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463B1 -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463B1
KR102231463B1 KR1020180065836A KR20180065836A KR102231463B1 KR 102231463 B1 KR102231463 B1 KR 102231463B1 KR 1020180065836 A KR1020180065836 A KR 1020180065836A KR 20180065836 A KR20180065836 A KR 20180065836A KR 102231463 B1 KR102231463 B1 KR 10223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loss
fusion peptide
hair
preven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414A (ko
Inventor
성영관
김민규
김문규
곽미희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4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1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ag for extracellular membrane crossing, e.g. TAT or VP2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6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spectroscopic/fluorescent detection, e.g.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남성호르몬 수용체과 결합하여 작용하는 DDX5 단백질이 남성형 탈모를 유도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탈모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낼 수 있게 만든 펩티드 합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탈모부위에서 얻어진 모낭 모유두세포에 처리시 남성형 탈모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DKK-1 유전자발현이 줄어드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펩티드가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제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Fusion peptide for blocking the binding between the androgen hormone receptor and the DDX5 prote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ale pattern baldnes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남성형 탈모는 유전적 소인을 가지는 사람에서 사춘기 이후 남성호르몬에 의해 유발 되는데 수명연장에 따른 노년인구 증가와 현대사회의 각종 스트레스, 서구화된 식습관으로의 변화는 탈모환자가 급속하게 증가되는 원인으로 손꼽힌다. 물론 모발 이식 수술을 통하여 외적인 문제의 해결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것은 사실이나, 후두부에서 전두부에 이식한 모발은 빠지지 않는 것에 반해 전두부에서 원래 자라나는 모발의 경우 남성형 탈모의 진행에 의해 빠져 버리기 때문에 지속적인 약물복용이 필요하게 되어 완전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지는 않는 실정이다.
남성형 탈모의 생리학적 기전을 살펴보자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5α-환원효소(5α-reductase)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 DHT)으로 변화된 후 남성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여 탈모유발과 관련된 유전자를 작동시키게 된다. 현재 탈모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페시아는 5α-환원효소(5α-reductase)를 억제하여 DHT의 생성을 줄어들게 만들어 탈모의 진행을 억제 시킨다. 하지만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공개특허 US 2004-0254099 (2004.12.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포투과성 도메인(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 링커 및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남성호르몬 수용체 결합 모티브(androgen receptor binding motif; ARM)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융합 펩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남성호르몬 수용체과 결합하여 작용하는 DDX5 단백질이 남성형 탈모를 유도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탈모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낼 수 있게 만든 펩티드 합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탈모부위에서 얻어진 모낭 모유두세포에 처리시 남성형 탈모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DKK-1 유전자발현이 줄어드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펩티드가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제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DDX5 단백질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과 그 중 나선구조에 포함된 LXXLL 구조를 이용해 제작한 펩티드 PTD-ARM(protein transduction domain - androgen receptor binding motif)을 나타낸다.
도 2는 2차원 배양 시 PTD-ARM의 침투 정도와 3차원 배양 시 유지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PTD-ARM의 DHT에 의한 탈모유발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사람 모유두 세포를 3차원 배양 했을 시 DHT에 의한 DKK-1 발현과 PTD-ARM 처리가 동반 되었을 시의 발현 정도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PTD-ARM의 작용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PTD-ARM은 남성호르몬 수용체에 DDX5 단백질 대신 결합함으로써 남성호르몬-DHT-DDX5 복합체가 탈모 유발 인자를 발현시키는 것을 억제함을 나타낸다.
