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19B1 -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19B1
KR102232519B1 KR1020190081479A KR20190081479A KR102232519B1 KR 102232519 B1 KR102232519 B1 KR 102232519B1 KR 1020190081479 A KR1020190081479 A KR 1020190081479A KR 20190081479 A KR20190081479 A KR 20190081479A KR 102232519 B1 KR102232519 B1 KR 10223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compartment
waterproof
gauge bar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688A (ko
Inventor
서원찬
Original Assignee
명가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가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명가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08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06Provisions for detecting water leak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은 건물 옥상 녹화구역에 방수처리되는 방수시트 하부 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독립된 분할격실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분할격실 별로 누수 여부를 판단하여 누수지점이 쉽게 검출됨과 더불어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방수시트(10), 탄성띠부(20), 수팽창모듈(30), 검출수단(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Waterproof system for rooftop greening}
본 발명은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옥상 녹화구역에 방수처리되는 방수시트 하부 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독립된 분할격실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분할격실 별로 누수여부를 판단하여 누수지점이 쉽게 검출됨과 더불어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을 도모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도시환경개선의 일환으로 옥상녹화 시공이 급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여기서 옥상녹화란 건축물 옥상부위에 토양을 쌓은 후 식재 및 조경시설을 조성하는 것이지만, 옥상녹화의 문제점으로 식물뿌리 성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발생 및 균열 거동으로 인한 누수발생, 토양층의 상시 습윤조건으로 인한 방수층의 열화가속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659039호에서, 방근성 금속재로 이루어진 중심재와; 이를 상하에서 감싸 진공접착하는 열가소성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옥상녹화시공을 위해서 방수(防水) 및 방근(防根) 재료를 시공하여 식물뿌리에 대한 침해(구조물 침투, 침투로 인한 누수 등)로부터 안전하게 구조물을 보호하려는 기술이나, 시공 후 누수사고에 대한 유지보수 방비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즉, 방근시트를 이용하여 옥상부위를 방수처리하고, 토양층을 형성하여 식물을 식재한 후에, 방근시트에서 누수가 발생시, 누수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층을 모두 제거하고 방근시트 전체영역을 검사해야 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건물 옥상 녹화구역에 방수처리되는 방수시트 하부 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독립된 분할격실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분할격실 별로 누수여부를 판단하여 누수지점이 쉽게 검출됨과 더불어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을 도모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건축물 옥상 바닥면(1)에 겹침 시공되어, 토양층(2)에 의해 조성되는 녹화 구역을 방수 처리하는 방수시트(10); 상기 방수시트(10) 저면에 격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수시트(10)와 옥상 바닥면(1) 사이 공간을 셀단위로 분할하여 분할격실(22)을 형성하는 탄성띠부(20); 상기 분할격실(22)에 설치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수팽창모듈(30); 및 상기 분할격실(22)과 대응하는 방수시트(10)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고, 다른 일단은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어, 수팽창모듈(30) 팽창력에 의해 상향 팽창되는 방수시트(10) 높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검출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검출수단(40)은, 상기 방수시트(10) 상면에 이격 설치되는 멀티플레이트(42)와, 상기 탄성띠부(20)와 대응하는 멀티플레이트(42)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받침띠부(44)와, 받침띠부(44)에 의해 방수시트(10)와 멀티플레이트(42) 사이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멀티격실(46)과, 멀티격실(46)에 수용되어 방수시트(10) 상면에 면접 지지되는 접지판(48a)이 구비되고, 접지판(48a)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는 게이지바(48)와, 게이지바(48)와 대응하는 멀티플레이트(42) 상면에서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면서 게이지바(48)를 보호하는 가이드관(4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플레이트(42)는 복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멀티플레이트(42) 저면 가장자리부에 받침띠부(4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띠부(44)는 방수시트(10) 상면에 설치되는 U형 가이드레일(43)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49) 상부에는 멀티격실(46)과 연통되는 에어홀(49a)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49a)은 상부커버(49b)에 의해 보호되어 내부 공기가 배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지바(48)는 가이드관(49) 상부 에어홀(49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게이지바(48)를 인출 후 가이드관(49) 내부로 카메라모듈(5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모듈(50)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멀티격실(46) 내부영역에 대한 방수시트(10) 상태를 검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지바(48)는 가이드관(49) 상부 에어홀(49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게이지바(48)를 인출 후 가이드관(49) 내부로 접착제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재 주입용 노즐(6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노즐(60)을 이용하여 멀티격실(46) 영역의 방수시트(10) 누수부위를 보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녹화구역에 