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218B1 - 도어용 경첩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18B1
KR102230218B1 KR1020180152080A KR20180152080A KR102230218B1 KR 102230218 B1 KR102230218 B1 KR 102230218B1 KR 1020180152080 A KR1020180152080 A KR 1020180152080A KR 20180152080 A KR20180152080 A KR 20180152080A KR 102230218 B1 KR102230218 B1 KR 10223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ear unit
pad
doub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527A (ko
Inventor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오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민 filed Critical 오세민
Priority to KR1020180152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2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05F1/0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1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gular arrangement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는 경첩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일단에 고정되며 제1 기어부를 갖는 이동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부에 마주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제2 기어부를 갖는 각도조절기어부와, 상기 중심축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각도조절기어부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 축 부재, 상기 기어 축 부재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양면에 결합 면이 마련된 양면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복수의 본체유닛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양면결합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패드, 및 상기 양면결합부재의 타면에 밀착되어 상기 패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용 경첩 조립체{HINGE ASSEMBLY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어는 건축물 내, 외부로의 출입이나 건축물 내의 격리된 공간 사이로의 이동 및 구획된 공간, 예를 들면 방이나 화장실 등의 출입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도어는 개폐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눠지는데,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도어는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 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경우, 도어용 경첩은 단순히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해주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용 경첩은 도어와 도어 틀 사이에 정해진 면을 통해 설치되었는데, 이 때문에 종래의 도어용 경첩은 제작 시부터 도어와 도어 틀에 결합되는 결합 부위가 정해졌기에 도어의 형태 및 도어의 설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도어용 경첩의 전, 후면을 편의에 따라 사용자가 변경하여 도어에 다양하게 조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도어 열림 각도를 조절하거나 도어 자동 닫힘 조절 기능까지 가질 수 있으며, 도어의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까지 흡수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147호(2006.09.28. 공고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자동 고정/닫힘 기능의 도어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용 경첩의 정면커버 및 패드의 결합 위치를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도어에 이용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며 조립 후에는 전체적으로 매끈한 일체형 미감을 보여주며, 부품 손상 시 손쉽게 유지 보수 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본체 유닛을 기어 축 부재의 좌, 우측에 조립하여 편의에 따라 본체 유닛을 좌, 우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 축 부재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본체 유닛의 결합 후 분리하지 않아도 되며, 결합 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도어의 사용 중 도어가 흔들리는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기어부와, 각도조절기어부 사이에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 면이 형성되어 서로 간의 하중이 복수의 위치로 분산될 수 있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는, 경첩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축(110)과, 상기 중심축(110)의 일단에 고정되며 제1 기어부(125)를 갖는 이동기어부(120)와, 상기 중심축(110)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부(125)에 마주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제2 기어부(133)를 갖는 각도조절기어부(130)와, 상기 중심축(110)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각도조절기어부(130)와 결합되는 고정기어부(140)를 포함하는 기어 축 부재(100); 상기 기어 축 부재(100)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양면에 결합 면이 마련된 양면결합부재(310)를 구비하는 복수의 본체유닛(300)을 포함하는 본체(200);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일면에 결합되는 패드(400); 및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타면에 밀착되어 상기 패드(4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면결합부재(310)는 양면을 통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결합 면이 마련되고, 상기 패드(400)와 상기 커버(500)는 서로의 결합 방향이 변경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유닛(300)은,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축 부재(1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322)이 마련된 관형 돌출부(321)를 구비하는 제1 연결몸체(320); 및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관형 돌출부(321)에 대응하는 호형 홈부(331)를 구비하는 제2 연결몸체(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드(400)는,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일면에 결합되어, 도어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벽면을 통해 밀착하여 설치되도록 평탄한 외장 면을 제공하는 패드몸체(410); 상기 패드몸체(410)의 일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커버(500)와 연결되는 부위까지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연결부(420); 및 상기 패드몸체(4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와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430)는 상기 곡면연결부(430)에 근접하는 부위에서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커버(500)와 결합 시 상기 커버(500)와 맞닿는 접촉면(435)을 제공하는 돌출단부(431)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몸체(410)의 외장 면은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와 결합되는 결합 