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85B1 -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85B1
KR102232385B1 KR1020190108537A KR20190108537A KR102232385B1 KR 102232385 B1 KR102232385 B1 KR 102232385B1 KR 1020190108537 A KR1020190108537 A KR 1020190108537A KR 20190108537 A KR20190108537 A KR 20190108537A KR 102232385 B1 KR102232385 B1 KR 10223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ae
scum
algae scum
collected
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744A (ko
KR102232385B9 (ko
Inventor
박찬규
박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9010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85B1/ko
Publication of KR10223238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8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호소 상의 조류스컴을 수거하여 제거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에 있어서, 조류제거선을 통해 조류스컴이 수거되는 단계;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수거통이 호소 상에 낙하되는 단계; 및 낙하된 상기 수거통 중 최하류-물의 흐름방향에 따른 최하류를 의미함-에 위치하는 수거통의 위치에서 낙하된 상기 수거통이 일괄 수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REMOVAL METHOD OF ALGAE SCUM IN LAKE}
본 발명은 호소 상의 조류를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호소에 부상하는 녹조는 주로 여름철에 녹색을 띠는 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여 물 색깔이 청남색이나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며, 조류는 하천과 호소 생태계의 1차 생산자로서 먹이사슬의 기반을 형성하고 생태계에서 에너지 순환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기후에 서식하는 식물 플랑크톤은 크게 수온, 광도 등 계절적 변화에 따라 천이하며, 남조류의 경우 겨울에는 휴면세포 혹은 휴면포자의 형태로 퇴적층에 침전하여 수수온 높아질 때까지 휴지기 상태로 존재한다. 계절 변화로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퇴적층에 있던 조류세포들이 영양세포로 성장하면서 표층으로 부유하여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형성하고, 조건에 따라 대발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조류들의 번식은 인위적으로 사용한 비료,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들의 수계 유입에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한 조류의 대부분은 수계 표층 부근에 존재하기 때문에 햇빛이 수중으로 도달하기 어렵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수중 생물들의 광합성 저해와 수중 생물의 대량 폐사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또한 이렇게 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게 되면, 이들 조류로부터 발생하는 독소로 인하여 물의 정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화비용이 크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이취미 발생으로 인한 인근 주민들의 불만과 정화처리 후에도 잔존할 수 있다는 불안감으로 인하여 먹는 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조류의 발생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발생한 조류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이들 조류로 인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호소에 부상하는 조류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호소상에서 조류제거선으로부터 낙하된 수거통을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일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호소 상의 조류스컴을 수거하여 제거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에 있어서,
조류제거선을 통해 조류스컴이 수거되는 단계;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수거통이 호소 상에 낙하되는 단계; 및
낙하된 상기 수거통 중 최하류-물의 흐름방향에 따른 최하류를 의미함-에 위치하는 수거통의 위치에서 낙하된 상기 수거통이 일괄 수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일괄 수거되는 단계는,
상기 최하류 지점의 양쪽 수변에 걸쳐 펜스가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물의 흐름에 의하여 수거통이 하나의 수변으로 모이게 한 다음 수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조류스컴이 수거되는 단계는,
상기 조류제거선에 설치된 저장조에 수거된 조류스컴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는,
상기 저장조에 연결되어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이 토출펌프에 의해 흡입되어 이동라인을 통해 복수의 수거통-상기 수거통은 수면상에서 부상할 수 있는 부상체에 수용됨-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라인으로 이동된 조류스컴이 상기 부상체에 설치된 자동충진기를 통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복수의 상기 수거통에 충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는,
상기 저장조에 설치된 측정센서가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는 조류스컴의 양을 측정하고, 제어부가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류스컴의 양에 따라 상기 토출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를 이용하면, 일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호소상에서 조류제거선으로부터 낙하된 수거통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통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제거선 및 부상체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저장조의 조류스컴의 양에 따라 제어부가 토출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은 조류제거선(K)으로 조류스컴을 수거하는 단계, 수거된 조류스컴을 복수의 수거통(300)에 수용하는 단계, 수거통(300)을 호소 상에 낙하하는 단계, 수거통(300)을 일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형성된 호소에서 조류스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서, 조류제거선(K)이 호소의 조류스컴 발생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조류스컴을 수거하고 수거된 조류스컴을 수거통(300)에 담아 호수상에 낙하시키면, 물의 흐름 방향(F)에 따라서 수거통(300)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수거통(300)을 한곳으로 모아 이를 일괄수거하는 것이다.
