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656B1 -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656B1
KR102231656B1 KR1020190068079A KR20190068079A KR102231656B1 KR 102231656 B1 KR102231656 B1 KR 102231656B1 KR 1020190068079 A KR1020190068079 A KR 1020190068079A KR 20190068079 A KR20190068079 A KR 20190068079A KR 102231656 B1 KR102231656 B1 KR 10223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
pin body
port lead
contac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271A (ko
Inventor
김명근
조재효
황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6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65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3/00Furnaces with both stationary charge and progression of heating, e.g. of ring type, of type in which segmental kiln moves over stationary charge
    • F27B13/06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is type
    • F27B13/14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마그넷에 설치되고 가이드 홀을 갖는 가이드 부재, 가이드 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핀 몸체, 핀 몸체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장입구 리드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접촉면 증가부재, 및 핀 몸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핀 몸체의 이동에 따라 마그넷의 작동을 위한 감지센서와 접촉되는 접촉 플랜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DEVICE FOR CONFIRMING STICKING CONDITION OF CHARGING HOLE LID}
본 발명은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입구 리드(Lid) 탈착 장치는 장입구 리드를 탈착하여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부로 석탄을 장입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장입구 리드(Lid) 탈착 장치가 전진하여 장입구 리드를 부착하여 후진하면, 장입 장치가 하강하여 석탄을 탄화실 내로 장입하는 준비 과정에서, 특히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장입구 리드 탈착 장치 전면에 마그넷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마그넷 장치의 작동 원리는, 마그넷이 장입구 리드 위에 하강하여 밀착되면 리드 감지 확인용 핀(Pin)이 마그넷의 측면에 부착된 가이드판의 가이드 홀을 통하여 위로 올라가 센서(Sensor)를 감지하면, 전류가 형성되어 마그넷이 온 상태로 된다.
마그넷이 온 상태로 되어 장입구 리드를 부착하게 되고, 장입구 리드가 마그넷과 떨어지면 마그넷이 오프 상태로 되고 핀이 하부로 내려와 센서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나, 리드 감지용 핀이 장입구 리드 탈착 중 뒤틀림이나 충격에 의한 잦은 변형 및 열화 현상이 발생된다.
즉, 마그넷과 장입구 리드의 중심선에 일치 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마그넷의 중심선이 장입구 리드의 중심선에 일치하지 못하고 중심이 조금만 틀어져도, 리드 부착 확인용 핀이 감지를 못하여 리드의 부착 센서가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코크스 오븐 탄화실 내부에 건류가 완료된 코크스를 밀어내기 전에 개방된 장입구 리드에 걸려 핀이 변형되어 가이드 홀에 끼여서 센서를 감지하고 있으면 장입구 리드가 마그넷에 부착되지 않았는데도 부착된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입구 리드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마그넷이 장입구 리드 부착된 상태로 인식하여 장입 장치가 하강하여 장입을 실시하여 장입구 막힘 발생 및 오장입 발생 시 이로 인한 조치 작업 시 안전사고 위험과 환경공해 유발 등 많은 시간과 인원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장입구 리드의 중심과 마그넷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장입구 리드가 마그넷에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탄화실의 장입구 리드 탈착용 마그넷에 설치되고 가이드 홀을 갖는 가이드 부재, 가이드 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핀 몸체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장입구 리드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촉면 증가부재, 및 핀 몸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핀 몸체의 이동에 따라 마그넷의 작동을 위한 감지센서와 접촉되는 접촉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핀 몸체는 접촉면 증가부재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면 증가부재의 양단부 상면에는 핀 몸체가 마그넷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용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접촉면 증가부재는 내측면에 배치되는 반타원 형상의 제1 곡면부와, 외측면에 배치되는 반타원 형상의 제2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곡면부는 장입구 리드의 외형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핀 몸체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홀 하부로 돌출되는 핀 몸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와셔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는 접촉면 증가부재의 변형 방지를 위하여 접촉면 증가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의 높이는 그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갈수록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장입구 리드의 중심과 마그넷의 중심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장입구 리드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넓은 접촉면적으로 용이하게 장입구 리드의 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입차 주행 중 이물질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접촉면 증가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입구 리드 탈착 시 뒤틀림에 의한 핀 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 와셔에 의하여 가이드 홀 하부로 돌출되는 핀 몸체의 돌출 길이의 충분한 조절로 인해 감지센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입구 리드의 부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오장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마그넷이 장입구 리드로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마그넷이 장입구 리드에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마그넷이 장입구 리드로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마그넷이 장입구 