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221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21B1
KR102230221B1 KR1020200136157A KR20200136157A KR102230221B1 KR 102230221 B1 KR102230221 B1 KR 102230221B1 KR 1020200136157 A KR1020200136157 A KR 1020200136157A KR 20200136157 A KR20200136157 A KR 20200136157A KR 102230221 B1 KR102230221 B1 KR 102230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crack
concrete structure
plate body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성
정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to KR102020013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vibrating st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3 이상의 홀수 개의 투명판체; 상기 홀수 개의 투명판체를 판 형상으로 이어서 배치한 상태에서 이웃한 투명판체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조; 상기 연결된 홀수 개의 투명판체 중 중앙의 투명판체의 중앙에 표시되는 균열정치부; 및 상기 중앙의 투명판체를 제외한 나머지 투명판체들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설치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의 투명판체의 균열정치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정치시킨 상태에서 그 양측의 상기 투명판체의 설치공에 초음파측정장치의 발진자와 수진자를 대칭되게 설치하여 균열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인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의 투명판체를 중심으로 이웃한 투명판체가 회전하여 평면인 콘크리트 구조물 뿐만 아니라 곡면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밀착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깊이를 용이하게 측정하도록 안내할 수 있고,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생산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Crack measuring aids in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투명판체를 절첩 가능하게 결합하여,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도 균열 깊이를 용이하게 측정하고, 동시에 휴대가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되는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이나 내구성의 저하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그 폭, 길이, 깊이 등을 정량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사고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균열의 폭이나 길이는 육안이나 스케일 등으로 비교적 쉽게 측정이 가능하나, 균열의 깊이는 균열 부위를 잘라내어 확인하거나 또는 균열 부위를 코어 보링하여 확인하거나 비파괴 검사 방법의 하나인 초음파 탐사법을 이용하게 된다.
초음파 탐사법의 경우, 발진자, 수진자, 케이블, 측정기 본체 등을 포함하는 장치를 통상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발진자는 측정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펄스 신호에 의해 여기되어 소정 레벨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수진자는 콘트리트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그 초음파 강도에 비례하는 고주파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발진자와 수진자는 각각 전기진동과 기계진동 간의 가역 변환을 수행하도록 진동자를 내부에 구비하며, 균열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대칭되게 배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 초음파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은 발진자 및 수진자와 측정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고, 측정기 본체는 콘트리트 균열 깊이 측정을 위한 소정 펄스 신호를 발진자로 인가한 후, 발진자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 수진자가 고주파 전압을 생성하기 까지의 시간을 분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한 초음파 신호의 전달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균열의 깊이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균열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조사자는 측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표면에 균열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에 발진자와 수진자를 위치시킨 후, 측정기 본체를 조작하여 펄스 신호를 발진자로 인가하고, 발진자는 인가된 펄스 신호에 따라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여 콘트리트 표면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수진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측정기 본체로 인가하게 된다. 이후 측정기 본체는 발진자로부터 수진자로의 초음파 신호 도달시간을 구하고, 그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콘트리트 균열 깊이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많은 위치의 균열을 측정할 때마다 발진자와 수진자를 콘크리트 표면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하는데, 그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6544호, '초음파 콘크리트 크랙 깊이 측정 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콘크리트 크랙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송신 탐촉자와 수신 탐촉자로 구성된 초음파 측정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가이드판을 포함한 초음파 콘크리트 크랙 깊이 측정 장치로서, 콘크리트 크랙을 바라 볼 수 있고, 콘크리트 크랙에 접하게 눈금(12)이 놓이도록 상기 눈금(12)이 중앙에 위치하는 투명창(10); 상기 투명창(10)에 일측과 타측으로 초음파 측정 장치(40)가 일렬로 정렬되어 놓이도록 보조하는 개구부(20); 및 상기 투명창(10)과 상기 개구부(20)가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가이드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측정 장치(40)는 콘크리트 크랙을 중심으로 송신 탐촉자와 수신 탐촉자를 등 간격으로 배치하여 송신 탐촉자로부터 발신된 초음파가 균열 부분을 경유해서 수신 탐촉자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인 Tc와 콘크리트 크랙이 없는 부분을 대상으로 