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830B1 -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830B1
KR102232830B1 KR1020200012194A KR20200012194A KR102232830B1 KR 102232830 B1 KR102232830 B1 KR 102232830B1 KR 1020200012194 A KR1020200012194 A KR 1020200012194A KR 20200012194 A KR20200012194 A KR 20200012194A KR 102232830 B1 KR102232830 B1 KR 102232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lock
insert groove
locking
sealing memb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로 마주보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상기 틈을 밀폐하는 실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인서트 홈과,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되, 상기 인서트 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락킹 블록과, 상기 인서트 홈과 상기 락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락킹 블록을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연결하여, 상기 실링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Sealing assembly and vacuum container for curing tire comprising the same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한편, 타이어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탄성 및 유연성이 있는 재질 또는 기타 재료를 혼합하여 반제품을 만들고, 이 반제품들을 성형하여 그린 타이어(Green Tire)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여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가류 공정은 그린 타이어를 일정시간 동안 소정 온도로 압력을 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몰드 사이에 그린 타이어를 넣고, 이 그린 타이어의 내부에서 몰드 방향으로 가압하여 몰드 형태 또는 몰드의 표면 형태에 대응되는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타이어의 표면, 예를 들면 트레드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타이어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진공 가류 컨테이너의 내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야 하며, 만약 제대로 밀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공 공정이 수행될 경우에는 타이어 트레드의 품질 저하가 발생된다. 따라서, 타이어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 진공 가류 컨테이너의 밀폐를 유지하여야 하고, 실링 부품에 훼손이 있다면 즉시 교체해야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링 부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상기 틈을 밀폐하는 실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인서트 홈과,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되, 상기 인서트 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락킹 블록과, 상기 인서트 홈과 상기 락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락킹 블록을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연결하여, 상기 실링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실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인서트 홈의 일측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 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락킹 블록에서 분리되면, 상기 락킹 블록의 걸림 턱과 상기 실링 부재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락킹 블록을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가 팽창하면, 가이드 핀이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베이스부가 상기 인서트 홈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락킹 블록이 상기 인서트 홈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블록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걸림 턱과,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 홈은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락킹 블록이 이동하는 공간을 허용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락킹 블록의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교차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실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조립체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인서트 홈과,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되, 상기 인서트 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락킹 블록과, 상기 인서트 홈과 상기 락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락킹 블록을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연결하여, 상기 실링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링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인서트 홈의 일측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 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락킹 블록에서 분리되면, 상기 락킹 블록의 걸림 턱과 상기 실링 부재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락킹 블록을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는 쉽게 실링 부재를 교환할 수 있다. 실링 조립체는 인서트 홈에 삽입되는 락킹 블록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실링 부재를 교체시에는 고정 부재를 분리하고, 락킹 블록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써, 실링 부재의 일측을 개방시켜서, 쉽게 실링 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는 고정 부재의 분리되면, 탄성 부재가 락킹 블록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실링 부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고정 부재가 락킹 블록에서 분리되면, 탄성 부재의 팽창력이 락킹 블록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실링 부재를 분리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작업자는 락킹 블록이 이동된 공간을 통해서 실링 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는 락킹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관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링 조립체는 기 설정된 구간에서 락킹 블록이 선형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더라도, 락킹 블록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실링 부재를 교체시에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에 의해서 제조된 타이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1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 부재(13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링 부재(14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링 조립체(1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 사이의 틈을 실링할 수 있다.
실링 조립체(100)는 밀폐가 필요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특정 기술분야에 한정되지 않으며, 산업용 장치, 의료용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기에서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 상태의 유지가 필요한,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어너에 적용될 수 있다.
