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606B1 - 기타용 카포 - Google Patents

기타용 카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606B1
KR101364606B1 KR1020120073825A KR20120073825A KR101364606B1 KR 101364606 B1 KR101364606 B1 KR 101364606B1 KR 1020120073825 A KR1020120073825 A KR 1020120073825A KR 20120073825 A KR20120073825 A KR 20120073825A KR 101364606 B1 KR101364606 B1 KR 10136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po
forceps
elast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562A (ko
Inventor
김상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정밀 filed Critical (주)한국정밀
Priority to KR102012007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6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4Brid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부를 젖혔다가 다시 닫혀지도록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카포를 지판에 고정시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기타용 카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집게부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집게부가 스트링에 가해지는 힘 및 지판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기타용 카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집게부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을 체결 방식으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쉽고 빠르게 돌리면서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기타용 카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카포는, 지판(Finger Board)의 배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힌지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집게부; 및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집게부의 회전 위치를 고정 및 해제시켜 주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에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 상에 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탄성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치부와 밀착되게 탄성지지되는 스톱퍼; 및 이 스톱퍼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해 주는 탄성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타용 카포{CAPO FOR GUITAR}
본 발명은 기타용 카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부의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는 스톱퍼에 의해 이 집게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쉽게 위치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집게부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카포를 쉽고 용이하게 탈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카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로 연주를 하다 보면 조옮김, 즉 코드를 바꿔주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서, 여성이 부르는 Am키를 남성이 부를 수 있도록 Dm키로 바꿔줄 필요가 있다. 또한, 어려운 코의 곡을 쉽게 연주하거나 원곡의 코드를 높이거나 낮춰서 부를 필요가 있게 된다.
이처럼 원래의 코드를 높이거나 낮춰서 기타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카포(Capo 또는 Capotasto)를 지판(Finger Board)에 탈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지판은 기타와 같은 현악기에서 여러 가닥의 스트링(기타줄)이 매여져 있고 그 폭방향으로 플랫이 달려 있는 목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카포는, 특허문헌들에서와 같이, 집게 형태로 제작하여 지판을 중심으로 스트링(기타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스트링의 고정은 스프링 방식이나 나사방식 또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방식이 많이 채택되어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카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코드를 바꾸기 위하여 위치를 변경할 때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2) 특히, 스트링을 눌러주는 집게부의 장력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있기 때문에 기타의 종류 등에 따라 지판의 두께 등이 달라지게 되면 또 다른 카포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3) 이 집게부가 스트링과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원하는 코드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허1) 한국등록실용 제20-0376737호(2005.02.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7229호(2010.12.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집게부를 젖혔다가 다시 닫혀지도록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카포를 지판에 고정시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기타용 카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집게부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집게부가 스트링에 가해지는 힘 및 지판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기타용 카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집게부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을 체결 방식으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쉽고 빠르게 돌리면서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기타용 카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카포는, 지판(Finger Board)의 배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힌지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집게부; 및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집게부의 회전 위치를 고정 및 해제시켜 주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에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 상에 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집게부의 회전 중심을 향하도록 탄성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상기 치부와 밀착되게 탄성 지지되는 스톱퍼; 및 이 스톱퍼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해 주는 탄성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 및 집게부에는 지판과 맞닿는 면에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력조절기는, 일단에 나사산부가 형성되며, 본체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탄성스프링을 지지하는 샤프트; 및 상기 본체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사산부에 체결되어 동작하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캡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스크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용 카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집게부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탄성지지를 받는 치부와의 밀착력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카포를 탈장착할 수 있다.