송신 및 수신 탐촉자까지 초음파가 전파하는 시간 To를 구하여 균열 부분의 깊이를 구하는 방식인 Tc-To법과, 송신 탐촉자를 상기 콘크리트 크랙의 일측에 2개, 수신 탐촉자를 상기 콘크리트 크랙의 타측에 2개 배치하여 상기 콘크리트 크랙을 기준으로 안쪽에 위치한 송신 탐촉자와 수신 탐촉자에 의한 초음파 도달 거리와 시간, 상기 콘크리트 크랙을 기준으로 바깥쪽에 위치한 송신 탐촉자와 수신 탐촉자에 의한 초음파 도달 거리와 시간을 이용하여 균열 부분의 깊이를 구하는 방식인 BS법을 사용하며, 상기 가이드판(30)은 상기 개구부(2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20)를 포함하는 가이드판(30)이 슬라이드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판(30)에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BS법이 적용될 때는 상기 가이드판(30)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20)가 4개가 되고, 상기 Tc-To법이 적용될 때 양 끝단의 상기 가이드판(30)이 슬라이드 분리되어 상기 개구부(20)가 2개가 되고, 상기 투명창(10) 재질은 투명 플라스틱이 사용되거나, 아크릴이 적용되고, 상기 가이드판(30)은 콘크리트 표면이 평면 또는 곡면을 따라 접착되거나 구부러지고, 평면이면 콘크리트 크랙 주위에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어 고정되고, 곡면이면 곡면을 따라 구부러져 콘크리트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판(30)과 상기 투명창(10)은 곡면을 따라 구부러져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도록 링크(5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50)는 가이드판(30)이 일자로 나뉜 판넬을 이어 붙여 곡면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판(30)과 상기 투명창(10)이 만나는 부위는 결합 고정되고, 다수의 판넬을 형성하는 초음파 콘크리트 크랙 깊이 측정장치.(청구항 1 참조)"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송신 탐촉자와 수신 탐촉자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교각과 같은 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깊이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균열의 측정은 수많은 다양한 현장을 방문하면서 측정하여야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보관과 이동에 많은 불편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63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판체들을 절첩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의 투명판체에는 균열정치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투명판체들에는 발진자와 수진자의 설치공을 형성함으로써,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인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균열 깊이를 신속,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투명판체들이 완전히 절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많은 현장으로의 이동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결구조인 힌지(12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투명판체들이 완벽한 절첩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결구조인 힌지(120)를 새로운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완벽한 절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에 완벽히 밀착되고, 동시에 파손시 신속히 교체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3 이상의 홀수 개의 투명판체; 상기 홀수 개의 투명판체를 판 형상으로 이어서 배치한 상태에서 이웃한 투명판체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조; 상기 연결된 홀수 개의 투명판체 중 중앙의 투명판체의 중앙에 표시되는 균열정치부; 및 상기 중앙의 투명판체를 제외한 나머지 투명판체들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설치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의 투명판체의 균열정치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정치시킨 상태에서 그 양측의 상기 투명판체의 설치공에 초음파 측정장치의 발진자와 수진자를 대칭되게 설치하여 균열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균열정치부와 상기 설치공들의 중앙을 지나는 종선과 상기 균열정치부를 지나면서 상기 종선에 직각되는 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는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120)이고, 상기 힌지(120)는 그 중심축이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의 측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는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는,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부와, 상기 한 쌍의 끼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이고, 상기 결합구는 한 쌍의 끼움부가 상기 삽입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결합구의 연결부는 중앙부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는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는,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부와, 상기 한 쌍의 끼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이고, 상기 결합구는 한 쌍의 끼움부가 상기 삽입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결합구의 연결부는 내측으로 U자 형상 또는 호 형상으로 만곡된 회전구를 포함하여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는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끼움부의 단부는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접면쪽으로 연장된 걸림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판체들을 절첩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앙의 투명판체에는 균열정치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투명판체들에는 발진자와 수진자의 설치공을 형성함으로써,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인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균열 깊이를 신속,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투명판체들이 완전히 절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많은 현장으로의 이동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하다.