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본체유닛(300) 각각에 패드(400)가 결합 시 상기 기어 축 부재(100)를 향할수록 상기 패드(400)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몸체(410)의 내측에는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에 마련된 체결홀(311)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홀(411)이 구비되고, 상기 곡면연결부(420)에는 상기 커버(500)에 구비된 후크가 착탈 결합되기 위한 후크연결홀(4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몸체(410)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복수의 홈(413)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충격 흡수 홈(413)이 배치되지 않은 상기 패드몸체(410)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415)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415)는 상기 패드몸체(410)가 설치 면에 체결될 때 설치 면에 압착되어 도어의 사용 시 경첩 조립체(1000)의 슬립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몸체(410)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탄성 재질의 코팅부(410a)가 형성되고, 상기 코팅부(410a)의 표면에는 마찰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빗살무늬, 격자 무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기어부(120)는, 상기 중심축(1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중공(122)이 구비된 제1 기어몸체(121); 및 상기 제1 기어몸체(121)에 비해 외경이 확장되며, 외주 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24)를 구비하는 확관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부(125)는, 상기 확관부(123)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기어부(12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외측슬라이딩면(1251a)을 제공하는 제1 외측기어유닛(1251); 및 상기 제1 외측기어유닛(1251)보다 상기 제1 기어부(125)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외측슬라이딩면(1251a)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1 내측슬라이딩면(1252a)을 제공하는 제1 내측기어유닛(1252);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기어부(130)는, 상기 확관부(12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제2 기어부(133)가 구비되고,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요철이 구비된 제1 치형결합부(135)가 구비되는 제2 기어몸체(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부(133)는, 상기 제2 기어부(133)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외측슬라이딩면(1251a)과 접촉 가능한 제2 외측슬라이딩면(1331a)을 제공하는 제2 외측기어유닛(1331); 및 상기 제2 외측기어유닛(1331)보다 상기 제2 기어부(133)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측슬라이딩면(1252a)과 접촉 가능한 제2 내측슬라이딩면(1252a)을 제공하는 제2 내측기어유닛(133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기어부(140)는 상기 중심축(110)의 타단이 삽입되는 중공(142)이 구비된 제3 기어몸체(141); 및 상기 제3 기어몸체(141)에 비해 외경이 확장되며, 외주 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44)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치형결합부(135)와 맞물려 결합되는 제2 치형결합부(14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몸체(121) 및 상기 제3 기어몸체(141)의 외주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1, 2 직선돌기(129, 149)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111)의 타단에는 중심축(111)의 타단과 고정기어부(140) 간의 결합 후에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해주는 분리 방지용 돌기(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용 경첩의 커버(즉, 전면커버) 및 패드(즉, 후면패드)의 결합 위치를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도어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용 경첩의 본체 전, 후로 결합되는 정면커버와 패드가 본체를 관통하여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매끈하고 고급스러운 외관 미감을 보여주며, 부품 별로 일부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될 경우 해당 부품만을 손쉽게 교체 조립할 수 있어 유지 보수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용 경첩의 중심에 배치되는 기어 축 부재를 통해 복수의 본체 유닛을 상, 하로 결합시켜 본체를 구성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본체 유닛을 성형 제작한 후 사용자에 의해 좌, 우측에 간편하게 조립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사용자 이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 축 부재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본체 유닛을 결합 후 분리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기어 축 부재와 본체 간의 결합 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도어의 사용 중 도어가 축을 기준으로 흔들리는 불량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 수명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 축 부재를 구성하는 이동기어부와, 각도조절기어부 사이에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 면이 형성되어 서로 간의 하중이 복수의 위치로 분산될 수 있다. 이로써, 일부 위치에서 하중이 집중되어 부품이 손상 또는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슬라이딩 접촉 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의 슬라이딩 접촉 면을 통해 도어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어 갑작스런 도어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조절기어부가 중심축을 통해 하단의 고정기어부와 원주방향 요철 형상을 통해 치합되어 고정기어부에 결합된 본체 유닛을 분리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각도조절기어부와 고정기어부가 서로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하로만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각도 조절 시 하단의 본체 유닛을 분리시키지 않을 수 있어 내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의 분리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패드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의 패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의 패드의 후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기어 축 부재가 분리된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기어 축 부재가 분리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기어 축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의 분리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들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패드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구성도이고, 도 5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의 패드의 후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1000)는 기어 축 부재(100), 본체(200), 패드(400), 및 커버(500)를 포함하다.
