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870B1 -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870B1
KR102233870B1 KR1020197002258A KR20197002258A KR102233870B1 KR 102233870 B1 KR102233870 B1 KR 102233870B1 KR 1020197002258 A KR1020197002258 A KR 1020197002258A KR 20197002258 A KR20197002258 A KR 20197002258A KR 102233870 B1 KR102233870 B1 KR 10223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asing
furniture
slider
cam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722A (ko
Inventor
안토니오 죠반네티
Original Assignee
해펠 베를린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펠 베를린 게엠베하 앤 코 카게 filed Critical 해펠 베를린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2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16B12/2009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actuated by rotary motion
    • F16B12/2027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actuated by rotary motion with rotating excenters or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1Drawers being constructed from two or mor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separate pins, dow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2Corner connectors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29Dowels
    • A47B2230/0033Expansible dowels or dowel-p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29Dowels
    • A47B2230/0048Fastening elements comprising plugs, radially expansible by eccentric pins inserted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선반 유닛, 책장, 서랍 유닛, 침대 프레임, 좌석 유형 등의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10)는, 결합될 가구 물품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구성요소에 형성되는 시트(66)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로서, 이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의 제1 단부 또는 전방 단부(90)에 대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가 삽입되는 구성요소에 결합될 가구 물품의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시트(68)와 결합되기에 적합한 팽창식 부싱(30)이 마련되는 것인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디바이스는, 팽창식 부싱(30)의 팽창 및 수축 변형 이동 그리고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의 적어도 일 부분(15)의 동시 팽창 시에 협동하는 작용 수단의 선형 이동을 위한 캠 메커니즘(26)을 포함하고, 상기 캠 메커니즘 및 상기 작용 수단은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에 수용되고, 공구(50)에 의해 작동된다.

Description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
본 발명은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반 유닛, 책장, 서랍 유닛, 침대 프레임, 좌석 유형 등의 가구 및/또는 가구 부속품을 조립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은 점점 더 빈번하게, 단품들을 안정적이고 제거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들 단품은, 예컨대 책장 또는 선반 유닛, 의자, 또는 단일체로 제조되지 않고 단품들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임의의 다른 가구 물품으로 제공되는 전반적인 조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키트 구조(kit structure)는, 예컨대 구조물의 운송 시설, 심지어 부피가 큰 구조물의 운송 시설, 소정 위치 등에 직접 가구를 장착할 수 있는 가능성, 그리고 또한 비전문가인 사용자에 의한 운송 및 조립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상당한 장점을 수반한다.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상이한 구성요소에 또는 가구의 단품에 결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유지 요소는, 예컨대 타이 로드(tie rod) 또는 부싱(bushing), 캠, 및 유사한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예로서, 책장 유형의 가구 물품 또는 선반 유닛을 참고하면, 이러한 가구 물품 또는 선반 유닛은 보통, 책, 잡지, 화분, 및/또는 다른 다수의 상이한 물건을 위한 안착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 똑바른 하나 이상의 선반의 길이방향 전개면에 대해 수직한 평면을 따라, 사이에 덧붙여지며 서로 명확하게 평행인 2개의 수직하고 똑바른 부재를 포함한다.