또한, 연결구조인 힌지(12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투명판체들이 완벽한 절첩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구조인 힌지(120)를 새로운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완벽한 절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에 완벽히 밀착되고, 동시에 파손시 신속히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접혀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인 연결구조와 투명판체의 정면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인 연결구조와 투명판체의 배면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연결구조의 다른 예의 정면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연결구조의 또 다른 예의 정면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연결구조의 또 다른 예의 정면 분리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접혀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펼쳐진 상태의 명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 밀착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균열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명판체(110), 연결구조, 균열정치부(130), 설치공(14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판체(110)는 투명한 재질의 사각 형상의 판체일 수 있다. 투명판체(110)의 투명 재질은 배면의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태, 형상, 균열의 상태, 크기, 방향 등을 잘 살필 수 있어, 측정하고자 하는 균열 부위에 올바른 방향으로 잘 정치할 수 있게 한다. 투명판체(110)는 3 이상의 홀수 개 즉, 3개, 5개, 7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홀수 개 중 중앙의 투명판체(110)를 균열 위치에 정치시키고,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투명판체(110)들의 설치공(140)에 발진자와 수진자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홀수 개의 투명판체(110)를 판 형상으로 이어서 배치한 상태에서 이웃한 투명판체(110)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는 이웃한 투명판체(110)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2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힌지(120)는 이웃한 투명판체(110)가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힌지(120)는 절첩되는 투명판체(110)들의 정면쪽과 배면쪽에 지그재그로 설치됨으로써, 힌지(120)가 설치된 쪽으로는 180도 회전하여 병풍식으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힌지(120)가 설치된 반대쪽으로 곡면의 콘크리트 구조물(10)이 접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웃한 투명판체(110)의 접면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소하게 이격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절취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투명판체(110)들이 병풍처름 접혀지게 하기 위해 힌지(120)는 정면쪽과 배면쪽에 번갈아 설치되고, 힌지(120)의 중심축은 이웃한 이웃한 투명판체(110)의 측면(정면 또는 배면)과 동일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힌지(120)가 위치한 반대쪽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곡면이 접하는 경우에 일부 회전하기 위해(도 16 참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소하게 이격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절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힌지(120)는 이웃한 투명판체(110)가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투명판체(110)들이 완전히 절첩되어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고, 또한, 곡면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도 정확하게 균열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이웃한 투명판체(110)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조의 다른 예는 결합구(120')일 수 있다. 결합구(120')는 이웃한 투명판체(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구(121)에 결합되어 이웃한 투명판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구(120')는 상기 한 쌍의 삽입구(121)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부(122)와, 한 쌍의 끼움부(122)를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삽입구(121)는 이웃한 투명판체(110) 각각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삽입구(121)는 투명판체(110)의 단부쪽으로 양 외측면쪽(정면과 배면)이 절취될 수 있다. 이 절취된 부분은 상기 연결부(123)가 위치하거나 끼움부(122)의 단부의 걸림구(122')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구(120')는 투명판체(110)의 정면이나 배면의 어느쪽으로도 돌출되지 아니함으로써, 투명판체(110)들이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다.
