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58B1 - 구조물 점검 표시봉 - Google Patents

구조물 점검 표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58B1
KR102116358B1 KR1020200002876A KR20200002876A KR102116358B1 KR 102116358 B1 KR102116358 B1 KR 102116358B1 KR 1020200002876 A KR1020200002876 A KR 1020200002876A KR 20200002876 A KR20200002876 A KR 20200002876A KR 102116358 B1 KR102116358 B1 KR 10211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le
writing instrument
screwed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진
정찬구
백중현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20000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가 있는 폴대; 및 상기 폴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분필과 같은 필기구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분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점검 표시봉{Structure check rod}
본 발명은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분필과 같은 필기구를 유동 없이 수용함으로써, 분필의 파손이 방지되고, 표시 작업이 용이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 및 사용성에 큰 영향을 주는 균열의 계측 및 분석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진단, 수명 예측 등을 위한 조사, 진단 항목의 하나로 유지관리 측면에서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정기적인 안전점검이 수행되고, 태풍 및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점검이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2637호에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이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선단에 분필이 장착되는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의 관체 다수가 축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되, 전방측 관체가 후방측 관체 내부에 삽입되고, 전방측 관체가 후방측 관체에서 인발됨에 따라 전체 관체 연결체가 신장되며, 분필의 직경을 초과하는 내경을 가지는 최 전방측 관체의 후단은 내부마개가 탈부착됨에 따라 개폐되고, 최 후방측 관체의 후단은 후단마개가 탈부착됨에 따라 개폐되며, 전방측 관체가 후방측 관체에 삽입되어 전체 관체 연결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 최 후방측 관체 후단의 후단마개를 분리한 후, 최 전방측 관체를 후퇴시키면, 최 전방측 관체의 후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이 상태에서 최 전방측 관체 후단에 결합된 내부마개가 분리되면, 최 전방측 관체 내부로 여분의 분필 다수가 수납 및 인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나선돌부에 체결고정된 분필을 밀착부로 밀착시키면서 케이싱의 나사 회전으로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는 분필의 길이를 조절하고, 돌출된 분필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분을 표시할 수는 있으나, 상기 분필이 체결고정된 나선돌부와 상기 분필에 밀착된 밀착부 길이만큼의 분필을 사용할 수 없어 분필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케이싱에 하나의 분필만 사용 가능하고, 분필을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표시만 가능할 뿐 길이의 측정은 눈데중으로 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26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필과 같은 필기구를 케이스에 유동 없이 수용함으로써 필기구의 파손이 방지되는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필과 같은 필기구를 복수개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필기구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 효율이 증진되는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봉에 스케일을 표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 점검 표시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물 점검 표시봉은,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가 있는 폴대; 및 상기 폴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폴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필기구; 및 상기 케이스의 후부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필기구의 전방으로의 돌출의 정도를 조정하는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전방 내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필기구의 외면과 접하는 전방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테두리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필기구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원통 형상의 부재의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서, 탄성 수축하여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후, 펼쳐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내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필기구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보조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링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대의 표면에 표시된 스케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필과 같은 필기구를 케이스에 유동 없이 수용함으로써 필기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분필과 같은 필기구를 복수개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필기구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 효율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봉에 스케일을 표시함으로써 균열 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표시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부의 다른 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표시부의 또 다른 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물 점검 표시봉에 스케일이 표시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구조물 점검 표시봉의 표시부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물 점검 표시봉(100)은,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하는 것으로, 폴대(110), 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대(110)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체가 인입 및 인출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관체의 연결부에는 나사가 구비되거나 억지 끼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연결부에 나사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나사는 연결부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부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의 일부에만 나사를 형성하는 경우 적은 회전수로 고정하거나 길이를 줄이고, 동시에 관체 상호간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데, 나사를 2 내지 3회전 형성하는 경우 신속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폴대(110)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는 잡기에 편안한 형상으로 형성하가나 특별한 구성 없이 손이 잡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상기 폴대(11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분을 표시하는 것으로, 케이스(121), 필기구(122), 조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기구(122)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21)는 전방테두리부(121a), 나사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테두리부(121a)는 상기 케이스(121)의 전방 내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21) 내부로 삽입되는 필기구(122)의 외면과 접할 수 있다.
나사부(121b)는 상기 케이스(121)의 후방 내측에 전방테두리부(121a)와 동일한 정도로 돌출되어 조정부(12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필기구(122)는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분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분필 등일 수 있다. 상기 필기구(122)는 상기 케이스(121)에 하나 또는 그 이상 내장될 수 있다.