방수처리되는 방수시트 하부 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독립된 분할격실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분할격실 별로 누수 여부를 판단하여 누수지점이 쉽게 검출됨과 더불어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의 멀티플레이트 분할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의 가이드관 상부에 에어홀이 개방된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의 카메라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의 접착제 도포 노즐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은 건물 옥상 녹화구역에 방수처리되는 방수시트 하부 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독립된 분할격실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분할격실 별로 누수 여부를 판단하여 누수지점이 쉽게 검출됨과 더불어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방수시트(10), 탄성띠부(20), 수팽창모듈(30), 검출수단(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0)는 건축물 옥상 바닥면(1)에 겹침 시공되어, 토양층(2)에 의해 조성되는 녹화 구역을 방수 처리된다. 방수시트(10)는 PVC층을 포함하는 복합시트로 형성되고, 바닥면(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등의 바탕처리 후에 시공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방수시트(10) 단부 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10) 단부 저면이 중첩된 상태로 겹침 시공되고, 겹침 시공부위는 접착제에 의해 수밀성(접착성)이 유지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띠부(20)는 상기 방수시트(10) 저면에 격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수시트(10)와 옥상 바닥면(1) 사이 공간을 셀단위로 분할하여 분할격실(22)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탄성띠부(20)는 고무, 실리콘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및 수팽창지수재로 형성되고, 가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형 띠를 형성한다.
이에 상기 방수시트(10)는 건축물 옥상 바닥면(1)에 겹침 시공하면, 방수시트(10)와 옥상 바닥면(1) 사이 공간이 탄성띠부(20)에 의해 격자형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독립된 분할격실(22)을 형성하고, 분할격실(22)에 의해 방수시트(10)에서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누수확산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팽창모듈(30)은 상기 분할격실(22)에 설치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된다. 수팽창모듈(30)은 수분에 노출되면 수분과 반응하여 팽창되는 통상의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팽창모듈(30)은 탄성패드 내부에 수용되고, 탄성패드에는 타공판 또는 별도의 흡습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분할격실(22) 내부 수분을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탄성띠부(20)에 의해 독립된 공간으로 분할되는 분할격실(22) 중에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방수시트(10)가 손상되어 수분이 침투시, 그에 해당하는 수팽창모듈(30)이 팽창되면서 방수시트(10)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고, 이때 수팽창모듈(30) 상면이 방수시트(10) 저면에 가압 밀착되어 손상 부위가 임시 마감 처리됨과 더불어 후술하는 검출수단(40)에 의해 누수가 발생된 분할격실(22)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검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수단(40)은 상기 분할격실(22)과 대응하는 방수시트(10)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고, 다른 일단은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어, 수팽창모듈(30) 팽창력에 의해 상향 팽창되는 방수시트(10) 높이를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상기 검출수단(40)은, 상기 방수시트(10) 상면에 이격 설치되는 멀티플레이트(42)와, 상기 탄성띠부(20)와 대응하는 멀티플레이트(42)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받침띠부(44)와, 받침띠부(44)에 의해 방수시트(10)와 멀티플레이트(42) 사이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멀티격실(46)과, 멀티격실(46)에 수용되어 방수시트(10) 상면에 면접 지지되는 접지판(48a)이 구비되고, 접지판(48a)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는 게이지바(48)와, 게이지바(48)와 대응하는 멀티플레이트(42) 상면에서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면서 게이지바(48)를 보호하는 가이드관(49)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49)은 내부 게이지바(48)가 외부에서 식별되도록 투명관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게이지바(48)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가이드관(49)은 멀티플레이트(42)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형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 게이지바(48)는 가이드관(49)을 통하여 옥상 녹화 구역의 토양층(2) 표층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방수시트(10)에서 누수 발생시, 해당 분할격실(22)에서 수팽창모듈(30)이 수분을 흡수하면서 팽창되어 방수시트(10)를 상방향으로 가압되면 게이지바(48)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토양층(2)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된다. 따라서 누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옥상 녹화 구역 전체를 파헤치지 않고도 누수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부분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2에서, 상기 멀티플레이트(42)는 복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멀티플레이트(42) 저면 가장자리부에 받침띠부(4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띠부(44)는 방수시트(10) 상면에 설치되는 U형 가이드레일(43)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U형 가이드레일(43) 내부 공간 폭은 받침띠부(44) 2개가 합쳐진 상태로 끼움결합되도록 공차가공되고, 이때 U형 가이드레일(43)과 받침띠부(44)는 음, 양각부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결속 및 패킹에 의해 기밀성(수밀성)이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멀티플레이트(42)가 분할판으로 형성되어 현장 운반 및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누수발생에 따른 유지 보수시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해당 방수시트(10) 부위를 보수하게 된다.
