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694B1 -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 Google Patents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694B1
KR102234694B1 KR1020200103993A KR20200103993A KR102234694B1 KR 102234694 B1 KR102234694 B1 KR 102234694B1 KR 1020200103993 A KR1020200103993 A KR 1020200103993A KR 20200103993 A KR20200103993 A KR 20200103993A KR 102234694 B1 KR102234694 B1 KR 10223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halk
guide tube
edge structu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점래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to KR102020010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03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05Straightedges combined with other draw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관, 상기 전방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후방쪽으로 슬라이딩 신축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방관을 포함하는 표시봉; 상기 전방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분필의 전방 돌출과 멈춤을 가능하게 하는 엣지구조;를 포함하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분필을 가이드관에 삽입하여 커버의 가압에 의해 일정간격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분필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 효율이 증진되고,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스케일을 표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Marking rod for structure inspection with measure function}
본 발명은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분필을 가이드관에 삽입하여 커버의 가압에 의해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분필의 압출이 용이하고 분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및 사용성에 큰 영향을 주는 균열의 계측 및 분석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진단, 수명 예측 등을 위한 조사, 진단 항목의 하나로 유지관리 측면에서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정기적인 안전점검이 수행되고, 태풍 및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점검이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2637호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이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선단에 분필이 장착되는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의 관체 다수가 축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데, 전방측 관체가 후방측 관체 내부에 삽입되고, 전방측 관체가 후방측 관체에서 인발됨에 따라 전체 관체 연결체가 신장되며, 분필의 직경을 초과하는 내경을 가지는 최 전방측 관체의 후단은 내부마개가 탈부착됨에 따라 개폐되고, 최 후방측 관체의 후단은 후단마개가 탈부착됨에 따라 개폐되며, 전방측 관체가 후방측 관체에 삽입되어 전체 관체 연결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 최 후방측 관체 후단의 후단마개를 분리한 후, 최 전방측 관체를 후퇴시키면, 최 전방측 관체의 후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이 상태에서 최 전방측 관체 후단에 결합된 내부마개가 분리되면, 최 전방측 관체 내부로 여분의 분필 다수가 수납 및 인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나선돌부에 체결고정된 분필을 밀착부로 밀착시키면서 케이싱의 나사 회전으로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는 분필의 길이를 조절하고, 돌출된 분필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할 수는 있으나, 상기 분필이 체결고정된 나선돌부와 상기 분필에 밀착된 밀착부 길이만큼의 분필을 사용할 수 없어 분필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케이싱에 하나의 분필만 사용 가능하고, 분필을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표시만 가능할 뿐 길이의 측정은 눈데중으로 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26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분필을 가이드관에 삽입하여 커버의 가압에 의해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분필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 효율이 증진되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스케일을 표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분필을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유동 없이 수용함으로써 분필의 파손이 방지되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은, 전방관, 상기 전방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후방쪽으로 슬라이딩 신축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방관을 포함하는 표시봉; 상기 전방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분필의 전방 돌출과 멈춤을 가능하게 하는 엣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봉의 후부를 막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필의 전방 돌출과 멈춤은 상기 전방관과 하나 이상의 후방관이 모두 슬라이딩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작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표시봉의 후부를 막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의 전방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봉의 외곽을 둘러싸는 둘레판과, 상기 막음판의 전방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전방으로 압입하는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판은 상기 표시봉에 슬라이딩 신축되고, 상기 압입부는 상기 가이드관을 전방으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분필의 전방 돌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엣지구조는 상기 가이드관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둘 이상으로 분할됨으로써, 상기 가이드관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분필도 전방으로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전방이 상호 벌어지고, 상기 가이드관이 후방으로 복귀할 때 전방이 상호 수축되어 상기 분필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는 상기 전방관의 내측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관의 후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관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관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후방으로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관은 내면이 상기 엣지구조와 가이드관의 외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봉의 외측에는 스케일이 표시되어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엣지구조는 하나의 부재가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엣지구조는 두께가 동일한 내측부재에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외측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엣지구조는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가 부착되거나, 또는 내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분필을 가이드관에 삽입하여 커버의 가압에 의해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분필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 효율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스케일을 표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다.