실링 조립체(100)는 인서트 홈(110), 락킹 블록(120), 고정 부재(130), 실링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링 조립체(100)는 탄성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홈(110)은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인서트 홈(110)이 제1 바디(10)에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서트 홈(110)은 밀폐 되어야될 간극에 인접한 어느 하나의 부품에 형성되어, 락킹 블록(120), 고정 부재(130), 실링 부재(14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인서트 홈(110)은 걸림부(111), 삽입부(112), 가이드부(113) 및 장착부(114)로 구분될 수 있다. 걸림부(111), 삽입부(112), 가이드부(113) 및 장착부(114)는 공간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걸림부(111)는 실링 부재(140)가 장착될 수 있다. 걸림부(111)는 락킹 블록(120)이 결합되면, 락킹 블록(120)의 걸림 턱(121)과 함께 실링 부재(140)를 고정할 수 있다. 걸림부(111)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 턱(121)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걸림 턱(121)과 걸림부(111)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112)는 걸림부(111)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락킹 블록(12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부(112)는 락킹 블록(120)의 베이스부(122)가 삽입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22)의 높이가 삽입부(112)의 높이 보다 작게 설정되어, 베이스부(122)는 삽입부(112)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부(112)의 아래에 배치된 스토퍼(112a)는 베이스부(12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22)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베이스부(122)가 스토퍼(112a)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가이드부(113)는 삽입부(112)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113)는 락킹 블록(120)의 가이드 핀(123)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113)는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 핀(123)이 삽입 및 선형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113)의 끝단에는 제1 삽입홈(113a)을 가질 수 있다. 제1 삽입홈(113a)은 장착부(114)를 통과하여 연장되며, 가이드 핀(123)의 끝단이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다.
장착부(114)는 가이드부(113)와 교차되며, 고정 부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114)는 가이드부(113)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고정 부재(130)가 장착부(114)를 통과하여, 가이드 핀(123)과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114)는 고정 부재(130)가 삽입되는 제1 단(114a)과, 제1 단(114a)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30)가 결합하는 제2 단(114b)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114a)은 고정 부재(130)가 제2 단(114b)이 이동 할 수 있는 통로이며, 제2 단(114b)의 내주면은 고정 부재(130)와 나사 결합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서트 홈(110)은 탄성 부재(15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115)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삽입홈(115)에는 탄성 부재(150)가 삽입되며, 탄성 부재(150)를 지지할 수 있다.
락킹 블록(120)은 인서트 홈(110)에 삽입되며, 인서트 홈(110)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락킹 블록(120)을 이동시켜서, 실링 부재(140)를 용이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세히, 도 1과 같이, 락킹 블록(120)이 고정 위치에 배치되면, 고정 부재(130)를 이용하여 실링 부재(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락킹 블록이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작업자는 실링 부재(140)를 쉽게 인서트 홈(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락킹 블록(120)은 걸림 턱(121), 베이스부(122), 가이드 핀(123), 삽입 개구(124)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 턱(121)은 베이스부(12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실링 부재(140)와 접촉될 수 있다. 걸림 턱(121)은 걸림부(111)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락킹 블록(120)이 고정 위치에 배치되면 걸림 턱(121)은 실링 부재(140)를 가력하여, 실링 부재(14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122)는 걸림 턱(121)과 연결되며, 인서트 홈(110)에 삽입된다. 베이스부(122)는 삽입부(112)에 삽입되며, 락킹 블록(120)의 선형이동에 따라 삽입부(112) 내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다. 베이스부(122)는 일측면은 스토퍼(112a)에 지지될 있다. 상세히, 도 2와 같이, 고정 부재(130)가 해제되면, 락킹 블록(120)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베이스부(122)의 일측면은 스토퍼(112a)에 지지되어, 락킹 블록(120)이 인서트 홈(1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가이드 핀(123)은 베이스부(1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인서트 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핀(12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130)가 분리되면, 탄성 부재(150)에 의해서 가이드 핀(123)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 개구(124)는 가이드 핀(123)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고정 부재(130)가 삽입 개구(124)를 관통하여 장착되므로, 고정 부재(130)가 가이드 핀(123)을 제1 바디(10)에 고정할 수 있다. 