도 3에서, 상기 가이드관(49) 상부에는 멀티격실(46)과 연통되는 에어홀(49a)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49a)은 상부커버(49b)에 의해 보호되어 내부 공기가 배기되도록 구비된다. 상부커버(49b)는 가이드관(49) 직경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받침다리에 의해 가이드관(49) 상부에서 이격되어 에어홀(49a)을 통한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멀티격실(46)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에어홀(49a)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 토양층(2)의 습한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건조하게 유지된다.
도 4에서, 상기 게이지바(48)는 가이드관(49) 상부 에어홀(49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게이지바(48)를 인출 후 가이드관(49) 내부로 카메라모듈(50)이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카메라모듈(50)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멀티격실(46) 내부영역에 대한 방수시트(10) 상태를 검사하여, 방수시트(10) 손상 정도가 정확하게 파악됨에 따라 이후 노즐(60)을 이용한 비굴삭 유지보수 또는 굴삭 방식의 유지보수를 적용할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도 5에서, 상기 게이지바(48)는 가이드관(49) 상부 에어홀(49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게이지바(48)를 인출 후 가이드관(49) 내부로 접착제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재 주입용 노즐(60)이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노즐(60)을 이용하여 멀티격실(46) 영역의 방수시트(10) 누수부위를 보수하는바, 즉, 가이드관(49)을 통하여 노즐(60)을 삽입하고, 노즐(60)에 연결된 접착제 공급장치를 작동하여 멀티격실(46) 내부로 접착제를 분사(도포)하면, 방수시트(10) 손상 부위가 간단하게 보수된다.
10: 방수시트 20: 탄성띠부
30: 수팽창모듈 40: 검출수단
50: 카메라모듈 50: 노즐

Claims (6)

  1. 건축물 옥상 바닥면(1)에 겹침 시공되어, 토양층(2)에 의해 조성되는 녹화 구역을 방수 처리하는 방수시트(10);
    상기 방수시트(10) 저면에 격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수시트(10)와 옥상 바닥면(1) 사이 공간을 셀단위로 분할하여 분할격실(22)을 형성하는 탄성띠부(20);
    상기 분할격실(22)에 설치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수팽창모듈(30);
    상기 분할격실(22)과 대응하는 방수시트(10)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고, 다른 일단은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어, 수팽창모듈(30) 팽창력에 의해 상향 팽창되는 방수시트(10) 높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검출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수단(40)은, 상기 방수시트(10) 상면에 이격 설치되는 멀티플레이트(42)와, 상기 탄성띠부(20)와 대응하는 멀티플레이트(42)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받침띠부(44)와, 받침띠부(44)에 의해 방수시트(10)와 멀티플레이트(42) 사이공간이 셀단위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멀티격실(46)과, 멀티격실(46)에 수용되어 방수시트(10) 상면에 면접 지지되는 접지판(48a)이 구비되고, 접지판(48a)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는 게이지바(48)와, 게이지바(48)와 대응하는 멀티플레이트(42) 상면에서 토양층(2) 외부로 노출되면서 게이지바(48)를 보호하는 가이드관(4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레이트(42)는 복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멀티플레이트(42) 저면 가장자리부에 받침띠부(4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띠부(44)는 방수시트(10) 상면에 설치되는 U형 가이드레일(43)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49) 상부에는 멀티격실(46)과 연통되는 에어홀(49a)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49a)은 상부커버(49b)에 의해 보호되어 내부 공기가 배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바(48)는 가이드관(49) 상부 에어홀(49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게이지바(48)를 인출 후 가이드관(49) 내부로 카메라모듈(5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모듈(50)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멀티격실(46) 내부영역에 대한 방수시트(10) 상태를 검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6.