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063B1 -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 Google Patents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063B1
KR102234063B1 KR1020180149645A KR20180149645A KR102234063B1 KR 102234063 B1 KR102234063 B1 KR 102234063B1 KR 1020180149645 A KR1020180149645 A KR 1020180149645A KR 20180149645 A KR20180149645 A KR 20180149645A KR 102234063 B1 KR102234063 B1 KR 10223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silicone polymer
terminated
we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661A (ko
Inventor
박하은
노희상
정삼현
이은숙
양성희
양은경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18014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063B1/ko
Priority to PCT/KR2019/016018 priority patent/WO2020111656A1/ko
Publication of KR2020006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04Non-adhesive dressings
    • A61F13/00008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 A61F13/00017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04Non-adhesive dressings
    • A61F13/00034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a property
    • A61F13/00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61F13/01017
    • A61F13/0103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Abstract

본 발명은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하기의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이액형 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제1실리콘 액상은, 백금촉매가 포함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실리콘 액상은,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기존의 흉터개선용 피복용 필름과 달리 이액형 겔 조성물로 제공되고,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하여 아문 상처 또는 흉터가 있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된 상태에서 백금촉매가 포함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의 혼합반응을 통해 즉시 피부에서 경화되어 흉터개선용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문 상처 위에 형성된 실리콘 필름은 경화가 빨라, 피부에 신속하게 밀착되며,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아 외부감염을 억제할 수 있고, 산소투과능, 자외선 차단능, 피부부착능, 인장강도, 방수능 등이 뛰어나고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아 피부상태의 개선 또는 흉터개선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된다.

Description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Two-part gel composition of form dressing film for reducing scar}
본 발명은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백금촉매가 포함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와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혼합된 실리콘 액상; 및,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와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혼합된 실리콘 액상;을 포함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을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하여 아문 상처 또는 흉터가 있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된 상태에서 각 성분의 혼합반응을 통해 즉시 피부에서 경화되어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터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가 손상되면 상처가 생기는데 표피층의 손상은 거의 흉터 없이 회복되지만, 상처가 깊어지면 흉터가 생긴다. 손상된 피부의 치유과정은 상처 부위의 혈액이 응고되고 성장인자가 활성화되며 새로운 조직 형성을 자극한다. 2~3주가 지나면 새로운 조직이 만들어지며 표면 상처가 아물게 된다. 하지만 진피가 회복되고 새로운 조직이 형성 되는 데는 수 개월이 걸리고 이 과정에서 흉터가 생길 수 있다. 일반 흉터는 창상이 치유된 결과이나, 이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일어나 비후성 반흔이나 켈로이드가 생길 수 있다. 비후성 반흔은 일반적인 흉터와 달리 더 단단하고 피부면 위로 튀어 올라와 있으며, 붉고 표면이 불규칙하다. 비후성 반흔은 커진다고 해도 상처 범위를 넘어서지는 않으며 1~2년 경과 후 점차적으로 소실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켈로이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 부위보다 더 넓게 자라나 정상 피부까지 침범하기도 한다.
실리콘은 뛰어난 안정성과 생체적합성 때문에 의료기기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고, 치과 인상재 (2등급), 체내 삽입용 실리콘 겔 인공유방 (4등급)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전성이 입증된 재료이며, 흉터치료를 위한 창상피복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을 흉터치료에 적용할 경우, 밀폐를 통한 각질층의 수분손실을 방지하여 상처를 부드럽고 연하게 만드는 작용이 있고, Fibroblast Growth Factor β (FGFβ)와 Tumor Growth Factor β (TGFβ) 등의 성장인자를 조절해 섬유모세포에서 콜라겐의 과증식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흉터부분을 세균으로부터 보호해 추가적인 감염의 위험을 방지하며, 가려움증과 다른 불편한 증상을 개선하고 추가적으로 손이 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처의 덧남을 방지할 수 있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실리콘 흉터 관리 제품의 경우 현재 sheet type과 gel type이 있는데, Sheet type의 경우 압박, 보습, 반복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적용부위의 한계성과 낮은 밀착력, 그리고 