프레임의 구조 및 이 프레임에 대한 선반의 구조의 조립은, 선반(또는 똑바른 부재)의 두께부에 삽입되는 부싱 또는 캠에 의해 제공되는 유지 수단으로서, 똑바른 부재(또는 선반)에 삽입되는 대응하는 핀 또는 스크류와 클램핑 시에 협동하는 유지 수단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한 도구(스크류드라이버 또는 엘런 키이 등)에 의해 작동되고, 부싱 또는 캠의 회전을 유발하여 상기 부싱 또는 캠에 대한 상기 핀 또는 스크류의 유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핑 수단 또는 구속 수단은, 상호 결합에 있어서(선반 및 똑바른 부재 양자 모두에 있어서) 부품들의 두께부에서 협동하는 구성요소(부싱 및 스크류 또는 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형성할 필요성과 관련하여 몇 가지 주요한 단점을 수반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 수단은 긴 조립 시간을 수반하는데, 왜냐하면 작업자는 부싱 또는 캠 및 스크류 또는 핀을 각각의 시트(seat)에 삽입해야만 하고, 후속하여 스크류 또는 핀 상에서 작업하여 클램핑을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결합부에 관한 다른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선반 또는 똑바른 부재의 두께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팽창식 결합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팽창식 결합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보통 제조되는 팽창식 부싱 및 이 부싱에 대해 동축으로 삽입되는 스크류, 그리고 마찬가지로, 결합될 부품들 중 하나의 두께부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고 팽창식 결합부의 스크류 또는 핀과 결합되게 되어 있는 이심형 부싱(eccentric bushing)을 포함한다. 가구의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 클램핑은, 이심형 부싱 상에서 작용하는 공구를 이용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공구는 회전하여 부싱에 대한 핀의 후퇴 이동을 강제하고, 이때 핀은 동일한 부싱의 결과적인 반경방향 팽창과 함께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팽창식 결합부는 또한, 조립될 부품들 양자 모두에 삽입되는 요소를 포함하며, 이때 결과적으로 가구의 상기 부품들에 적절한 홈 및 시트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관련하여 몇 가지 주요한 단점을 수반한다.
추가적인 단점은 보다 긴 조립 시간과 관련되는데, 사용자는 결합될 부품의 시트 내에 팽창식 결합부의 요소를 삽입해야만 하고, 후속하여 이심형 부싱에 대해 작업하여 핀의 이동 그리고 그 시트에서의 부싱의 결과적인 팽창을 강제해야만 한다.
추가적인 단점은, 이심형 부싱이 헐거워질 가능성으로 인해 핀의 결과적인 움직임 및 핀의 부싱의 비팽창 위치로의 복귀를 수반한다는 사실로 제시되며, 이는 가구의 부품들 사이의 클램핑 구속부가 불가피하기에 느슨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될 가구 물품의 2개 부품에 동시에 부착시킬 수 있는,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조립되었을 때 단일 부품이 되며 고도의 경제성을 가지도록 적은 개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호 조립될 부품들 상에서 행해질 기계가공 프로세스의 수를 줄여주는 결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조립된 부품들 사이에서 최적의 클램핑을 보장하면서도 전술한 클램핑이 느슨해질 위험을 수반하지 않는 결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가구 물품의 구성요소 부품들의 용이하고 편리하며 신속한 조립 및 분해(예컨대, 책장에서의 선반의 장착)와 함께 조립 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고도의 내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에 적합하고 더욱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인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가구 또는 가구 부속품의 부품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반 유닛, 책장, 서랍 유닛, 침대 프레임, 좌석 유형 등의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는, 결합될 가구 물품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구성요소에 형성되는 시트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로서, 이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의 제1 단부 또는 전방 개방 단부에 대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가 삽입되는 구성요소에 결합될 가구 물품의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시트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팽창식 부싱이 마련되는 것인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디바이스는 팽창식 부싱의 팽창 및 수축 그리고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의 동시 팽창 시에 변형 이동과 협동하는 작용 수단의 선형 이동을 위한 캠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캠 메커니즘 및 작용 수단은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에 수용되고, 공구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 또는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징 및 기능적 특징은, 오직 비한정적인 예로서 제시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구 또는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의 분해 부등각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된 디바이스의 