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638B1 - 치과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638B1
KR102232638B1 KR1020200143555A KR20200143555A KR102232638B1 KR 102232638 B1 KR102232638 B1 KR 102232638B1 KR 1020200143555 A KR1020200143555 A KR 1020200143555A KR 20200143555 A KR20200143555 A KR 20200143555A KR 102232638 B1 KR102232638 B1 KR 10223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posed
injection
body member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기
Original Assignee
김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희 filed Critical 김두희
Priority to KR102020014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38Pneuma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과 치료용 엔드 이펙터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헤드 부재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몸체 부재와, 몸체 부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몸체 부재로 압축 공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부재와, 몸체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 부재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를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
이하의 실시예들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다양한 시술이 수행된다. 일 예로, 구강세척, 진공흡인, 임플란트시술, 충치제거 및 플러그제거 등의 시술이 수행된다. 치과 시술 수행 시 드릴(drill)이나, 버(bur)가 사용될 수 있다. 드릴이나 버는 회전하는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드릴링(drilling) 또는 버핑(buffing)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외과에서도 경조직 제거를 위해 유사한 핸드피스를 사용하고 있다.
치료하는 동안 드릴 또는 버와 경조직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이탈한 조직, 환자 구강 내 타액 등이 구강 외부로 비산하게 된다. 별도의 흡입 장치를 구강 내에 동시에 삽입하여 이러한 비산 문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치료하는 동안 외부로부터 환자의 구강 내로 이물질, 세균 등이 침투하여 치료 부위에 예측하지 못한 염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치료 과정에서 구강을 열고 있는 환자의 구강 내외로 이탈 조직의 비산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116720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 치료용 엔드 이펙터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헤드 부재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몸체 부재와, 몸체 부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몸체 부재로 압축 공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부재와, 몸체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 부재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를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과 치료용 엔드 이펙터가 구비된 헤드 부재와, 헤드 부재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몸체 부재와, 몸체 부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몸체 부재로 압축 공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부재와, 몸체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 부재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를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후단과 상기 파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외측방으로 토출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토출 유로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토출 유로의 단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분사부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는 공기 분사공을 구비하는 환형의 공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 간의 간격보다 작으며,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보다 크고,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내측 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외측 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공기 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이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개방 위치와,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이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폐쇄 위치 간에 왕복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분사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조절부가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몸체 부재로부터 측방으로 압축 공기가 분사되며 상기 공기 조절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압축 공기의 분사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폭은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폭보다 크며,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전방 내측면과 후방 내측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절부는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공기 분사공의 내측 전단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전단 상에 배치되는 후방 위치와 상기 공기 분사공의 내측 후단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후단 상에 배치되는 전방 위치 간에 왕복 선형 이동 가능하게 상기 분사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구강 내에 헤드 부재를 삽입하여 엔드 이펙터의 동작에 따른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의사가 손으로 잡고 있는 파지부 후방의 몸체 부재로부터 측방으로 압축 공기가 반경 방향으로 분사됨에 따라 환자의 안면 전방에 구강을 중심으로 원형의 에어 커튼이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이탈 조직 또는 타액이 외부로 비산하거나, 외부로부터 환자의 구강 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압축 공기의 분사 또는 차단을 간편히 조작할 수 있으며, 공기 조절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해 압축 공기의 분사 각도를 간편히 조절하여 압축 공기가 환자 안면에 직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산 및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10)는 치과 치료용 엔드 이펙터(110)가 구비된 헤드 부재(100)와, 헤드 부재(100)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210)가 형성되는 몸체 부재(200)와, 몸체 부재(2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몸체 부재(200)로 압축 공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부재(300)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200)는 연결 부재(300)가 연결되는 후단과 파지부(210)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 부재(300)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외측방으로 토출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토출 유로(222)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토출 유로(222)의 단부에 공기 토출구(221)가 형성되는 분사부(220)와, 분사부(22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분사부(220)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공기 토출구(221)에 대응하는 공기 분사공(231)을 구비하는 환형의 공기 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부재(200)의 내부, 예를 들면 토출 유로(222)에 인접하여 자외선 조사부(미도시)가 배치됨으로써 연결 부재(300)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를 살균 처리할 수도 있다.
