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811B1 - Fabric conveying device - Google Patents

Fabric convey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811B1
KR102230811B1 KR1020210007793A KR20210007793A KR102230811B1 KR 102230811 B1 KR102230811 B1 KR 102230811B1 KR 1020210007793 A KR1020210007793 A KR 1020210007793A KR 20210007793 A KR20210007793 A KR 20210007793A KR 102230811 B1 KR102230811 B1 KR 10223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pport
rod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늘품
전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늘품, 전재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늘품
Priority to KR102021000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34Apparatus for taking-out curl from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5Restoring form
    • B65H2301/51254Unshirring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transfer device, which transfers fabric which is a target of post-processing such as lamination while unwinding the fabric wound around a winding roll. The device comprises a holding unit where the winding roll where the fabric is wound in a roll shape is held.

Description

원단 이송 장치{FABRIC CONVEYING DEVICE}Fabric conveying device {FABRIC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원단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지 등의 후가공의 대상이 되는 원단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로부터 원단을 권출시키면서 후가공장치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단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conve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conveying device implemented to convey the fabric to the post-processing device while unwinding the fabric from a winding roll on which a fabric to be post-processed such as paper is wound.

일반적으로 롤형 원단 포장장치라 함은, 가공이 끝나서 둥글게 롤(roll) 형 태로 권취된 원단이 컨베이어(conveyer)를 통해 이송되어 오면, 이를 비닐로 감싼 뒤에 열을 이용하여 접착 및 절단하고, 양 측면의 비닐을 열로 가열하여 밀착하여 붙임으로써 자동으로 포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roll-type fabric packaging device refers to a roll-type fabric that has been processed and is conveyed through a conveyor, which is then wrapped with vinyl and then bonded and cut using heat, and both sides It refers to a device that automatically wraps the vinyl by heating it with heat and attaching it in close contact.

