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32B1 - 휴대용 세안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세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932B1
KR102231932B1 KR1020190132051A KR20190132051A KR102231932B1 KR 102231932 B1 KR102231932 B1 KR 102231932B1 KR 1020190132051 A KR1020190132051 A KR 1020190132051A KR 20190132051 A KR20190132051 A KR 20190132051A KR 102231932 B1 KR102231932 B1 KR 10223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ace
opening
washing wat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홍석준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얼굴에 밀착되는 고무패킹이 구비되고, 밴드가 연결되어 얼굴에 고정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부 내에 공급된 물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마스크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끼워져서 사용자의 비강에 연결되는 튜브로 구성된 호흡부; 상기 마스크부의 상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마스크부의 하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세척수의 공급 시 상기 개폐부는 폐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마스크부 내에 채워지고, 세안 후 세척수의 배출 시 상기 개폐부는 개방되어 세척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휴대용 세안장치는 마스크 형태로 구비되어 얼굴에 부착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세면대나 욕조가 없어도 어느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휴대용 세안장치{PORTABLE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세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형태로 구비되어 얼굴에 부착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세면대나 욕조가 없어도 어느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세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발명으로는 '초음파 진동자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진동장치(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694965호)'를 포함한 다양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초음파 진동에 의한 세척장치는 반도체 소자를 세척하거나 기타 공업용 물품을 세척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싱크대에 부착하여 식기, 과일, 야채 등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발을 마사지하는데 사용하는 등 실생활의 많은 부분에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실생활에 적용된 초음파 세척장치의 경우, 비교적 단단한 피부인 손이나 발을 세척하기에는 용이하나 자극에 민감한 얼굴 세안에 사용될 경우, 눈이 충혈될 수 있고, 코의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사용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세안이 끝날 때까지 얼굴을 넣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호흡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세면대 자체에 초음파 발생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94965호(2007.03.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형태로 구비되어 얼굴에 부착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세면대나 욕조가 없어도 어느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세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굴에 밀착되는 고무패킹이 구비되고, 밴드가 연결되어 얼굴에 고정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부 내에 공급된 물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마스크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끼워져서 사용자의 비강에 연결되는 튜브로 구성된 호흡부; 상기 마스크부의 상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마스크부의 하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세척수의 공급 시 상기 개폐부는 폐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마스크부 내에 채워지고, 세안 후 세척수의 배출 시 상기 개폐부는 개방되어 세척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는 십자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에 연결되고, 얼굴 부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 각각의 진동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여닫이 방식의 개폐도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마스크 형태로 구비되어 얼굴에 부착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세면대나 욕조가 없어도 어느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얼굴의 부위에 따라 다른 세기의 초음파 진동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의 세기에 의한 와류 작용이 발생하여 초음파의 진동이 중앙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얼굴의 약한 부위를 보호하면서 세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튜브가 사용자의 비강에 끼워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세안 시 세척수가 비강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세안 중에도 호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마스크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유입부 및 배출부를 통해 세척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오염되지 않은 세척수로 연속해서 세안이 가능하고, 세안 후 마스크를 벗을 때 세척수가 남지 않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초음파 발생부는 마스크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로 구성되므로 얼굴을 골고루 자극시키면서 세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전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후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전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후면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1)는 마스크부(100), 초음파 발생부(200), 호흡부(300), 유입부(400), 배출부(500) 및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전체적으로 방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세안 시 물에 의한 전류의 누전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부(100)는 얼굴에 밀착되는 고무패킹(110)이 구비되고, 밴드(120)가 연결되어 얼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무패킹(110)은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형태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쉽게 착용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착용 미숙으로 인하여 얼굴에 밀착되지 않아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마스크부(100)는 고무패킹(110) 및 밴드(120)로 인해 얼굴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후술할 유입부(4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얼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온전히 세안에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200)는 마스크부(100)의 후면에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마스크부(100) 내에 공급된 물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초음파 발생부(20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한 세척수는 얼굴 피부를 진동으로 미세하게 타격하여 얼굴 피부에 있는 이물질이나 화장 잔여물을 화학 비누 없이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발생부(20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는 얼굴 부위 별로 고르게 진동이 발생하도록 십자 형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얼굴 부위에 따라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 각각의 진동 세기를 제어하여 최적의 진동 세기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얼굴의 약한 부위인 눈과 같은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 세기가 발생하도록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 각각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얼굴의 약한 부위를 보호하면서 세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의 세기에 의한 와류 작용이 발생하여 초음파의 진동이 중앙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안전한 세안이 가능하다.
한편, 호흡부(300)는 마스크부(100)에 형성된 삽입홀(130)에 끼워져서 사용자의 비강에 연결되는 튜브로 구성된다. 즉, 호흡부(300)의 튜브는 사용자의 비강에 끼워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세안 시 세척수가 비강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세안 중에도 호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유입부(400)는 마스크부(100)의 상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유입된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부(400)는 외부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별도의 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배출부(500)는 마스크부(100)의 하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배출된다.
개폐부(미도시)는 배출부(500)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여닫이 방식의 개폐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세안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고무패킹(110) 및 밴드(120)를 이용하여 마스크부(100)의 초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하면서 마스크부(100)를 얼굴에 밀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마스크부(1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세척수는 유입부(400)를 통해 마스크부(100)의 내측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는 폐쇄되기 때문에 세척수는 마스크부(100) 내에 채워질 수 있고, 마스크부(100) 내측의 세척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만큼 차올랐을 경우, 세척수의 공급은 중단될 수 있다.
이후에 초음파 발생부(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스크부(100) 내에 공급된 물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 피부가 세척될 수 있다.
세안으로 인해 오염된 세척수는 개폐부가 개방됨으로써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유입부(400)를 통해 다시 새로운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유입부(400) 및 배출부(500)를 통해 세척수의 순환이 타이밍에 맞게 연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오염되지 않은 세척수로 연속해서 세안이 가능하고, 세안 후 마스크를 벗을 때 세척수가 남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한 물의 진동으로 세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화학 비누 없이 세안 효과가 뛰어나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얼굴 부위에 따라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의 세기를 각기 다르게 하여 피부가 얇은 부위의 경우 진동 세기를 약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진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 : 휴대용 세안장치 100 : 마스크부
110 : 고무패킹 120 : 밴드
130 : 삽입홀 200 : 초음파 발생부
300 : 호흡부 400 : 유입부
500 : 배출부