부등각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디바이스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바이스의 좌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연속적인 작동 단계에서 도시되며 작동 공구를 포함하는, 도 2의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 부등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조립된 가구 물품의 부등각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가구 물품은 연결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구성을 예시하기 위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 디바이스의 2가지 세부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며, 상기 세부 확대도는 가구 물품의 부품의 결합 이후에 도 8의 가구 물품의 부품들 사이의 2가지 클램핑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가구 또는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전술한 도면 전반에 10으로 표시되어 있음)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고 상위 요소(12) 및 하위 요소(14)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 요소 및 상기 하위 요소는 이하의 본원에서 편의상 또한 하프쉘(half-shell)이라고 지칭하지만, 이들 요소의 형상은 이하의 본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하프쉘(12 및 14)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며, 상이한 경도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위 하프쉘(14)은 특정한 신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반면, 상위 하프쉘(12)은 이하에 언급할 목적을 위해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2개의 하프쉘은, 하위 하프쉘(14)에 마련되는 관형 요소(80’)의 대응하는 쌍과 함께 스냅 결합되는, 상위 하프쉘(12)의 페그(80; peg)의 쌍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스냅 핏 유형의 연결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물론, 2개의 하프쉘 사이에 다른 부착 시스템, 예컨대 스크류 또는 그러브 나사, 아교 접합 혹은 다른 알려진 적합한 연결 방법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하프쉘(12 및 14)들 사이의 결합에 후속하여, 콘테이너 본체(11)는, 제1 단부 또는 전방 단부(90)에 웨지(13; wedge)를 가지며, 이 웨지는 상위 하프쉘(12)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하위 하프쉘(14)의 전방 프로파일(19) 너머로 배치되는 반면, 제2 단부 또는 후방 단부(91)에 있어서, 하위 하프쉘(14)에 형성되며 대향하게 외부로 톱니가 형성된 부분(15)에 의해 경계 형성되어, 팽창 영역을 형성하는 수직 슬릿(92)을 갖는다. 이하의 본원에서 언급될 대상물을 위해 상기 슬릿(92)에 대한 연결 또는 진입을 위한 대향하는 비스듬한 벽(93)이 하위 하프쉘(14)의 내부에 마련된다.
상위 하프쉘(12) 및 하위 하프쉘(14)은, 각각, 관통 개구 또는 구멍(18 및 18’)을 가지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구멍은 상이한 크기를 갖는데, 이들 구멍의 기능은 이하의 본원에서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테이너 본체(11)에 대한 설명을 완성하기 위해, 하위 하프쉘(14)은, 상기 구멍(18’)에서, 원통 형상을 갖춘 대향 측벽(17) 상에 대형 윈도우(16; window)를 갖는다. 또한, 상기 측벽(17)은, 일단 커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위 하프쉘(12)이 하위 하프쉘(14) 상에 조립되면, 이 영역에서 콘테이너 본체(11)의 측벽 개구(6)를 결정하는, 하위 하프쉘(14)의 전방 단부(19)까지 이르지 못한다.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 내부에는, 이하의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구의 부품들 사이의 클램핑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다른 구성요소가 수납되는데, 상기 다른 구성요소는 다음을 포함한다.
- 슬라이더(20; slider).
- 팽창식 부싱(30).
- 캠 메커니즘(40).
슬라이더(20)는 원통형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의 하위 하프쉘(14)에 대해 내부에 동축으로 수납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하프쉘(12, 14)의 전술한 구멍(18, 18’)에 대해 대략 중심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1 슬롯(21)을 가지며, 콘테이너 본체(11)의 후방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페그(80)/관형 요소(80’) 연결 쌍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2 슬롯(22)을 갖는다. 슬롯(21) 및 슬롯(22) 양자 모두는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 전개부를 가지며, 이에 따라 이하의 본원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콘테이너 본체(11) 내부에서 슬라이더(20)의 활주를 가능하게 한다.
제1 슬롯 또는 중앙 슬롯(21)에 대해 측방향으로, 하위 하프쉘(14)의 측벽(17)의 전술한 윈도우(16)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각각의 대향하는 돌기(23)가 마련된다. 돌기(23)의 길이는, 콘테이너 본체(11)의 슬라이더(20)에 의해 안내되는 축방향 활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윈도우(16)의 폭보다 작다.
슬라이더(20)는 [즉, 콘테이너 본체(11)의 전방 단부(90)를 향하는 쪽에서] 평평한 전방 단부(24)를 가지며, 이 전방 단부로부터 릿지(25: ridge)가 상방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더(20)의 후방 대향 단부(26)는 대신 쐐기 형상이다.