삽입 개구(124)는 장착부(114)의 제1 단(114a)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1과 같이, 가이드 핀(123)이 제1 삽입홈(113a)에 삽입되도록 정렬되면, 고정 부재(130)는 제1 단(114a)을 통과하여, 삽입 개구(124)에 삽입되며, 이로써 락킹 블록(120)이 제1 바디(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락킹 블록(120)을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에 연결하여, 실링 부재(1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삽입부(112)에 삽입되어, 삽입 개구(124)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고정 부재(130)는 락킹 블록(120)을 제1 바디(1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서로 다른 부품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특정 부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고정 부재(130)는 나사, 볼트, 못, 기등 형상의 구조물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고정 부재(130)가 제2 단(114b)에서 나사 결합을 하는 볼트 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링 부재(140)는 인서트 홈(110)과 락킹 블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140)는 걸림부(111)와 걸림 턱(121)에 개제되어,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조립되면, 실링 부재(140)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부재(140)는 소정의 밀폐력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품으로 특정 부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실링 부재(140)가 고무재질로 형성된 오-링 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 부재(150)는 인서트 홈(110)과 락킹 블록(120) 사이에 배치되어, 락킹 블록(1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일단이 인서트 홈(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타단이 락킹 블록(120)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일단이 제2 삽입홈(115)에 삽입되며, 타단이 베이스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는 고정 부재(130)가 락킹 블록(120)에서 분리되면, 락킹 블록(120)의 걸림 턱(121)과 실링 부재(140)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락킹 블록(1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과 같이, 고정 부재(130)가 락킹 블록(120)을 고정하면, 탄성 부재(150)는 압축한 상태로 제2 삽입홈(115)에 지지된다. 도 2와 같이, 고정 부재(130)가 삽입부(112)에서 분리되면, 탄성 부재(150)는 아래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고, 걸림 턱(121)은 실링 부재(140)와 접촉이 해제된다. 이후 도3 과 같이, 작업자가 쉽게 실링 부재(140)를 실링 조립체(100)에서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100)는 쉽게 실링 부재(140)를 교환할 수 있다. 실링 조립체(100)는 인서트 홈(110)에 삽입되는 락킹 블록(12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실링 부재(140)를 교체시에는 고정 부재(130)를 분리하고, 락킹 블록(120)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써, 실링 부재(140)의 일측을 개방시켜서, 쉽게 실링 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100)는 고정 부재(130)의 분리되면, 탄성 부재(150)가 락킹 블록(120)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실링 부재(14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0)가 락킹 블록(120)에서 분리되면, 탄성 부재(150)의 팽창력이 락킹 블록(120)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락킹 블록(120)이 즉시 실링 부재(140)에서 분리되어, 실링 부재(140)를 분리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작업자는 락킹 블록(120)이 이동된 공간을 통해서 실링 부재(14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조립체(100)는 락킹 블록(120)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관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에서 락킹 블록(120)의 베이스부(122)는 스토퍼(112a)에서 D1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락킹 블록(120)은 D1의 구간에서 선형이동 할 수 있다. 락킹 블록(120)이 도 2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부(122)가 스토퍼(112a)에 지지되더라도, 가이드 핀(123)이 가이드부(11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락킹 블록(120)은 제1 바디(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즉, 실링 조립체(100)는 기 설정된 구간에서 락킹 블록(120)이 선형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더라도, 락킹 블록(120)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실링 부재(140)를 교체시에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1)는 그린 타이어(G)의 측면을 가압하고,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상부 플레이트(10)와, 상부 플레이트(10)의 측면을 감싸고, 상부 플레이트(10)에 대한 상하 이동에 따라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아우터링(20)과, 아우터링(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아우터링(20)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린 타이어(G)의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아우터링(20)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트레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그먼트(30)와,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흡입공(41)을 구비하고, 세그먼트(3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0)는 가류 시 그린 타이어(G)의 측면을 고정하고,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으로의 공기 출입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우터링(20)과 서브 상부 플레이트(50)가 상승할 경우에는 상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부 배기공(13)을 통해 진공 컨테이너 내외로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와 서브 상부 플레이트(50)의 사이의 틈에는 실링 조립체(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10)나 서브 상부 플레이트(50)에 전술한 인서트 홈(110)이 배치되며, 인서트 홈(110)에 락킹 블록(120), 고정 부재(130), 실링 부재(140), 탄성 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0)의 측면에는 아우터링(20)이 설치된다. 아우터링(20)은 상부 플레이트(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우터링(20)의 상하 운동에 따른 세그먼트(30)의 이동에 따라 진공 컨테이너의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이 제어될 수 있다.