그러나, 종래의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 포장기는, 원단을 센터포장하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경우에, 그리고 센터포장이 끝난 원단을 측면포장하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경우에, 원단의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타고서 원단이 굴러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원단이 삐딱하게 굴러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송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enter packing machine of the conventional roll-type fabric packaging apparatus, when transporting the fabric for center packaging, and when transporting the center-wrapped fabric for side packaging, rides on an inclined surface using the fabric's own weight. Since a method of allowing the fabric to roll is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relatively long fabric is often rolled stiffly, resulting in a transfer error.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to be known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9535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953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4059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4059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합지 등의 후가공의 대상이 되는 원단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로부터 원단을 권출시키면서 후가공장치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단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bric conveying device implemented to transport the fabric to the post-processing device while unwinding the fabric from a winding roll on which a fabric subject to post-processing such as paper is woun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 장치는, 원단이 롤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원단 이송 장치.Fabric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winding roll in which the fabric is wound in a roll form is mounted; comprising, a fabric conveying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받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받으며, 상기 원단의 가공을 위한 가공 장치로 상기 원단을 수평 방향으로 펴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elivery uni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unit to receive the fabric from the mounting unit; And a transfer unit that receives the fabric from the transfer unit and transfers the fabric by spreading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the fabric.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공 장치로 상기 원단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송 레일; 및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을 평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원단의 굴곡진 상측을 가압시켜 주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주름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transfer rail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transfer the fabric to the processing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first wrinkle removal unit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to pressurize the curved upper side of the fabric so that the fabric being transferred can be spread fla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주름 제거부는, 상기 이송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을 따라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상측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wrinkle removal unit, a support bar spaced upward from the transfer rail and installed across the transfer rail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pressurizing plate extending from the support bar and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ferr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일 제1 주름 제거부와 다른 제1 주름 제거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을 평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을 일측 및 다른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제2 주름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wrinkle removal unit and the other first wrinkle removal unit,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so that the fabric being transferred by being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can be spread flat.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rinkle removal unit seated on and pulling the fabric being transported 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주름 제거부는, 상기 이송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일측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제1 롤러; 및 상기 설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다른 일측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wrinkle removal unit, an installation frame spaced upward from the transfer rail and installed across the transfer rail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roll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and pulling one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roll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and pulling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ported in the other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홈을 형성하는 거치 프레임; 상기 하부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밀착 가압부; 상기 밀착 가압부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면서 상기 하부홈에 설치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며,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일측과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원단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밀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oller, the mounting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forming an opening in the lower side and forming a lower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lose press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groove; An inner frame supported by the close pressing part and installed in the lower groove; A driving motor installed under the inner frame; And a contact roller that is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fabric, and pulls the fabric in one direction while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fer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가압부는, 상기 하부홈의 천장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시켜 주며, 상기 가압부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 pressing portion, a first support portion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lower groove; A pressing unit that supports the first support uni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unit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unit so as to buffer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first support unit;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to pressurize the inner fram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each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ide and installed in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을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지 로드;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가 안착되는 로드 안착 프레임; 상기 로드 안착 프레임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 안착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로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상하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평 파티션; 상기 상하 관통홀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하 관통홀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중간 마디; 및 상기 로드 안착 프레임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ing unit includes an upper support plate installed below the first support unit; A support ro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art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plate so as to be rotatable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plate, and the lower part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square tub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upport part in a vertically upright state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inner ceiling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rod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A rod seating frame;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rod sea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them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rod seating frame, and circular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are vertically provided to allow the support rod to pass through. A horizontal partition formed through in the direction; An intermediate node installed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facing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And a frame support installed for each inner wall of the rod mounting frame, and each one side is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로드는,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로드; 하부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하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로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rod, the upper rod is install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plate; A lower ro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rod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so a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 관통홀은, 내주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may have a plurality of rotation guide grooves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마디는, 상기 상하 관통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 유도홈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회전 유도 돌기가 외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유도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mediate node is seated in the rotation guide groove so that it can be rotated as it rises or descends along the vertical through hole, and induces rotation to slide along the rotation guide groove in an oblique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the rotation guide grooves.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합지 등의 후가공의 대상이 되는 원단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로부터 원단을 권출시키면서 후가공장치까지 이송함으로써, 원단 이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unwinding the fabric from the winding roll on which the fabric to be post-processed such as paper is wound and transferring the fabric to the post-process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abric transfe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that is appar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2 주름 제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밀착 가압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abric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nsfer unit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unit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wrinkle removal unit of FIG. 4.
6 is a view showing the first roller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lose pressing unit of FIG. 6.
8 to 10 are views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of FIG. 7.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abric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 장치(10)는, 거치부(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fabric convey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00.

거치부(100)는, 원단(P)이 롤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R)이 거치된다.The mounting portion 100 is mounted with a winding roll R in which the fabric P is wound in a roll form.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 장치(10)는, 전달부(200) 및 이송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bric transfer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unit 200 and a transfer unit 300.

전달부(200)는, 거치부(100)의 전단에 설치되어 거치부(100)로부터 원단(P)을 전달은 뒤 후단에 설치되는 이송부(300)로 전달한다.The delivery unit 20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unit 100 to transmit the fabric P from the mounting unit 100 and then to the transport unit 300 installed at the rear end.

이송부(300)는, 전달부(200)로부터 원단(P)을 전달받으며, 원단(P)의 가공을 위한 가공 장치(C)로 원단(P)을 수평 방향으로 펴서 이송시킨다.The transfer unit 300 receives the fabric P from the delivery unit 200, and transfers the fabric P by spreading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processing device C for processing the fabric P.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 장치(10)는, 합지 등의 후가공의 대상이 되는 원단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로부터 원단을 권출시키면서 후가공장치까지 이송함으로써, 원단 이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abric convey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ransported to a post-processing device while unwinding the fabric from a winding roll in which a fabric subject to post-processing such as lamination is wound. Transf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nsfer unit of FIG.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원단(P)를 후단에 설치되는 가공 장치(C)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송 레일(310) 및 두 개의 제1 주름 제거부(320-1, 320-2)를 포함한다.2 and 3,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direc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C)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abric (P) delivered from the delivery unit 200 As a configuration for transferr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a transfer rail 310 and two first wrinkle removal units 320-1 and 320-2.

