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25B1 - 페달 답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페달 답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25B1
KR102232325B1 KR1020190120918A KR20190120918A KR102232325B1 KR 102232325 B1 KR102232325 B1 KR 102232325B1 KR 1020190120918 A KR1020190120918 A KR 1020190120918A KR 20190120918 A KR20190120918 A KR 20190120918A KR 102232325 B1 KR102232325 B1 KR 102232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unit
connection
rotation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수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9012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foot actuated controls, e.g. brake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6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measurement of force, e.g. for preventing influence of transverse components of force,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 답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페달부와, 페달부에 장착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와, 본체부에 고정되고 조절부와 연결되어 페달부에 답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포함하여, 용접작업 없이 위치 변경을 통해 차량용 페달의 답력을 반복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달 답력 측정장치{SENSING DEVICE FOR PEDAL EFFORT}
본 발명은 페달 답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작업 없이 위치 변경을 통해 차량용 페달의 답력을 반복 측정하고, 튜닝할 수 있는 페달 답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브레이크 페달, 가속 페달 및 클러치 페달이 설치된다. 이러한 페달은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가 조작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변화시키므로 운전자나 보행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장치이다. 각종 페달을 제품화하기 위해 적절한 답력을 찾기 위해 페달 답력 측정장치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페달 답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지지되는 브라켓이 페달에 용접된 후 페달 답력 측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페달 답력 측정값이 설정된 영역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용접된 브라켓을 페달에서 제거한 후 위치를 변경하여 재용접한다. 즉, 종래에는 페달 답력 측정값이 설정된 영역에 도달하기 까지 브라켓의 용접 및 글라이더로 용접 해제 작업을 반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95070호(2011.08.24. 공개, 발명의 명칭 : 페달 답력 측정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접작업 없이 위치 변경을 통해 차량용 페달의 답력을 반복 측정하고, 튜닝할 수 있는 페달 답력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페달부에 답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지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고정부; 및 상기 본체고정부에서 연장되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페달관부; 상기 페달관부에 결합되는 페달암부; 및 상기 페달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측정부에 의해 가압되는 페달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페달관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회전부; 및 상기 조절회전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원부와 연결되는 조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회전부는 상기 페달관부를 감싸고, 상기 페달관부의 축상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링부; 상기 회전링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조절연결부가 통과하는 회전연장부; 및 상기 회전링부를 상기 페달관부에 고정시키는 회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연결부는 상기 회전연장부를 관통하는 연결축부; 상기 연결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복원부가 삽입되어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결삽입부; 및 상기 연결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연장부에 상기 연결축부를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연결부는 상기 연결삽입부를 커버하고, 상기 복원부와 상기 연결삽입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연결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는 조절부가 페달부에 용접되지 않고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조절부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요구되는 답력값이 나올 때까지 반복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1)는 본체부(10)와, 페달부(20)와, 조절부(30)와, 복원부(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지그부(100)에 고정 설치된다. 일예로, 본체부(10)는 지면게 고정 설치되는 지그부(100)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차체에 직접 설치되는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페달부(20)는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페달부(20)는 상단부가 본체부(10)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하단부는 운전자가 밟을 수 있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조절부(30)는 페달부(20)에 장착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부(10)에 고정되는 복원부(40)는 조절부(30)에 연결되어 페달부(20)에 답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조절부(30)는 복원부(40)와의 연결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페달부(20)에 전달되는 답력을 튜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는 본체고정부(11)와 본체바디부(12)를 포함한다.
본체고정부(11)는 지그부(100)에 고정 설치된다. 일예로, 본체고정부(1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하여 지그부(10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본체바디부(12)는 본체고정부(11)에서 연장되고,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본체바디부(12)의 상부는 본체연결부(1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부(20)는 페달관부(21)와, 페달암부(22)와, 페달패드부(23)를 포함한다.
페달관부(21)는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페달관부(21)는 파이프 형상을 하고, 양단부가 본체바디부(12)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페달관부(2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본체바디부(12)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페달관부(21)를 지지할 수 있다. 그 외, 본체바디부(12)에 장착되는 볼트가 페달관부(21)를 관통할 수 있다.