세척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고, Gel type의 경우에는 sheet type과 동일하게 보습효과가 있으며, 메이크업도 가능하고 용법과 부위에 대한 편리성을 가지고 있지만, 압박효과가 없고, 건조시간(5~8분)이 길고 의류나 샤워 등에 의한 손실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처에 도포하는 즉시 경화가 일어나 피부의 흉터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면서도 감염원으로부터의 오염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9339호 (발명의 명칭 : 드레싱재용 실리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레싱재와 그 제조방법, 출원인 :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등록일 : 2008년09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1612호 (발명의 명칭 : 의료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출원인 : 태경하이텍(주), 등록일 : 2017년04월24일) 일본공개특허 제2015-521996호 (발명의 명칭 : 활성 성분을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필름 형성 폴리머를 포함한 국소용 조성물, 출원인 : LEO PHARMA AS, 공개일 : 2015년08월0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6998호 (발명의 명칭 : 의료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티앤엘, 등록일 : 2016년12월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4572호 (발명의 명칭 : 제거가능한 필름 형성 겔 조성물 및 이의 적용 방법, 출원인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공개일 : 2017년12월06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5843호 (발명의 명칭 : 피부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출원인 : 리빙 프루프 인코포레이티드, 공개일 : 2013년12월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백금촉매가 포함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와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혼합된 실리콘 액상; 및,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와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혼합된 실리콘 액상;을 포함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을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하여 피부의 아문 상처 또는 흉터에 도포되고,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된 상태에서 각 성분의 혼합반응을 통해 즉시 피부에서 경화되어 필름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는 흉터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을 함유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실리콘 액상은,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실리콘 액상은,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액상은, 총 중량을 100 중량%라 할 때, 40 내지 85 wt%의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및 15 내지 60 wt%의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실리콘 액상은, 총 중량을 100 중량%라 할 때, 40 내지 85 wt%의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및 15 내지 60 wt%의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제1실리콘 액상에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는, 말단기가 비닐(Vinyl)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실리카(Silica) 및 백금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는, 말단기가 비닐(Vinyl)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50~80 중량%, 실리카(Silica) 15~45 중량% 및 백금촉매 0.001~5 중량%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각 원료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최종 경화되는 실리콘 필름의 물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제2실리콘 액상에서,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는, 말단기가 비닐(Vinyl)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실리카 및 말단기가 하이드라이드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중, 제2실리콘 액상에서, 상기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는 말단기가 비닐(Vinyl)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40~80 중량%, 실리카 10~35 중량% 및 말단기가 하이드라이드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10~4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각 원료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최종 경화되는 실리콘 필름의 물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에서, 상기 말단기가 비닐기인 실리콘 폴리머는, 중량평균분자량 15,000~20,000, 점도(cP) 150~250인 것; 중량평균분자량 60,000~80,000, 점도(cP) 8,000~14,000인 것; 또는, 중량평균분자량 90,000~110,000, 점도(cP) 50,000~80,000인 것에서 선택되는 실리콘 폴리머이거나 이들의 중합체인 화합물로서, 이들의 중합시에는 각각의 저점도, 중점도 및 고점도 폴리머를 1:0.1:0.1 내지 1:1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참고하여, 상기 말단기가 비닐기인 실리콘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말단 디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폴리페닐메틸실록산; 비닐페닐메틸 말단 비닐페닐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디에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실라놀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 호모폴리머; 모노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 터폴리머; 및 비닐 말단 비닐메톡시실란 호모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저점도, 중점도 또는 고점도의 화합물에 모두 해당된다.