DDX5 단백질에는 LXXLL의 아미노산 구조가 존재하는데, 이 구조는 호르몬들과 반응하는 핵수용체와 결합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DDX5 단백질의 펩티드 서열 중 LXXLL 구조를 포함한 나선구조와 세포에 침투하기 위한 서열을 조합하여 합성 펩티드를 개발하게 되었다. 현재 약물 개발에 있어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PPI : protein-protein interaction)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탈모 연구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융합 펩티드는 자체로 활용될 수도 있지만 단백질 다중 분석을 통한 펩티드 유사체를 찾거나 화학적으로 작용기에 변화를 주어 반응성을 높이는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개량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 개발된 융합 펩티드가 사람 모낭 모유두 세포에 잘 침투하는지에 대해 확인하였고, 펩티드가 DHT에 의한 탈모 관련 인자를 얼마나 억제 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세포투과성 도메인(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 링커 및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남성호르몬 수용체 결합 모티브(androgen receptor binding motif; ARM)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융합 펩티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ARM은 "XXXKTLSYLLPAXXXXX"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내는데, 서열번호 1에 기재된 "X" 또는 "Xaa"는 특정 아미노산이 아니라, 어떠한 아미노산도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남성호르몬 수용체 결합 모티브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ARM은 "GSGKTLSYLLPAIVHIN"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합 펩티드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융합 펩티드는 "RRRRRRRR GGGG GSGKTLSYLLPAIVHIN"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합 펩티드는 세포 침투를 확인하기 위한 형광 표지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광 표지 물질은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합 펩티드는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포투과성 도메인((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은 세포에 침투하기 위한 서열로서 "RRRRRRRR"일 수 있고, 상기 링커는 PTD 및 ARM을 연결하는 역할로서, "GGG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융합 펩타이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바, 상기 융합 펩타이드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50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를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라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로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지방족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하기에 적당한 캐리어 또는 캐리어 혼합물을 포함하여 모발 보호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는 용매와 다른 캐리어 또는 모발 보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vehicle)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의 조성물 중 약 0.5%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9.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90.0%로 존재한다. 캐리어로서 용매는 제형화된 모발 조성물이 헤어 스프레이, 무스, 토닉 등과 같이 사용 후 모발에 남는 것이거나 샴푸, 컨디셔너 등과 같이 세정되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공중합체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합한 용매는 물, 저급 알코올(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하이드로알콜계 혼합물, 탄화수소(이소부탄, 헥산, 데센등), 아세톤, 할로겐화 탄화수소(프레온 등), 탄화수소 에스테르(에틸 아세테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등), 휘발성 실리콘 유도체, 실록산(페닐 펜타메틸 디실록산, 메톡시프로필 헵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클로로프로필 펜타메틸 디실록산, 하이드록시프로필 펜타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하기의 실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실험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람 모낭조직은 경북대학교 모발이식센터에서 환자의 동의하에 남성형 탈모를 겪고 있으며 프로페시아를 복용하고 있지 않았던 2~30대의 젊은 환자의 전두부 모발을 제공받아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유두는 절단된 모발의 모구로부터 분리한 뒤, collagen type Ⅰ이 코팅된 배양접시에 옮기고 페니실린(100U/ml), 스트렙토마이신(100ug/ml)과 20% 열비활성 혈청을 첨가한 DMEM(Hyclone)에서 배양하였다. 외식편은 일주일 동안 그대로 두다가 모유두가 배양접시에 부착되어 세포가 뻗어 나오기 시작하면, 3일에 한 번씩 배지를 바꿔주며, 세포가 자라면 0.25% trypsin/10mM EDTA를 이용하며 세포를 모으고, 5% CO2와 37℃의 조건아래 10% 열비활성화 혈청이 첨가된 DMEM에서 유지하였다. 계대배양 3~5번째 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전두부 모유두 세포는 계대배양이 지속 될수록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정을 위하여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발현벡터 pCMV-hAR (Addgene, Plasmid #89078)를 주입하였다. 벡터의 주입에는 fugene(Promega)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펩티드는 세포에 침투하기 위한 RRRRRRRR 서열과 LXXLL 구조가 포함된 DDX5의 나선구조 GSGKTLSYLLPAIVHIN 그리고 이를 이어주는 링커 구조 GGGG로 구성되어 있고, 세포로의 침투를 확인하기 위해 형광(FITC)을 달아주어 최종적으로 RRRRRRRR GGGG GSGKTLSYLLPAIVHIN K-FITC의 형태를 합성(펩트론)하였다.
펩티드가 세포 내로 잘 침투하는지, 침투 후 3차원 배양을 해도 잘 유지되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24시간 동안 10 uM의 펩티드를 처리한 뒤 메탄올을 이용한 고정 작업을 하였고, 이후 DAPI를 처리하여 핵 염색까지 마친 뒤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 하였다.