이송 레일(310)은, 가공 장치로 원단(P)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주름 제거부(320-1, 320-2)가 상측에 연결 설치된다.The transfer rail 310 is form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abric P can be transferr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processing device, and the first wrinkle removal parts 320-1 and 320-2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제1 주름 제거부(320-1, 320-2)는, 이송 레일(3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원단(P)을 평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원단(P)의 굴곡진 상측을 가압시켜 준다.The first wrinkle removal units 320-1 and 320-2 ar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310 and pressurize the curved upper side of the fabric P so that the fabric P being transferred can be spread flat. .

일 실시예에서, 제1 주름 제거부(320-1, 320-2)는, 지지 바아(32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wrinkle removal portions 320-1 and 320-2 may include a support bar 321 and at least one plate 322.

지지 바아(321)는, 이송 레일(3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이송 레일(310)을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322)가 설치된다.The support bar 321 is spaced upward from the transfer rail 310 and is installed across the transfer rail 3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plate 322 is installed.

가압 플레이트(322)는, 플라스틱, 고무 또는 철재 등의 재질로 제작된 사각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바아(3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이송 레일(310)의 상측을 따라 이송 중인 원단(P)의 상측에 밀착되어 안착된다.The pressure plate 3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rubber, or iron,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upport bar 321 and It adheres and sits on the upper sid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300)는, 가공 장치(C)로 전달되는 원단(P)을 평평하게 펼쳐서 전달시킴으로써, 가공 장치(C)에 의한 합지 또는 기타 가공 공정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spreading the fabric (P) to be delivered to the processing device (C) flatly and conveying, the lamination or other processing process by the processing device (C) is It can be done more precisely.

도 4는 도 1의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unit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300a)는, 이송 레일(310), 두 개의 제1 주름 제거부(320-1, 320-2) 및 제2 주름 제거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a transfer unit 3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transfer rail 310, two first wrinkle removal parts 320-1 and 320-2, and a second wrinkle removal part 330. do.

여기서, 이송 레일(310) 및 두 개의 제1 주름 제거부(320-1, 320-2)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transfer rail 310 and the two first wrinkle removal units 320-1 and 320-2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2,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주름 제거부(330)는, 일 제1 주름 제거부(320-1)와 다른 제1 주름 제거부(320-2)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 레일(3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원단(P)을 평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이송 레일(3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원단(P)을 일측 및 다른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준다.The second wrinkle removal part 33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wrinkle removal part 320-1 and the other first wrinkle removal part 320-2, and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310 and being transferred. The fabric (P)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310 so that the fabric (P) can be spread flatly and pulls the fabric (P) being transferr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300a)는, 제1 주름 제거부(320-1, 320-2) 및 제2 주름 제거부(330)의 복수의 주름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 장치(C)로 전달되는 원단(P)을 보다 평평하게 펼쳐서 전달시킴으로써, 가공 장치(C)에 의한 합지 또는 기타 가공 공정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3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uses a plurality of wrinkle removal devices of the first wrinkle removal parts 320-1 and 320-2 and the second wrinkle removal part 330 By spreading and delivering the fabric P delivered to the processing device C more flatly, lamination or other processing processes by the processing device C may be performed more precisely.

도 5는 도 4의 제2 주름 제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econd wrinkle removal unit of FIG. 4.

도 5를 참조하면, 제2 주름 제거부(330)는, 설치 프레임(331), 제1 롤러(332) 및 제2 롤러(3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wrinkle removal unit 330 includes an installation frame 331, a first roller 332 and a second roller 333.

설치 프레임(331)은, 이송 레일(3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이송 레일(310)을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된다.The installation frame 331 is spaced upward from the transfer rail 310 and is installed across the transfer rail 310 in the width direction.

제1 롤러(332)는, 설치 프레임(331)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 중인 원단(P)의 일측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준다.The first roller 33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331 and pulls one side of the fabric P being transferred in one direction.

