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42B1 -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42B1
KR102234442B1 KR1020190124031A KR20190124031A KR102234442B1 KR 102234442 B1 KR102234442 B1 KR 102234442B1 KR 1020190124031 A KR1020190124031 A KR 1020190124031A KR 20190124031 A KR20190124031 A KR 20190124031A KR 102234442 B1 KR102234442 B1 KR 10223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value
frequency
target frequenc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나
강계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42B1/ko
Priority to EP20874854.1A priority patent/EP4044767A4/en
Priority to PCT/KR2020/010634 priority patent/WO2021071076A1/ko
Priority to US17/063,399 priority patent/US202101058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워킹 코일의 구동 과정에서 출력 전력값이 저하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 이상이고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온도값이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워킹 코일의 구동 과정에서 출력 전력값이 저하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분류된다. 저항 가열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때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워킹 코일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때 워킹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재질의 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용기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도 가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압이 워킹 코일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워킹 코일 주변에는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도 자계의 자력선이 워킹 코일의 상부에 놓인 금속 성분을 포함한 용기의 바닥을 통과하면, 용기 바닥의 내부에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와전류가 용기에 흐르면 용기 자체가 가열된다.
유도 가열 장치는 2개 이상의 가열 영역 및 이에 대응되는 2개 이상의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가열 영역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2개의 가열 영역에 각각 용기를 올려 놓고 동시에 조리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2개의 워킹 코일에 각각 구동을 위한 전력이 공급된다. 각각의 워킹 코일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요구 전력값과 대응되는 구동 주파수로 구동된다.
도 1은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와 출력 전력값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는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과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가 fa에서 fb로 증가하면,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은 Pa에서 Pb로 감소한다. 결국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가 증가할 수록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낮아져 용기에 공급되는 열 에너지가 감소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워킹 코일이 동시에 구동될 때, 각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가청 주파수 대역(예컨대, 2kHz~20kHz)에 포함되면 워킹 코일의 구동에 따른 간섭 소음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간섭 소음은 유도 가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느끼게 하며,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의 고장을 의심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2개 이상의 워킹 코일의 구동 시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각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도록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35754호에는 복수의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서 각각의 유도 코일과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시분할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온/오프 시킴으로써 복수의 워킹 코일이 동시에 구동되더라도 간섭 소음이 차단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2개의 워킹 코일이 구동될 때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조절할 때 출력 전력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인 P1에 대응되는 제1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는 f1이고 제2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인 P2에 대응되는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는 f2이며, f1과 f2의 차이값의 절대값은 가청 주파수 대역(예컨대, 2kHz~20kHz)에 포함된다. 이로 인해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이 동시에 구동되면 간섭 소음이 발생한다.
간섭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가 f2에서 f3로 조절될 수 있다.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가 f3로 증가하면, f1과 f3의 차이값의 절대값은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게 되어, 간섭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가 f3로 증가하면, 제2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은 P2에서 P3으로 감소하므로, 제2 워킹 코일에 의하여 용기에 공급되는 열 에너지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서 조리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하거나 불편을 겪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간섭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조절할 때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감소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 이상이고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온도값이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것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분리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커플링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분리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소음 회피값 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일반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미리 정해진 조정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조정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제1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워킹 코일, 제2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제2 워킹 코일, 상기 제1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 이상이고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하고,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값이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유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다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것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분리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커플링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분리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소음 회피값 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일반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미리 정해진 조정 주파수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각각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과정에서 간섭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조절할 때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감소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와 출력 전력값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2개의 워킹 코일이 구동될 때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조절할 때 출력 전력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커플링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분리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일반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분리 모드로 구동될 때 고출력 워킹 코일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분리 모드로 구동된 이후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다시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을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이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될 때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감소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는 유도 가열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2) 및 케이스(102)와 결합되어 케이스(102)를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부면은 케이스(102)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케이스(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한다.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는 피가열 물체, 즉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용기가 놓일 수 있는 상판부(105)가 형성된다. 상판부(105)는 다양한 소재, 예컨대 세라믹 글래스와 같은 강화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10)와 케이스(10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케이스(102) 내부 공간에는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103, 104, 106a, 106b)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2) 내부에는 제1 워킹 코일(103), 제2 워킹 코일(104), 제3 워킹 코일(106a, 106b)이 배치된다.