팽창식 부싱(30)은 아래가 평평한 원통형 섕크(31)를 가지며, 상기 섕크는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 슬롯(32)을 갖고, 슬라이더(20)의 전술한 돌출부(25)를 수용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장착 상태에서 슬라이더(20) 및 팽창식 부싱(30)은, 마치 슬라이더 및 팽창식 부싱이 하나의 부품인 것처럼 서로 일체를 이룬 상태로 유지된다.
대향하는 한 쌍의 측방향 윙(33)은 섕크(31)로부터 전방에 돌출되며, 이들 윙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빈 공간으로서, 콘테이너 본체(11)의 전방 부분의 근위에 배치되는 다른 페그(80)/관형 요소(80’) 연결 쌍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빈 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 대향하는 윙(33)은 각각의 두꺼운 부분(35)을 가지면서 전방에서 종료되고, 슬릿(36)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윙에는 외부에 치형부(37)가 마련되어 반경 방향으로 전개된다.
원통형 섕크(31)에 대한 윙(33)의 연결의 기초부에는, 각각의 가요성 탭(38)이 마련되어, 결합 디바이스의 전방 단부를 향해 약간 펼쳐져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 및 팽창식 부싱(30)은, 사용 중인 장착 상태에서, 서로 일체를 이루며, 이에 따라 단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생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그리고 이들 2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작업으로 인해, 2개의 구성요소를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한 강성(rigidity)를 가져야 하는 슬라이더(20)는 금속 재료, 예컨대 자막(zamak)으로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반면, 팽창식 부싱(30)은 유리하게는 연질 플라스틱 또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캠 메커니즘(40)은 하위 원통형 섹션(41), 직경은 크고 높이는 작은 상위 원통형 섹션(42),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섹션(43)을 구비하여, 캠 프로파일을 결정한다.
하위 원통형 섹션(41)은 슬라이더(20)의 중앙 슬롯(21)을 가로지르도록 되어 있고, 하위 하프쉘(14)의 베이스 벽 상에 마련되는 구멍(18’)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반면, 상위 원통형 섹션(42)은 상위 하프쉘 또는 커버(12)에 마련되며 직경이 더 큰 구멍(18)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캠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중앙 섹션(43)은 대신, 대향 측방향 돌기(23)와 같은 레벨 상에서, 슬라이더(20)의 중공형 시트(27)에 배치되어, 캠 프로파일(43)이 작용하는 대향 쇼울더(28, 29; shoulder)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한정된다.
상위 원통형 섹션(44)에는, 이하의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캠 메커니즘의 작용을 위해 공구(50)(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유지하게 되어 있는, 성형된 시트(44)가 마련된다.
성형된 시트(44)는, 위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캠의 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성형된 관통 구멍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하위 및 상위는 도면에 도시된 배치를 가리키는 것이며, 아래로부터의 캠의 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그리고 이에 따라 덜 보이는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예시된 바와 관련하여 결합될 가구의 부품들에서 뒤집혀진 결합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결합 디바이스의 구성요소의 조립은 상당히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일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 및 팽창식 부싱(30)이 서로 일체를 이루는 상태에서 슬라이더(20), 팽창식 부싱(30), 및 캠 메커니즘(40)이 하위 하프쉘(14)에 수용되면, 팽창식 부싱의 슬롯(32)에서의 슬라이더의 돌출부(25)의 결합을 위해, 조립체는 하위 하프쉘(14) 상에 상위 하프쉘(12)을 적용함으로써 고정되게 되고, 이때 쐐기형 돌기(13)가 팽창식 부싱(30)의 대향하는 윙(33)들 사이에서 시트 또는 자유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디바이스의 기능이 이제 예시된다.