이 때 말단기가 비닐기인 실리콘 폴리머는,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의 원료에 각각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에서, 상기 실리카는 물성 강화를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흄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제1실리콘 액상에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에 포함되는 백금촉매로는, 중심원소가 백금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백금 카보닐 사이클로비닐메틸실록산 복합체, 백금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복합체, 백금 사이클로비닐메틸실록산 복합체, 백금 옥탄알데하이드/옥탄올 복합체 및 이들의 조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백금 1,3-디에테닐-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복합체(Platinum, 1,3-diethe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es)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의 원료 성분 중,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로는, 중량평균분자량 300~500, 점도 2~10 cP인 사이클로 실록산(Cyclo siloxane) 및 디실록산 (Disiloxan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옥타메틸디실록산 (octamethyldisiloxane)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hexamethyldi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는,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의 원료에 각각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조성물 중, 제2실리콘 액상에서, 상기 말단기가 하이드라이드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는 점도 30~100 cP, 중량평균분자량 100~20,000, Si-H Contents(mmol/g) 5~20인 실리콘 폴리머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페닐-(디메틸하이드로실록시)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폴리에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페닐오틸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페닐옥틸메틸실록산 터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의 원료 성분에는 유화용 실리콘 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용 실리콘 중합체는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 각각 100 중량% 기준, 0~10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유화용 실리콘 중합체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코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틸렌글리콜-10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에틸렌글리콜-10/15-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에는 자외선 차단제가 첨가될 수 있는데, 상기 자외선 첨가제는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 각각 100 중량% 기준, 0~10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첨가제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트리에톡시카프릴리실록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리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 각각에는 색소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통상의 색소 첨가제라면 어느 것이든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색소 첨가제는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 각각 100 중량% 기준, 0~10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 각각에는, 유용성분으로서, 비타민류, 항균제, 소염진통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성분이 1종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 각각 100 중량% 기준, 비타민류, 항균제 또는 소염진통제가 0~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를 초과하여 이들이 첨가될 경우, 실리콘 조성물이 경화된 후 생성되는 필름의 강도나 피복 효과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비타민류로는 A, B1, B2, B6, B12, C, D, E, K,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오틴, 엽산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비타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로는 통상의 항균 효능이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나, 은(Ag), 치네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암피실린 (Ampicillin), 세프타지딤 (Ceftazidime), 페니실린 (Penicillin),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 옥사졸리디논 (Oxazolidinone),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디아릴퀴놀린 (Diarylquinoline), 플류로무틸린 (Pleuromutilin), 플루오르퀴놀론 (Fluoroquinolone), 마크로라이드 (Macrolide), 카바페넴 (Carbapenem) 및 퀴놀론 (Quinolo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항생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소염진통제로는 소염제, 진통제, 소염진통제, 소염효소제 등에서 선택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아세트아미노펜, 프로피온산, 아스피린, 디플루니살, 살리실산, 살살레이트,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 페노프로펜, 케토프로펜, 덱스케토프로펜, 플루비프로펜, 옥사프로진, 록소프로펜, 인도메타신, 톨메틴, 술린닥, 에토돌락, 케토롤락, 디클로페낙, 아세클로페낙, 나부메톤, 피록시캄, 멜록시캄, 테노시캄, 드록시캄, 로녹시캄, 이소시캄, 메페남산, 메클로페남산, 플루페남산, 톨페남산,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발데콕시브, 파레콕시브, 루미라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피로콕시브, 니메술리드, 클로니신 및 리코펠론에서 선택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점도는 약 20,000~40,000 cP인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의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은 1:0.1 내지 1:10의 부피비, 더 바람직하게는 1:0.5~5의 부피비로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하여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됨으로써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이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하여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된 후 경화된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은, 백금촉매가 포함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와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혼합된 실리콘 액상; 및,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와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가 혼합된 실리콘 액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하여 아문 상처 또는 흉터가 있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된 상태에서 각 성분의 혼합반응을 통해 즉시 피부에서 경화되어 흉터개선용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액형 겔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 필름은 창상으로 인한 피부의 흉터, 여드름 흉터, 아문 상처의 복구 또는 재생을 촉진하며, 아문 상처 주위환경으로부터 미생물 감염, 공기나 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각종 부작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하기의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이액형 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제1실리콘 액상은, 백금촉매가 포함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실리콘 액상은,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기존의 흉터개선용 피복용 필름과 달리 이액형 겔 조성물로 제공되고,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하여 아문 상처 또는 흉터가 있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된 상태에서 백금촉매가 포함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및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의 혼합반응(하기 반응식 1 참조)을 통해 즉시 피부에서 경화되어 흉터개선용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처 위에 형성된 실리콘 필름은 경화가 빨라, 피부에 신속하게 밀착되며,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아 외부감염을 억제할 수 있고, 피부투습능, 자외선 차단능, 피부부착능, 인장강도, 방수능 등이 뛰어나고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아 피부상태의 개선 또는 흉터개선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18118920532-pat00001
또한, 본 발명의 이액형 실리콘 조성물이 혼합되어 경화될 때, 촉매로 백금이 사용되는데, 이 반응은 부산물이 전혀 없는 반응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실리콘 조성물에 포함되는 원료 실리콘들은 의료용 실리콘으로 자주 사용되는 재료로서 인체에 무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리콘 조성물의 제조]
다음과 같이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원료 시료를 각각 준비하였다.