제1 워킹 코일(103), 제2 워킹 코일(104), 제3 워킹 코일(106a, 106b)은 각각 구리와 같은 전도체로 이루어진 도선을 여러 번 감아서 만들어진다. 도 2에서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은 각각 모서리가 곡선인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3 워킹 코일(106a, 106b)은 원형으로 구성되나, 각 워킹 코일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10) 내에 배치되는 워킹 코일의 개수 및 배치 구조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워킹 코일(106a, 106b)은 2개의 코일, 즉 이너 코일(106a) 및 아우터 코일(106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3 워킹 코일(106a, 106b)이 두 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3 워킹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개수, 그리고 이너 코일 및 아우터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워킹 코일은 4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워킹 코일의 안쪽에 배치되는 2개의 코일이 이너 코일로, 바깥쪽에 배치되는 나머지 2개의 코일이 아우터 코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워킹 코일 안쪽에 배치되는 3개의 코일이 이너 코일로, 바깥쪽에 배치되는 나머지 1개의 코일이 아우터 코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판부(105) 표면에는 제1 가열 영역(142), 제2 가열 영역(144), 제3 가열 영역(146)이 각각 표시된다. 제1 가열 영역(142), 제2 가열 영역(144), 제3 가열 영역(146)의 위치는 각각 제1 워킹 코일(103), 제2 워킹 코일(104), 제3 워킹 코일(106a, 106b)의 위치와 대응된다.
또한 케이스(102)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전원을 인가하게 하거나, 워킹 코일(103, 104, 106a, 106b)의 출력을 조절하게 하거나, 유도 가열 장치(1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부(108)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인터페이스부(108)가 터치에 의한 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가 모두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나, 인터페이스부(108)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형태나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판부(105)에는 인터페이스부(108)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작 영역(118)이 형성된다. 조작 영역(118)에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정보 표시를 위한 특정 문자나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영역(118) 상에 표시된 문자나 이미지를 참고하여 조작 영역(118)의 특정 지점을 조작(예컨대,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 영역(118)을 터치하여 제1 가열 영역(142), 제2 가열 영역(144), 제3 가열 영역(146) 중 적어도 하나에 올려진 용기에 대한 가열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각 가열 영역에 대응되는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이나 유도 가열 장치(10)의 동작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부(114)가 출력하는 각종 정보가 조작 영역(118)을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2) 내부 공간에는 워킹 코일(103, 104, 106a, 106b)이나 인터페이스부(1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회로(미도시)이 배치된다. 전력 공급 회로은 워킹 코일(103, 104, 106a, 106b) 또는 인터페이스부(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워킹 코일(103, 104, 106a, 106b) 또는 인터페이스부(108)의 구동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참고로 도 2에는 케이스(102) 내부 공간에 3개의 워킹 코일(103, 104, 106a, 106b)이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2) 내부 공간에 1개의 워킹 코일이 배치되거나 4개 이상의 워킹 코일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스(102) 내부 공간에는 제어 회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 회로(미도시)는 인터페이스부(108)를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가열 명령(예컨대, 구동 시작 명령, 구동 종료 명령, 가열 레벨 조절 명령 등)에 따라서 워킹 코일(103, 104, 106a, 106b)의 구동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제1 가열 영역(142), 제2 가열 영역(144), 제3 가열 영역(146) 중 원하는 가열 영역 상에 용기를 올려 놓은 후, 조작 영역(118)을 통해서 용기가 놓인 가열 영역에 대한 가열 레벨 설정과 함께 가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조작 영역(118)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가열 명령은 사용자가 용기를 안착시킨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으로서 제어 회로(미도시)에 입력된다. 구동 명령을 입력받은 제어 회로(미도시)는 구동 명령의 대상이 되는 워킹 코일을 구동시켜 용기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회로도이다.
참고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2개의 워킹 코일, 즉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을 구비할 때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2개 이상의 워킹 코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2개 이상의 워킹 코일을 구비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2개의 가열 모듈, 즉 제1 가열 모듈(202) 및 제2 가열 모듈(204)을 포함한다. 제1 가열 모듈(202) 및 제2 가열 모듈(204)은 외부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변환하여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에 각각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제1 가열 모듈(202)은 정류부(302) 및 평활화부(304)를 포함한다. 정류부(302)는 외부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한다. 평활화부(304)는 제1 인덕터(L1) 및 제1 캐패시터(C1)를 포함하며, 정류부(302)로부터 출력되는 정류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 가열 모듈(204)은 정류부(306) 및 평활화부(308)를 포함한다. 정류부(306)는 외부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한다. 평활화부(308)는 제2 인덕터(L2) 및 제4 캐패시터(C4)를 포함하며, 정류부(306)로부터 출력되는 정류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제1 가열 모듈(202)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 SW2) 및 복수의 캐패시터(C2, C3)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제1 구동부(34)로부터 출력되는 제1 스위칭 신호(S1) 및 제2 스위칭 신호(S2)에 의해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을 '스위칭 동작'으로 지칭한다.