또한, 분필을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유동 없이 수용함으로써 분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분필을 결합하는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으로 구조물에 표시하는 상태도
도 6은 도 5에 의해 표시된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으로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9는 도 8에 의해 표시된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전방관의 다른 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전방관의 또 다른 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엣지구조의 또 다른 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엣지구조의 또 다른 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100)은, 표시봉(110), 가이드관(120), 엣지구조(1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봉(110)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전방관(111), 후방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관(111)은 내부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후방관(112)은 상기 전방관(111)의 외측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후방쪽으로 슬리이딩 신축될 수 있다. 전방관(111)과 후방관(112) 및 후방관(112) 상호간의 연결부에는 나사가 구비되거나 억지 끼움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나사는 연결부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부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연결부의 일부 중앙부에만 나사를 형성함으로써 적은 회전수로 고정하거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동시에 관체 상호간에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나사를 2 내지 3회전 정도만 형성하는 경우 신속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가이드관(120)은 상기 전방관(111) 내부에 설치되어 분필(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관(120)은 하나 이상의 분필(20)을 수용하는 것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관(1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분필(20)의 전방 돌출과 멈춤을 가능하게 하는 엣지구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구조(130)는 가이드관(12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둘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엣지구조(130)는 분필(20)의 둘레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분할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엣지구조(130)는 가이드관(12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분필(20)이 전방으로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전방이 상호 벌어지고, 가이드관(120)이 후방으로 복귀할 때 전방이 상호 수축되어 분필(20)에 밀착됨으로써 분필(20)을 고정할 수 있다.
복수개로 분할된 엣지구조(130)는 후방 단부의 일부가 가이드관(12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엣지구조(130)가 3개로 분할된 경우, 분할된 각각은 후방의 외면이면서 중간부분이 가이드관(12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가이드관(120)과의 결합은 대부분 절개되고 일부만 남겨둔 구조이거나, 또는 별도의 테이프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가이드관(120)이 전방으로 나아갈 때 엣지구조(130)도 함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전방이 벌어지고, 가이드관(120)이 후방으로 후퇴할 때 엣지구조(130)도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가이드관(120)의 내면에 의해 수축할 수 있다.
엣지구조(130)는 하나의 부재가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두께가 동일한 원통 형상의 내측부재에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쐐기 형상의 외측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엣지구조(130)는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132)가 부착되거나, 또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132)나 요철은 분필(2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관(120)의 내면은 분필(20)보다 미소하게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분필(20)이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분필(20)을 가이드관(120)에 삽입한 후 후방쪽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가이드관(120)의 후단부는 직경이 분필(20)과 적절히 밀착되게 하거나, 별도의 부재가 부착되어 삽입된 분필(20)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관(120)에 삽입된 분필(20)이 후방으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봉(110)의 후부를 막는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40)는 막음판(141), 둘레판(142), 압입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막음판(141)은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표시봉(110)의 후부를 막을 수 있다.
둘레판(142)은 상기 막음판(141)의 전방 둘레에 결합되어 표시봉(110)의 후단 외주면을 감싸면서 표시봉(110)에 슬라이딩 신축될 수 있다. 둘레판(142)의 내부 전방과 표시봉(110)의 외부 후부에는 1 내지 3회 정도의 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나사는 커버(140)가 표시봉(110)에 신속하게 결합되게 하고, 동시에 커버(140)가 표시봉(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커버(140)가 표시봉(1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신축하게 할 수 있다. 이 슬라이딩 신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필(20)을 전방으로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둘레판(142)과 표시봉(110)은 후크 타입으로 분리를 방지하면서 둘레판(142)이 표시봉(1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신축되게 할 수 있다.
압입부(143)는 막음판(141)의 전방 중앙부에 구비되어 가이드관(120)을 전방으로 압입할 수 있다. 압입부(143)는 가이드관(120)을 전방으로 압입함으로써 분필(20)의 전방 돌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분필(20)은 가이드관(120)에 내장되어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분필(20)의 전방 돌출과 멈춤은 전방관(111)과 하나 이상의 후방관(112)이 모두 슬라이딩 수축된 상태에서 커버(140)의 작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가이드관(1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압입된 가이드관(120)과 커버(140)를 복원시키는 스프링(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의 전단부는 전방관(111)의 내측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가이드관(120)의 후부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데, 스프링(150)의 전단부는 전방관(111) 내측에 결합된 전방리브(151)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가이드관(120) 후부에 결합된 후방리브(152)에 지지될 수 있다. 