펩티드를 처리 시 DHT(Sigma)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 원인 인자인 DKK-1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남성호르몬 수용체 벡터가 삽입된 전두부 모유두 세포에 펩티드를 처리 후 3차원 배양 하였고, DHT 처리 후 Qiagen RNA isolation kit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 하였다. 역전사 효소(Promeg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뒤 각 각의 프라이머(Qiagen)와 Syber green (Applied Biosystems) 효소를 이용하여 증폭 후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 실시예 >
LXXLL 구조(류신-X-X-류신-류신, 여기서 X는 어떠한 아미노산이 와도 상관이 없고, DDX5 단백질은 류신-세린-티로신-류신-류신 구조를 보유하고 있음)를 가진 단백질은 핵 호르몬 수용체와의 결합이 가능해 그들의 보조 인자로서 작용이 가능 하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필요한 RRRRRRRR 서열과 연결부 서열, LXXLL 구조가 포함된 나선구조 서열 그리고 세포침투를 확인하기 위한 형광물질 FITC를 붙인 PTD-ARM을 제작하였다(도 1). 합성을 마친 PTD-ARM이 본 실험에 앞서 세포 내로 잘 침투가 되는지 그리고 침투된 펩티드가 3차원 배양과정을 거쳤을 시 잘 유지가 되는지를 확인해 보았다(도 2). 또한, 3차원 배양된 사람 모유두 세포는 2차원 배양한 모유두세포와 비교했을 때 생체의 모유두세포의 특성을 잘 반영함으로 3차원 배양 시킨 사람 모유두 세포를 이용한 후속 실험을 실시하였다. PTD-ARM이 탈모 유발 인자발현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RNA 수준에서의 확인을 실시하였다. 탈모환자의 전두부 모낭으로부터 얻어진 모유두 세포는 계대배양이 지속 될수록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양을 발현벡터를 이용해 보정해 주었고 24시간의 안정기를 거친 뒤 PTD-ARM을 처리하였다. PTD-ARM이 처리된 모유두세포는 24시간동안 3차원 배양을 거쳤고, 3차원 배양된 각각의 모유두 세포 구(sphere)들을 모아 DHT를 6시간 동안 처리 한 뒤 RNA를 분리하였다(도 3). Real-time PCR 실험을 수행한 결과, 탈모 유발원인 DKK-1은 대조군에서는 DHT 처리에 의해 증가하지만 10 uM의 PTD-ARM을 처리해 준 군에서는 DHT를 처리했음에도 DKK-1이 증가하지 않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도 4).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PTD-ARM은 DDX5 단백질이 남성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남성형 탈모 유발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Fusion peptide for blocking the binding between the androgen hormone receptor and the DDX5 prote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ale pattern baldness comprising the same <130> ADP-2018-0175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7 <212> PRT <213> human <400> 1 Xaa Xaa Xaa Lys Thr Leu Ser Tyr Leu Leu Pro Ala Xaa Xaa Xaa Xaa 1 5 10 15 Xaa <210> 2 <211> 17 <212> PRT <213> human <400> 2 Gly Ser Gly Lys Thr Leu Ser Tyr Leu Leu Pro Ala Ile Val His Ile 1 5 10 15 Asn <210> 3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sion peptide <400> 3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Gly Gly Gly Gly Gly Ser Gly Lys 1 5 10 15 Thr Leu Ser Tyr Leu Leu Pro Ala Ile Val His Ile Asn 20 25

Claims (9)

  1. 세포투과성 도메인(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 링커 및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남성호르몬 수용체 결합 모티브(androgen receptor binding motif; ARM)를 순서대로 포함하며,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남성호르몬 수용체 결합 모티브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펩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펩티드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펩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펩티드는 세포 침투를 확인하기 위한 형광 표지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 펩티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융합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65836A 2018-06-08 2018-06-08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36A KR102231463B1 (ko) 2018-06-08 2018-06-08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36A KR102231463B1 (ko) 2018-06-08 2018-06-08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14A KR20190139414A (ko) 2019-12-18
KR102231463B1 true KR102231463B1 (ko) 2021-03-24

Family

ID=6905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36A KR102231463B1 (ko) 2018-06-08 2018-06-08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4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4099A1 (en) * 1999-04-21 2004-12-16 Adherex Technologie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beta-catenin mediated gene expression
US20080014597A1 (en) 2005-02-24 2008-01-17 Zhi-Ren Liu Phosphorylated p68 RNA helicase as a marker for cancer and cancer metastasis
EP2361260A1 (en) 2008-12-22 2011-08-31 Xigen S.A. Novel transporter constructs and transporter cargo conjugate molecu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0951B1 (fr) * 2014-05-16 2016-06-17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Association d'un tetrapeptide et d'un glyceryl ester pour le traitement de l'alopecie androgeniqu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4099A1 (en) * 1999-04-21 2004-12-16 Adherex Technologie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beta-catenin mediated gene expression
US20080014597A1 (en) 2005-02-24 2008-01-17 Zhi-Ren Liu Phosphorylated p68 RNA helicase as a marker for cancer and cancer metastasis
EP2361260A1 (en) 2008-12-22 2011-08-31 Xigen S.A. Novel transporter constructs and transporter cargo conjugate molecul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Res., Vol. 68, No. 19, pp. 7938-7946(2008.1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14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431B1 (ko)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1097513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KR102535575B1 (ko)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9 변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US10967028B2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Artemisia umbelliformis extract
JP2021080273A (ja) ミノキシジルとペプチドの結合体
KR101733065B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EP4019531B1 (en) Peptide having hair growth promoting activity and use thereof
KR102231463B1 (ko) 남성호르몬 수용체 및 ddx5 단백질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융합 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형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68830B2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JP2018534268A (ja) ソヤサポニンを含有する発毛および/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140056990A (ko)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86124B1 (ko) 피부 상태 개선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160566B1 (ko)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KR20180019973A (ko) 모발 성장 촉진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2021000079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KR102215794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RU279498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выпадения волос или стимуляции роста волос
KR102591604B1 (ko)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잭.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75897A (ko) 텐덤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40050560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30154764A (ko) 피부 각질세포 유래의 탈세포화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08094000A1 (en) Herb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baldness disorder
KR20100009725A (ko)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KR20090070180A (ko)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