제2 캐패시터(C2) 및 제3 캐패시터(C3)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와 제2 캐패시터(C2) 및 제3 캐패시터(C3)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연결점과 제2 캐패시터(C2) 및 제3 캐패시터(C3)의 연결점 사이에는 제1 워킹 코일(103)이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에 제1 스위칭 신호(S1) 및 제2 스위칭 신호(S2)가 각각 인가되어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면 제1 워킹 코일(103)에 교류 전류가 공급되어 용기에 대한 유도 가열이 수행된다.
또한 제2 가열 모듈(204)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SW3, SW4) 및 복수의 캐패시터(C5, C6)를 포함한다.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제2 구동부(36)로부터 출력되는 제3 스위칭 신호(S3) 및 제4 스위칭 신호(S4)에 의해서 교번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제5 캐패시터(C5) 및 제6 캐패시터(C6)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와 제5 캐패시터(C5) 및 제6 캐패시터(C6)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의 연결점과 제5 캐패시터(C5) 및 제6 캐패시터(C6)의 연결점 사이에는 제2 워킹 코일(104)이 연결된다.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에 제3 스위칭 신호(S3) 및 제4 스위칭 신호(S4)가 각각 인가되어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면 제2 워킹 코일(104)에 교류 전류가 공급되어 용기에 대한 유도 가열이 수행된다.
제1 구동부(34)는 제1 가열 모듈(202)에 포함된 제1 스위칭 소자(SW1) 및 제2 스위칭 소자(SW2)에 각각 제1 스위칭 신호(S1) 및 제2 스위칭 신호(S2)를 인가한다. 또한 제2 구동부(36)는 제2 가열 모듈(204)에 포함된 제3 스위칭 소자(SW3) 및 제4 스위칭 소자(SW4)에 각각 제3 스위칭 신호(S3) 및 제4 스위칭 신호(S4)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신호(S1), 제2 스위칭 신호(S2), 제3 스위칭 신호(S3), 제4 스위칭 신호(S4)는 각각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이다. 제1 스위칭 신호(S1), 제2 스위칭 신호(S2)의 듀티 비(duty ratio)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에 따라서 결정되고, 제3 스위칭 신호(S3), 제4 스위칭 신호(S4)의 듀티 비는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32)는 제1 구동부(34) 및 제2 구동부(36)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회로(32)의 구동 주파수 조절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103) 또는 제2 워킹 코일(104)이 출력하는 전력의 크기, 즉 출력 전력값이 달라진다.
전압 센서(212, 222)는 가열 모듈(202, 204)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 즉 입력 전압의 크기를 측정한다. 또한 전류 센서(214, 224)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로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 즉 입력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
제어 회로(32)는 전압 센서(212, 222)로부터 입력 전압의 크기를 전달받고, 전류 센서(214, 224)로부터 입력 전류의 크기를 전달받는다. 제어 회로(32)는 전달받은 입력 전압 및 입력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 즉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에 의해 용기에 공급되는 전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이 구동될 때, 제어 회로(32)는 종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일측에는 각각 온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에서 각각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을 제어 회로(32)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가열 영역 상에 용기를 올려 놓은 후, 조작 영역(118)을 통해서 용기가 놓여진 가열 영역에 대한 가열 레벨을 설정하여 용기에 대한 가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조작 영역(118)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가열 명령은 용기가 놓여진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으로서 제어 회로(32)에 입력된다. 구동 명령을 입력받은 제어 회로(32)는 구동 명령의 대상이 되는 워킹 코일을 구동시켜 용기에 대한 가열 동작이 수행된다.
이 때 하나의 워킹 코일만이 구동될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간섭 소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의 워킹 코일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을 입력할 경우, 각각의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서 앞서 설명된 간섭 소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회로(32)는 하나의 워킹 코일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을 입력할 경우 각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에 기초하여 간섭 소음을 줄이기 위한 주파수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각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란, 각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가열 레벨에 대응되는 전력값, 즉 요구 전력값에 도달할 때 각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가열 영역의 가열 레벨을 5로 설정하면, 제1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요구 전력값은 4000W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103)이 구동되어 4000W의 전력값을 출력할 때,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예컨대, 40kHz)가 제1 워킹 코일(103)의 목표 주파수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이 제1 목표 주파수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워킹 코일(104)에 대한 구동이 요청될 경우,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한다. 제어 회로(32)는 결정된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를 기초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커플링 모드, 분리 모드, 일반 모드)를 결정한다.