기어 축 부재(100)는 중심축(110), 이동기어부(120), 각도조절기어부(130), 및 고정기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중심축(110)은 경첩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된다. 중심축(11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심축(110)의 하단에는 고정기어부(140)와 결합된 후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용 돌기(113, 도 7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기어부(120)는 중심축(110)의 일단에 고정되며 제1 기어부(125)를 구비한다. 각도조절기어부(130)는 중심축(110)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부(125)에 마주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제2 기어부(133)를 구비한다. 고정기어부(140)는 중심축(110)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각도조절기어부(130)와 결합된다.
본체(200)는 기어 축 부재(100)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양면에 결합 면이 마련된 양면결합부재(310)를 구비하는 복수의 본체유닛(300)을 포함한다.
양면결합부재(310)는 양면을 통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결합 면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패드(400)와 커버(500)는 서로의 결합 방향이 변경 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복수의 본체유닛(300)은 좌 경첩 또는 우 경첩으로 겸용 사용할 수 있다.
본체유닛(300)은 양면결합부재(310), 제1 연결몸체(320), 및 제2 연결몸체(33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몸체(320)는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축 부재(1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322)이 마련된 관형 돌출부(3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연결몸체(330)는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관형 돌출부(321)에 대응하는 호형 홈부(331)를 구비한다.
패드(400)는 양면결합부재(3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커버(500)는 양면결합부재(310)의 타면에 밀착되어 상기 패드(400)와 착탈 가능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패드(400)는, 패드몸체(410), 곡면연결부(420), 및 측면(430)을 포함한다.
패드몸체(410)는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의 일면에 결합되어, 도어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벽면을 통해 밀착하여 설치되도록 평탄한 외장 면을 제공한다.
곡면연결부(420)는 상기 패드몸체(410)의 일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커버(500)와 연결되는 부위까지 곡면을 형성한다.
측면부(430)는 상기 패드몸체(4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와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측면부(430)는 상기 곡면연결부(430)에 근접하는 부위에서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커버(500)와 결합 시 상기 커버(500)와 맞닿는 접촉면(435)을 제공하는 돌출단부(431)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패드(400)와 커버(5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나면 매끄러운 외관 미감을 가질 수 있으며 양면결합부재(3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패드몸체(410)의 외장 면은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와 결합되는 결합 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a, 도 3 참조)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본체유닛(300) 각각에 패드(400)가 결합될 때 기어 축 부재(100)의 양측에 결합된 패드(400)는 기어 축 부재(100) 쪽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패드몸체(410)가 도어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되면 양쪽의 본체유닛(300)은 평상시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게 되며, 도어가 소정의 각도로 개방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도(a)는 7.5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각도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패드몸체(410)의 내측에는 상기 양면결합부재(310)에 마련된 체결홀(311)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홀(411)이 구비된다. 그리고 곡면연결부(420)에는 상기 커버(500)에 구비된 후크가 착탈 결합되기 위한 후크연결홀(4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패드(400)와 커버(500) 간의 원터치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패드몸체(410)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복수의 홈(413)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홈(413)은 도어의 사용 시 경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데, 홈(413) 내부에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도어를 강하게 열거나 닫을 경우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복수의 충격 흡수 홈(413)이 배치되지 않은 상기 패드몸체(410)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41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415)는 상기 패드몸체(410)가 설치 면에 체결될 때 설치 면에 압착되어 도어의 사용 시 경첩 조립체(1000)의 슬립 또는 유동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패드몸체(410)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탄성 재질(예: 고무 등)의 코팅부(4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코팅부(410a)의 표면에는 마찰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무늬, 예를 들면 빗살 무늬, 격자 무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어 축 부재(1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경첩 조립체 중에서 기어 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를 구성하는 기어 축 부재(100)는 중심축(110), 이동기어부(120), 각도조절기어부(130), 및 고정기어부(140)를 포함한다.