페달암부(22)는 페달관부(21)에 결합된다. 일예로, 페달암부(22)는 상단부가 페달관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페달관부(21)는 페달암부(22)를 관통하고 서로간의 면접촉 부위는 용접될 수 있다.
페달패드부(23)는 페달암부(22)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측정부(200)에 의해 가압된다. 일예로, 측정부(200)는 로드셀이 구비되어 페달패드부(23)를 가압하면서 전달되는 답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0)는 조절회전부(50)와 조절연결부(60)를 포함한다.
조절회전부(50)는 페달관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예로, 조절회전부(50)는 페달관부(21)에서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후에는 고정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연결부(60)는 조절회전부(50)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원부(40)와 연결된다. 일예로, 조절연결부(60)는 복원부(40)의 형상 및 조절회전부(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회전부(50)는 회전링부(51)와, 회전연장부(52)와, 회전고정부(53)를 포함한다.
회전링부(51)는 페달관부(21)를 감싸고, 페달관부(21)의 축상에서 회전 가능하다. 일예로, 회전링부(51)는 링 형상을 하여 페달관부(21)가 관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링부(51)는 페달관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연장부(52)는 회전링부(51)에서 연장되고, 조절연결부(60)가 통과한다. 일예로, 회전연장부(52)는 회전링부(51)의 원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521)와, 제1연장부(521)에서 절곡되어 페달암부(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연장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부(522)는 조절연결부(60)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고정부(53)는 회전링부(51)를 페달관부(21)에 고정시킨다. 일예로, 회전고정부(53)는 볼트 형상을 하고, 회전링부(5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회전고정부(53)는 회전링부(51)를 관통하고 페달관부(21)를 압박하여 회전링부(5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연결부(60)는 연결축부(61)와, 연결삽입부(62)와, 연결고정부(63)를 포함한다.
연결축부(61)는 회전연장부(52)를 관통한다. 일예로, 연결축부(61)는 원통막대 형상을 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부(61)는 제2연장부(522)를 통과할 수 있다.
연결삽입부(62)는 연결축부(61)의 단부에 형성되고, 복원부(40)가 삽입되어 연결 상태를 유지시킨다. 일예로, 연결삽입부(62)는 연결축부(6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고는 삽입연장부(621)와, 삽입연장부(621)의 양단부에서 돌출되어 중앙부가 함몰된 한 쌍의 삽입돌기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고정부(63)는 연결축부(61)와 결합되고, 회전연장부(52)에 연결축부(61)를 고정시킨다. 일예로, 연결고정부(63)는 연결축부(61)와 너트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고정부(63)는 제2연장부(52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연결축부(6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연결부(60)는 연결보호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보호부(64)는 연결삽입부(62)를 커버하고, 복원부(40)와 연결삽입부(62)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연결보호부(64)는 탄성재질 또는 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40)는 연결삽입부(62)에 삽입되는 제1복원부(41)와, 제1복원부(41)의 양단부에서 연장되고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는 제2복원부(42)와, 제2복원부(42)에서 연장되고 본체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복원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그부(100)에 본체부(10)를 장착하고, 본체부(10)에 페달부(20)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며, 페달부(20)에 조절부(30)를 장착하고 본체부(10)에 설치된 복원부(40)와 연결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측정부(200)가 페달부(20)를 가압하여 답력을 측정한다.