제어 회로(32)는 결정된 구동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결정한다. 제어 회로(32)는 결정된 최종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각 워킹 코일을 구동시킨다.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이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되면, 두 워킹 코일이 동시에 구동될 때 발생하던 간섭 소음이 제거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간섭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f1은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나타내고, f2는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나타낸다. 또한 t는 각 워킹 코일의 구동 시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커플링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분리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일반 모드로 구동될 때 제1 워킹 코일과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워킹 코일(104)이 아직 구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가열 영역에 용기를 올려 놓고 제1 가열 영역에 대한 가열 레벨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103)에 대한 구동 명령이 제어 회로(32)로 입력된다.
제1 워킹 코일(103)에 대한 구동 명령을 입력받은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을 미리 정해진 제1 조정 주파수(예컨대, 70kHz)로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1 조정 주파수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0)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이 제1 조정 주파수인 70kHz로 구동되기 시작한다.
제어 회로(32)는 사용자가 제1 워킹 코일(103)에 대하여 설정한 가열 레벨에 대응되는 요구 전력값과 동일한 전력을 제1 워킹 코일(103)이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을 측정하면서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감소시킨다.
예컨대 도 5 내지 도 7의 시점(0)에서 시점(T1) 사이의 구간에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제1 조정 주파수(70kHz)로부터 점차 감소시키면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을 측정한다. 이 때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은 전압 검출부(212)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전압값 및 전류 검출부(214)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전류값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감소시키면서 측정된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이 요구 출력량과 일치하는 시점(T1)의 주파수 값(예컨대, 40kHz)을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103)은 제1 목표 주파수(40kHz)로 구동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가열 레벨과 대응되는 목표 주파수가 기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목표 주파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워킹 코일(103)이 제1 목표 주파수로 구동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제2 가열 영역에 용기를 올려 놓고 제2 가열 영역에 대한 가열 레벨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 회로(32)는 제2 워킹 코일(104)에 대한 구동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2 워킹 코일(104)에 대한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회로(32)는 제2 워킹 코일(104)의 목표 주파수(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점(T2)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제어 회로(32)는 시점(T2)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동시에 제2 워킹 코일(104)을 제1 조정 주파수(70kHz)로 구동시킨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이 중단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이후에 제2 워킹 코일(104)이 제1 조정 주파수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중에 제2 워킹 코일(104)에 대한 구동이 요청될 경우, 제2 워킹 코일(104)의 목표 주파수를 찾기 위해서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는 제2 워킹 코일(104)의 목표 주파수를 탐색하는 구간(T2~T3) 동안 0이 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서 제2 워킹 코일(104)의 목표 주파수를 탐색하는 구간(T2~T3) 동안 제1 워킹 코일(103)과 제2 워킹 코일(104)에 의한 간섭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어 회로(32)는 앞서 제1 워킹 코일(103)의 목표 주파수를 탐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을 계산한다. 시점(T3)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이 제2 워킹 코일(104)에 대한 요구 전력값과 일치하면, 제어 회로(32)는 시점(T3)의 주파수 값(43kHz)을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로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 회로(32)는 제2 워킹 코일(104)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가열 레벨과 대응되는 목표 주파수가 기록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명령에 대응되는 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가 결정된 시점(T3)에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을 곧바로 각각의 목표 주파수로 구동시키지 않고, 각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를 비교한다. 제어 회로(32)는 비교 결과에 따라서 커플링 모드, 분리 모드, 일반 모드 중 하나를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로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을 산출한다.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구동 모드를 결정한다.