아우터링(20)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트 볼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볼트(22)는 진공 컨테이너의 관리를 위한 구조물로써, 작업자가 진공 컨테이너 내부의 상부 사이드 몰드(60)와 트레드 몰드(70) 및 하부 사이드 몰드(80)를 교체하거나, 진공 컨테이너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진공 컨테이너를 분해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진공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리프트 볼트(22)에 벨트와 같은 운반 수단을 체결하여 간편하게 진공 컨테이너를 운반할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40)는 진공 컨테이너의 다른 모든 구성품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하부 플레이트(40)는 세그먼트(30)를 그린 타이어(G)의 트레드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40)와 아우터링(20)의 사이의 틈에는 실링 조립체(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40)와 아우터링(20)에 전술한 인서트 홈(110)이 배치되며, 인서트 홈(110)에 락킹 블록(120), 고정 부재(130), 실링 부재(140), 탄성 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40)와 하부 사이드 몰드(80) 사이의 틈에는 실링 조립체(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40)와 하부 사이드 몰드(80)에 전술한 인서트 홈(110)이 배치되며, 인서트 홈(110)에 락킹 블록(120), 고정 부재(130), 실링 부재(140), 탄성 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링 조립체(100)의 위치는 도 4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1)에서 각 부품 사이의 틈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타이어 가류 공정시에 컨테이너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14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간단하게 고정 부재(130)를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락킹 블록(120)과 실링 부재(140)의 접촉이 해제되고, 작업자가 실링 부재(14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1)에 의해서 제조된 타이어(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부(220), 비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지면과 접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2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215)와, 타이어(2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의 아래에는 바디 플라이(240), 벨트층(250), 캡 플라이(260) 및 이너라이너(27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220)는 트레드부(210)와 비드부(230) 사이를 연결한다.
비드부(230)는 사이드월부(2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200)를 차량의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230)는 비드 코어(231)와 비드 필러(232)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231)는 비드 필러(232)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230)는 비드 필러(2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232)는 비드 코어(231)로부터 사이드월부(2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232)는 비드 코어(2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2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2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24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부(220) 및 비드부(2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2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 플라이(2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240)는 벨트층(250)의 아래에 배치되고, 사이드월부(220)로 연장되어 비드부(230)에서 턴업되되,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240)는 비드부(230)에서 턴업되므로, 바디 플라이(24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240)는 비드부(230)에서 턴업되어 사이드월부(220)를 향하여 연장되고, 단부는 바디 플라이(240)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비드 코어(231)와 비드 필러(232)가 배치된다.