수거통(300)을 일괄수거하는 단계는 호소 상에 낙하된 수거통(300)이 물의 흐름에 따라 하류로 이동하게 되고, 최하류에 위치하는 수거통(300)의 위치에서 복수의 수거통(300)을 일괄수거하는 것이다. 수거통(300)은 보통 조류제거선(K) 또는 조류제거선(K)과 연결되어 조류제거선(K)으로부터 조류스컴을 이송받아 이를 수거통(300)에 담고, 이를 호소 상에 낙하시키는 수거통(300) 부양선으로부터 호소 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수거통(300)의 낙하지점보다 더 하류 방향 지점에 펜스(W)나 그물(N)등을 설치하게 되면, 물의 흐름에 따라 하류로 이동하던 수거통(300)이 펜스(W)나 그물(N) 등에 걸리게 된다.
이때 펜스(W)나 그물(N) 등을 수거통(300)이 한 쪽 수변으로 모일 수 있도록 설치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수거통(300)을 한 곳에 모아 일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통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통의 최하류 지점의 양쪽 수변에 펜스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수거통이 하나의 수변으로 모이게 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통의 최하류 지점에 그물(N)을 설치하고, 설치된 그물(N)의 일단을 그물선(L)등으로 이동시켜 수거통을 한쪽 수변으로 모이게 할 수 있다.
이처럼 하류로 모이는 수거통을 한쪽 수변으로 모이게 한 다음, 이를 일괄 수거함으로써 수거통 수거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조류제거선이 조류스컴을 수거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에 따른 호소의 조류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조류제거선 및 부상체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저장조(100)는 조류제거선(K)이 수거한 조류스컴(S)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조류제거선(K)에 수거된 조류스컴(S)은 조류제거선(K)에 설치된 저장조에 모여 저장된다. 이를 별도의 수용통(300)을 포함하는 부상체(400)로 옮김으로써, 조류제거선(K)의 조류스컴(S) 수거 및 수용통(300)에의 조류스컴(S) 저장을 통하여, 조류스컴(S) 수거 및 조류스컴(S)의 육지로의 이동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다시말해, 조류제거선(K)은 호소 상의 조류스컴(S)을 수거하는 것이고, 수거된 조류스컴(S)을 저장하였다가, 이를 육지로 이동시키는 것은 별도의 장치가 진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류제거선(K)은 호소 상의 조류스컴(S)의 수거에만 집중함으로써, 종래 수거된 조류스컴(S)이 일정양 이상이면 육지로 회귀한 다음 이를 육지로 이동시킨 후 다시 재출항하여 조류스컴(S)을 수거하는 절차를 반복했으나, 이제는 조류제거선(K)이 육지와 수거할 조류스컴(S)이 있는 장소를 왕복이동할 필요없이, 수거에만 집중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이고 빠르게 조류스컴(S)을 호소상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토출펌프(200)는 저장조에 연결되어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S)을 흡입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라인을 구비한다. 토출펌프(200)의 흡인력에 의하여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S)이 수용통(3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류스컴(S)은 이동라인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복수의 수용통(300)은 이동라인에 연결되어 저장조로부터의 조류스컴(S)이 이동라인을 통해 이동하여 이를 저장하게 된다.
조류제거선(K)의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S)을 이동라인을 구비한 토출펌프(200)를 이용하여 부상체(400)로 옮기게 된다. 호소 상에서 부상하는 부상체(400)에는 복수의 수용통(30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수용통(300)에 조류스컴(S)을 옮기게 된다.