리드에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가이드 부재(20), 핀 몸체(100), 및 접촉면 증가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는 가이드 홀(21)을 가지며, 장입구 리드(30)의 탈착을 위한 장입구 리드 탈착 장치의 마그넷(10)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핀 몸체(100)는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 홀(2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핀 몸체(10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마그넷(10)에 장입구 리드(30)의 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과 접촉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도록 그 중심에 핀 몸체(100)가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접촉면 증가부재(200)의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핀 몸체(100)가 마그넷(10)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용 가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21)은 핀 몸체(10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설정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 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촉면 증가부재(200)의 하단부는 접촉면 증가부재(200)가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에 접촉될 시, 핀 몸체(100)가 용이하게 상부로 상승될 수 있도록 마그넷(10)의 바닥면보다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접촉면 증가부재(200)가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그 내측면과 외측면에 반타원 형상의 제1 곡면부(210)와 제2 곡면부(220)가 각각 배치되는 아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곡면부(210)는 접촉면 증가부재(200)가 용이하게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장입구 리드(30)의 외형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곡면부(220)는 접촉면 증가부재(200)의 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접촉면 증가부재(200)가 용이한 승, 하강을 위하여 제1 곡면부(210)와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장입구 리드(30)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제1 곡면부(210)도 장입구 리드(30)의 타원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장입구 리드(30)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300)는 장입차 주행 중 이물질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접촉면 증가부재(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촉면 증가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00)의 높이는 이물질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접촉면 증가부재(200)의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갈수록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300)는 핀 몸체(100)가 마그넷(10)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핀 몸체(100)를 중심으로 접촉면 증가부재(200)의 양단부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300)는 핀 몸체(100)의 상, 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20)의 양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300)는 핀 몸체(100)를 중심으로 핀 몸체(100)와 가이드 부재(2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핀 몸체(10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 홀(21) 하부로 돌출되는 핀 몸체(1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와셔(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몸체(100)의 외주면에는 조절 와셔(400)가 결합되기 위한 나선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조절 와셔(400)의 내경에는 나선홈(110)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선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나선홈(110)은 가이드 부재(20)의 하부로 돌출되는 핀 몸체(100)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핀 몸체(100)의 상단면에는 마그넷(10) 작동을 위한 감지센서(미도시)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 플랜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플랜지(500)의 상단면은 감지센서(미도시)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촉 플랜지(500)는 핀 몸체(100)와 함께 용이하게 승, 하강될 수 있도록 원통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접촉 플랜지(500)의 하단부에는 핀 몸체(100)의 상단면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 볼트(5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핀 몸체(100)의 상단면 중앙부에는 그 하부로 오목하게 배치되어 고정 볼트(510)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하기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마그넷(10)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 홀(21)에 그 하부로부터 상부로 핀 몸체(100)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가이드 홀(21) 상부에서 조절 와셔(40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고정 볼트(510)를 핀 몸체(100)의 나사홈(120)에 결합하여 접촉 플랜지(500)를 핀 몸체(100)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이 때, 핀 몸체(100)의 하단부에 연장된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마그넷(10)의 바닥면보다 하부로 돌출되고, 가이드 홀(21) 하부로 돌출되는 핀 몸체(100)의 길이에 맞도록 조절 와셔(400)를 조절하고 접촉 플랜지(500)와 감지센서(미도시)의 간격을 맞춘다.
또한, 가이드(300)가 마그넷(10)의 외벽에 위치하게 되므로, 핀 몸체(100)는 가이드(300)에 의하여 마그넷(10)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는, 장입구 리드(30)의 탈착을 위하여 도 3의 위치에서 도 4의 위치로 마그넷(10)이 장입구 리드(30)로 하강하면, 접촉면 증가부재(200)가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접촉면 증가부재(2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면 증가부재(200)와 함께 핀 몸체(100)가 가이드 홀(21)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핀 몸체(100)의 상승에 의하여 핀 몸체(100)의 상단부에 결합된 접촉 플랜지(500)가 감지센서(미도시)와 접촉하게 되면 전류가 형성되어 마그넷(10)이 온 상태로 되어 장입구 리드(30)를 탈착하게 된다.