제1실리콘 액상의 원료
1. 백금 촉매를 포함하는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① Vinyl polydimethylsiloxane
② Silicon Dioxide
③ Platinum, 1,3-diethe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es 가 70:29.98:0.02의 중량비로 구성
2.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
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3. 자외선 차단제
Zinc Oxide와 Triethoxycaprylysilane의 98:2 중량비 혼합물
제2실리콘 액상의 원료
1.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① Vinyl polydimethylsiloxane
② Silicon dioxide
③ Siloxanes and silicones, di-Me, Mehydrogen 이 6:2: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
2.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
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3. 자외선 차단제
Zinc Oxide와 Triethoxycaprylysilane의 98:2 중량비 혼합물
이 때, 각 실리콘 액상에서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아래의 저점도, 중점도 및 고점도의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중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특성 중량평균분자량 점도(cP)
저점도 15,000~20,000 150~250
중점도 60,000~80,000 8,000~14,000
고점도 90,000~110,000 50,000~80,000
이상과 같이 각각 혼합된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조성물을 기포제거를 위해 2~3일 이상 방치한 후, 듀얼 용기에 용량에 맞게 충진하였다.
이 용기는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이액형 실리콘 조성물을 별도로 충진할 수 있는 분리된 충진부가 구비된 것으로서,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조성물이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원료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혼합비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조건 사용용량 (g)
이액형 조성물 원료 제조예1 제조예2
제1실리콘 액상 백금을 함유하는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62 61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 38 38
자외선 차단제 0 1
제2실리콘 액상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58 57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 42 42
자외선 차단제 0 1
이렇게 제조된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의 점도는 약 20,000~40,000 cP인 것으로 확인된다.
<비교제조예 1 및 2>
제조예 1과 2에 사용된 원료를 사용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비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필름의 형성을 위해 이 조성물은 제조예 1 및 2에서 사용한 용기를 사용하는 대신, 각 원료의 총 혼합량이 제조예 1 또는 2와 동일하도록 직접 파이펫을 이용하여 혼합되게 하였다.
조건 사용용량
이액형
조성물
원료 비교제조예1 비교제조예2
제1실리콘 액상 백금을 함유하는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제조예 1과 동량 제조예 1보다
1/2배
중량 첨가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 제조예 1과 동량 제조예 1과 동량
자외선 차단제 제조예 1과 동량 제조예 1과 동량
제2실리콘 액상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제조예 1보다
2배 중량 첨가
제조예 1과 동량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 제조예 1과 동량 제조예 1과 동량
자외선 차단제 제조예 1과 동량 제조예 1과 동량
<실험예 1. 지촉 건조 시험 (TFT)>
본 발명에서 제조한 이액형 실리콘 조성물의 경화시간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듀얼용기에 충진된 제조예 1과 2, 비교제조예 1과 2의 이액형 조성물에 대한 경화시간을 확인하였다.
건조실험을 위해 Stirrer와 플라스틱 판을 준비하고, Stirrer를 가열하여 온도를 37±2℃로 설정한 뒤 그 위에 10 ㎝ × 10 ㎝ 사이즈의 플라스틱 판을 올려놓았다. 이액형 실리콘 조성물이 충진된 용기를 1회 펌핑(1회 펌핑당 용량 : 0.2~0.4 ml)하여 제조예 1과 2, 비교제조예 1과 2의 이액형 조성물이 각각 혼합된 상태의 실리콘 조성물을 플라스틱 판 위에 도포하고, 라텍스 장갑을 끼고 20회 가량 원을 그리며 섞어주고 초시계를 작동시켰다. 라텍스 장갑을 벗고 알코올 솜으로 검지를 닦아준 후, 초 시계를 이용하여 30초 단위로 손에 묻어나는 정도를 체크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조건 횟수 시험결과
제조예 1 조성물 혼합 시의 경화 시간 1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2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3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4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5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제조예 2 조성물 혼합 시의 경화 시간 1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2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3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4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5회 1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비교제조예 1 조성물 혼합 시의 경화 시간 1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2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3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4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5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비교제조예 2 조성물 혼합 시의 경화 시간 1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2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3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4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5회 2분 30초 이내 손에 묻어나지 않음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경화될 때는 1분 30초 이내에 필름화가 잘 되어 손에 잘 묻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교제조예 1 및 2의 조성물의 경우, 필름화되었을 때 기준으로 동일한 성분이 모두 혼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혼합 전 조성물의 상태가 다른 점으로 인해 비교제조예 1과 같이 반응할 실리콘이 많거나 비교제조예 2와 같이 촉매의 양이 적어 경화가 늦게 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결과를 통해, 경화가 잘 되지 않는 비교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2의 실리콘 조성물은 경화 지연으로 인해 실제 피부 대상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의 실험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로만 수행하였다.