중심축(110)은 경첩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동기어부(120)는 중심축(110)의 일단에 고정되며 제1 기어부(125)를 구비하며, 각도조절기어부(130)는 중심축(110)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부(125)에 마주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제2 기어부(133)를 구비한다.
고정기어부(140)는 중심축(110)의 타단에 고정되며 각도조절기어부(130)와 결합된다.
이하, 이동기어부(120), 각도조절기어부(130), 및 고정기어부(14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기어부(120)는 제1 기어몸체(121)와 확관부(123)를 포함한다.
기어몸체(121)는 중심축(1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중공(122)을 구비하는 환봉 형상의 부재이다.
확관부(123)는 제1 기어몸체(121)에 비해 외경이 확장되며, 외주 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24)를 구비한다.
복수의 돌출부(124)는 이동기어부(120)가 제1 연결몸체(320)의 관형 돌출부(321)의 삽입공(322)에 삽입될 때, 억지 끼움 방식으로 서로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해주기 위해 돌출된다. 복수의 돌출부(124)는 확관부(123)의 둘레 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부(125)는 제1 외측기어유닛(1251)과 제1 내측기어유닛(1252)을 포함한다.
제1 외측기어유닛(1251)은 확관부(123)에서 돌출되며, 제1 기어부(12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외측슬라이딩면(1251a)을 제공한다.
또한, 제1 내측기어유닛(1252)은 제1 외측기어유닛(1251)보다 제1 기어부(125)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외측슬라이딩면(1251a)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1 내측슬라이딩면(1252a)을 제공한다.
각도조절기어부(130)는 확관부(12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일단에 제2 기어부(133)가 구비되고,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요철이 구비된 제1 치형결합부(135)가 구비되는 제2 기어몸체(131)를 포함한다.
이때, 제2 기어부(133)는 제2 외측기어유닛(1331)과 제2 내측기어유닛(1332)을 포함한다.
제2 외측기어유닛(1331)은 제2 기어부(133)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 외측슬라이딩면(1251a)과 접촉 가능한 제2 외측슬라이딩면(1331a)을 제공한다.
또한, 제2 내측기어유닛(1332)은 제2 외측기어유닛(1331)보다 제2 기어부(133)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내측슬라이딩면(1252a)과 접촉 가능한 제2 내측슬라이딩면(1252a)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동기어부(120)와 각도조절기어부(130)는 한 쌍의 기어 방식으로 이루어져 무게 중심이 분할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고정기어부(140)는 제3 기어몸체(141)와 제2 치형결합부(145)를 포함한다.
제3 기어몸체(141)는 중심축(110)의 타단이 삽입되는 중공(142)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치형결합부(145)는 제3 기어몸체(141)에 비해 외경이 확장되며, 외주 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44)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144)는 앞서 설명한 확관부(123)에 구비된 돌출부(124)와 동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제2 치형결합부(145)는 제1 치형결합부(135)와 맞물려 결합되며, 각도조절기어부(130)와 고정기어부(140) 간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켜주며, 서로 간에 회전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고정기어부(140)는 본체유닛(300)과 결합된 이후에 각도조절을 위해 분리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각도조절기어부(130)만을 필요한 각도로 회전시켜 제1, 2치형결합부(135, 145)를 통해 각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기어부(120) 및 고정기어부(140)를 분리시키지 않아도 도어 개방 각도를 조절하거나 자동 닫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기어부(120)와 고정기어부(140)는 복수의 본체유닛(300)과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결합 부위에서의 유격 발생을 줄이고, 도어의 조작 시 불필요한 흔들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기어몸체(121) 및 상기 제3 기어몸체(141)의 외주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제1, 3 기어몸체(121, 141)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1, 2 직선돌기(129, 1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도어용 경첩의 정면커버 및 패드의 결합 위치를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도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용 경첩의 본체 전, 후로 결합되는 정면커버와 패드가 본체를 관통하여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매끈하고 고급스러운 외관 미감을 보여주며, 부품 별로 일부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될 경우 해당 부품만을 손쉽게 교체 조립할 수 있어 유지 보수상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도어용 경첩의 중심에 배치되는 기어 축 부재를 통해 복수의 본체 유닛을 상, 하로 결합시켜 본체를 구성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본체 유닛을 성형 제작한 후 사용자에 의해 좌, 우측에 간편하게 조립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사용자 이용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기어 축 부재의 상, 하단에 결합되는 본체 유닛을 결합 후 분리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기어 축 부재와 본체 간의 결합 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도어의 사용 중 도어가 축을 기준으로 흔들리는 불량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어 축 부재를 구성하는 이동기어부와, 각도조절기어부 사이에 복수의 슬라이딩 접촉 면이 형성되어 서로 간의 하중이 복수의 위치로 분산될 수 있다. 