복수의 수용통(300)은 부상체(400)에 위치한다. 부상체(400)는 복수의 수용통(300)을 수용하면서 수면상에서 부상하게 된다.
본 발명은 부상체(400)에 자동충진기(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자동충진기(500)는 이동라인을 통해 이동한 조류스컴(S)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복수의 수용통(300)에 일정량을 자동충진시키는 것이다. 각 수용통(300)에 충진되는 조류스컴(S)의 양은 자동충진기(500)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자동충진기(500)는 수용통(300)의 용량에 따라 수용통(300)에 주입되는 조류스컴(S)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미리 설정된 조류스컴(S)의 양만큼 자동충진기(500)는 조류스컴(S)을 각각의 수용통(300)에 채워 넣는 것이다. 수용통(300)에 조류스컴(S)이 꽉 차게 되면 수용통(300)에는 뚜껑이 단단히 덮혀진다.
뚜껑이 덮혀진 수용통(300)은 호소 상에 낙하하여 둥둥 떠다닐 수 있게 된다. 호소 상에 부유하는 수용통(300)은 이를 수거하는 수거선(800)에 의하여 육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자동충진기(500)는 수용통(300)의 뚜껑을 자동으로 덮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동충진기(500)가 수용통(300)에 조류스컴(S)을 가득 채운 다음, 뚜껑을 덮게 되면, 사람의 개입없이도 조류스컴(S)에 가득 채워진 수용통(300)이 호소 상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용통(300)에 자동으로 조류스컴(S)이 채워지고, 또 자동으로 뚜껑이 덮힌 채로 호소 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상체(400)에 설치되어 상부에 복수의 수용통(300)이 배치될 수 있고, 조류스컴(S)이 채워진 수용통(300)을 호소 상에 낙하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송장치(600)는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즉, 조류제거선(K)의 저장조로부터 이동한 조류스컴(S)이 자동충진기(500)에 채워져 있다가, 자동충진기(500) 앞에 멈춰선 수용통(3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용통(300)에 조류스컴(S)이 다 채워지면 뚜껑을 덮고난 다음, 컨베이어 벨트의 동작에 의하여 수용통(300)은 호소 상으로 낙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조류제거선(K)의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S)을 수용통(300)에 담아 호소 상에 낙하시켜 부유시켜 놓으면 이를 수거하는 수거선(800)이 와서 이를 수거하여 육지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함으로써, 내부가 조류스컴(S)으로 채워진 수용통(300)이 자동으로 호소상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조류스컴(S)으로 채워진 수용통(300)은 무게가 꽤 나가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를 용이하게 호소상으로 투척하는 것이다.
또한, 부상체(400) 내에서도 수용통(300)이 조류스컴(S)으로 채워지기 전 및 채워진 이후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훨씬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저장조의 조류스컴의 양에 따라 제어부가 토출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에 따른 호소의 조류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은 측정센서 및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센서는 저장조에 설치되어 저장조에 저장되는 조류스컴(S)의 용량을 측정하게 된다.
조류제거선(K)에 설치된 저장조는 일정량의 조류스컴(S)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토출펌프(200)를 항상 가동시켜 저장조의 조류스컴(S)을 수용통(300)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 이상 저장조에 조류스컴(S)이 채워진 이후에 토출펌프(200)를 가동시켜 조류스컴(S)을 수용통(300)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측정센서와 제어부(700)가 필요하다.