<실험예 2. 미생물한도시험>
실리콘 조성물이 경화 후 미생물이 자라게 되면 흉터개선용 제형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기에, 실리콘이 경화된 후 미생물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듀얼용기에 충진된 제조예 1와 제조예 2의 이액형 조성물을 4회 펌핑하고 20 회 가량 원을 그리며 섞어주고 2 시간 이상 경화시킨 후, 필름(두께 200~300 ㎛)을 떼어내는 방법으로 0.1g의 시료를 얻었다.
실험을 위한 완충액(pH 7.2)은 pH 7.2의 인산이수소칼륨 34g을 물 500ml에 녹인 후(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2 조절), 물을 더 넣어 부피를 1000ml로 조정한 후 고압증기멸균한 것을 이용하였는데, 이 완충액에 실리콘 필름 0.1g을 최대한 잘게 잘라 1g의 인산염완충액에 넣어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는 미생물 측정을 위해 세균시험을 위해서는 대두카제인소화한천배지(Trypticase Soy Agar:TSA)를 준비하였고, 진균시험을 위해서는 사브로포도당한천배지(Sabouraud dextrose agar:SDA)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각각의 배지에 검액 1ml를 분주하고 도말하여 세균 확인용 대두카제인소화한천배지는 35℃, 진균 확인용 사브로포도당한천배지는 25℃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추가로 실시한 특정미생물 시험은 시료의 미생물 오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약전(제11개정), 미생물한도시험 법에 따라 규격에 명시된 담즙산저항성 그람음성균, 대장균, 살모넬라,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아 및 칸디다알비칸스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5와 같이 특정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아, 본 발명의 실리콘 조성물이 경화 후, 아문 상처부위에서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임이 확인된다.
시험항목 시료 시험기준 시험결과
미생물한도
(특정미생물한도)
제조예 1 일반세균 100 CFU/g 이하
진균 10 CFU/g 이하
불검출
특정미생물 검출여부 불검출
제조예 2 일반세균 100 CFU/g 이하
진균 10 CFU/g 이하
불검출
특정미생물 검출여부 불검출
<실험예 3. 산소투과도 확인>
듀얼용기에 충진된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이액형 조성물을 4회 펌핑하여 플라스틱 판에 도포한 후 20 회 가량 원을 그리며 섞어주고 2 시간 이상 경화시키고 1 ㎠로 자른 후 떼어내어 필름 시료를 제조하였다(필름 두께 : 200~300 ㎛). 1 ㎠의 필름 시료는 OX-TRAN 2/22.H 장비로 산소투과도를 측정하였는데(① Test gas 조건 - 종류: Oxygen (100%), 습도: 0% RH, 압력: 760 mmHg, ② Carrier gas 조건 - 종류: 98% N2, 2% H2, ③ 온도 및 측정범위 - 23℃, 2.5~10,000 cc/m2×day), 이 때,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시판중인 테가덤TM(쓰리엠, 미국), 스카케어TM (스미스앤네퓨, 영국), 스카크리닉TM(한스바이오메드, 한국)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조건 산소투과도 측정치
테가덤TM 7764 cc/m2-day
제조예 1 10,000 cc/m2-day이상 (한계치 이상)
제조예 2 10,000 cc/m2-day이상 (한계치 이상)
스카케어TM 10,000 cc/m2-day이상 (한계치 이상)
스카크리닉TM 10,000 cc/m2-day이상 (한계치 이상)
따라서 표 6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실리콘 조성물의 산소투과도가 현재 시판 중인 흉터개선 제품들의 산소투과도와 유사하거나 더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자외선차단시험>
제조예 2의 조성물에는 자외선 차단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아문 상처에 도포된 실리콘 조성물(필름)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잘 나타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3에서 필름 시료를 준비하는 방법으로 제조예 2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되 5 ㎠로 컷팅하여 필름 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료는 AS/NZS 4399 (KS K0850) 규격을 따라 자외선 차단율을 시험하였는데, UV-VIS-NIR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_Lambda 1050)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파장 범위 (UV-R : 290~400 nm, UV-A : 315~400 nm, UV-B : 290~315 nm)에서의 차단율을 측정하였다(파장 간격 : 5 nm).
