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799B1 -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 Google Patents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799B1
KR102232799B1 KR1020200053974A KR20200053974A KR102232799B1 KR 102232799 B1 KR102232799 B1 KR 102232799B1 KR 1020200053974 A KR1020200053974 A KR 1020200053974A KR 20200053974 A KR20200053974 A KR 20200053974A KR 102232799 B1 KR102232799 B1 KR 10223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topper
door
modul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식
Original Assignee
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식 filed Critical 유광식
Priority to KR102020005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부착보드; 상기 부착보드의 일변측에 수직 절곡하게 형성되는 스토퍼보드; 상기 스토퍼보드에 부착되는 완충블록; 및 상기 완충블록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Door damping stopper using magnet}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닫힐 때 완충 효과를 가져옴과 동시에 도어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사무실의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는 사용자의 편리성과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벽체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벽체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충격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그 충격으로 인하여 도어가 파손되어 심한 경우에는 도어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어를 닫을 때 도어의 폐쇄 위치를 지시하며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물도 제공되는데, 방문을 열어 도어를 기준으로 양측 기압차가 발생하거나 바람이 부는 경우에 도어가 잦은 흔들림을 발생시키어 소음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858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가 닫힐 때 충격을 완화하며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부착보드; 상기 부착보드의 일변측에 수직 절곡하게 형성되는 스토퍼보드; 상기 스토퍼보드에 부착되는 완충블록; 및 상기 완충블록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블록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석부는 상기 완충블록 내측에 내설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에 자력에 의하여 고정되며 도어에 부착되는 금속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에 의하면, 도어가 닫히는 경우 도어에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정해진 위치에서 닫힌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에 의하면, 도어가 소정 외력 이하의 경우에서는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100)는 결합브라켓(110), 완충블록(120) 및 자석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브라켓(11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판상의 부착보드(112)와, 상기 부착보드(112)의 일변측에 수직 절곡하게 형성되는 스토퍼보드(111)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보드(112)는 부착홀(114)이 복수 개 구비되어 벽체(20)의 개구부(30)를 폐쇄하도록 도어(10)가 벽체(20)와 평행하게 회전된 경우에 있어서 개구부(30)의 상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보드(111)의 외측변에 상기 완충블록(120)이 볼트 결합된다.
상기 완충블록(120)은 전체적으로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소정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블록(120)는 사각 블록 형상의 블록몸체부(122)와 상기 블록몸체부(122)의 양측에 볼트(134)가 내설되게 관통 설치되는 볼트공(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부(122) 내부에는 상기 자석부(140)가 외부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는 깊이로 내설된다.
한편, 상기 블록몸체부(122)의 볼트공(124)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스토퍼보드(111)에는 결합공(116)이 구비되어 상기 블록몸체부(122)가 상기 스토퍼보드(111)에 볼트결합되며, 이때 상기 볼트(134)의 헤드는 상기 블록몸체부(122)에 내설된 상태를 이룸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100)는 상기 부착보드(112)의 부착홀(114)을 이용하여 도어(10)가 폐쇄된 경우에 있어서의 벽체 개구부(30) 상측에 나사(154) 결합되며, 이때 상기 완충블록(120)은 상기 도어(10)가 개구부(30)를 폐쇄시킨 경우 상기 도어(10)에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 상부에는 상기 완충블록(120)에 대응되는 위치로 금속편(180)을 접착 또는 나사결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어(10)가 폐쇄된 경우 상기 도어의 금속편(180)이 상기 완충블록(120)에 맞닿게 되는데, 금속편(180)이 완충블록(120) 내부 자석부(140)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도어(10)가 개구부를 폐쇄 시 도어(10)에 충격을 주지 않고 개구부의 폐쇄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폐쇄된 상태를 소정 외력 이하에서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공기압이 일시적으로 작용하거나 바람 등에 의하여 도어(10)가 움직여 소음을 발생하거나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는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100), 중앙이동모듈(200), 