이로써, 일부 위치에서 하중이 집중되어 부품이 손상 또는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슬라이딩 접촉 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의 슬라이딩 접촉 면을 통해 도어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어 갑작스런 도어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기어부가 중심축을 통해 하단의 고정기어부와 원주방향 요철 형상을 통해 치합되어 고정기어부에 결합된 본체 유닛을 분리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각도조절기어부와 고정기어부가 서로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하로만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각도 조절 시 하단의 본체 유닛을 분리시키지 않을 수 있어 내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기어 축 부재
110: 중심축
111: 봉 형상 몸체
113: 이탈방지돌기
120: 이동기어부
121: 제1 기어몸체
122: 중공
123: 확관부
124: 돌출부
125: 제1 기어부
1251: 제1 외측기어유닛
1251a: 제1 외측슬라이딩면
1252: 제1 내측기어유닛
1252a: 제1 내측슬라이딩면
129: 직선돌기
130: 각도조절기어부
131: 제2 기어몸체
133: 제2 기어부
1331: 제2 외측기어유닛
1331a: 제2 외측슬라이딩면
1332: 제2 내측기어유닛
1332a: 제2 내측슬라이딩면
135: 제1 치형결합부
140: 고정기어부
141: 제3 기어몸체
142: 중공
144: 돌출부
145: 제2 치형결합부
149: 직선돌기
200: 본체
300: 본체유닛
310: 양면결합부재
311: 체결홀
320: 제1 연결몸체
321: 관형 돌출부
322: 삽입공
330: 제2 연결몸체
331: 호형 홈부
400: 패드
410: 패드몸체
410a: 코팅부
410b: 슬립방지무늬
411: 체결홀
413: 충격 흡수 홈
415: 슬립 방지 돌기
420: 곡면연결부
421: 후크연결홀
430: 측면부
431: 돌출단부
435: 접촉면
500: 커버
1000: 도어용 경첩 조립체

Claims (7)

  1. 경첩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일단에 고정되며 제1 기어부를 갖는 이동기어부와, 상기 제1 기어부에 마주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제2 기어부를 갖는 각도조절기어부와, 상기 중심축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각도조절기어부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어 축 부재; 상기 기어 축 부재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양면에 결합 면이 마련된 양면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복수의 본체유닛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양면결합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패드; 및 상기 양면결합부재의 타면에 밀착되어 상기 패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양면결합부재는 양면을 통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결합 면이 마련되고, 상기 패드와 상기 커버는 서로의 결합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양면결합부재의 일면에 결합되어, 설치 부위에 밀착하여 설치되며 평탄한 외장 면을 갖는 패드몸체; 상기 패드몸체의 일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커버와 연결되는 부위까지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연결부; 및 상기 패드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양면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양면결합부재와 연결되는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는 상기 곡면연결부에 근접하는 부위에서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 시 상기 커버와 맞닿는 접촉면을 제공하는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몸체의 외장 면은 상기 양면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결합 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본체유닛 각각에 상기 패드가 결합 시 상기 기어 축 부재를 향할수록 상기 패드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드몸체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복수의 홈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홈이 배치되지 않은 상기 패드몸체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몸체의 평탄한 외장 면에는 탄성 재질의 코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팅부의 표면에는 마찰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빗살무늬 또는 격자 무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양면결합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축 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마련된 관형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몸체; 및
    상기 양면결합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관형 돌출부에 대응하는 호형 홈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몸체;
