을 차용하여 고정체(33) 하부에 설치할 경우 본 발명의 판스프링(36)과 같은 작용을 예상할 수 있으나, 코일스프링의 경우 반복된 동작으로 인하여 탄성력이 저하되기 쉬운 반면에 판스프링(36)은 강판을 굽힘 가공하여 탄성력이 발휘되기 때문에 탄성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포와 같이 소형화된 제품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여의치 않으므로(본 발명은 안내부재(31)에 의하여 제2가압체(20)의 내부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제작 가능한 판스프링(36)을 이용하는 것이 제품의 소형화에 보다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공간부(22)를 형성하는 벽체(22a)에 상기 수용부(23)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22a)를 도입하여, 상기 가압돌기(22a)가 상기 판스프링(36)의 탄성연결부(36A) 중앙을 후방 외측 방향으로 가압,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탄성연결부(36A)의 유선형 구조가 구속된 상태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판스프링(36)의 탄성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탄성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 외주면에는 상기 수직공간부(22)의 상면(22b) 내측에 접촉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32)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공간부(22)에는 상기 수직몸체부(31A)를 둘러싸면서 상기 스토퍼(32)의 하측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7)이 내장된다.
상기 스토퍼(32)는 수직공간부(22) 형상에 맞는 원판 형 부재로써,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 하측 외주면 형성된 결합홈(31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32)가 상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안내부재(31) 역시 상측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고정체(33)를 하측으로 스윙 변위시켜 관통홀(33A)과 안내부재(31)와의 접촉을 해제하게 되면 안내부재(31)가 수직공간부(22)를 타고 상승 변위하게 됨에 따라 제1가압체(10)와 제2가압체(20)가 상호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면 카포가 벌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a, 3b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포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도 3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포의 사용 전 상태에서는 상기 코일스프링(37)이 스토퍼(32)와 안내부재(31)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함에 따라 제1, 제2가압체(10)(20)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33)가 상기 판스프링(36)에 의하여 후방 상측을 향하여 스윙 변위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3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진 상태의 카포를 기타 넥(1)의 체결 위치에 끼운 다음 사용자가 제1가압체(10)와 제2가압체(20)를 파지하여 가압하게 되면 상기 안내부재(31)는 상기 고정체(33)의 관통홀(33A)에 접촉되는 압력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제1, 제2가압체(10)(20)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변위되면서 오므라진다.
제1, 제2가압체(10)(20)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변위됨에 따라 안내부재(31)에 구비된 스토퍼(32)는 상기 코일스프링(37)을 압축시키면서 수직공간부(22)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체(33)는 상기 판스프링(36)에 의하여 상시적으로 후방 상측을 향해 스윙 변위가 강제된 상태이므로 제1, 제2가압체(10)(20)의 오므림 너비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가압을 해제하는 순간 안내부재(31)는 고정체(33)에 의하여 구속, 고정된다.
따라서 오므림 너비에 상관없이 상기 제1, 제2가압체(10)(20)의 오므라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현악기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넥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카포를 사용하여 음악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공지의 카포가 소정 각도(또는 높이) 이상으로 오므라질 경우에만 오므림 상태가 유지됨에 반하여 본 발명은 오므림 너비에 상관없이 상시적으로 오므림 상태가 유지되므로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도 3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악기에서 카포를 분리할 경우 사용자는 제2가압체(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34)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체(33)는 전방의 축부(33a)가 제2가압체(20)에 구속된 상태에서 축부(33a)를 기점으로 하강 스윙 변위된다.
따라서 고정체(33)의 하강 스윙 변위에 의하여 관통홀(33A)과 안내부재(31)의 수직몸체부(31A)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안내부재(31)에 구비된 스토퍼(32)에 코일스프링(37)의 상측 방향 탄성력이 발휘되어 안내부재(31)가 수직공간부(22)를 타고 상승하면서 제1가압체(10)가 자동으로 벌어져 기타 넥(1)에서 카포를 완전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34)에서 손을 떼면 상기 고정체(33)는 판스프링(36)에 의하여 다시 상승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현악기용 카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넥 2 : 현
3 : 지판 4 : 후면부
10 : 제1가압체 11 : 상부분체
11A : 통과부 12 : 체결홈
13 : 가이드 돌기 15 : 하부 분체
15A : 지지홈 16 : 가압 패드
20 : 제2가압체 21 : 측면 분체
22 : 수직공간부 23 : 수용부
24 : 가압돌기 25 : 스윙홀
27 : 안내홀 28 : 가이드 홈
29 : 탄성 패드
30 : 승강 수단 31 : 안내부재
31A : 수직몸체부 31B : 수평몸체부
31a : 결합홈 31b : 걸림홈
32 : 스토퍼 33 : 고정체
33A : 관통홀 34 : 손잡이
35 : 탄성체 36 : 판스프링
36A : 탄성연결부 36B : 탄성절곡부
37 : 코일스프링