제2 롤러(333)는, 설치 프레임(331)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 중인 원단(P)의 다른 일측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준다.The second roller 33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331 and pulls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fabric P in the other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주름 제거부(330)는, 이송 중인 원단(P)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일측 방향 및 다른 일측 방향으로 각각 잡아 당겨 줌으로써, 원단(P)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wrinkle removal unit 33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pull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P being transferr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fabric P is spread flat. can do.

도 6은 도 5의 제1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first roller of FIG. 5.

도 6을 참조하면, 제1 롤러(332)는, 거치 프레임(3321), 밀착 가압부(3322), 이너 프레임(3323), 구동 모터(3324) 및 밀착 롤러(33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roller 332 includes a mounting frame 3321, a close contact pressing unit 3322, an inner frame 3323, a drive motor 3324, and a contact roller 3325.

여기서, 제2 롤러(333)는, 후술하는 제1 롤러(332)와 회전 방향만 반대로 형성되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롤러(332)의 구성요소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인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roller 333 is the same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332 to be described later is reversed, and the components of the first roller 332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In order to avoid tha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거치 프레임(332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설치 프레임(331)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홈(H)을 형성한다.The mounting frame 3321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frame 331, and forms an opening downward and forms a lower groove H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밀착 가압부(3322)는, 하부홈(H)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너 프레임(3323)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시켜 준다.The close pressing portion 332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groove H to press the inner frame 3323 downward.

이너 프레임(3323)은, 밀착 가압부(3322)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면서 하부홈(H)에 설치되어 밀착 가압부(3322)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며, 하부에 구동 모터(3324)가 연결 설치된다.The inner frame 3323 is installed in the lower groove (H) while the upper side is supported by the close pressing part 3322, and the upper side is supported by the close pressing part 3322, and the drive motor 3324 is connected and installed at the bottom. do.

구동 모터(3324)는, 이너 프레임(3323)의 하부에 설치되어 밀착 롤러(3325)를 회전시켜 준다.The drive motor 3324 is installed under the inner frame 3323 to rotate the adhesion roller 3325.

밀착 롤러(3325)는, 원단(P)의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모터(3324)의 구동축에 설치되며, 이송 중인 원단(P)의 일측과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원단(P)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준다.The adhesion roller 3325 is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3324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abric P, and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abric P being conveyed to one side of the fabric P. Pull it in the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밀착 롤러(3325)는, 원단(P)과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3325a)가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on roller 3325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3325a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plastic along the outside so that adhesion with the fabric P may be improv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롤러(332)는, 원단(P)과 밀착된 상태로 원단(P)의 이송 방향과 직각되도록 회전하는 밀착 롤러(3325)를 이용하여 원단(P)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줌으로써, 원단(P)이 보다 평평하게 펴지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roller 332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uses a contact roller 3325 rotating to be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abric P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abric P to one side of the fabric P By pulling it in the direction, the fabric P can be flattened.

도 7은 도 6의 밀착 가압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lose pressing unit of FIG. 6.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 가압부(400)는, 제1 지지부(410), 가압부(420) 및 제2 지지부(4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lose pressing part 4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upporting part 410, a pressing part 420,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430.

제1 지지부(4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홈(H)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하측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압부(420)에 의해 지지된다.The first support part 41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lower groove H, and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pressing parts 420 installed at the lower side.

가압부(420)는 이너 프레임(3323)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제1 지지부(410)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제1 지지부(410)를 지지하며, 제2 지지부(43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A plurality of pressing parts 42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410 to buffer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410 as the inner frame 3323 is raised or lowered. It supports the first support part 410 and is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430.