(2) 본체의 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집게부의 치부를 지지하는 스톱퍼의 탄성력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이 집게부에 의해 지판에 가해지는 장력을 쉽고 정확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기타에 따라 지판 등의 폭이 다르더라도 쉽게 이에 맞게 장력 조절을 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을 돌리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이러한 장력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구성요소별로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포를 지판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여기서, 도면부호 "B"는 코드를 손으로 누르기 위한 기타의 지판(Finger Board)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카포는,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체(100) 및 이 본체(1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지판(B)에 설치된 스트링을 눌러주기 위한 집게부(200), 그리고 이 집게부(200)를 쉽게 지판(B)에 탈장착시켜 주기 위한 위치고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위치고정수단(3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탄성스프링(311)의 탄성지지를 이용하여 집게부(20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카포의 탈장착이 이루어지며, 이 탄성스프링(311)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지판(B)의 배면과 맞닿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원기둥 형상이나 사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내부에 위치고정수단(3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본체(10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본체(100)는, 도 3과 같이, 일단부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작동구멍(121)이 형성되고, 이 작동구멍(121)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의 힌지지지부(12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타단부에 위치고정수단(3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후술하게 될 캡부(322)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스크류(323)를 체결할 수 있도록 고정구멍(130)이 더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0)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지판(B)과 맞닿는 면에 탄성부재(110)가 더 구비된다. 탄성부재(110)는 본체(100)에 의해 지판(B)이 흠집이나 소음 등이 발생하지 않고 부드럽게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집게부(20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구성요소로서, 상단부는 상기 힌지지지부(120)에 힌지고정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이 선단부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 상에 위치하도록 치부(220)가 형성된다. 치부(22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일종의 치형으로서 후술하게 될 스톱퍼(310)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되는데, 집게부(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치부(220)가 스톱퍼(310)를 강제로 가압하면서 타고 넘어가면서 집게부(200)의 탈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치부(220)는, 스톱퍼(310)가 이 치부(220)를 타고 넘어가기 전에는 집게부(20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다시 이 스톱퍼(310)과 치부를 타고 넘어가게 되면 벌어졌던 집게부(200)가 접혀지면서 지판(B)과 맞닿을 수 있게 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게부(200)에는 지판(B)과 맞닿게 되는 면에 탄성부재(210)를 더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10)는 상술한 탄성부재(110)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부(200)는 "ㄱ"자 형상의 가로 부분의 길이를 결정함에 있어서 지판(B)의 폭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함으로써, 집게부(200)가 스트링을 눌러주었을 때에 이들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코드를 정확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카포는 본체(100)를 잡고 집게부(2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본체(100)를 회전시키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치고정수단(300)은, 도 1과 같이, 탄성스프링(311)의 지지를 받는 스톱퍼(310)와, 이 탄성스프링(311)의 탄성력을 조절해 주기 위한 탄성력조절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톱퍼(3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작동구멍(121)을 통해 본체(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때 스톱퍼(310)는 탄성스프링(311)의 지지를 받으면서 치부(220)와 맞닿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스톱퍼(310)는 집게부(2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치부(220)에 의해 점차 압착되었다가 이 치부(220)의 선단이 지나가게 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집게부(2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스톱퍼(310)는 집게부(200)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여 치부(220)를 계속 탄성지지하여 집게부(200)가 지판과 탄성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력조절기(32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탄성스프링(311)을 지지하는 샤프트(321) 및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도록 이 샤프트(321)와 체결 방식으로 장착된 캡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321)는 일종의 블럭으로서, 탄성스프링(311)의 일단,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스톱퍼(31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탄성스프링(311)을 지지해 주게 된다. 이러한 샤프트(321)에는 탄성스프링(311)과 맞닿지 않는 단부에 나사산부(321a)가 형성된다.
캡부(322)는 본체(100)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특히, 상기 나사산부(321a)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3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에는 상술한 고정스크류(323)에 의해 더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멍(322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력조절기(320)는 기본적으로 고정스크류(323)에 의해 캡부(322)가 고정되어 있게 되나, 필요에 따라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스크류(323)를 분리한 다음 캡부(3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샤프트(321)와의 간격조절을 통해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다시 고정스크류(323)로 고정시켜서 탄성력 조절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접힘과 펼침 동작 만으로 쉽고도 편리하게 카포를 탈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힘과 펼침시 필요한 탄성력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210 : 탄성부재
120 : 힌지지지부
121 : 작동구멍
130 : 고정구멍
200 : 집게부
220 : 치부
300 : 위치고정수단
310 : 스톱퍼
311 : 탄성스프링
320 : 탄성력조절기
321 : 샤프트
322 : 캡부
323 : 고정스크류