바디 플라이(2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바디 플라이(2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250)은 제1 벨트층(251)과 제2 벨트층(252)을 구비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타이어(2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틸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
캡 플라이(260)는 벨트층(250)의 양단을 커버할 수 있다. 캡 플라이(260)는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2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270)는 타이어(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2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270)는 타이어(2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2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270)는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는 밀폐성이 향상된 실링 조립체(100)가 장착된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1)에서 제조되며, 이때, 실링 조립체(100)에 의해서 진공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품질의 타이어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실링 조립체(100)의 실링 부재(140)를 쉽게 교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실링 부재(140)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제조 공정 효율을 향상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100: 실링 조립체
110: 인서트 홈
120: 락킹 블록
130: 고정 부재
140: 실링 부재
150: 탄성 부재

Claims (7)

  1. 서로 마주보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의 틈에 배치되어, 상기 틈을 밀폐하는 실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인서트 홈;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되, 상기 인서트 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락킹 블록;
    상기 인서트 홈과 상기 락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락킹 블록을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연결하여, 상기 실링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 블록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걸림 턱;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를 구비하는, 실링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인서트 홈의 일측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 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락킹 블록에서 분리되면, 상기 락킹 블록의 걸림 턱과 상기 실링 부재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락킹 블록을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링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팽창하면, 가이드 핀이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베이스부가 상기 인서트 홈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락킹 블록이 상기 인서트 홈에서 분리되지 않는, 실링 조립체.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홈은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락킹 블록이 이동하는 공간을 허용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락킹 블록의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교차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실링 조립체.
  6.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실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조립체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인서트 홈;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되, 상기 인서트 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락킹 블록;
    상기 인서트 홈과 상기 락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락킹 블록을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연결하여, 상기 실링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락킹 블록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는 걸림 턱;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서트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조립체는
    일단이 상기 인서트 홈의 일측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 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락킹 블록에서 분리되면, 상기 락킹 블록의 걸림 턱과 상기 실링 부재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락킹 블록을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KR1020200012194A 2020-01-31 2020-01-31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KR10223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94A KR102232830B1 (ko) 2020-01-31 2020-01-31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94A KR102232830B1 (ko) 2020-01-31 2020-01-31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830B1 true KR102232830B1 (ko) 2021-03-26

Family

ID=7525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194A KR102232830B1 (ko) 2020-01-31 2020-01-31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7034A (zh) * 2022-09-28 2022-11-01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抽真空活络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1427A (ja) *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成形装置
KR101864008B1 (ko) * 2016-04-19 2018-06-04 인미환 타이어 가황용 금형의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1427A (ja) *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成形装置
KR101864008B1 (ko) * 2016-04-19 2018-06-04 인미환 타이어 가황용 금형의 컨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7034A (zh) * 2022-09-28 2022-11-01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抽真空活络模具
CN115257034B (zh) * 2022-09-28 2023-01-31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抽真空活络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91837B6 (cs) Odvzdušňovací ventil a vulkanizační forma pro výrobu pneumatik
KR101973683B1 (ko) 타이어 가류를 위한 진공 컨테이너
KR102232830B1 (ko) 실링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JP2004314606A (ja) タイヤを加硫する方法および自己ロック式タイヤモールド
WO2015009399A1 (en) Tire with pre-formed tread and method of making same
RU232756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 вулканизации шины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397616A (en) Unvulcanized tread material for pneumatic tire,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and pneumatic tire obtained by method
BR9903300A (pt) Processo para fabricar, moldar e curar pneus para rodas de véiculos
CN117480042A (zh) 用于形成轮胎的模具及轮胎生产方法
RU2211764C2 (ru) Камера для шин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8075294B2 (en) Tire mold and tire with internal grooves in shoulder area
US10035314B2 (en) Process and vulcanising mould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KR101933093B1 (ko) 타이어 몰드
ES218274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moldeado y la vulcanizacion de neumaticos de vehiculos automoviles.
US20160214340A1 (en) Tire Vulcanization Bladder and Pneumatic Tire Manufacturing Method
CN103029312A (zh) 用于调整轮胎成型机的方法和设备
US2484620A (en) Flexible protective cushion for tire chafer area
KR102204892B1 (ko) 블래더 제조 장치 및 블래더 제조 방법
CN106660281B (zh) 双模具可更换中心挡边
WO2020008692A1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KR102320139B1 (ko) 타이어 가류용 진공 컨테이너
JP2018519184A (ja) 加工空間の高さ位置固定機
KR102444914B1 (ko) 비드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0381A (ko) 타이어 가류금형
KR102229189B1 (ko) 타이어 몰드용 벤트 장치,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몰드 조립체 및 타이어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