Claims (5)

  1. 얼굴에 밀착되는 고무패킹이 구비되고, 밴드가 연결되어 얼굴에 고정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후면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십자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에 연결되고, 얼굴 부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자 각각의 진동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크부 내에 공급된 물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마스크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끼워져서 사용자의 비강에 연결되는 튜브로 구성된 호흡부;
    상기 마스크부의 상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마스크부의 하단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세척수의 공급 시 상기 개폐부는 폐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마스크부 내에 채워지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 의해 진동이 발생한 세척수는 진동으로 얼굴 피부를 미세하게 타격하여 세척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 세기에 의한 와류 작용을 발생시켜 초음파의 진동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고, 세안 후 세척수의 배출 시 상기 개폐부는 개방되어 세척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여닫이 방식의 개폐도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
KR1020190132051A 2019-10-23 2019-10-23 휴대용 세안장치 KR10223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51A KR102231932B1 (ko) 2019-10-23 2019-10-23 휴대용 세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51A KR102231932B1 (ko) 2019-10-23 2019-10-23 휴대용 세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932B1 true KR102231932B1 (ko) 2021-03-24

Family

ID=7525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51A KR102231932B1 (ko) 2019-10-23 2019-10-23 휴대용 세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9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965B1 (ko) 2003-03-31 2007-03-14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초음파 진동자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진동장치
KR100985955B1 (ko) * 2008-03-25 2010-10-06 김경수 피부 미용기
KR20110024297A (ko) * 2009-09-01 2011-03-09 정철웅 유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장치
KR20190084376A (ko) * 2018-01-08 2019-07-17 박종한 얼굴 피부 관리기
KR20190090272A (ko) * 2018-01-24 2019-08-01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안면 마사지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965B1 (ko) 2003-03-31 2007-03-14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초음파 진동자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진동장치
KR100985955B1 (ko) * 2008-03-25 2010-10-06 김경수 피부 미용기
KR20110024297A (ko) * 2009-09-01 2011-03-09 정철웅 유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장치
KR20190084376A (ko) * 2018-01-08 2019-07-17 박종한 얼굴 피부 관리기
KR20190090272A (ko) * 2018-01-24 2019-08-01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안면 마사지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6540A1 (en) Cleaning and massaging system
WO2005074856A1 (ja) マッサージノズル及びマッサージ装置
KR101615149B1 (ko) 진동 두피 모발 마사지장치
KR200479432Y1 (ko) 휴대용 세정제 케이스
KR102231932B1 (ko) 휴대용 세안장치
KR100736172B1 (ko) 다기능 욕조
CN209253566U (zh) 一种便捷式洗眼器
KR100934157B1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JP3204945U (ja) シャワー器の付着キャップユニット
JP2013236795A (ja) シャワー器具の吐水方法およびシャワー器具を用いたマッサージ方法ならびにマッサージ用シャワー器具セット
KR102053114B1 (ko) 음파 진동 세안기
KR10039016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면기(洗面器)
KR200317614Y1 (ko) 초음파 욕조
KR100680806B1 (ko) 좌욕기
KR100705602B1 (ko) 정수 토출형 비데기
KR20160063939A (ko) 휴대용 세안기구
US20040153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ubbing hair and other objects
KR200187209Y1 (ko) 진동 샤워기
JPH04166152A (ja) 吸引美容装置
RU147274U1 (ru) Гидровакуумная массажная насадка для душевой головки
JP4133893B2 (ja) マッサージノズル及びマッサージ装置
KR200320355Y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안장치
KR101984060B1 (ko) 세정장치
KR101114245B1 (ko) 수경타입 초음파 세안장치
KR102053566B1 (ko) 공기방울을 이용한 목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