Claims (4)

  1. 지판(Finger Board)의 배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힌지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집게부(200); 및 상기 본체(1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탄성지지를 받아 상기 집게부(200)의 회전 위치를 고정 및 해제시켜 주는 위치고정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집게부(200)에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 상에 형성된 치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수단(300)은 집게부(200)의 회전 중심을 향하도록 탄성스프링(311)의 탄성 지지를 받아 상기 치부(220)와 밀착되게 탄성 지지되는 스톱퍼(310); 및 이 스톱퍼(31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해 주는 탄성력조절기(3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조절기(320)는, 일단에 나사산부(321a)가 형성되며, 본체(100)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탄성스프링(311)을 지지하는 샤프트(321); 및 상기 본체(10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사산부(321a)에 체결되어 동작하는 캡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카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및 집게부(200)에는 지판과 맞닿는 면에 탄성부재(110,2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카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캡부(322)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스크류(32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카포.
KR1020120073825A 2012-07-06 2012-07-06 기타용 카포 KR10136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25A KR101364606B1 (ko) 2012-07-06 2012-07-06 기타용 카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25A KR101364606B1 (ko) 2012-07-06 2012-07-06 기타용 카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62A KR20140006562A (ko) 2014-01-16
KR101364606B1 true KR101364606B1 (ko) 2014-02-20

Family

ID=5014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825A KR101364606B1 (ko) 2012-07-06 2012-07-06 기타용 카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6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96A (ko) 2015-05-27 2016-12-07 이승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포
KR20240005541A (ko) 2022-07-05 2024-01-12 박정선 집게형 기타 카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26B1 (ko) * 2017-08-14 2019-10-17 배원철 기타의 연주보조장치
CN112750412A (zh) * 2019-10-16 2021-05-04 深圳市伏荣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吉他变调夹的夹紧机构
CN113287163A (zh) * 2021-03-22 2021-08-20 深圳市伏荣科技开发有限公司 变调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4898B2 (ja) * 2001-04-24 2004-11-04 ヤマハ株式会社 ドラム用フットペダル装置
KR20080107108A (ko) * 2007-06-05 2008-12-10 옥기수 개방방지 및 자동 폐쇄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레일의스톱퍼장치
US7968778B2 (en) * 2009-04-28 2011-06-28 D'addario & Company, Inc. Tuner with cap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4898B2 (ja) * 2001-04-24 2004-11-04 ヤマハ株式会社 ドラム用フットペダル装置
KR20080107108A (ko) * 2007-06-05 2008-12-10 옥기수 개방방지 및 자동 폐쇄기능이 구비된 슬라이드레일의스톱퍼장치
US7968778B2 (en) * 2009-04-28 2011-06-28 D'addario & Company, Inc. Tuner with cap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196A (ko) 2015-05-27 2016-12-07 이승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포
KR20240005541A (ko) 2022-07-05 2024-01-12 박정선 집게형 기타 카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62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606B1 (ko) 기타용 카포
US4592265A (en) Foldable leg res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8779262B1 (en) Capo
US8119892B2 (en) Latch for travel guitar with hinged neck
WO2009111378A3 (en) Shoulder rom orthosis
US9190033B2 (en) Capo
US10410613B2 (en) Flute with enhanced flute-finger connection
US20110122626A1 (en) Electronic book
KR20100134327A (ko) 색소폰용 스탠드
JP2007518139A5 (ko)
US10002593B2 (en) Guitar capo applicable to different kinds of guitars
US10665212B2 (en) String bow practicing aid
JP2018155839A (ja) カポタスト
WO2008071556A3 (de) Kapodaster
US4252046A (en) Pressure bar for a capo tasto
BRPI0418043A (pt) dobradiça para móveis com mola
US10535326B2 (en) Illuminating bow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CN207217091U (zh) 一种单手操作按压式变调夹
US10013957B2 (en) Tension redistributing and balancing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US8546671B2 (en) Accessory for string instruments
US11398209B2 (en) Clamping mechanism for guitar capo
JP5016124B1 (ja) 自転車用ハンドライト固定具
CN203288227U (zh) 吉他用滚轮变调夹
CN205881434U (zh) 一种多功能变调夹
CN212484916U (zh) 一种吉他变调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