결합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10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와 마찬가지로 결합브라켓(110), 완충블록(120) 및 자석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100)을 이루는 구성들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중앙이동모듈(200)은 전체적으로 사각 블록 형태를 이루되 일변측으로 상기 부착보드(112)가 상기 스토퍼보드(111)가 간섭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 압입 삽입되는 압입홈(225)이 구비된 이동몸체부(210)와, 상기 이동몸체부(210)의 상변측으로 상기 압입홈(225)의 반대측이 개구된 슬라이딩홈(21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부(210)는 상기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100)의 부착보드(112)가 슬라이딩 압입 설치되는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보드(212)와, 상기 완충보드(212)의 타측에 대면되게 설치되며 강직성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몸체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보드(212)는 고무나 우레탄 등 재질로 이루어지며,상기 메인몸체부(214)는 강직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보드(212)와 상기 메인몸체부(214)는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입홈(225)은 상기 완충보드(212)와 메인몸체부(214)에 동시에 관통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모듈(300)은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브라켓(31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브라켓(310)은, 도시된 것처럼, 상부보드부(312)와 하부보드부(316) 및 상기 상부보드부(312)와 하부보드부(316)의 타측변을 연결하는 수직보드부(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드부(312)와 하부보드부(316)는 상기 이동몸체부(210) 상하부가 압입된 상태로 삽입 가능할 정도의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보드부(312)는 나사홀(311)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홀(311)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보드부(312)를 벽체(20)의 개구부 상측에 나사(333)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보드부(316)는 상기 나사홀(311)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당한 크기의 개구공(317)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홀(311)에 나사체결 시 드라이버 등 공구의 진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보드부(314)에는 조절볼트(350)가 나사방식으로 이동하는 볼트관통공(355)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보드부(312)의 나사홀(311)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모듈(300)을 벽체(20)의 개구부 상측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개구공(317)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333)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결합모듈(300)의 개구된 측으로 중앙이동모듈(200)을 삽입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홈(218)에는 상기 나사(333)의 헤드부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100)의 부착부(112)를 상기 압입홈(225)에 압입되는 상태로 설치하게 되며, 최종 설치된 상태는 도 5와 같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에 대응되는 위치로 도어에는 전술한 금속편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폐쇄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의 폐쇄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폐쇄 위치에서 도어의 완충 작용을 가져오며 소정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폐쇄상태의 유지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도어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완충블록(120)에 잦은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경우 상기 결합모듈(300)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을 따라서 일부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완충보드(212)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어의 폐쇄 위치가 변경되거나 폐쇄상태의 유지가 어렵게 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절볼트(350)를 상기 결합모듈(300)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중앙이동모듈(200)을 조절볼트(35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완충블록(120)을 도어가 충돌하는 방향으로 일부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도어의 폐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완충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의 설치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는 상기 결합모듈(300) 내측으로 상기수직보드부(314)에 쐐기부(340)가 구비되며, 상기 쐐기부(340)에 대응되는 측으로 상기 메인몸체부(214)에 소정 외력이 작용 시 파괴되며 내부에 지시액이 수용된 파쇄캡슐(341)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는 잦은 충격에 의하여 중앙이동모듈(200)이 수직보드부(314)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파쇄캡슐(341)이 파손되어 내부 지시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폐쇄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공(317) 주면에 천과 같은 흡수부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누설된 지시색이 흐르지 않고 흡수부에 흡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110: 결합브라켓