만약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한다. 커플링 모드에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시점(T1)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가 40kHz로 결정되고, 시점(T3)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가 43kHz로 결정된 경우, 제어 회로(32)는 두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43-40=3kHz)을 산출한다. 제1 기준값이 2kHz, 제2 기준값이 8kHz로 정해진 경우, 산출된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2 기준값 미만이므로,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한다.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커플링 모드로 결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40kHz)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43kHz) 중 더 큰 값(43kHz)으로 설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40kHz)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43kHz) 중 더 작은 값(40kHz)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 간의 차이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두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일치시킴으로써 두 워킹 코일 간의 구동 주파수 차이로 인한 간섭 소음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커플링 모드일 때 두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두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와는 다른 값(예컨대, 두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의 평균값 또는 임의로 설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이하이면,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분리 모드로 결정한다. 분리 모드에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k)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시점(T1)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가 40kHz로 결정되고, 시점(T3)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가 50kHz로 결정된 경우, 제어 회로(32)는 두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50-40=10kHz)을 산출한다. 제2 기준값이 8kHz, 제3 기준값이 20kHz로 정해진 경우,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2 기준값 이상이고 제3 기준값 이하이므로,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분리 모드로 결정한다.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로 결정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1 목표 주파수와 동일한 40kHz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 회로(32)는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인 40kHz보다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k)인 22kHz만큼 증가된 값인 62kHz로 설정한다. 여기서 소음 회피값(k)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다른 값(예컨대, 25k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2)가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1 목표 주파수(40kHz)보다 감소된 값(예컨대, 36kHz)으로 설정하고,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보다 소음 회피값(k)만큼 증가된 값(예컨대, 58kHz)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 간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2 기준값 이상이고 제3 기준값 미만인 경우, 각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k)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각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서 두 워킹 코일 간의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22kHz)이 가청 주파수 대역(예컨대, 2kHz~20kHz)을 벗어나게 되므로 워킹 코일 구동으로 인한 간섭 소음이 제거된다.
한편,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한다. 산출된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은 가청 주파수 대역(예컨대, 2kHz~20kHZ)을 벗어난다. 따라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로 결정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를 그대로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로 결정하고, 제2 워킹 코일(103)의 제2 목표 주파수를 그대로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가 40kHz이고, 시점(T3)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가 66kHz로 결정된 경우, 제어 회로(32)는 두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66-40=26kHz)을 산출한다. 산출된 차이값의 절대값(26kHz)이 제3 기준값(20kHz)을 초과하므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40kHz로 설정하고,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66kHz로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워킹 코일의 출력 제어 방법이 결정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을 제2 조정 주파수로 동시에 구동시킨다.
예컨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T3)에서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은 모두 제2 조정 주파수인 70kHz로 동시에 구동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가 결정된 이후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가 결정되어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이 구동될 때,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이 동일한 주파수, 즉 제2 조정 주파수로 동시에 구동된다.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가 결정된 이후 시점(T3)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최종 구동 주파수까지 증가시키게 되면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 간의 구동 주파수 차이가 가청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어 간섭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가 결정된 이후 시점(T3)에서 제1 워킹 코일(103)과 제2 워킹 코일(104)이 각각 동일한 구동 주파수, 즉 제2 조정 주파수로 동시에 구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최종 구동 주파수가 결정된 이후 제1 워킹 코일(103)과 제2 워킹 코일(104)이 동시에 제2 조정 주파수로 구동되는 동작이 "소프트 스타트(Soft Strat)" 동작으로 지칭된다. 제2 조정 주파수는 제1 조정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소프트 스타트 동작이 수행된 이후,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각각 앞서 결정된 최종 구동 주파수까지 조정, 즉 감소시킨다. 구동 주파수 조정이 완료되면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은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되면서 간섭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기에 대한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구동 주파수 제어에 의해서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이 동시에 구동될 때 발생하는 간섭 소음이 제거된다.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커플링 모드로 결정되면,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는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목표 주파수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또한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로 결정되면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는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커플링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결정될 경우,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은 각각 사용자가 설정한 요구 전력값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로 결정되면,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는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인 50kHz에 비해서 증가한 62kHz 또는 58kHz로 결정된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제2 워킹 코일(104)의 62kHz 또는 58kHz로 증가하면,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은 구동 주파수가 50kHz일 때에 비해서 감소한다. 즉, 제2 워킹 코일(104)이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될 때의 출력 전력값은 사용자가 설정한 요구 전력값보다 낮아지므로, 제2 워킹 코일(104)은 사용자가 설정한 가열 레벨에 대응되는 열 에너지를 용기에 공급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을 재설정하고, 이어서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재설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분리 모드로 구동될 때 고출력 워킹 코일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로 결정되어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가 결정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을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시키고, 제2 워킹 코일(104)을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시킨다. (도 6의 시점(T4) 참조)
시점(T4) 이후,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 중 출력 전력값이 높은 워킹 코일, 즉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한다. 예컨대 도 6의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가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보다 낮으므로,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이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보다 높다. 따라서 도 6의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이 고출력 워킹 코일로 지칭되며, 제2 워킹 코일(104)은 저출력 워킹 코일로 지칭된다. 제어 회로(32)는 시점(T4) 이후로 온도 센서를 통해서 측정되는 고출력 워킹 코일, 즉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을 획득한다.