제2 지지부(430)는, 이너 프레임(33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너 프레임(3323)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시켜 주며, 가압부(420)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된다.The second support part 4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3323 to press the inner frame 3323 downward, and each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42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ide and installed insid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밀착 가압부(400)는, 제1 지지부(410)와 제2 지지부(43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압부(420)에 의해 이너 프레임(3323)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동시에 이너 프레임(33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밀착 롤러(3325)가 보다 안정적으로 원단(P)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하여 밀착 롤러(3325)에 의한 펼침 기능을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In the close contact pressing unit 4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frame 3323 is raised or lowered by a plurality of pressing units 42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unit 410 and the second support unit 430. As a result, it buffers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410 and at the same time elastically supports the inner frame 3323 so that the adhesion roller 3325 more stably adheres to the upper side of the fabric P. The spreading function by the adhesion roller 3325 may improve efficiency.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8 to 10 are views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of FIG. 7.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가압부(420)는, 상부 지지판(421), 지지 로드(422), 로드 안착 프레임(423), 수평 파티션(424), 중간 마디(425) 및 프레임 지지체(426)를 포함한다.8 to 10, the pressing portion 420, the upper support plate 421, the support rod 422, the rod seating frame 423, the horizontal partition 424, the middle node 425 and the frame support ( 426).

상부 지지판(421)은, 제1 지지부(410)의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지지 로드(422)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upper support plate 42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410 by welding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and installed at the lower part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rod 422 is rotatable.

지지 로드(422)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상부 지지판(4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부 지지판(421)을 지지하며, 하부가 제2 지지부(4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로드 안착 프레임(423)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다.The support rod 422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plate 421 so as to be rotatable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plate 421, and the lower part is inside the second support part 430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rod seating frame 423 installed in the space.

일 실시예에서, 지지 로드(422)는, 상부 로드(4221), 하부 로드(4222) 및 로드 연결부(4223)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rod 422 may include an upper rod 4221, a lower rod 4222 and a rod connecting portion 4223.

상부 로드(4221)는, 상부 지지판(4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로드 연결부(4223)가 설치된다.The upper rod 42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plate 421 and the rod connecting portion 4223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하부 로드(4222)는, 하부가 제2 지지부(43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부가 로드 연결부(4223)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수 개의 중간 마디(425)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The lower rod 4222 has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430,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od connecting portion 4223,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nodes 425 are vertically They are installed apart from each other.

로드 연결부(4223)는, 상부 로드(4221)와 하부 로드(4222)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The rod connection part 4223 connects and installs the upper rod 4221 and the lower rod 4222 so a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로드 안착 프레임(423)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제2 지지부(4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지지부(430)의 내측 천장면(431)과 바닥면(432)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지지 로드(422)의 하부가 안착되며, 내측을 따라 다수 개의 수평 파티션(424)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The rod seating frame 42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square tube and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430 in a state that is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ceiling surface 431 and the floor surface 432 of the second support part 430 ),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422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artitions 424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pace.

수평 파티션(424)은, 로드 안착 프레임(423)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로드 안착 프레임(423)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지지 로드(4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간 마디(42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상하 관통홀(424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The horizontal partition 424 is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rod seating frame 423,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artitions 424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rod seating frame 423, but the support rod 422 ), a circular upper and lower through-hole 424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ermediate node 425 is formed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can pass.

일 실시예에서, 상하 관통홀(424a)은, 내주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424b)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424a may have a plurality of rotation guide grooves 424b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중간 마디(425)는, 상하 관통홀(424a)과 대향하는 지지 로드(422)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하 관통홀(424a)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The intermediate nodes 425 are installed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422 facing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424a, and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424a.

일 실시예에서, 중간 마디(425)는, 상하 관통홀(424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유도홈(424b)에 안착되어 회전 유도홈(424b)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회전 유도 돌기(425a)가 외측면을 따라 회전 유도홈(424b)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ddle node 425 is seated in the rotation guide groove 424b so that it can be rotated as it rises or fal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through hole 424a and is inclined along the rotation guide groove 424b. A plurality of rotation induction protrusions 425a for sliding in the direction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the rotation induction grooves 424b.