전방리브(151)의 내면은 가이드관(120)의 외면에 접하여 가이드관(120)이 잘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방리브(152)의 외면은 전방관(111)의 내면에 접하여 가이드관(120)이 좌우 유동 없이 잘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전방관(111)의 내면에 결합되고 가이드관(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후방으로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리브(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리브(121)는 엣지구조(130)의 후단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방관(111)은 내면이 상기 엣지구조(130)와 가이드관(120)의 외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관(111)의 내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로 직경이 점차 축소되다가 일정하게 유지된 후 다시 확장될 수 있다. 점차 축소되는 부분은 엣지구조(13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의 확장된 부분에는 스프링(15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확장된 단차부에 스프링(150)의 전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봉(110) 외측에는 분필(20)로 표시한 길이를 측정하는 스케일(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160)은 전방관(111)과 후방관(112)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봉(110)으로부터 커버(14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커버(140)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둘레판(142)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가 후방관(11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를 따라 회전하여 분리되고, 둘레판(142)의 나사가 후방관(112)의 나사에서 이탈되면, 커버(140)를 표시봉(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커버(140)가 분리되어 가이드관(120)의 후부가 개방되면, 가이드관(120) 내부로 분필(20)을 삽입할 수 있다. 분필(20)은 하나 이상 삽입할 수 있다. 분필(20)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가이드관(120)의 길이에 맞게 삽입할 수 있다. 복수의 분필(20)을 가이드관(120)에 삽입하여 선단의 분필(20)이 엣지구조(130)에 위치하고, 후단의 분필(20)이 가이드관(120) 후단쪽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관(120) 내부에서 분필(20)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분필(20)이 가이드관(120) 내부로 삽입되면, 커버(1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봉(110)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140) 둘레판(142)의 나사가 후방관(112) 외면의 나사를 따라 회전하여 결합되고, 둘레판(142)의 나사가 후방관(112) 외면의 나사를 통과하여 걸림으로서 커버(140)는 표시봉(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후방관(112)의 나사를 통과한 둘레판(142)의 나사는 후방관(112) 외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정도로 접하고, 후방관(112) 외면의 나사 역시 둘레판(142) 내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정도로 접함으로써 커버(140)가 표시봉(110) 외면을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이때 커버(140)의 압입부(143)는 가이드관(120)의 후단부에 형성된 후방리브(152)와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커버(140)가 표시봉(110)에 결합되면, 작업자는 막음판(141)을 가압하여 커버(140)를 표시봉(110) 전방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140)는 둘레판(1142)이 후방관(112)의 외면을 따라 표시봉(110) 전방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압입부(143)는 후방리브(152)를 가압할 수 있다. 후방리브(152)는 스프링(150)의 후단부를 가압하면서 가이드관(120)이 전방관(111)의 내부를 따라 전방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150)의 후단부가 가압될 때, 스프링(150)의 전단부는 전방관(111) 내부의 전방리브(151)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커버(140)의 가압력에 의해 따라 스프링(150)이 압축되고, 동시에 가이드관(120)은 표시봉(110) 전방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관(120)과 가이드관(120)에 삽입된 분필(20)이 표시봉(110) 전방쪽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관(120) 전단부의 엣지구조(130)는 전방관(111) 외부로 돌출되고, 동시에 절개된 엣지구조(130)는 전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선단 분필(20')의 가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커버(140)의 이동되는 길이만큼 엣지구조(130)와 선단 분필(20')이 표시봉(110) 외부로 돌출되면, 커버(140)의 막음판(141)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커버(14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압축된 스프링(150)의 복원력으로 커버(140), 가이드관(120) 및 가이드관(120)에 결합된 엣지구조(130)는 후방쪽으로 이동되어 복원될 수 있고, 커버(140)의 둘레판(142)에 형성된 나사가 후방관(112)의 나사에 걸림으로써 커버(140) 및 가이드관(120)의 복원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관(120)의 전단에 결합된 엣지구조(130)가 가이드관(120) 내면에 밀착되어 오므라들어 돌출된 선단 분필(2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선단 분필(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선단 분필(20')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엣지구조(130)의 내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132)가 부착되거나, 또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단 분필(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관(120)의 이동시, 전방관(111) 내부에 결합된 가이드리브(121)와 전방리브(151), 가이드관(120) 외면에 결합된 후방리브(152)에 의해 가이드관(120)은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관(120) 외면에 접하도록 전방관(111)이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리브(121), 전방리브(151), 후방리브(152) 등이 없이도 가이드관(120)은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의 과정으로 선단 분필(20')이 표시봉(110) 전방으로 돌출되면, 선단 분필(20')을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에 밀착시킨 후, 표시봉(110)을 이동시키면서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단 분필(20')이 표시한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의 길이를 표시봉(110) 외측에 표시된 스케일(160)로 측정할 수 있다. 표시봉(110) 전방으로 돌출된 선단 분필(20')이 닳으면, 상기 커버(140)를 가압하여 표시봉(110) 전방으로 분필을 돌출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봉(1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데, 복수의 후방관(112)을 전방관(111) 후방쪽으로 순차적으로 인출시켜 각 관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후방관(112) 및 전방관(111)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체가 결합되어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표시봉(1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인출되는 선단 관의 후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후단 관의 전단에 형성된 턱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거나 선단 관의 후단과 후단 관의 전단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선단 관이 후단 관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봉(110)은 선단 관의 턱과 후단 관의 턱이 억지로 밀착되어 발생하는 마찰력 또는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각 관은 연결력을 유지하면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선단 관의 후단과 후단 관의 전단에 형성된 나사는 폭이 넓게 형성되거나 또는 2 내지 3회전 정도로 짧게 