각각의 공기 토출구(221)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각각의 공기 토출구(221) 간의 간격보다 작으며, 각각의 공기 분사공(231)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각각의 공기 토출구(221)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보다 크고, 각각의 공기 분사공(231)의 내측 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외측 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공기 조절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기 분사공(231)이 대응하는 각각의 공기 토출구(221)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개방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기 분사공(231)이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구(221) 사이에 배치되는 폐쇄 위치 간에 왕복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분사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조절부(230)가 개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몸체 부재(200)로부터 측방으로 압축 공기가 분사되며 공기 조절부(230)가 폐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압축 공기의 분사가 차단될 수 있다. 환자 치료 중 공기 조절부(230)를 분사부(220)에 대해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압축 공기의 분사 또는 차단을 변경할 수 있어 조작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각각의 공기 분사공(231)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폭은 각각의 공기 토출구(221)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폭보다 크며, 각각의 공기 분사공(231)의 전방 내측면과 후방 내측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절부(230)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 분사공(231)의 내측 전단이 공기 토출구(221)의 전단 상에 배치되는 후방 위치와 공기 분사공(231)의 내측 후단이 공기 토출구(221)의 후단 상에 배치되는 전방 위치 간에 왕복 선형 이동 가능하게 분사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조절부(230)가 개방 위치 중 후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 토출구(221)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가 공기 분사공(231)의 경사진 전방 내측면을 따라 외측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조절부(230)가 개방 위치 중 전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 토출구(221)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가 공기 분사공(231)의 경사진 후방 내측면을 따라 외측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조절부(230)가 개방 위치 중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의 중간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 토출부(221)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가 외측방으로 수직하게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조절부(230)를 전후로 선형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압축 공기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조작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환자 치료 시 구강 내 핸드피스(10)의 삽입 깊이, 삽입 각도 등에 따라 환자의 안면에 압축 공기가 직접 분사되지 않도록 압축 공기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치과용 핸드피스(10)에 의하면, 환자의 구강 내에 헤드 부재(100)를 삽입하여 엔드 이펙터(110)의 동작에 따른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의사가 손으로 잡고 있는 파지부(210) 후방의 몸체 부재(200)로부터 측방으로 압축 공기가 반경 방향으로 분사됨에 따라 환자의 안면 전방에 구강을 중심으로 원형의 에어 커튼이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이탈 조직 또는 타액이 외부로 비산하거나, 외부로부터 환자의 구강 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절부(23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압축 공기의 분사 또는 차단을 간편히 조작할 수 있으며, 공기 조절부(23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해 압축 공기의 분사 각도를 간편히 조절하여 압축 공기가 환자 안면에 직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산 및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헤드 부재
110: 엔드 이펙터
200: 몸체 부재
210: 파지부
220: 분사부
221: 공기 토출구
222: 토출 유로
230: 공기 조절부
231: 공기 분사공
300: 연결 부재
10: 치과용 핸드피스

Claims (3)

  1. 치과 치료용 엔드 이펙터가 구비된 헤드 부재;
    상기 헤드 부재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 부재로 압축 공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를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후단과 상기 파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외측방으로 토출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토출 유로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토출 유로의 단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분사부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는 공기 분사공을 구비하는 환형의 공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 간의 간격보다 작으며,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보다 크고,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내측 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는 외측 개구의 원주 방향 상의 연장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공기 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이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개방 위치와,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이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폐쇄 위치 간에 왕복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분사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조절부가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몸체 부재로부터 측방으로 압축 공기가 분사되며 상기 공기 조절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압축 공기의 분사가 차단되는 치과용 핸드피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폭은 각각의 상기 공기 토출구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폭보다 크며, 각각의 상기 공기 분사공의 전방 내측면과 후방 내측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절부는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공기 분사공의 내측 전단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전단 상에 배치되는 후방 위치와 상기 공기 분사공의 내측 후단이 상기 공기 토출구의 후단 상에 배치되는 전방 위치 간에 왕복 선형 이동 가능하게 상기 분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KR1020200143555A 2020-10-30 2020-10-30 치과용 핸드피스 KR10223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55A KR102232638B1 (ko) 2020-10-30 2020-10-30 치과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55A KR102232638B1 (ko) 2020-10-30 2020-10-30 치과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638B1 true KR102232638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555A KR102232638B1 (ko) 2020-10-30 2020-10-30 치과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6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57A (ja) * 1991-07-31 1993-02-09 Morita Mfg Co Ltd 殺菌機能性歯科用口腔内用機材
JPH08173454A (ja) * 1994-10-26 1996-07-09 Sekimura:Kk 歯科治療具
KR101167208B1 (ko) 2005-06-16 2012-07-24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조압 기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JP5044678B2 (ja) * 2009-05-18 2012-10-10 デンタル イクイ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ディー/ビー/エー ペルトン アンド クレイン 消毒反応器を備えた歯科用ハンドツ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157A (ja) * 1991-07-31 1993-02-09 Morita Mfg Co Ltd 殺菌機能性歯科用口腔内用機材
JPH08173454A (ja) * 1994-10-26 1996-07-09 Sekimura:Kk 歯科治療具
KR101167208B1 (ko) 2005-06-16 2012-07-24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조압 기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JP5044678B2 (ja) * 2009-05-18 2012-10-10 デンタル イクイ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ディー/ビー/エー ペルトン アンド クレイン 消毒反応器を備えた歯科用ハンドツ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875B1 (ko) 치과용 폴리셔를 위한 노즐
US5490779A (en) Dental irrigating and aspiration system
US5203697A (en) Dental irrigating and aspiration system
US6497572B2 (en)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using high pressure liquid jet
ES2870007T3 (es) Sistema de tratamiento dental
US8002544B2 (en) Fluid controllable laser endodontic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US2008013876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ooth root canals
CN101965210A (zh) 用于进入窦腔的器械和方法
US20210106402A1 (en) Apparatus for treating teeth
KR20010114205A (ko) 고압 액체 제트를 사용하는 치과 치료 방법 및 장치
KR20070115988A (ko) 핸드피스 및 그 썩백 방지방법
CA2311048A1 (en) Multi-purpose tissue resurfacing hand piece
EP422520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eeth
EP2965708B1 (en) Dental handpiece nozzle
US6960083B2 (en) Dental bur
KR102232638B1 (ko) 치과용 핸드피스
KR20200138321A (ko) 임플란트 주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주 스케일링, 괴사조직 제거 및 잇몸 조직 절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Ruddle Endodontic access preparation: an opening for success
US20050089816A1 (en) Dental hand piece
US6309217B1 (en) Dental abrading tool
US9055989B2 (en) Low-splash reducing implement for dental applications
Kolnick The clinical use of Er, Cr: YSGG laser in endodontic therapy
KR101431802B1 (ko) 치과용 시린지의 제어밸브
JP3073535U (ja) 歯科用研磨研削装置
KR20230145476A (ko) 치과 치료 중 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 이러한 흡입 장치를 위한 부착부, 및 치과 치료 중 물질을 흡입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