프레임 지지체(426)는, 로드 안착 프레임(423)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426-1, 426-2, 426-3, 426-4), 각각의 일측이 지지 로드(422)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로드(422)의 하부를 지지한다.The frame support 426 is installed for each wall inside the rod seating frame 423 (426-1, 426-2, 426-3, 426-4), and one side of each is under the support rod 422 It is fasten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422 using an elastic forc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압부(4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제1 지지부(410)의 하측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제1 지지부(410)가 일측 또는 타측, 전단 또는 후단 방향 등과 같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제1 지지부(41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이 이너 프레임(3323)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동시에 이너 프레임(33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밀착 롤러(3325)가 보다 안정적으로 원단(P)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하여 밀착 롤러(3325)에 의한 펼침 기능을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The pressing unit 42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while individually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unit 410 as shown in FIG. 7, and the first support unit 410 is one side or The first support part 410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it is inclined in any direction such as the other side,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direction, and each of the first support parts 410 as the inner frame 3323 is raised or lowered. ), while buffering vibration or impact transmitted from),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ner frame 3323 so that the adhesion roller 3325 more stably adheres to the upper side of the fabric P. The unfold func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0: 원단 이송 장치
100: 거치부
200: 전달부
300: 이송부
400: 밀착 가압부
10: Fabric conveying device
100: mounting portion
200: transmission unit
300: transfer unit
400: close pressing part

Claims (2)

원단이 롤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받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받으며, 상기 원단의 가공을 위한 가공 장치로 상기 원단을 수평 방향으로 펴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공 장치로 상기 원단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송 레일; 및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을 평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원단의 굴곡진 상측을 가압시켜 주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주름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주름 제거부는,
상기 이송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을 따라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상측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일 제1 주름 제거부와 다른 제1 주름 제거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을 평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을 일측 및 다른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제2 주름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주름 제거부는,
상기 이송 레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일측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제1 롤러; 및
상기 설치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다른 일측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홈을 형성하는 거치 프레임;
상기 하부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밀착 가압부;
상기 밀착 가압부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면서 상기 하부홈에 설치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며, 이송 중인 상기 원단의 일측과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원단을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밀착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가압부는,
상기 하부홈의 천장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시켜 주며, 상기 가압부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을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지 로드;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측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가 안착되는 로드 안착 프레임;
상기 로드 안착 프레임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 안착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로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상하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평 파티션;
상기 상하 관통홀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하 관통홀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중간 마디; 및
상기 로드 안착 프레임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로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로드는,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로드;
하부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하부 로드; 및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로드 연결부;를 포함하는, 원단 이송 장치.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winding roll in which the fabric is wound in a roll shape is mounted;
A delivery part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mounting part to receive the fabric from the mounting part; And
Includes; a transfer unit receiving the fabric from the transfer unit, and for transferring the fabric by spreading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the fabric,
The transfer unit,
A transfer rail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transfer the fabric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processing device; And
At least two first wrinkle removal unit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to pressurize the curved upper side of the fabric so that the fabric being transferred can be spread flatly; and
The first wrinkle removal unit,
A support bar spaced upward from the transfer rail and installed across the transfer rail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pressurizing plate extending from the support bar and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ferr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and
The transfer uni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wrinkle removal part and the other first wrinkle removal part,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rail so that the fabric being transferred can be spread flatly on one side of the transfer rail. And a second wrinkle removal unit pulling in the other direction; further includes,
The second wrinkle removal unit,
An installation frame spaced upward from the transfer rail and installed across the transfer rail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roll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and pulling one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And
Includes; a second roller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and pulls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por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first roller,
A mounting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forming an opening downward and forming a lower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close press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groove;
An inner frame supported by the close pressing part and installed in the lower groove;
A driving motor installed under the inner frame; And
It is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fabric,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abric being transported while rotating while pulling the fabric in one direction; includes, and,
The close pressing part,
A first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lower groove;
A pressing unit that supports the first support uni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unit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unit so as to buffer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first support unit; And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to pressurize the inner fram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each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side and installed inside,
The pressing part,
An upper support plate installed below the first support part;
A support ro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art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plate so as to be rotatable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plate, and the lower part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square tub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upport part in a vertically upright state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inner ceiling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rod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A rod seating frame;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rod sea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them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rod seating frame. A horizontal partition formed through in the direction;
An intermediate node installed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facing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And
Includes; a frame support installed for each inner wall of the rod mounting frame, and each one side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using an elastic force, and including,
The support rod,
An upper rod connected to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under the upper support plate;
A lower rod having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Containing, a fabric conveying device; a rod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so a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KR1020210007793A 2021-01-20 2021-01-20 Fabric conveying device KR102230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93A KR102230811B1 (en) 2021-01-20 2021-01-20 Fabric convey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93A KR102230811B1 (en) 2021-01-20 2021-01-20 Fabric convey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11B1 true KR102230811B1 (en) 2021-03-22