조정부(123)는 상기 케이스(121)의 나사부(121b)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케이스(121)의 외부로 돌출되는 필기구(122)의 돌출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방테두리부(121a)와 상기 나사부(121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필기구(122)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페이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24)는 원통 형상 부재의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되며,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124)는 탄성 수축하여 상기 케이스(121)에 삽입된 후, 펼쳐저 케이스(121)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필기구(12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124)는 강판, 플라스틱, 실리콘 등일 수 있다.
스페이서(124) 내면에 부착되는 유연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연부재(125)는 상기 필기구(122)에 잘 밀착되어 필기구(122)의 유동을 더욱 잘 방지할 수 있다. 유연부재(125)는 상기 조정부(123)의 나사산의 일부가 압입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연부재(125)는 필기구(122)의 외면에 긴밀히 밀착되고, 조정부(123)가 진입할 때 나사산의 돌출부의 일부가 유연부재(125)를 누르면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유연부재(125)가 필기구(122)에 긴밀히 밀착되어 필기구(122)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하면서도 조정부(123)의 진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연부재(125)는 부직포, 실리콘, 스펀지, PVC(장판) 등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24) 대신, 케이스(121')의 내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필기구(12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사부(121b)는 상기 케이스(121)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함몰 형성된 나사부(121b)에 나사 결합되는 보조링(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링(126)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정부(123)는 케이스(121')의 내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필기구(122)의 유동이 완벽하게 방지되고 복수의 필기구(122)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링(126) 없이 상기 나사부(121b)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필기구(12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고, 조정부(123)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분필과 같은 필기구(122)를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부(120)에 내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는 일측과 타측에 전방테두리부(121a)와 나사부(121b)가 형성된 케이스(121)에 스페이서(12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24)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일측이 절개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오므려 케이스(121)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121) 내부에 삽입되면 자체 탄력으로 펼쳐지면서 케이스(121)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스페이서(124)는 케이스(121)의 일측에 형성된 전방테두리부(121a)와 타측에 형성된 나사부(12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1)에 스페이서(124)가 설치되면, 상기 케이스(121)의 전방테두리부(121a) 또는 나사부(121b)를 통해 분필과 같은 복수의 필기구(122)를 하나 이상 삽입한 후, 상기 나사부(121b)에 조정부(123)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121b)에 결합되는 조정부(123)가 후단의 필기구(122)를 가압하면, 상기 후단의 필기구(122)의 가압력에 의해 전단의 필기구(122)는 전방테두리부(121a)를 통해 케이스(12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1) 전방으로 돌출되는 필기구의 길이는 조정부(123)의 길이 만큼 돌출될 수 있으나, 상기 필기구(122)가 순간적인 힘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테두리부(121a)와 필기구(122)는 서로 면접촉되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필기구(122)가 전방테두리부(121a)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고 회전도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121b)에 나사 결합되는 조정부(123)의 위치에 따라 케이스(121) 전방으로 전단의 필기구(122)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24)의 내면은 필기구(122)의 외면으로부터, 미소하게 나마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124)에 유연부재(125)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연부재(125)는 조직이 치밀한 부직포, 실리콘, 압축된 스펀지, PVC(장판) 등으로 형성되어 필기구(122)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다. 유연부재(125)는 필기구(122)에 긴밀히 밀착되면서도 조정부(123)가 회전 삽입되거나 인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케이스(121)는 내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필기구(122)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나사부(121b)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측에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 형성된 나사부(121b)에 보조링(126)를 나사 체결한 후, 상기 보조링(126)에 조정부(123)가 결합되어 필기구(122)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보조링(126)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필기구(122)가 내장된 케이스(121)는 도 6과 같이, 폴대(110)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끼움결합할 수 있다. 상기 폴대(110)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체가 결합되어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폴대(1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인출되는 선단 폴대의 후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후단 폴대의 전단에 형성된 턱과 밀착되어 빠지지 않거나 선단 폴대의 후단과 후단 폴대의 전단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선단 폴대가 후단 폴대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폴대(110)는 선단 폴대의 턱과 후단 폴대의 턱이 억지로 밀착되어 발생하는 마찰력 또는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폴대의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단 폴대의 후단과 후단 폴대의 전단에 형성된 나사는 폭이 넓게 형성되거나, 또는 2 내지 3회전 정도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폴대의 길이 조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폴대(110)의 길이가 조정된 상태에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에 필기구(122)를 밀착시킨 후, 폴대(110)를 이동시키면서 필기구(122)가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대(110)에 의해 필기구(122)를 가압하여도 상기 필기구(122)는 케이스(121)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필기구 또는 조정부(123)가 지지함으로써 케이스(121) 내부로 압입되지 않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한 필기구(122)의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폴대(110)로부터 표시부(120)를 분리하고, 조정부(123)를 회전시켜 필기구(123)의 돌출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부(123)를 분리하고, 나사부(121b)를 통해 새로운 필기구를 케이스(121)에 내장한 후, 상기 조정부(123)를 나사부(121b)에 나사 결합하거나, 상기 조정부(123)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한 상태에서 전방테두리부(121a)를 통해 새로운 필기구를 케이스(121)에 내장할 수도 있다.
상기 새로운 필기구가 내장된 케이스(121)를 다시 폴대(110)에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필기구(122)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못쓰고 버리는 필기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상기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된 길이를 표시부(120) 및/또는 폴대(110)에 표시된 스케일로 편리하게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구조물 점검 표시봉 110: 폴대
120: 표시부 121: 케이스
122: 필기구 123: 조정부
124: 스페이서 125: 유연부재
126: 보조링