한편, 페달 답력 튜닝이 필요한 경우, 조절회전부(50)와 조절연결부(60)의 위치 조절을 반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회전링부(51)를 페달관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고정부(53)를 사용하여 회전링부(51)를 페달관부(51)에 결합시켜 이들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링부(51)를 페달관부(21)의 축상으로 회전시키고, 회전고정부(53)를 사용하여 회전링부(51)를 페달관부(21)에 결합시켜 이들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연장부(52)를 관통하는 연결축부(61)를 이동시키고, 연결고정부(63)를 이용하여 연결축부(61)와 회전연장부(52)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켜 이들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답력 측정장치(1)는 조절부(30)가 페달부(20)에 용접되지 않고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요구되는 답력값이 도출될 때까지 조절부(30)의 위치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답력값을 반복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본체고정부
12 : 본체바디부 20 : 페달부
21 : 페달관부 22 : 페달암부
23 : 페달패드부 30 : 조절부
40 : 복원부 50 : 조절회전부
51 : 회전링부 52 : 회전연장부
53 : 회전고정부 60 : 조절연결부
61 : 연결축부 62 : 연결삽입부
63 : 연결고정부 64 : 연결보호부

Claims (7)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페달부에 답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페달관부;
    상기 페달관부에 결합되는 페달암부; 및
    상기 페달암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측정부에 의해 가압되는 페달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페달관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회전부; 및
    상기 조절회전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원부와 연결되는 조절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회전부는
    상기 페달관부를 감싸고, 상기 페달관부의 축상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링부;
    상기 회전링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조절연결부가 통과하는 회전연장부; 및
    상기 회전링부를 상기 페달관부에 고정시키는 회전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연결부는
    상기 회전연장부를 관통하는 연결축부;
    상기 연결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복원부가 삽입되어 연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결삽입부; 및
    상기 연결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연장부에 상기 연결축부를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답력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지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고정부; 및
    상기 본체고정부에서 연장되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답력 측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연결부는
    상기 연결삽입부를 커버하고, 상기 복원부와 상기 연결삽입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연결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답력 측정장치.
KR1020190120918A 2019-09-30 2019-09-30 페달 답력 측정장치 KR102232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918A KR102232325B1 (ko) 2019-09-30 2019-09-30 페달 답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918A KR102232325B1 (ko) 2019-09-30 2019-09-30 페달 답력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325B1 true KR102232325B1 (ko) 2021-03-26

Family

ID=7525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918A KR102232325B1 (ko) 2019-09-30 2019-09-30 페달 답력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302B2 (ja) * 1999-10-18 2005-01-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角度検出装置
KR101168999B1 (ko) * 2010-02-18 2012-07-26 주식회사화신 페달 답력 측정장치
KR101305862B1 (ko) * 2012-06-11 2013-09-06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1326949B1 (ko) * 2011-12-07 2013-11-20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1553809B1 (ko) * 2014-05-30 2015-09-17 주식회사화신 페달장치
KR101918303B1 (ko) * 2013-07-09 201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302B2 (ja) * 1999-10-18 2005-01-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角度検出装置
KR101168999B1 (ko) * 2010-02-18 2012-07-26 주식회사화신 페달 답력 측정장치
KR101326949B1 (ko) * 2011-12-07 2013-11-20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1305862B1 (ko) * 2012-06-11 2013-09-06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1918303B1 (ko) * 2013-07-09 201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553809B1 (ko) * 2014-05-30 2015-09-17 주식회사화신 페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5660B1 (en) Precision force applicator for force transducer calibration
JP5492360B2 (ja) ペダル操作量検出装置
EP1923282B1 (en) Operating pedal device for vehicle
KR101031627B1 (ko) 스티어링 칼럼 장치
US8353111B2 (en) Handle control provided with an angular position sensor
EP2003434B1 (en) Load sensor-equipped operating apparatus
JP4436452B2 (ja) 荷重センサ付き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および荷重センサ付き操作装置
JP5851368B2 (ja) 車両用ペダルユニット
KR102232325B1 (ko) 페달 답력 측정장치
JP2014196060A (ja) 操作装置
CN208282808U (zh) 一种车轴总成轴承游隙检测装置
CN108622052A (zh) 踏板踩踏力检测器
US6370983B1 (en) Angle detecting device
KR101168999B1 (ko) 페달 답력 측정장치
JP4342574B2 (ja) 荷重センサ付き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および荷重センサ付き操作装置
JPH0858424A (ja) ペダルの踏込みストローク検出装置
CN101356084B (zh) 踏板操作量检测设备
WO2016042938A1 (ja) 車両用ペダル装置
CN207578311U (zh) 一种直升机尾轴轴承位置调整装置
JP6716510B2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5210469B2 (ja) 歪み検出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踏力検出装置
KR20160024618A (ko) 볼트 축력 시험용 지그
CN110006574B (zh) 滚珠丝杠副摩擦力矩测量装置
JP7067644B1 (ja) 車両自動運転装置のペダルアクチュエータ
CN215832991U (zh) 制动阀的耐久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