제어 회로(32)는 고출력 워킹 코일, 즉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력 변경 조건은 획득된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실시예에서 기준 온도값이 100℃로 정해진 경우,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을 기준 온도값인 100℃와 비교한다. 시점(T5)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이 100℃ 이상이 되면, 제어 회로(32)는 출력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력 변경 조건은 획득된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실시예에서 기준 시간이 TR로 설정되고 기준 온도 범위가 100℃±5℃, 즉 95℃~105℃로 설정된 경우,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이 기준 시간 TR 동안 95℃~105℃ 범위 내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이 기준 시간 TR 동안 95℃~105℃ 범위 내로 유지된 것이 확인된 시점(T6)에서 출력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기준 온도값, 기준 시간, 기준 온도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온도값은 고출력 워킹 코일에 의해서 가열되는 용기에 담긴 부하(예컨대, 물 또는 기름)의 끓는점과 동일하거나 끓는점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온도 범위는 기준 온도값을 기준으로, 즉 기준 온도값보다 미리 설정된 오프셋값(예컨대, 5℃) 만큼 크거나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32)는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한다.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워킹 코일(103)에 의해서 가열되는 용기 내의 부하(예컨대, 물)는 끓는 상태일 것이며, 부하가 끓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열 에너지만이 공급된다면 제1 가열 영역 상에 놓인 용기의 부하는 계속해서 끓는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된 이후, 고출력 워킹 코일에 의해서 가열되는 용기의 부하를 끓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을 고출력 워킹 코일이 공급할 수 있도록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재설정한다. 여기서 최소 전력값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실시예에서, 시점(T5) 또는 시점(T6)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이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요구 출력값을 사용자가 설정한 요구 출력값이 아닌 최소 전력값, 예컨대 1500W로 설정한다.
이처럼 제1 워킹 코일(103)의 요구 출력값이 최소 전력값으로 재설정되면, 제어 회로(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다시 결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가 분리 모드로 구동된 이후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다시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앞서 도 6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로 결정된 이후 시점(T4)에서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은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인 40kHz 및 62kHz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에 따른 간섭 소음은 제거되나,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이 요구 전력값보다 낮아진다.
제1 워킹 코일(103)이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되고 제2 워킹 코일(104)이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된 이후, 제어 회로(32)는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을 산출한다. 제어 회로(32)는 산출된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k)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미만인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커플링 모드임을 의미하거나,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이며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1 기준값 미만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앞서 언급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 감소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미만이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하고,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한다.
그러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이상인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임을 의미하거나,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이며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3 기준값을 초과함을 의미한다.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일 경우 앞서 언급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 감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이상이면 제어 회로(32)는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를 비교한다.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동일한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동일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하고,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한다.
그러나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2)는 저출력 워킹 코일인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62kHz)와 제2 워킹 코일(104)의 목표 주파수(50kHz)가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는 분리 모드이고, 저출력 워킹 코일, 즉 제2 워킹 코일(104)이 목표 주파수(50kHz)보다 높은 최종 구동 주파수(62kHz)로 구동되고 있어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이 요구 전력값에 비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회로(32)는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이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인 40kHz 및 62kHz로 구동된 이후, 앞서 도 8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점(T5) 또는 시점(T6)에서 고출력 워킹 코일, 즉 제1 워킹 코일(103)의 온도값이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어 회로(32)는 고출력 워킹 코일, 즉 제1 워킹 코일(103)의 요구 전력값을 최소 전력값(예컨대, 1500W)로 재설정한다.
이후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다시 결정하기 위하여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을 모두 정지시킨다. 시점(T7)에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제1 조정 주파수(예컨대, 70kHz)로 구동시킨 후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이 요구 전력값과 일치할 때까지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감소시킨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시점(T8)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출력 전력값이 앞서 설정된 요구 전력값인 1500W와 일치할 때의 주파수인 54kHz가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로 결정된다.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1 워킹 코일(103)의 요구 전력값 감소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는 40kHz에서 54kHz로 증가한다.
이후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은 잠시 중단되고, 시점(T9)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이 제1 조정 주파수(예컨대, 70kHz)로 구동된다. 이 때 제2 워킹 코일(104)의 요구 전력값은 도 6의 실시예에서의 요구 전력값과 동일하므로, 시점(T10)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는 다시 50kHz로 결정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시점(T7) 내지 시점(T8)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가 제어 회로(32)에 의해서 먼저 탐색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가 먼저 탐색될 수도 있다.
이후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을 산출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은 4kHz이다.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제3 기준값이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4kHz는 제1 기준값(2kHz) 이상이고 제2 기준값(8kHz) 미만이다. 따라서, 제어 회로(32)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하고,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동일한 값(예컨대, 54kHz)으로 설정한다.