Claims (5)

  1.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가 있는 폴대; 및
    상기 폴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폴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복수의 필기구; 및
    상기 케이스의 후부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필기구의 전방으로의 돌출의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필기구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보조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링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물 점검 표시봉.
  2.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된 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가 있는 폴대; 및
    상기 폴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폴대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복수의 필기구; 및
    상기 케이스의 후부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필기구의 전방으로의 돌출의 정도를 조정하고,
    상기 케이스는 전방 내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필기구의 외면과 접하는 전방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테두리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필기구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원통 형상의 부재의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서, 탄성 수축하여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후, 펼쳐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밀착되는 구조물 점검 표시봉.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대의 표면에 표시된 스케일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 점검 표시봉.
KR1020200002876A 2020-01-09 2020-01-09 구조물 점검 표시봉 KR10211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76A KR102116358B1 (ko) 2020-01-09 2020-01-09 구조물 점검 표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76A KR102116358B1 (ko) 2020-01-09 2020-01-09 구조물 점검 표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358B1 true KR102116358B1 (ko) 2020-05-28

Family

ID=7092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76A KR102116358B1 (ko) 2020-01-09 2020-01-09 구조물 점검 표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52B1 (ko) 2022-07-12 2022-09-21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
KR102647319B1 (ko) 2023-07-19 2024-03-13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줄자기능을 가진 구조물 점검 표시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01Y1 (ko) * 2012-01-11 2012-12-31 이채민 분필 홀더
KR101792637B1 (ko) 2017-03-15 2017-11-01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필 적재형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
KR101953160B1 (ko) * 2018-10-12 2019-02-28 (주)한맥기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도 작성을 위한 균열 표식 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01Y1 (ko) * 2012-01-11 2012-12-31 이채민 분필 홀더
KR101792637B1 (ko) 2017-03-15 2017-11-01 백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필 적재형 구조물 점검용 표시봉
KR101953160B1 (ko) * 2018-10-12 2019-02-28 (주)한맥기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도 작성을 위한 균열 표식 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52B1 (ko) 2022-07-12 2022-09-21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한 표시봉
KR102647319B1 (ko) 2023-07-19 2024-03-13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줄자기능을 가진 구조물 점검 표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58B1 (ko) 구조물 점검 표시봉
ES2491540T3 (es) Herramienta endoscópica multifuncional integrada
CN201573158U (zh) 扭力扳手
CN107850429B (zh) 一种测量与基准轴线的偏差的仪器
US200902496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ameter of hole
KR100964405B1 (ko) 제도용 줄자
KR20150109039A (ko)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
CN211042533U (zh) 一种组合式测温装置
KR102234694B1 (ko) 줄자 기능을 가진 엣지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점검 표시봉
CN211658114U (zh) 一种视力检测装置
CN210374840U (zh) 一种带有放大装置的游标卡尺
CN205102743U (zh) 油气井管具径向测量装置
CN211696200U (zh) 一种螺纹深度规
CN211876930U (zh) 一种高压气瓶内径测量工具
CN210784295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一次性使用子宫探针
CN205581084U (zh) 一种食品安全检测仪
CN211505501U (zh) 一种便携式土壤检测器
CN210603027U (zh) 一种测量台阶孔精度的塞规
CN208567709U (zh) 一种尺寸测量工具
CN208091327U (zh) 工程测量尺
CN106998452B (zh) 一种现场核查抄表的辅助工具
CN114018132A (zh) 一种数显弧度测量装置
CN112648905A (zh) 一种三点式卡尺及其测量方法
KR100572678B1 (ko) 원호 작도용 줄자 보조 장치 및 원호 작도용 줄자
CN213238706U (zh) 一种便携式建筑设计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