도 5는 캠 메커니즘(40)의 시트(44)에 삽입된 공구(50)와 함께, 결합 디바이스의 안착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더(20)는 팽창식 부싱(30)과 함께 콘테이너 본체(11)의 전방 단부(90)쪽에서 더 전진된 위치에 존재하며, 슬라이더(20)의 쇼울더(29)에 대해 더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작용하는 캠 프로파일(43)에 의해 전술한 위치에 유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 디바이스의 제1 작동 변위에 관한 중간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50)에 의해, 회전이 부여되며, 바람직하게는 캠 메커니즘(40) 상에서 90 도에 걸쳐 회전이 부여되고, 그 결과로서, 캠 프로파일(43)은 쇼울더(29)에 대항하는 쇼울더(28)에 대해 작용하게 되어, 슬라이더(20) 및 팽창식 부싱(30)의 후방을 향한 이동을 유발(스러스트 작용)시킨다.
후방을 향한 이러한 이동 중에, 슬라이더(20)의 쐐기 형상인 후방 부분(26)은 슬릿(92)의 진입부의 경사진 벽(93)에 대해 활주하여, 슬릿의 확장 그리고 이에 따른 하위 하프쉘(14)의 외부로 톱니가 형성된 부분(15)의 팽창을 유발하고, 이는 결합될 2개의 가구 부품 중 하나에서의 결합 디바이스의 고정을 형성한다.
동시에, 슬라이더(20)의 후방을 향한 이동은, 상위 하프쉘(12)의 쐐기형 돌기(13)가 윙(33)의 두꺼운 단부 부분(35)들 사이에서 크랙(36)에 침투하여, 크랙의 확장 및 이에 따라 결합될 가구 물품의 상위 부분의 고정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또한 상기 상위 부분 상에서의 특정한 견인력이 가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 디바이스의 제2 이동에 관한 최종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50)에 의해, 추가적인 회전이 부여되며, 바람직하게는 캠 메커니즘(40)의 90 도만큼의 회전이 다시 부여되고, 이때 슬라이더(20)의 후방을 향한 추가 활주가 이루어져, 팽창식 부싱(30)의 후방을 향한 추가 이동, 그리고 선택적으로 팽창식 부싱(30) 및 외부로 톱니가 형성된 부분(15) 양자 모두의 추가적인 팽창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결합될 가구 물품의 부품들의 안정적인 클램핑이 유도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가구 물품의 예를 제시한 것이다.
도 8은, 2개의 대향하며 평행한 쇼울더(62) 및 상기 쇼울더에 대해 수직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상기 대향하는 쇼울더 사이에 개재되는 2개의 선반(64)을 포함하는 가구 물품(60)의 부등각도를 도시한 것이다.
선반(64)의 두께부에는, 팽창식 부싱(30)의 전방 부분을 이용하여 홈 또는 포켓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결합 디바이스(10)를 수용하는 기능을 갖춘 홈 또는 포켓(66; pocket)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디바이스는 상기 포켓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쇼울더(62)의 두께부에 형성된 추가적인 포켓(68)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
선반(64)의 대응하는 포켓(66) 내에 결합 디바이스(10)를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팽창식 부싱(30)의 상기 가요성 탭(38)의 통과를 위한 밀링부(milling)가 선반에 대해 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탭(38)은 결합 디바이스(10)에 관한 배향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선반(64)에 대해 전방으로 전술한 밀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대응하는 포켓(66) 내에 결합 디바이스(10)를 삽입하는 동안,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가요성 탭(38)이 대응하는 윙(33) 상에서 내부를 향해 구부러지게 되어, 결합 디바이스의 최대 둘레 풋프린트(footprint) 내에 남게 되고, 이에 따라 포켓(66)의 디바이스의 삽입에 대해 어떠한 장애도 구성하지 않게 된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반(64)에는 마찬가지로 구멍이 마련되는데, 상기 구멍은, 클램핑 작용을 행하기 위해 캠 메커니즘(40)의 성형된 시트(44)와 결합되는 공구(50)의 삽입을 허용하는 역할을 하면서 홈 또는 포켓(66)의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결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조립된 가구 물품(60)의 일부에 관한 2가지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선반(64)의 홈 또는 포켓(66)에 삽입된 결합 디바이스(10)는 안착 구성인 것이 도시되어 있고, 이때 팽창식 부싱(30)의 전방 부분은 가구 물품의 쇼울더(62)의 포켓(68)에 삽입되며(도 9의 상세도 참고), 제2 이동의 최종 구성에서는, 팽창 작용 및 슬라이더(20)에 의해 가해지는 견인력에 따라 팽창식 부싱이 포켓(68)의 벽에 대해 클램핑을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쇼울더(62)에 대한 선반(64)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이 달성된다.
