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158B1 -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 Google Patents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158B1
KR102230158B1 KR1020200090059A KR20200090059A KR102230158B1 KR 102230158 B1 KR102230158 B1 KR 102230158B1 KR 1020200090059 A KR1020200090059 A KR 1020200090059A KR 20200090059 A KR20200090059 A KR 20200090059A KR 102230158 B1 KR102230158 B1 KR 10223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ne aggregate
roa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봉주
권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Priority to KR102020009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8/22Rubber, e.g. ground waste t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20/002Hollow or porous gran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0/1044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92Coating or impregnating with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0/10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55Coating or impregnating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20/1077Cements, e.g. water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84Materials permeable to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362Friction materials, e.g. used as brake linings, anti-sk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 8mm 크기의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촉매 또는 규조토 분말 1 ~ 50 중량부, 안료 0.1 ~ 5 중량부, 시멘트 1 ~ 15 중량부, 유화에멀젼 15 ~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하는 세골재 코팅단계; 코팅된 상기 세골재(10)가 도로의 표면(1)에 도포되어 고착된 세골재 도포부(100)를 형성하는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을 저감함과 아울러, 도로표면의 미끄럼 저항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Method for Reducing Traffic Noise and Scattered Road Dust}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재비산먼지란, 도로포장에서 차량 주행으로 인해 대기중으로 재비산하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고, 도로표면의 물질에 기인하는 먼지 등 자연적 성분외에도, 배출가스, 타이어 및 브레이크 마모 등에 의해 발생하며, Cd, Pb, Cr 등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므로 일반 먼지에 비해 더욱 인체에 해롭다.
이는 입자가 미세하여 코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폐까지 직접 침투하여 천식과 폐암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데, 교통, 산업, 건설 활동이 많은 대도시에서 주로 발생하며 인체 건강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2013년 국립 환경과학원 통계에 의하면, 전국 도로상 비산먼지 배출량 중 도로재비산먼지는 45%를 차지하며, 이는 전체 미세먼지의 20%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도로재비산먼지는 전체 비산먼지 배출량의 20%를 차지하며, 자동차 수의 증가추세로 인하여 그 비중이 계속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에는 일반적으로 도로 노면의 재비산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로물청소 및 진공청소차량에 의한 청소를 시행하고 있으나, 불법주차, 도로 소통의 방해, 시민의 불만제기 등으로 인하여 시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그 효과 또한 일시적이므로 미봉책에 불과하다.
특히, 물청소 후 도로에 습기가 있을 때는 도로재비산먼지가 일시 저감 되겠지만,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도로 표면이 건조되는 경우 효과가 없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차량 2부제 시행 또는 노후 경유차량 운행제한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잘 지켜지지 않으므로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에도, 도로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하여 도로청소 차량을 배로 확충하는 대책 외에는 뚜렷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을 저감함과 아울러, 도로표면의 미끄럼 저항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1 ~ 8mm 크기의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촉매 또는 규조토 분말 1 ~ 50 중량부, 안료 0.1 ~ 5 중량부, 시멘트 1 ~ 15 중량부, 유화에멀젼 15 ~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하는 세골재 코팅단계; 코팅된 상기 세골재(10)가 도로의 표면(1)에 도포되어 고착된 세골재 도포부(100)를 형성하는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세골재(10)는 다공성의 저회경량골재, 전기로슬래그 골재, 화강석 쇄석 골재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에멀젼은 유화아스팔트계, 유화칼라용무색아스팔트계, 유화아크릴폴리머계, 변성실리카바인더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는,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아수지, MMA수지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상기 유화에멀젼을 도로의 표면(1)에 도포하는 단계; 코팅된 상기 세골재(10)를 살포 및 다짐하고, 양생 후 