그 결과, 하기 표 7과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의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이 90% 이상 자외선을 잘 차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항목 시험결과 (%)
제조예 2로 제조한 필름의
자외선 차단율
UV-R: ① 93.40, ② 91.18
UV-A: ① 92.58, ② 90.35
UV-B: ① 96.18, ② 94.00
<실험예 5. 부착력시험>
실리콘 조성물이 경화 후 흉터개선의 효능을 내기 위해서는 피부에 부착된 채 흉터가 완화될 때까지 잘 부착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실리콘 조성물이 필름으로 경화된 상태에서의 부착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4 cm × 6 cm × 3 cm의 아크릴판 2개씩 준비하고, 이 2개 중 1개의 아크릴판 위에 듀얼 용기 내의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을 각각 1회 펌핑하였다. 손 끝으로 원을 그리며 아크릴판에 골고루 20회 가량 섞어주면서 혼합한 후, 4 cm × 6 cm 아크릴판 면끼리 접착되도록 4~5 시간 정도 방치하였다. 접착된 아크릴판을 고정한 뒤, 인장강도기(LF PLUS, Lloyd Instruments)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Maximum Force 값을 측정하였다.
[고정값]
① Cross-Head Speed = 65 mm/min
② Propagation Limit = 15 mm
③ Preload = 0.1 N
측정결과, 하기 표 8과 같이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이 경화되어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착력이 너무 높으면 경화된 후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경화된 후 쉽게 떨어지지 않을 정도나 압박효과가 있을 정도의 부착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표 8의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부착력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측정 조건 1회차 측정값 2회차 측정값 3회차 측정값 4회차 측정값
제조예 1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
Maximum Force (N) 30.36 29.37 34.79 22.04
제조예 2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
Maximum Force (N) 71.03 67.48 68.55 69.29
<실험예 6. 인장강도 확인>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실리콘 조성물로 형성된 필름의 인장강도를 확인하였다.
2.5 cm × 10 cm 몰드(높이 200~300㎛) 위에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을 각각 4회 펌핑하여 도포하고, 손 끝으로 20 회 이상 골고루 섞어주며, 몰드 안에 빈틈이 없게 채워준 후,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plastic bar를 이용하여 몰드 위를 밀어주어 spreading 하였다. 조성물이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18시간 이상(overnight) 건조시킨 후, 필름 중앙부에 2.5 cm × 2 cm 범위를 표시해주어 인장강도 지그에 고정시킬 부분을 정한다. 몰드 내에 있는 필름을 단면도를 이용하여 컷팅한다. 몰드에 붙어있는 시료를 떼어내고, 시료의 두께를 측정하여 0.20 mm~0.30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확인한 후, 인장강도기(LF PLUS, Lloyd Instruments)를 이용하여 아래의 고정값을 설정하고 인장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고정값]
① Cross-Head Speed = 10 mm/min
② Preload = 0.1 N
그 결과, 표 9와 같은 값을 얻었다.