실제로, 캠 메커니즘(40)의 2번의 연속적인 회전 중에, 대향하여 외부로 톱니 형성된 후방 단부 부분(15)의 팽창은 선반(64)에 있는 홈 또는 포켓(66)에서의 결합 디바이스(10)의 결과적인 고정 그리고 팽창식 부싱(30)의 동시 팽창 및 견인과 함께 부여되며, 이에 따라 가구 물품의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동시 견인 응력을 이용하여 홈 또는 포켓(68)에 대한 반경방향 압력을 통한 클램핑 작용이 이루어져, 구속부가 느슨해질 위험 없이 전술한 방식으로 부품들 사이에 안정적인 클램핑이 형성된다.
앞서 언급된 부분에서는, 공구(50)에 의해 캠 메커니즘(40)의 90 도만큼의 2회의 연속 회전이 이루어지지만, 캠 메커니즘(40)의 이동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 도만큼의 원호에 걸쳐 또는 더 작은 원호에 걸쳐 1회의 연속적인 이동일 수 있다.
가구 물품의 선택적인 분해는, 공구(50)를 이용하여, 결합 디바이스가 안착 구성이 되도록 하기 위한 조립/클램핑의 단계에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결합 디바이스(10)는 또한 선반의 홈 또는 포켓(66)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결합 디바이스는, 대향하게 톱니가 형성된 부분(15)의 비-팽창 위치로의 복귀를 위해 더 이상 구속되지 않는다.
개시된 바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부품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의 장점이 명확하게 드러나며, 본 발명은 클램핑의 실시를 위해 보조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슬라이더(20)의 일방향 이동을 이용하여 톱니 형성된 후방 부분(15)의 팽창 및 팽창식 부싱(30)의 동시 팽창 및 후방을 향한 이동을 유발시킨다.
물론,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자체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상세한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선반 유닛, 책장, 서랍 유닛, 침대 프레임, 및 좌석 유형의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을 위한 결합 디바이스(10)로서,
    결합될 가구 물품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구성요소에 형성되는 시트(66)에 삽입되는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로서,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의 제1 단부 또는 전방 단부(90)에 대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가 삽입되는 상기 구성요소에 결합될 가구 물품의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시트(68)와 결합하는 팽창식 부싱(30)이 마련되는 것인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디바이스는,
    팽창식 부싱(30)의 팽창 및 수축 변형 이동 그리고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의 적어도 일 부분(15)의 동시 팽창 시에 협동하는 작용 수단의 선형 이동을 위한 캠 메커니즘(40; cam mechanism)
    을 포함하고, 상기 캠 메커니즘 및 상기 작용 수단은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에 수용되고, 공구(50)에 의해 작동되는 것인 결합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수단은 상기 캠 메커니즘(40)에 의해 병진 이동되게 구동되는 슬라이더(20; slider)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식 부싱(30)은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의 동시 팽창 및 수축 이동을 위해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의 쐐기 형상의 돌기(13)와 협동하며, 상기 슬라이더(20)는 그 선형 이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15)의 팽창을 위한 쐐기 형상의 후방 부분(26)을 갖는 것인 결합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메커니즘(40)은, 슬라이더(20)의 시트(27)에 수용되게 되어 있고 슬라이더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쇼울더(28, 29)와 접촉하게 되는, 캠 프로파일(cam profile)을 구비하는 중앙 섹션(43)을 포함하는 것인 결합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메커니즘(40)은, 상기 캠 메커니즘(40)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공구(50)의 도입을 허용하게 성형된 시트(44)를 포함하는 것인 결합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식 부싱(30)은 원통형인 섕크(31; shank)를 가지며, 상기 섕크에는 슬롯(32)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슬라이더(20)의 돌출부(25)와 결합되게 되어 있으며, 한 쌍의 측방향 윙(33; wing)이 상기 섕크(31)로부터 전방에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측방향 윙은 콘테이너 본체(11)의 상기 돌기(13)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빈 공간(34)을 형성하게 거리를 두고 있으며, 외측 치형부(37)를 갖는 각각의 두꺼운 부분(35)이 윙(33)에 대해 전방에 마련되는 것인 결합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식 부싱(30)의 상기 윙(33) 상에 각각의 가요성 탭(38)이 마련되는 것인 결합 디바이스.