111: 스토퍼보드
112: 부착보드
114: 부착홀
120: 완충블록
122: 블록몸체부
124: 볼트공

Claims (3)

  1.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과, 상기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이 결합되는 중앙이동모듈과, 상기 중앙이동모듈이 결합되는 결합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모듈은 판상의 부착보드 및 상기 부착보드의 일변측에 수직 절곡하게 형성되는 스토퍼보드를 포함하는 결합브라켓과, 상기 스토퍼보드의 외부 일면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자석부가 구비된 완충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이동모듈은 사각 블록 형태를 이루되 일변측으로 상기 부착보드가 상기 스토퍼보드가 간섭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 압입 삽입되는 압입홈이 구비된 이동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몸체부는 상기 부착보드가 슬라이딩 압입 설치되는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보드와, 상기 완충보드의 타측에 대면되게 설치되며 강직성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몸체부의 상변측으로 상기 압입홈의 반대측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보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몸체부는 강직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입홈은 상기 완충보드와 메인몸체부에 동시에 관통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모듈은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브라켓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보드부와 하부보드부 및 상기 상부보드부와 하부보드부의 타측변을 연결하는 수직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보드부와 하부보드부는 상기 이동몸체부 상하부가 압입된 상태로 삽입 가능할 정도의 이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상부보드부는 나사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보드부는 상기 나사홀에 대응되는 위치로 기 설정 크기의 개구공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보드부는 볼트관통공이 구비되되, 상기 볼트관통공에 조절볼트가 나사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앙이동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에 자력에 의하여 고정되며 도어에 부착되는 금속편을 더 구비하는,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KR1020200053974A 2020-05-06 2020-05-06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KR102232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74A KR102232799B1 (ko) 2020-05-06 2020-05-06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74A KR102232799B1 (ko) 2020-05-06 2020-05-06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799B1 true KR102232799B1 (ko) 2021-03-25

Family

ID=7522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74A KR102232799B1 (ko) 2020-05-06 2020-05-06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7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910Y1 (ko) * 2003-08-11 2003-11-10 김광호 자석을 이용한 고정장치
KR200381640Y1 (ko) * 2005-01-27 2005-04-14 조규찬 자석을 이용한 가구의 도어개폐장치
KR101514298B1 (ko) * 2014-01-06 2015-04-22 김태원 자석을 이용한 철재 도어 고정구
KR101738584B1 (ko)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910Y1 (ko) * 2003-08-11 2003-11-10 김광호 자석을 이용한 고정장치
KR200381640Y1 (ko) * 2005-01-27 2005-04-14 조규찬 자석을 이용한 가구의 도어개폐장치
KR101514298B1 (ko) * 2014-01-06 2015-04-22 김태원 자석을 이용한 철재 도어 고정구
KR101738584B1 (ko)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8483B1 (en) Braking retardation apparatus
US7703754B2 (en) Limit stop for a door or lid of a motor vehicle
KR102482390B1 (ko) 특히 차량의 플랩을 위한 댐핑 조립체
KR20100099301A (ko) 유니버셜 댐핑 기구
KR20030032848A (ko) 가동식 가구파트의 완충장치
BR0200017A (pt) Aparelho de válvula para compressor hermético
KR102232799B1 (ko) 자석식 도어 완충 스토퍼
KR20150002491U (ko) 도어 패널에 은폐되는 플로어 힌지
KR200437900Y1 (ko) 가구도어 충격 흡수 구조
TW200737150A (en) Viscous fluid-filled damper and mounting structure for viscous fluid-filled damper
KR101360338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범퍼
CN208647594U (zh) 一种文化艺术品保护装置
CN203808693U (zh) 用于门组件的柔性阻挡装置
KR101896776B1 (ko) 소음이 저감되는 가변흡기 장치
KR200363475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JP2006275249A (ja) 緩衝器
JPH10140927A (ja) ドアー構造
CN204628405U (zh) 一种油压阻尼缓冲器
CN214835630U (zh) 淋浴房导轨长度补偿机构
KR200307202Y1 (ko)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CN220667302U (zh) 一种隔音测试舱的舱门闭合结构
KR101446574B1 (ko) 댐핑기능을 갖는 도어스톱퍼
CN213145285U (zh) 一种旋塞阀传动器壳体
CN207776723U (zh) 一种具有数据传送能力的防盗门
KR102088317B1 (ko) 폐쇄기용 가변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