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바(48)는 가이드관(49) 상부 에어홀(49a)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게이지바(48)를 인출 후 가이드관(49) 내부로 접착제를 포함하는 유지보수재 주입용 노즐(6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노즐(60)을 이용하여 멀티격실(46) 영역의 방수시트(10) 누수부위를 보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KR1020190081479A 2019-07-05 2019-07-05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KR10223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79A KR102232519B1 (ko) 2019-07-05 2019-07-05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79A KR102232519B1 (ko) 2019-07-05 2019-07-05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88A KR20210004688A (ko) 2021-01-13
KR102232519B1 true KR102232519B1 (ko) 2021-03-26

Family

ID=7414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79A KR102232519B1 (ko) 2019-07-05 2019-07-05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6383A (zh) * 2021-02-03 2021-06-22 广西安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高层房屋绿色屋顶
KR102287446B1 (ko) * 2021-04-12 2021-08-06 허영호 증발관으로 증발시키는 배수구 없는 실내 조경 화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111A (ja) 2004-08-23 2006-03-02 Mitsui Home Co Ltd 屋上緑化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屋上防水メンテナンス方法
KR100945719B1 (ko) *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JP2012012883A (ja) * 2010-07-02 2012-01-19 Toyota Home Kk 防水構造体
KR101442010B1 (ko) 2014-01-16 2014-09-24 방수존건설 (주) 옥상슬랩의 친환경 방수 보수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076B1 (ko) * 2000-07-06 2002-04-10 김해근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한 옥상 녹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111A (ja) 2004-08-23 2006-03-02 Mitsui Home Co Ltd 屋上緑化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屋上防水メンテナンス方法
KR100945719B1 (ko) *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JP2012012883A (ja) * 2010-07-02 2012-01-19 Toyota Home Kk 防水構造体
KR101442010B1 (ko) 2014-01-16 2014-09-24 방수존건설 (주) 옥상슬랩의 친환경 방수 보수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88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519B1 (ko) 옥상 녹화용 방수시스템
US20090211186A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96858B1 (ko)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US7856767B2 (en) Crawlspace encapsulation and drainage system
JP4596962B2 (ja) 軟弱地盤の改良構造およびその改良工法
CN105888146A (zh) 一种种植顶板防水保温结构
KR100784241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0738954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2072401B1 (ko)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KR100592104B1 (ko) 지하 공동구의 방수구조 및 공법
CN111042447B (zh) 一种屋面变形缝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90051672A (ko) 옥상녹화를 위한 옥상방수공법 및 그 구조
ES2393876B1 (es) Disposición de geomembrana de aislamiento de una superficie y procedimiento de aislamiento correspondiente
KR101286746B1 (ko) 건축물 단열 방수구조
CN112962870B (zh) 屋面保温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6916790U (zh) 一种无裂缝、无渗漏超大面积地下室地坪的结构
CN209851743U (zh) 保温屋面防水卷材
JP4054108B2 (ja) 地下構造物の防水工法
KR102226957B1 (ko) 옥상바닥면 방근방수시스템
JP2014205987A (ja) トンネル防護シー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DE4105044A1 (de) Lokalisierung von undichtigkeiten bei dichtungslagen ii
KR100331506B1 (ko) 콘크리트건물 옥상의 방수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