탈락하는 골재를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는,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아수지, MMA수지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상기 유화에멀젼을 시트의 상면에 도포하고, 코팅된 상기 세골재(10)를 살포 및 다짐하여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제조하는 세골재 도포시트 제조단계;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도로의 표면(1)에 부착하는 세골재 도포시트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성형시트, 글래스페이퍼, 유리섬유메쉬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 부착단계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개질아스팔트 4 ~ 80 중량부를 15~180℃로 용융하고, 폐타이어 분말 1 ~ 50 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5 ~ 20 중량부, 길소나이트 분말, 카본블랙, 길소나이트 분말 중 어느 하나와 카본블랙 혼합물 1 ~ 5 중량부, 접착개선제 2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재(111)를 제조하는 접착재 제조단계; 상기 접착재(111)를 용융하여 도로의 표면(1)에 도포하고,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부착하는 도포 및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는, 도로의 표면(1) 중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110)가 부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투수성 블록(120)을 설치하는 투수성 블록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스팔트 4 ~ 60 중량부, 천연아스팔트 5 ~ 20 중량부, 고분자플라스틱 5 ~ 15 중량부, SBS고분자 5 ~ 20 중량부, 특수섬유질충진제 2 ~ 10 중량부, uv안정제 0.1 ~ 0.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를 제조하는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 제조단계; 5 ~ 25mm의 단입도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 5 ~ 15 중량부를 가열하고 혼합하여 상기 투수성 블록(120)을 제조하는 투수성 블록 제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수성 블록 제조단계는, 1 ~ 5mm 크기의 상기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1 ~ 5 중량부, 상기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상기 유화에멀젼 5 ~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투수성 블록(120)의 표면에 3 ~ 5mm의 두께로 포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을 저감함과 아울러, 도로표면의 미끄럼 저항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의 제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세골재 도포시트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세골재 도포시트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의 제3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은 기본적으로, 1 ~ 8mm 크기의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촉매 또는 규조토 분말 1 ~ 50 중량부, 안료 0.1 ~ 5 중량부, 시멘트 1 ~ 15 중량부, 유화에멀젼 15 ~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하는 세골재 코팅단계; 코팅된 세골재(10)가 도로의 표면(1)에 도포되어 고착된 세골재 도포부(100)를 형성하는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골재(10)는 모가 난 쇄석의 입형으로서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가져야 하므로, 다공성의 저회경량골재, 전기로슬래그 골재, 화강석 쇄석 골재 중 하나 또는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회경량골재는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되는 경량골재의 일종으로서, 다공성 재질이므로 수분 함축시간이 길고, 흡음성 재질이므로 소음저감 기능이 있으며, 경량이므로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다.
전기로슬래그 골재는 선철 과정의 정련 공정(쇳물에 녹아있는 탄소, 규소 성분 등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생성되는데, 체적 팽창이 거의 없으며, 편광석 비율이 아주 낮고, 100% 파쇄면을 가지고 있으며, 표면의 마찰력이 커서 미끄럼 저항성능이 우수하고, 쇳물에 고압의 산소를 불어넣는 공정에서 생성되는 다공성 재질이므로 배수성, 흡음성 등이 우수하다.
화강석 쇄석 골재는 우수한 파쇄면을 가지고 있으며, 내마모성과 구득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다공성이 아니므로 흡습 및 흡음성은 다소 떨어지나, 미끄럼 저항성능이 우수하다.
세골재(10)에 광촉매 또는 규조토 분말을 코팅하는데, 흡착제의 흡착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친수성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유화아스팔트계, 유화칼라용무색아스팔트계, 유화아크릴폴리머계, 변성실리카바인더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유화에멀젼을 사용한다.
광촉매(Tio2)는 촉매의 한 종류로서 빛에너지에 의해 촉매 작용이 일어나는 물질, 즉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산화-환원 반응을 촉진시켜 각종 세균 및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광촉매로 사용되는 Tio2는 장시간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염소나 오존보다 산화력이 높아 살균력이 뛰어나며, 모든 유기물을 이산화 탄소와 물로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또한 Tio2는 광촉매로서 내구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촉매로서의 기능만 하기 때문에 자신은 변하지 않고, 안전, 무독물질이므로 폐기 시에도 2차 공해에 대한 염려가 없다.
나아가, 이러한 광촉매는 디젤엔진 배기가스의 정화(Nox, Dioxin 제거), 항균, 살균, 탈취, 유기물 분해 등의 효과를 얻도록 한다.