측정결과, 하기 표 9와 같이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이 경화되어 발생하는 인장강도의 값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인장강도 값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자외선 차단제가 인장강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Tensile strength (N/㎟)
1회차 측정값 2회차 측정값 3회차 측정값 4회차 측정값
제조예 1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
1.31 0.92 1.11 1.28
제조예 2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
1.09 1.1 1.29 1.0
<실험예 7. 방수력 확인>
실리콘 조성물로 형성된 필름은 피부에 닿는 물로부터 보호되기 위한 방수 기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된 필름의 방수력 유무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4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로 제조한 5 ㎠ 필름을 준비하였다. 또한 준비된 필름 시편을 적어도 16 시간 동안 습도 60±15 %와 온도 21±2 ℃에서 순화시키며 같은 환경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필름 시편과 여과지(Standard cellulose based)를 지그(jig)의 크기에 맞게 자르고 지그에 21±2 ℃ 증류수를 완전히 채웠다. 시편의 부착면(피부의 아문 상처를 피복하는 면)이 지그에 채운 증류수를 향하도록 붙이고, 지그와 시편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그 위에 여과지, 링을 순서대로 올려놓고 물이 밖으로 새거나 시험 중 시편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확실히 클램핑하였다. 정수의 초입에 채워진 물을 지그와 연결된 튜브를 통해 지그 윗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시편에 닿을 때까지 붓고 이 상태를 300±10 초간 유지하였다. 여과지를 관찰하여 시편을 통해 물이 침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표 10과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조성물이 필름 경화된 후, 물이 침투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우수한 방수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결과
제조예 1의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방수력
물에 젖지 않아야 함 적합
제조예 2의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방수력
물에 젖지 않아야 함 적합
<실험예 8. 중금속 확인>
본 발명의 실리콘 조성물 내에 중금속 (As, Cd, Hg, Pb)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혼합하기 전의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이액형 조성물을 Agilent Technologies 사의 720 ICP-OES 분석기기와 VistaChipⅡ CCD 검출기를 이용하여 As, Cd, Hg, Pb 중금속 원소를 정량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11과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실리콘 조성물에는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금속시험 시험기준 시험결과
제조예 1 As 3 ppm 이하 As 불검출
Cd 5 ppm 이하 Cd 불검출
Hg 5 ppm 이하 Hg 불검출
Pb 3 ppm 이하 Pb 불검출
제조예 2 As 3 ppm 이하 As 불검출
Cd 5 ppm 이하 Cd 불검출
Hg 5 ppm 이하 Hg 불검출
Pb 3 ppm 이하 Pb 불검출

Claims (15)

  1. 40 내지 85 중량%의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총 중량 100 중량%의 제1실리콘 액상; 및,
    40 내지 85 중량%의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 및 15 내지 60 중량%의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총 중량 100 중량%의 제2실리콘 액상;
    을 함유하는 겔 조성물로서,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내의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는, 말단기가 비닐(Vinyl)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50~80 중량%, 실리카(Silica) 15~45 중량% 및 백금촉매 0.001~5 중량%가 포함된 것이고,
    상기 제2실리콘 액상 내의 경화시간 조절 실리콘 중합체는 말단기가 비닐(Vinyl)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40~80 중량%, 실리카 10~35 중량% 및 말단기가 하이드라이드기인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10~40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기가 비닐기인 실리콘 폴리머는,
    중량평균분자량 15,000~20,000, 점도(cP) 150~250인 것;
    중량평균분자량 60,000~80,000, 점도(cP) 8,000~14,000인 것; 또는, 중량평균분자량 90,000~110,000, 점도(cP) 50,000~80,000인 것에서 선택되는 실리콘 폴리머이거나 이들의 중합체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기가 비닐기인 실리콘 폴리머는,
    비닐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말단 디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폴리페닐메틸실록산; 비닐페닐메틸 말단 비닐페닐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디에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실라놀 말단 비닐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 호모폴리머; 모노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말단 비닐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및 비닐 말단 비닐메톡시실란 호모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제1실리콘 액상에서, 필름형성 실리콘 중합체에 포함되는 백금촉매는, 중심원소가 백금인 실리콘 폴리머로서,
    백금 카보닐 사이클로비닐메틸실록산 복합체, 백금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복합체, 백금 사이클로비닐메틸실록산 복합체, 백금 옥탄알데하이드/옥탄올 복합체 및 이들의 조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의 희석용 실리콘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 300~500, 점도 2~10 cP인 사이클로 실록산(Cyclo siloxane) 또는 디실록산(Disilo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 실록산(Cyclo siloxane) 또는 디실록산(Disiloxane)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Dodecamethylcyclohexasiloxane), 옥타메틸디실록산(octamethyldisiloxane) 및 헥사메틸디실록산(hexamethyldi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제2실리콘 액상에서, 말단기가 하이드라이드기인 실리콘 폴리머는, 점도 30~100 cP, 중량평균분자량 100~20,000, Si-H Contents(mmol/g)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말단기가 하이드라이드기인 실리콘 폴리머는,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폴리페닐-(디메틸하이드로실록시)실록산; 하이드라이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페닐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폴리에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페닐오틸메틸실록산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 말단 메틸하이드로실록산-페닐옥틸메틸실록산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 각각에, 유화용 실리콘 중합체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코폴리올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액상 또는 제2실리콘 액상 각각에, 자외선 차단제, 색소첨가제, 비타민류, 항균제, 및, 소염진통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성분이 1종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은 교반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된 후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액상과 제2실리콘 액상은 듀얼 용기 내에 각각 충진되어 독립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겔 조성물.