    를 포함하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양면결합부재에 마련된 체결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곡면연결부에는 상기 커버에 구비된 후크가 착탈 결합되기 위한 후크연결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어부는, 상기 중심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중공이 구비된 제1 기어몸체와, 상기 제1 기어몸체에 비해 외경이 확장되며, 외주 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확관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기어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외측슬라이딩면을 제공하는 제1 외측기어유닛과, 상기 제1 외측기어유닛보다 상기 제1 기어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외측슬라이딩면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1 내측슬라이딩면을 제공하는 제1 내측기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기어부는, 상기 확관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제2 기어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원주 방향으로 요철이 구비된 제1 치형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 기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2 기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외측슬라이딩면과 접촉 가능한 제2 외측슬라이딩면을 제공하는 제2 외측기어유닛과, 상기 제2 외측기어유닛보다 상기 제2 기어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측슬라이딩면과 접촉 가능한 제2 내측슬라이딩면을 제공하는 제2 내측기어유닛을 포함하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부는, 상기 중심축의 타단이 삽입되는 중공이 구비된 제3 기어몸체와, 상기 제3 기어몸체에 비해 외경이 확장되며, 외주 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치형결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제2 치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기어부와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분리 방지용 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조립체.
KR1020180152080A 2018-11-30 2018-11-30 도어용 경첩 조립체 KR10223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80A KR102230218B1 (ko) 2018-11-30 2018-11-30 도어용 경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080A KR102230218B1 (ko) 2018-11-30 2018-11-30 도어용 경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527A KR20200065527A (ko) 2020-06-09
KR102230218B1 true KR102230218B1 (ko) 2021-03-19

Family

ID=7108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080A KR102230218B1 (ko) 2018-11-30 2018-11-30 도어용 경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080B1 (ko) * 2017-11-24 2022-12-12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295Y1 (ko) * 1999-09-28 2000-03-15 데코판넬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0272876Y1 (ko) * 2002-01-08 2002-04-20 호일정공 주식회사 상/하 개폐식 도어의 무게균형장치를 이용한 열림 및 닫힘 각도 유지용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39U (ko) * 2007-12-28 2009-07-02 전수천 앞뒤로 사용할 수 있는 경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295Y1 (ko) * 1999-09-28 2000-03-15 데코판넬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0272876Y1 (ko) * 2002-01-08 2002-04-20 호일정공 주식회사 상/하 개폐식 도어의 무게균형장치를 이용한 열림 및 닫힘 각도 유지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527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7182C (en) Chain stopper
KR101244670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환형 로울러 장치 및 도어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KR102230218B1 (ko) 도어용 경첩 조립체
TWI821269B (zh) 用於家具的阻尼鉸鍊
KR101099241B1 (ko)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200416924Y1 (ko) 댐핑 구조를 구비한 도어힌지 완충장치
KR10216556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구조를 갖는 여닫이 형태의 창호
KR20050094932A (ko) 폴딩도어장치
KR200448614Y1 (ko) 경첩
KR101785273B1 (ko) 접이식 어닝 어셈블리
KR200346715Y1 (ko) 롤 블라인드의 종동 브래킷 어셈블리
JP7339180B2 (ja) 窓用緩衝装置
JP3754677B2 (ja) 吊り戸の取付け構造
KR100923838B1 (ko) 샤시구조
JP4476600B2 (ja) 伸縮式開閉案内装置と該装置を備えた建具
JP2020200728A (ja) 壁面用目地装置
KR101083772B1 (ko) 내측틀과 외측틀을 갖는 창틀
KR102642719B1 (ko) 롤타입 나노방진망이 구비된 미서기 방충망
JP7094518B2 (ja) 引戸の自動閉止装置
KR20230130821A (ko) 안전용 경첩을 포함한 문틈 차단용 안전문
KR102551682B1 (ko) 폴딩도어용 힌지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시스템
JP5362184B2 (ja) 制動装置付引戸装置
JP7221820B2 (ja) ドア
KR102160214B1 (ko) 이물질 제거수단을 구비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JP2021067335A (ja) ボールチェ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