접촉면 증가부재(200)는 핀 몸체(100)의 양단부에 연장되어 핀 몸체(100)보다 상당히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장입구 리드(30)의 외측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도 그 만큼 넓어지게 되며, 따라서, 접촉면 증가부재(200)에 의하여 장입구 리드(30)의 바닥면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입구 리드(30)와 마그넷(10)의 중심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접촉면 증가부재(200)에 의하여 장입구 리드(30)의 바닥면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장입구 리드(30)의 중심과 마그넷(10)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마그넷(10)에 장입구 리드(30)가 부착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촉면 증가부재(200)와 가이드(300)를 일체로 형성하고, 가이드(300)의 높이가 그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갈수록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장입차 주행 중 이물질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접촉면 증가부재(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장입구 리드 탈착 시 뒤틀림에 의한 핀 몸체(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와셔(400)에 의하여, 마그넷(10)의 하단면 또는 가이드 홀(21)의 하부로 돌출되는 핀 몸체(1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감지센서(미도시)와 접촉 플랜지(500)와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감지센서(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넷(10)에 장입구 리드(30)의 부착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장입구 리드의 탈착 불량에 의하여 장입장치(미도시)의 오장입을 방지할 수 있다.
10: 마그넷
20: 가이드 부재
30: 장입구 리드
100: 핀 몸체
200: 접촉면 증가부재
300: 가이드
400: 조절 와셔
500: 접촉 플랜지

Claims (8)

  1. 탄화실의 장입구 리드 탈착용 마그넷에 설치되고, 가이드 홀을 갖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핀 몸체,
    상기 핀 몸체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장입구 리드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촉면 증가부재,
    상기 핀 몸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핀 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마그넷의 작동을 위한 감지센서와 접촉되는 접촉 플랜지, 및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의 양단부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핀 몸체가 상기 마그넷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를 포함하는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몸체는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는, 내측면에 배치되는 반타원 형상의 제1 곡면부와, 외측면에 배치되는 반타원 형상의 제2 곡면부를 포함하는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는 상기 장입구 리드의 외형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홀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핀 몸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와셔가 결합되는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의 변형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접촉면 증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높이는 그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갈수록 낮아지거나 높아지게 설정되는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KR1020190068079A 2019-06-10 2019-06-10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KR10223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9A KR102231656B1 (ko) 2019-06-10 2019-06-10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9A KR102231656B1 (ko) 2019-06-10 2019-06-10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71A KR20200141271A (ko) 2020-12-18
KR102231656B1 true KR102231656B1 (ko) 2021-03-23

Family

ID=7404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79A KR102231656B1 (ko) 2019-06-10 2019-06-10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6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351A (ja) 2009-11-11 2011-05-26 Jfe Steel Corp 集塵ダクト蓋の閉検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46B1 (ko) * 2001-11-26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장입차의 드롭 슬리브 센터링장치
KR100887097B1 (ko) * 2002-08-26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구 리드의 자동 리프터
KR100957917B1 (ko) * 2003-06-10 2010-05-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의 미니상승관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351A (ja) 2009-11-11 2011-05-26 Jfe Steel Corp 集塵ダクト蓋の閉検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71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9986B2 (en) Suction nozzle and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therefor
KR102231656B1 (ko) 장입구 리드 부착 상태 확인 장치
US20100281989A1 (en) Pressure sensor and device for preventing air inflow into the pressure sensor
US5184928A (en) Cap for rail mounting hole of linear guide device
KR20230098542A (ko) 볼소켓형 현수애자 핀 탈착장치
CN110949084A (zh) 高度检测结构及组装方法、车辆悬挂系统、车辆
KR20150062739A (ko) 원통형 이차전지의 내부 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배출방법
US20030210137A1 (en) Transmitter casing for a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CN102157853B (zh) 电气部件插座
KR101007857B1 (ko) 테스트 소켓
KR101187695B1 (ko) 저압용 진공압력 스위치
CN216209510U (zh) 用于烟雾探测器的底座的质检装置
CN112476299B (zh) 一种衬套压头结构及该衬套压头结构的使用方法
CN214742857U (zh) 一种带缓冲限位装置的蛇形弹簧联轴器以及轮毂
JP3623744B2 (ja) 車両用の戸挟み検出装置
CN211290194U (zh) 一种集成灶油液防溢报警装置
CA2470372A1 (en) Measuring-point bolt
KR101175543B1 (ko) 진공압력 스위치
CN210108689U (zh) 一种副车架内部凸焊螺母的检测装置
CN220270295U (zh) 一种螺钉防错识别装置
US20230278377A1 (en) Dividing wall mounting device
CN219597986U (zh) 一种防铆压螺钉卡滞的脱模机构
CN207317819U (zh) 一种节气门位置传感器
CN217981644U (zh) 一种表面电阻测试笔
US20220227193A1 (en) Suspension element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