형성되어 표시봉(110)의 길이 조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의 과정으로 표시봉(110)의 길이가 조정된 상태에서, 표시봉(1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선단 분필(20')을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에 밀착시킨 후, 표시봉(110)을 이동시키면서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선단 분필(20')이 표시한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의 길이를 표시봉(110) 외측에 표시된 스케일(160)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봉(110) 전방으로 돌출된 선단 분필(20')이 닳으면, 전방관(111)과 후방관(112)의 연결부의 연결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후방관(112)을 전방관(111) 전방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각 관을 인입시키고, 상기 커버(140)를 가압하여 표시봉(110) 전방으로 분필을 돌출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분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못쓰고 버리는 분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구조물 점검 표시봉
110: 표시봉
111: 전방관
112: 후방관
120: 가이드관
121: 가이드리브
130: 엣지구조
140: 커버
141: 막음판
142: 둘레판
143: 압입부
150: 스프링
151: 전방리브
152: 후방리브
160: 스케일

Claims (9)

  1. 전방관, 상기 전방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후방쪽으로 슬라이딩 신축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방관을 포함하는 표시봉;
    상기 전방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분필의 전방 돌출과 멈춤을 가능하게 하는 엣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봉의 후부를 막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필의 전방 돌출과 멈춤은 상기 전방관과 하나 이상의 후방관이 모두 슬라이딩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작동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표시봉의 후부를 막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의 전방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봉의 외곽을 둘러싸는 둘레판과, 상기 막음판의 전방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전방으로 압입하는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판은 상기 표시봉에 슬라이딩 신축되고, 상기 압입부는 상기 가이드관을 전방으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분필의 전방 돌출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엣지구조는 상기 가이드관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둘 이상으로 분할됨으로써,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전방관의 전방 외측인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분필도 전방으로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전방이 상호 벌어지고,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전방관의 내측인 후방으로 복귀할 때 전방이 상호 수축되어 상기 분필에 밀착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는 상기 전방관의 내측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관의 후부에 지지되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관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관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후방으로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관은 내면이 상기 엣지구조와 가이드관의 외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봉의 외측에는 스케일이 표시되어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엣지구조는 내부에 미끄럼방지부재가 부착되거나, 또는 내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KR1020200103993A 2020-08-19 2020-08-19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KR10223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93A KR102234694B1 (ko) 2020-08-19 2020-08-19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93A KR102234694B1 (ko) 2020-08-19 2020-08-19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694B1 true KR102234694B1 (ko) 2021-04-01

Family

ID=7544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993A KR102234694B1 (ko) 2020-08-19 2020-08-19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52B1 (ko) 2022-07-12 2022-09-21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82B1 (ko) * 2007-04-23 2008-04-02 정광수 샤프펜슬의 구조
KR101792637B1 (ko) 2017-03-15 2017-11-01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필 적재형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
KR101953160B1 (ko) * 2018-10-12 2019-02-28 (주)한맥기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도 작성을 위한 균열 표식 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82B1 (ko) * 2007-04-23 2008-04-02 정광수 샤프펜슬의 구조
KR101792637B1 (ko) 2017-03-15 2017-11-01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필 적재형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
KR101953160B1 (ko) * 2018-10-12 2019-02-28 (주)한맥기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도 작성을 위한 균열 표식 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52B1 (ko) 2022-07-12 2022-09-21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694B1 (ko)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DE102014013822B4 (de) Bedienverfahren für ein Gasspürgerät
JP2012013666A (ja) 内部に孔口径より大きな孔径を持つボーリング孔等の孔径計測装置
JP5872878B2 (ja) 携帯式岩石磨耗能測定具、測定補助具、及び当該測定具の圧縮バネ付勢力設定装置
KR102116358B1 (ko) 구조물 점검 표시봉
US2451600A (en) Tube gauge
US10605693B2 (en) Reaction force measuring device, degradation diagnosing method and degradation diagnosing device
US2822620A (en) Gauge for measuring inside diameters
CN210603038U (zh) 一种内沟槽尺寸的测量装置
US2758383A (en) Chamfer gauge
US3222789A (en) Linear measuring instruments
CN216081202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零件尺寸检测用的外径千分尺
KR102311101B1 (ko)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CN210603027U (zh) 一种测量台阶孔精度的塞规
CN113587799A (zh) 一种pe管中段壁厚测量装置及方法
WO2022213399A1 (zh) 链条松紧度测量装置
CN109443252B (zh) 一种混凝土芯样用垂直度检测系统
EP0535123A1 (en) Measuring meat tenderness
CN209570097U (zh) 一种接杆可伸缩的内径百分表
CN215572947U (zh) 一种建筑工程质量检测尺
CN219799534U (zh) 一种伸缩验电器
CN113494881A (zh) 一种pe管测厚装置及方法
US6367341B1 (en) Slidable fixture positioner
CN219265197U (zh) 一种爆破孔的测量装置
CN212482356U (zh) 一种内沟槽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