최종 구동 주파수가 결정되면, 시점(T11)에서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을 제2 조정 주파수(예컨대, 70kHz)로 동시에 구동시킨다. 이후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는 시점(T12)에서 최종 구동 주파수인 54kHz가 될 때까지 감소한다.
이에 따라서 시점(T12) 이후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에 의한 간섭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시점(T12) 이후 제1 워킹 코일(103)과 대응되는 제1 가열 영역에 놓인 용기에는 부하가 끓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열 에너지가 공급된다. 또한 시점(T12) 이후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는 사용자가 설정한 요구 전력값에 대응되는 54kHz로 유지되므로, 시점(T4)에서 시점(T5)(또는 시점(T6))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했던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 저하 문제가 해결된다.
한편, 도 9의 실시예와는 달리 시점(T8) 및 시점(T10)에서 결정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에 따라서, 시점 (T10) 및 시점(T11) 사이에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는 분리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시점 (T10) 및 시점(T11) 사이에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로 결정되면, 시점(T4) 내지 시점(T10)까지의 과정이 다시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시점 (T10) 및 시점(T11) 사이에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로 결정되면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은 각각 시점 (T10) 및 시점(T11) 사이에서 결정되는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되며, 시점(T4) 내지 시점(T10)까지의 과정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이 동시에 구동되더라도 간섭 소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로 결정된 경우, 저출력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일시적으로 낮아지지만, 고출력 워킹 코일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의 부하가 기준 온도에 도달한 시점 또는 기준 시간 동안 기준 온도 범위에 도달한 시점 이후에는 저출력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다시 높아진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간섭 소음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충족되는 열 에너지를 용기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을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목표 주파수를 결정한다(602). 또한 제어 회로(32)는 제2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한다(604).
다음으로, 제어 회로(32)는 이전 단계들에서 결정된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을 산출한다(606).
제어 회로(32)는 단계(606)에서 산출된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결정한다(608).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가 결정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을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시키고(610), 제2 워킹 코일(104)을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시킨다(612).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32)는 단계(606)에서 산출된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을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제3 기준값과 비교한다(702).
만약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제어 회로(32)는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하고(704),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다(706).
만약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2 기준값 이상이고 제3 기준값 이하이면 제어 회로(32)는 구동 모드를 분리 모드로 결정하고(708), 제1 워킹 코일(103)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k) 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각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를 설정한다(710).
만약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 회로(32)는 구동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하고(712), 제1 워킹 코일(103)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1 목표 주파수로, 제2 워킹 코일(104)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제2 목표 주파수로 각각 설정한다(714).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이 각각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될 때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이 감소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610)에서 제1 워킹 코일(103)이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되고 단계(612)에서 제2 워킹 코일(104)이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구동된 이후, 제어 회로(32)는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을 산출한다. 제어 회로(32)는 산출된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k)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802).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미만인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커플링 모드임을 의미하거나,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이며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1 기준값 미만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앞서 언급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 감소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802)에서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미만이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하고,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한다.
그러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이상인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임을 의미하거나,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이며 제1 목표 주파수 및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M)이 제3 기준값을 초과함을 의미한다.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일 경우 앞서 언급된 워킹 코일의 출력 전력값 감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단계(802)에서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N)이 소음 회피값(k) 이상이면 제어 회로(32)는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를 비교한다(804).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동일한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804)에서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동일하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의 구동 주파수를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하고, 제2 워킹 코일(104)의 구동 주파수를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유지한다.
그러나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것은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가 분리 모드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32)는 저출력 워킹 코일인 제2 워킹 코일(104)의 최종 구동 주파수(62kHz)와 제2 워킹 코일(104)의 목표 주파수(50kHz)가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는 분리 모드이고, 저출력 워킹 코일, 즉 제2 워킹 코일(104)이 목표 주파수(50kHz)보다 높은 최종 구동 주파수(62kHz)로 구동되고 있어 제2 워킹 코일(104)의 출력 전력값이 요구 전력값에 비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단계(804)에서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회로(32)는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하고(806), 획득된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8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력 변경 조건은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력 변경 조건은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806)에서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 회로(32)는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의 현재 구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계(806) 및 단계(808)을 다시 수행한다.