Claims (4)

  1. 현악기에서 현이 배열된 넥의 지판을 가압하는 제1가압체;
    현악기에서 넥의 후면부를 가압하며, 내부에 수직공간부가 구비된 제2가압체; 및
    상기 제1가압체와 상기 제2가압체가 상호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 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1가압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공간부에 삽입되어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제2가압체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외부 손잡이를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가 상측 방향으로 스윙 변위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의 직경이 상기 안내부재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수직공간부의 상면 내측에 접촉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공간부에는 상기 스토퍼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카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2가압체의 수용부에 결합되는 탄성연결부와, 상기 탄성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탄성절곡부로 구성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카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탄성연결부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을 보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카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체는 넥의 지판에 배열된 복수의 현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가압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카포.
KR1020140026438A 2014-03-06 2014-03-06 현악기용 카포 KR10156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438A KR101566188B1 (ko) 2014-03-06 2014-03-06 현악기용 카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438A KR101566188B1 (ko) 2014-03-06 2014-03-06 현악기용 카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739A KR20150104739A (ko) 2015-09-16
KR101566188B1 true KR101566188B1 (ko) 2015-11-05

Family

ID=5424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438A KR101566188B1 (ko) 2014-03-06 2014-03-06 현악기용 카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76B1 (ko) * 2020-01-31 2021-04-01 김창기 카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0412A (zh) * 2019-10-16 2021-05-04 深圳市伏荣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吉他变调夹的夹紧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76B1 (ko) * 2020-01-31 2021-04-01 김창기 카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739A (ko)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3476B2 (en) Capo tasto
KR101566188B1 (ko) 현악기용 카포
US7511208B1 (en) Selectable string capo
TW201528247A (zh) 電子鈸用之數位鈸位移控制裝置
US20140013924A1 (en) Capo
US20060249006A1 (en) Snare drum adjustable dampening device
EP3352165A1 (en) Exchangeable pickup support for string musical instrument
TW200712838A (en) Latch mechanism and notebook computer with the latch mechanism
TW202036625A (zh) 按鍵及其鍵盤
KR101806479B1 (ko) 치열교정 브라켓
JP6795823B2 (ja) カポタスト
EP3872805A1 (en) Endpin main body fixing member and fastener, an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fastener
US5553529A (en) Thumbrest ring adapter for musical instrument
JP2018525686A (ja) 楽器のマウスピースに単一の振動リー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リガチャー
US6037533A (en) Saxophone thumb rest and octave key attachments
US11398209B2 (en) Clamping mechanism for guitar capo
CN206134222U (zh) 一种用于弦乐器的滑臂式变调夹
KR101377211B1 (ko) 연주 및 반주 겸용 우쿨렐레
KR102234976B1 (ko) 카포 어셈블리
KR102503764B1 (ko)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JP2006520472A (ja) 支持体との関係において特に時計の反転及び交換を可能にする装置
US20150107437A1 (en) Capo for fretted stringed instru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70049979A (ko) 현악기 연주 보조 기구
WO2016111627A1 (en) Clamping device for a string instrument
US9343045B1 (en) Capo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