결합구(120')의 끼움부(122)는 이웃한 투명판체(110) 각각에 형성된 삽입구(12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122)의 단부에는 투명판체 접면쪽으로 연장되어 걸리는 걸림구(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구(122')는 끼움부(12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한 쌍의 끼움부(12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중앙부가 얇게 형성되거나(도 9 참조), 내측으로 U자 형상 또는 호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회전구(123')(도 11, 1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한 투명판체(110)에는 상기 회전구(123')를 수용하도록 수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홀수 개의 투명판체(110) 중 중앙의 투명판체(110)의 중앙에는 균열정치부(130)가 표시될 수 있다. 균열정치부(130)는 점이나,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 균열부위에 정확하게 안치되게 할 수 있다. 홀수 개의 투명판체(110) 중 중앙의 투명판체(110)를 제외한 나머지 이웃한 투명판체(110)에는 설치공(14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판체(110)에는 균열정치부(130)와 설치공(140)들의 중앙을 지나는 종선과 균열정치부(130)를 지나면서 종선에 직각되는 횡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선과 횡선은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종선과 횡선은 측정하고자 하는 균열에 정확하게 투명판체(110)들을 설치하게 함으로써, 균열의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의 제작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종선과 횡선이 형성된 투명판체(110)들을 준비할 수 있다. 투명판체(110)들은 균열정치부(130)가 형성된 중앙의 투명판체(110)와 중앙의 투명판체(110) 양측으로 설치공(140)이 관통된 이웃한 투명판체(110)들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판체(110)들은 접히는 방향으로 힌지(120)가 설치되도록 설치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에 힌지(120)를 설치하고, 별도의 고정부재로 고정하거나, 부착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를 형성함으로써, 투명판체(110)들은 지그재그로 즉, 병풍처름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는 접어서 이동하거나 보관하고, 균열 측정은 펼쳐서 시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투명판체(110)들이 연이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판체(110)가 접히는 방향에서 결합구(12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120')는 연결부(123)로 연결된 한 쌍의 끼움부(122)가 삽입구(121)에 결합되면서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122)에서 연장된 걸림구(122')가 삽입구(121)를 통과하여 투명판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를 형성하고, 상기 균열 측정 보조장치(100)는 지그재그로 즉, 병풍처름 접을 수 있다.
상기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균열부위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균열측정 보조장치(100)의 접혀진 투명판체(110)를 펼친다. 이때, 상기 투명판체(110)는 연결구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밀착되는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는 중앙의 투명판체(110)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균열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의 투명판체(110)에 표시된 균열정치부(130)가 균열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밀착되는 균열측정 보조장치(100)의 투명판체(110) 즉, 양측의 가장자리의 투명판체(110)에 보호비닐로 감싸진 스티커와 같은 접착부재가 부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고, 또한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밀착된 투명판체(110) 즉, 중앙의 투명판체(110)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투명판체(110)의 설치공(140)에는 초음파측정장치(20)의 발진자(21)와 수진자(22)를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진자(21)와 수진자(22)는 필요에 따라 중앙의 투명판체(110) 양측으로 배치된 각각의 투명판체의 설치공 마다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발진자(21)와 수진자(22)가 설치공(1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측정장치(20)의 전원을 ON으로 하면, 초음파측정장치(20)의 발진자(21)에서 초음파가 발진되어 수진자(22)에 이르고, 수진자에 이르는 측정값을 측정기 본체에서 연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깊이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투명판체(110)에는 종선과 횡선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균열측정 보조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균열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의 투명판체(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웃하는 투명판체(110)는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조에 의해 중앙의 투명판체(110)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투명판체(110)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곡면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곡면의 콘크리트 구조물(10) 균열 깊이를 측정하고, 균열 깊이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조에 의해 회전하는 투명판체(110)의 대응하는 측면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삭되어 투명판체의 회전에는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균열측정 보조장치
110: 투명판체
120: 힌지
120': 결합구
121: 삽입구
122: 끼움부
123: 연결부
130: 균열정치부
140: 설치공
10: 콘크리트 구조물
20: 초음파측정장치
21: 발진자