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는 제1 하프쉘(12; half-shell) 및 제2 하프쉘(14)을 포함하며, 각각의 하프쉘은, 상기 하프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27)에 마련되는 슬라이더(20)의 슬롯(21)과 동축인 각각의 구멍(18, 18’)을 가지며, 상기 구멍(18, 18’)은 각각 캠 메커니즘(26)의 상위 섹션(42) 및 하위 섹션(41)을 수용하고, 상기 캠 메커니즘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인 결합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프쉘(14)은, 슬라이더(20)의 상기 슬롯(21)의 면에 마련되는 대향하는 측방향 돌기(23)의 수용을 위한 윈도우(16; window)를 갖는 둥근 프로파일을 갖춘 측벽(17)을 구비한 것인 결합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결합 디바이스(10)에 의해 가구(60) 또는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
    - 결합될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구성요소의 두께부에 형성되는 홈 또는 포켓(66)에 결합 디바이스(10)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팽창식 부싱(30)의 전방 부분은 상기 홈 또는 포켓(66)에 대해 외부로 돌출되고, 결합될 다른 구성요소의 두께부에 형성된 추가적인 포켓(68)에 삽입되는 것인 단계;
    - 슬라이더(20)에 대해 스러스트 작용(thrust action)을 가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홈 또는 포켓(68)의 측방향 표면 상에 반경방향 압력 및 견인력의 작용을 가하기 위한 팽창식 부싱의 팽창 및 수축 그리고 케이싱 또는 콘테이너 본체(11)의 적어도 일 부분(15)의 동시 팽창을 부여하기 위해 캠 메커니즘(30)을 회전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97002258A 2016-07-20 2017-06-20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 KR102233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76302A IT201600076302A1 (it) 2016-07-20 2016-07-20 Dispositivo di giunzione migliorato per parti di mobili e complementi di arredo
IT102016000076302 2016-07-20
PCT/EP2017/065066 WO2018015090A1 (en) 2016-07-20 2017-06-20 Improved device for joining of parts of furniture and furnishing accesso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722A KR20190022722A (ko) 2019-03-06
KR102233870B1 true KR102233870B1 (ko) 2021-03-30

Family

ID=5815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258A KR102233870B1 (ko) 2016-07-20 2017-06-20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268556B2 (ko)
EP (1) EP3488114B1 (ko)
KR (1) KR102233870B1 (ko)
DK (1) DK3488114T3 (ko)
IT (2) IT201600076302A1 (ko)
PL (1) PL3488114T3 (ko)
RU (1) RU2715441C1 (ko)
WO (1) WO2018015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76302A1 (it) * 2016-07-20 2018-01-20 Haefele Berlin Gmbh & Co Kg Dispositivo di giunzione migliorato per parti di mobili e complementi di arredo
IT201800009475A1 (it) 2018-10-16 2020-04-16 Universita' Degli Studi Di Palermo Giunzione a espansione, in particolare per il montaggio di parti di mobili
CN112930447B (zh) * 2018-10-26 2023-10-03 莱昂纳多有限公司 家具或其它家具用品的肩部和搁板之间的接头的改进的驱动和阻挡系统
CN110403378B (zh) * 2019-08-02 2021-06-04 胡建东 一种承重架
IT202000005086A1 (it) * 2020-03-10 2021-09-10 Effegi Brevetti Srl Dispositivo di giunzione perfezionato per parti di mobili e complementi di arredo