측정센서가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S)의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제어부(700)가 토출펌프(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측정센서가 측정한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S)의 양이 기설정된 양 이상인 경우에만 제어부(700)가 토출펌프(200)를 동작시켜 저장조의 조류스컴(S)을 수용통(300)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런 구성을 통하여, 토출펌프(200)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효율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K: 조류제거선
300: 수거통
F: 물의 흐름 방향
W: 펜스
N: 그물
100: 저장조
200: 토출펌프
400: 부상체
500: 자동충진기
600: 이동장치
700: 제어부

Claims (5)

  1. 일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호소 상의 조류스컴을 수거하여 제거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에 있어서,
    조류제거선을 통해 조류스컴이 수거되는 단계;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수거통이 호소 상에 낙하되는 단계; 및
    낙하된 상기 수거통 중 최하류-물의 흐름방향에 따른 최하류를 의미함-에 위치하는 수거통의 위치에서 낙하된 상기 수거통이 일괄 수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류스컴이 수거되는 단계는,
    상기 조류제거선에 설치된 저장조에 수거된 조류스컴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는,
    상기 저장조에 연결되어 저장조에 저장된 조류스컴이 토출펌프에 의해 흡입되어 이동라인을 통해 복수의 수거통-상기 수거통은 수면상에서 부상할 수 있는 부상체에 수용됨-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라인으로 이동된 조류스컴이 상기 부상체에 설치된 자동충진기를 통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복수의 상기 수거통에 충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 수거되는 단계는,
    상기 최하류 지점의 양쪽 수변에 걸쳐 펜스가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물의 흐름에 의하여 수거통이 하나의 수변으로 모이게 한 다음 수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수거된 상기 조류스컴이 복수의 수거통에 수용되는 단계는,
    상기 저장조에 설치된 측정센서가 상기 저장조에 저장되는 조류스컴의 양을 측정하고, 제어부가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류스컴의 양에 따라 상기 토출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KR1020190108537A 2019-09-03 2019-09-03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KR10223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37A KR102232385B1 (ko) 2019-09-03 2019-09-03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37A KR102232385B1 (ko) 2019-09-03 2019-09-03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44A KR20210027744A (ko) 2021-03-11
KR102232385B1 true KR102232385B1 (ko) 2021-03-25
KR102232385B9 KR102232385B9 (ko) 2022-04-15

Family

ID=7514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37A KR102232385B1 (ko) 2019-09-03 2019-09-03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881B1 (ko) 2022-12-22 2023-10-16 김성걸 수질 개선을 위한 건조기능을 갖는 조류스컴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683A (ja) 1999-08-31 2001-03-13 First District Port Constr Bureau Ministry Of Transport 油回収方法とその装置
JP2004345383A (ja) * 2003-05-20 2004-12-09 Takatsugu Yamamoto 新システムの流出油回収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02B1 (ko) * 2013-01-18 2014-08-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펜스를 이용한 조류 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683A (ja) 1999-08-31 2001-03-13 First District Port Constr Bureau Ministry Of Transport 油回収方法とその装置
JP2004345383A (ja) * 2003-05-20 2004-12-09 Takatsugu Yamamoto 新システムの流出油回収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44A (ko) 2021-03-11
KR102232385B9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78753Y (zh) 一种鱼塘水循环装置
EP0651605A1 (en) Process and arrangement for the supply of water to a pond
CN101869080B (zh) 一种网箱污物收集装置
GB2493699A (en) Sea-borne water collector
RU2761348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KR102232385B1 (ko) 호소의 조류스컴 제거방법
US20150283476A1 (en) System for using water from rainfall for creating permanent or seasonal water sources or watering points
US202303203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turation of oysters
KR102233463B1 (ko)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CN107223620B (zh) 基于贝类养殖的水处理系统及水处理方法
KR102474395B1 (ko) 거리 센싱을 이용한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KR102212691B1 (ko)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CN209861987U (zh) 一种循环水养殖容器及养殖系统
CN216753258U (zh) 一种滤食性贝类生物沉降原位测定装置
CN203897039U (zh) 一种可调节水层位置的鱼塘浮床单体装置
KR102186379B1 (ko) 복수의 부상체를 갖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CN108124804B (zh) 解放眉足蟹放流方法
US20100230337A1 (en) Water tank apparatus
KR102049066B1 (ko) 위어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선
CN208587646U (zh) 一种园林灌溉进排气装置
KR101370423B1 (ko) 수족관
CA3132609A1 (en) Fish farm installation
US20160050880A1 (en) Mink slurry handling system and a method for reducing gaseous emission from a mink farm
CN212254633U (zh) 红树林凋落物收集装置
KR102506918B1 (ko) 호소의 조류스컴을 건조하여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류스컴 수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