22: 수진자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3 이상의 홀수 개의 투명판체;
    상기 홀수 개의 투명판체를 판 형상으로 이어서 배치한 상태에서 이웃한 투명판체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조;
    상기 연결된 홀수 개의 투명판체 중 중앙의 투명판체의 중앙에 표시되는 균열정치부; 및
    상기 중앙의 투명판체를 제외한 나머지 투명판체들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설치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의 투명판체의 균열정치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정치시킨 상태에서 그 양측의 상기 투명판체의 설치공에 초음파측정장치의 발진자와 수진자를 대칭되게 설치하여 균열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인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측정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구조는,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부와, 상기 한 쌍의 끼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이고, 상기 결합구는 한 쌍의 끼움부가 상기 삽입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결합구의 연결부는 내측으로 U자 형상 또는 호 형상으로 만곡된 회전구를 포함하여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는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열정치부와 상기 설치공들의 중앙을 지나는 종선과 상기 균열정치부를 지나면서 상기 종선에 직각되는 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부의 단부는 상기 이웃한 투명판체 접면쪽으로 연장된 걸림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KR1020200136157A 2020-10-20 2020-10-20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KR10223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157A KR102230221B1 (ko) 2020-10-20 2020-10-20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157A KR102230221B1 (ko) 2020-10-20 2020-10-20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221B1 true KR102230221B1 (ko) 2021-03-19

Family

ID=7526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157A KR102230221B1 (ko) 2020-10-20 2020-10-20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9405A (zh) * 2022-01-04 2022-05-10 合肥海博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桥梁工程的裂缝测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989A (ja) * 2004-07-21 2006-02-02 Hitoshi Nishitani 隠し丁番
KR101876544B1 (ko) * 2017-12-28 2018-07-09 (주)평화엔지니어링 초음파 콘크리트 크랙 깊이 측정 장치
KR102046375B1 (ko) 2019-05-30 2019-11-19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보조기구
KR102083255B1 (ko) * 2019-09-02 2020-03-02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균열 측정 게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989A (ja) * 2004-07-21 2006-02-02 Hitoshi Nishitani 隠し丁番
KR101876544B1 (ko) * 2017-12-28 2018-07-09 (주)평화엔지니어링 초음파 콘크리트 크랙 깊이 측정 장치
KR102046375B1 (ko) 2019-05-30 2019-11-19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보조기구
KR102083255B1 (ko) * 2019-09-02 2020-03-02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균열 측정 게이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9405A (zh) * 2022-01-04 2022-05-10 合肥海博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桥梁工程的裂缝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5062B (zh) 具有可变顶角的双超声探针
US100311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pattern estimation
US7586083B2 (en) Laser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ransmission shaft torque
KR1022302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측정 보조장치
JP2017127430A (ja)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装置
JP6026227B2 (ja) 超音波水位計測装置および超音波水位計測方法
JP2006518451A (ja) 坑井検層システム用音波アイソレータ
KR20080111629A (ko) 휴대용 초음파 콘크리트 크랙 깊이 측정 장치
JP5846367B2 (ja) Tofd法を用いた溶接部の探傷方法および探傷装置
KR102145429B1 (ko) 보일러 튜브의 감육 검사장치
KR100454361B1 (ko) 콘크리트 균열 깊이 측정용 간이 초음파 장치
ES2274974T3 (es) Metodo de ensayo no destructivo por ultrasonido para la deteccion de defectos.
US9335303B2 (en) Ultrasonic scanning fixture assembly
Havránek et al. Free-field calibration of MEMS microphone array used for acoustic holography
US7688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operties of tubular cavity
JP200111673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内部診断方法
US6984976B1 (e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resistivity of a resistive layer
JP2010014679A (ja) レール探傷検査用治具及びレール探傷検査システム
KR200287613Y1 (ko) 콘크리트 균열 깊이 측정용 간이 초음파 장치
CN105527018B (zh) 一种可调超声波接收装置
JP6478637B2 (ja) 超音波探触子
CN210775348U (zh) 相控阵检测校准用试块
CN220356990U (zh) 基于超声波的液体浓度测量装置
CN216434005U (zh) 一种套筒灌浆密实度检测系统
CN111538107B (zh) 用于测试光缆在不同方向上灵敏度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