  15. 제1항에 따른 이액형 겔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어 경화된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KR1020180149645A 2018-11-28 2018-11-28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KR10223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45A KR102234063B1 (ko) 2018-11-28 2018-11-28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PCT/KR2019/016018 WO2020111656A1 (ko) 2018-11-28 2019-11-21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45A KR102234063B1 (ko) 2018-11-28 2018-11-28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61A KR20200063661A (ko) 2020-06-05
KR102234063B1 true KR102234063B1 (ko) 2021-03-31

Family

ID=7085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45A KR102234063B1 (ko) 2018-11-28 2018-11-28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4063B1 (ko)
WO (1) WO202011165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8868A (zh) 2005-11-15 2011-08-03 莫门蒂夫性能材料股份有限公司 溶胀有机硅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制品
WO2013076450A1 (en) 2011-11-25 2013-05-30 Smith & Nephew Plc Composition, apparatus, kit and method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161B2 (ja) * 1996-11-27 2003-01-20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剥離性硬化皮膜形成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EP2211919B1 (en) * 2007-09-30 2011-09-07 Meda AB Silicone gel-based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and scar reduction
KR100859339B1 (ko) 2008-04-23 2008-09-2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드레싱재용 실리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레싱재와 그제조방법
WO2012030984A2 (en) 2010-08-31 2012-03-08 Living Proof, Inc. Sk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102011015512A1 (de) * 2011-03-30 2012-10-04 Dif Die Ideenfabrik Gmbh Kompakte Abgasbehandlungseinheit mit Mischbereich und Verfahren zur Vermischung eines Abgases
KR101686998B1 (ko) 2014-05-28 2016-12-19 주식회사 티앤엘 실리콘 겔 시트 드레싱
BR112017021396A2 (pt) 2015-04-06 2018-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ção em gel, filme e método para aplicação de uma composição em gel
KR101731612B1 (ko) 2015-11-27 2017-05-23 태경하이텍(주) 의료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KR101921727B1 (ko) * 2016-12-28 2018-11-23 주식회사 제네웰 실리콘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8868A (zh) 2005-11-15 2011-08-03 莫门蒂夫性能材料股份有限公司 溶胀有机硅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制品
WO2013076450A1 (en) 2011-11-25 2013-05-30 Smith & Nephew Plc Composition, apparatus, kit and method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656A1 (ko) 2020-06-04
KR20200063661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8945A1 (en) Skin adhesives, antimicrobial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for the use thereof
CA2764331C (en) Anti-infective skin treatment compositions
Dhir et al. Physical properties of denture base resins potentially resistant to Candida adhesion
Jude et al.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Hydrofiber® dressing containing ionic silver or calcium alginate dressings in non‐ischaemic diabetic foot ulcers
EP2332586B1 (en) Patch for treating Herpes labialis
EP3265137B1 (en) Method for local reduction of microbial skin flora
Finnegan et al. Clinical and antibiofilm efficacy of antimicrobial hydrogels
US20210178009A1 (en) Wound care products comprising alexidine
KR20070048229A (ko) 접착제 조성물
IE61785B1 (en) Bioadhesive extruded film for intra-oral drug delivery and process
WO2014064703A1 (en) Pharmaceutical liquid adhesive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anorectal disorders
US20140161866A1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opical compositions
JP2012516891A (ja) 生物組織のための二酸化塩素治療
BRPI0411032A (pt) composição adesiva hidrófila, artigo médico,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a composição adesiva, e, dispositivo de administração transdérmica
DeVengencie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denture adhesives: possible efficacy of complex carbohydrates.
KR102234063B1 (ko) 흉터개선용 피복 필름 형성을 위한 이액형 겔 조성물
Bal et al. Effects of antiseptics on pulpal healing under calcium hydroxide pulp capping: a pilot study
Lewinstein et al. Incorporation of chlorhexidine diacetate in provisional cemen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the effect on tensile strength in vitro
US20210007942A1 (en) Method for color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attoo
KR102482537B1 (ko)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hafiei et al. Effect of antibacterial/adhesive approaches on bonding durability of fiber posts cemented with self-etch resin cement
Commar et al. Effect of glaze and chlorhexidine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is-acryl resin: an in situ study
US20230414491A1 (en) Kit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urgical site infections
JPS62255417A (ja) 口腔内製剤
RU2770064C2 (ru) Пластырь, включающий перманганат калия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н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