IT202000014326A1 (it) 2020-06-16 2021-12-16 Effegi Brevetti Srl Dispositivo di supporto e di fissaggio di ripiani di mobil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300329A1 (sv) 2013-05-10 2014-11-11 Furnparts Ab Anordning för lösbart sammanfästande av möbeldelar såsom skivor
DE102009043179B4 (de) 2009-09-26 2016-10-06 Franz Baur Verbind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69586B (it) * 1983-10-18 1987-06-03 Giovannetti F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unire tra loro pannelli in modo sbloccabile
GB2301644B (en) * 1995-05-31 1999-03-10 Titus Int Plc Joint forming devices
IT1298152B1 (it) * 1998-01-19 1999-12-20 Giovannetti F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unire tra di loro pannelli per arredamento
US6299397B1 (en) 2000-06-22 2001-10-09 Craig Mengel Double ended expansion fastener
WO2002035102A1 (en) * 2000-10-25 2002-05-02 154322 Canada Inc. An integrated joint assembly fastener
DE202009012750U1 (de) * 2009-09-19 2011-02-10 Hettich-Heinze Gmbh & Co. Kg Dübelbolzen einer Verbindungsvorrichtung
KR102485249B1 (ko) * 2014-10-07 2023-01-04 에페기 브레베티 에스.알.엘. 가구 및 가구용 액세서리의 부품들을 결합하기 위한 장치
IT201600076302A1 (it) * 2016-07-20 2018-01-20 Haefele Berlin Gmbh & Co Kg Dispositivo di giunzione migliorato per parti di mobili e complementi di arredo
IT201700028685A1 (it) * 2017-03-15 2018-09-15 Car S R L Dispositivo di giunzione tra componenti di un mobile e metodo di realizzazione di detto dispositivo
EP3502491B1 (en) * 2017-12-21 2020-10-14 CAR S.r.l. Conn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3179B4 (de) 2009-09-26 2016-10-06 Franz Baur Verbindungsvorrichtung
SE1300329A1 (sv) 2013-05-10 2014-11-11 Furnparts Ab Anordning för lösbart sammanfästande av möbeldelar såsom skiv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722A (ko) 2019-03-06
US11098740B2 (en) 2021-08-24
WO2018015090A1 (en) 2018-01-25
DK3488114T3 (da) 2020-11-16
US20190107132A1 (en) 2019-04-11
IT201600076302A1 (it) 2018-01-20
US20190271345A1 (en) 2019-09-05
IT201600119077A1 (it) 2018-05-24
US11268556B2 (en) 2022-03-08
RU2715441C1 (ru) 2020-02-28
EP3488114B1 (en) 2020-11-04
PL3488114T3 (pl) 2021-04-19
EP3488114A1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870B1 (ko) 가구 및 가구 부속품의 부품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
KR102212249B1 (ko) 가구의 부품들 및 가구 부속품들을 결합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
KR102485249B1 (ko) 가구 및 가구용 액세서리의 부품들을 결합하기 위한 장치
US4343245A (en) Support unit for shelving system
US11346382B2 (en) Modular furniture with stressed dovetail tab joint
EP3545202B1 (en) Improved device for joining parts of furniture and furnishing accessories
EP1228721A1 (en) Ouick-on shelf support for furniture and the like
WO2021180353A1 (en) Improved joining device for furniture parts and furnishing accessories
KR100363954B1 (ko) 옷걸이용 걸이봉 연결구
BR202018011323Y1 (pt) Cadeira modular universal multiutilitária
JPH0686581U (ja) スライド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