Family

ID=7522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793A KR102230811B1 (en) 2021-01-20 2021-01-20 Fabric convey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1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12A (en) * 1994-12-28 1996-07-18 김중권 Roll Fabric Base Hunting Control Device
KR200199535Y1 (en) 2000-04-07 2000-10-02 오상기 A fabrics automatic carrier
KR200354059Y1 (en) 2004-03-30 2004-06-23 화인기계전자(주) A device for moving texture-roll
KR100953758B1 (en) * 2010-02-26 2010-04-19 (주) 한독 Slitter rewinder
KR102112453B1 (en) * 2019-08-28 2020-05-18 배은숙 Automatic supply apparatus of anti-mark vinyl for fabric winding
KR102120154B1 (en) * 2019-03-11 2020-06-08 김규철 membrane feed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12A (en) * 1994-12-28 1996-07-18 김중권 Roll Fabric Base Hunting Control Device
KR200199535Y1 (en) 2000-04-07 2000-10-02 오상기 A fabrics automatic carrier
KR200354059Y1 (en) 2004-03-30 2004-06-23 화인기계전자(주) A device for moving texture-roll
KR100953758B1 (en) * 2010-02-26 2010-04-19 (주) 한독 Slitter rewinder
KR102120154B1 (en) * 2019-03-11 2020-06-08 김규철 membrane feeder
KR102112453B1 (en) * 2019-08-28 2020-05-18 배은숙 Automatic supply apparatus of anti-mark vinyl for fabric wi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8933B2 (en) Flat laundry supply equipment
CN205906247U (en) Use parcel equipment that has a modified retaining means of tensile membrane
KR102230811B1 (en) Fabric conveying device
CN1081372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film
CN210652275U (en) Package film printing system
KR102044696B1 (en) Sewing machine
CN108749130A (en) A kind of conveying equipment of cardboard printing for carton
CN107472879A (en) A kind of retraction plate machine conveying section apparatus
JP3949798B2 (en) Nori sheet feeder
CN210236321U (en) Multi-sheet object timed batch transfer conveyor
CN112223900A (en) Multifunctional printing device
KR101443225B1 (en) A meat transport carrier
CN109051870B (en) Rapid continuous production system for glass fiber felt
ITTO20080411A1 (en) UNLOCKED FLOW CONTROL UNIT FOR AN ENTRY DEVICE FOR A BENDING-GLUING MACHINE
CN209972872U (en) Finished product conveying mechanism of packaging machinery
CN206013130U (en) A kind of packer paper feeding sheet devices
KR102223377B1 (en) Labeling machine
CN217803632U (en) Film feeding mechanism of easy-tearing opening forming device of automatic vertical filling packaging machine
KR200479781Y1 (en) Lining Paper Manufacturing Device
CN105438877B (en) A kind of Full-automatic tension controls unwinding device
CN210479190U (en) Paper box packaging conveying roller device
KR102333423B1 (en) Composite fabric manufacturing system
KR101320400B1 (en) Forward-full system of paste spreader for wallpaper
JP2014091587A (en) Conveying device provided with transfer device
US11560281B2 (en) Device for receiving and holding a surface element roll, in particular a deep-drawing film roll and packaging machine for packing packaging goods in surface element pack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