단계(808)에서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이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 회로(32)는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한다(810). 예컨대 도 9의 실시예에서, 고출력 워킹 코일인 제1 워킹 코일(103)의 요구 전력값은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된다.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이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되면, 제어 회로(32)는 도 6에 도시된 단계(602) 내지 단계(608)을 수행하여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다시 결정하고, 결정된 최종 구동 주파수로 제1 워킹 코일(103) 및 제2 워킹 코일(104)을 각각 구동시킨다(610, 61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4)

  1.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 이상이고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온도값이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것으로 설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분리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커플링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분리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소음 회피값 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일반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미리 정해진 조정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로 조정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워킹 코일;
    제2 가열 영역과 대응되는 제2 워킹 코일;
    상기 제1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에 대한 구동 명령에 따라서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각각 구동시키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소음 회피값 이상이고 저출력 워킹 코일의 최종 구동 주파수와 저출력 워킹 코일의 목표 주파수가 서로 다르면 고출력 워킹 코일의 온도값을 획득하고,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값이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고출력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을 미리 정해진 최소 전력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를 다시 결정하는
    유도 가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것으로 설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경 조건은
    상기 온도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제1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요구 전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제2 목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유도 가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커플링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구동 모드를 분리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목표 주파수 및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의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3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하는
    유도 가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커플링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분리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소음 회피값 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설정되고,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일반 모드이면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1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2 목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유도 가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미리 정해진 조정 주파수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구동 주파수를 각각 상기 제1 최종 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2 최종 구동 주파수로 조정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190124031A 2019-10-07 2019-10-07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3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31A KR102234442B1 (ko) 2019-10-07 2019-10-07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EP20874854.1A EP4044767A4 (en) 2019-10-07 2020-08-11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DEVICE
PCT/KR2020/010634 WO2021071076A1 (ko) 2019-10-07 2020-08-11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17/063,399 US20210105871A1 (en) 2019-10-07 2020-10-05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31A KR102234442B1 (ko) 2019-10-07 2019-10-07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442B1 true KR102234442B1 (ko) 2021-03-30

Family

ID=7526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031A KR102234442B1 (ko) 2019-10-07 2019-10-07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05871A1 (ko)
EP (1) EP4044767A4 (ko)
KR (1) KR102234442B1 (ko)
WO (1) WO2021071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8013A1 (de) * 2021-07-26 2023-01-26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üchengeräts und Küchengerä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840B2 (ja) * 1993-03-22 2000-06-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口誘導加熱調理器
JP2015225797A (ja) * 2014-05-29 2015-12-14 株式会社ダイヘン 誘導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51276A (zh) * 2003-02-20 2006-03-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热定影装置
DE102005021888A1 (de) * 2005-05-04 2007-02-15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Leistungsversorgung mehrerer Induktionsspulen bei einem Induktionsgerät
TWI394547B (zh) * 2009-03-18 2013-05-01 Delta Electronics Inc 加熱裝置
JP5423202B2 (ja) * 2009-07-23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磁調理器
US9756686B2 (en) * 2009-12-16 2017-09-05 Honeywell Asca, Inc. Method of crosstalk reduction for multi-zone induction heating systems
EP2506663B1 (de) * 2011-03-28 2017-05-10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evorrichtung
US10455647B2 (en) * 2014-11-26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35754B1 (ko) 2015-09-08 2017-05-15 자원전자 주식회사 고주파 인버터 유도코일 구동회로
CN108141928B (zh) * 2015-10-23 2020-11-17 三菱电机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KR102382949B1 (ko) * 2015-12-23 2022-04-06 쿠쿠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EP3413687A1 (en) * 2017-06-09 2018-12-1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by using a liquid
WO2020008557A1 (ja) * 2018-07-04 2020-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テーブル型調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840B2 (ja) * 1993-03-22 2000-06-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口誘導加熱調理器
JP2015225797A (ja) * 2014-05-29 2015-12-14 株式会社ダイヘン 誘導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05871A1 (en) 2021-04-08
EP4044767A4 (en) 2023-11-08
EP4044767A1 (en) 2022-08-17
WO2021071076A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284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038948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004114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2172415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용기 판별 방법
KR102172413B1 (ko) 유도 가열 장치
KR20170075913A (ko) 유도 가열 조리기
KR20210123708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90357320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ntrol algorithm and circuit structure
KR102525461B1 (ko) 간섭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234442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27266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90357317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ntrol algorithm and circuit structure
KR20210037310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135854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EP4132220A1 (en) Inductive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ve heating device
EP3846586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20210027996A (ko) 고주파수 구동이 가능한 유도 가열 장치
EP4044768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2007287601A (ja) 電磁調理器
US20230225017A1 (en) Electric stove having single free-zone bur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4048026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06227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15364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14906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28885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