규조토는 다공질 구조를 갖는 친환경 광물질로서, 다공질 구조로서 건조 시 습기를 방출하는 조습효과, 악취 물질을 흡착하고 분해하는 탈취효과, 광촉매(Tio2) 분해작용에 의해 자외선과 반응하여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효과 등을 얻도록 한다.
안료는 코팅된 세골재의 도포에 의해, 도로의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 문양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한다.
첫째, 코팅된 세골재의 도포는 도로포장의 보수, 평탄성 확보, 내구성 증대 등의 효과를 얻도록 하므로, 이로 인해 도로포장 표면의 마모 및 골재 탈리, 포트홀, 균열 등 도로포장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도로재비산먼지가 저감된다.
둘째, 자동차의 타이어, 브레이크 패드 마모 등에 의해 발생하는 도로재비산먼지는 세골재 사이의 공극에 흡착되거나, 코팅된 세골재 자체의 흡착력에 의해 흡착되고, 강우, 살수차의 물청소, 진공청소차의 흡입 등에 의해 제거된다.
셋째, 차량 배기가스의 주성분인 질소 산화물은 세골재에 코팅된 광촉매, 규조토에 의해 정화(분해, 흡수)된다.
넷째, 차량통행에 의한 소음이 저감 되고, 미끄럼 저항성능도 크게 개선된다.
이하, 코팅된 세골재(10)가 도로의 표면(1)에 도포되어 고착된 세골재 도포부(100)를 형성하는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교통량이 적고 차량 우회가 가능하여 급속시공의 필요성이 작은 지선도로 등의 경우, 도로의 표면(1)에 직접 코팅된 세골재(10)를 도포하여 고착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로포장의 균열, 포트홀 등의 손상부를 보수하고, 먼지, 오물 등을 깨끗이 청소한 후,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유화에멀젼을 도로의 표면(1)에 도포하고, 코팅된 세골재(10)를 살포 및 다짐하며, 양생 후 탈락하는 골재를 청소한다(도 1).
이 경우, 1 ~ 5mm 크기의 세골재(10)를 사용하는 것이 시공성 및 사용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로의 표면(1)에 대한 세골재(10)의 접착제 역할을 하는 열경화성수지(20)로는,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아수지, MMA수지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유화에멀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화아스팔트계, 유화칼라용무색아스팔트계, 유화아크릴폴리머계, 변성실리카바인더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세골재(10)에 광촉매, 규조토를 코팅하여 도로의 표면에 도포하여 접착함에 따라 형성되는 세골재 도포부(100)는, 많은 차량의 통행으로 인한 마모, 충격, 각종 도로먼지의 유입, 여름철 고온, 겨울철 저온에 의한 동결융해 등 열악한 외부 환경에 노출된다.
따라서 세골재(10)를 도로의 표면(1)에 접착하는 접착제는, 접착력이 우수할 것, 고온과 동결융해에 저항하기 위하여 고연화점을 가질 것 등의 조건이 요구되는데, 위 열경화성수지(20) 및 유화에멀젼은 이러한 요건을 충분히 만족한다.
또한,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유화에멀젼에 의해 접착된 세골재(10) 사이에 형성된 공극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로교통의 소음은 자동차 자체의 소음과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구분되는데, 후자가 70% 정도를 차지하므로, 위 효과는 의미가 큰 것이다.
둘째, 교통량이 많고 차량 우회가 어려워 급속시공이 필요한 간선도로 등의 경우, 미리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제조해 두고, 이를 도로의 표면(1)에 부착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열경화성수지(20)를 시트의 상면에 도포하고, 코팅된 세골재(10)를 살포 및 다짐하여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제조한 후, 이를 도로의 표면(1)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도 2,3).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성형시트, 글래스페이퍼, 유리섬유메쉬 중 하나를 사용하는데, 시트의 저면은 이형지 또는 박리제로 코팅한다.
시트의 상면에 소정의 디자인 문양이 나타나도록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유화에멀젼을 도포하고, 코팅된 세골재(10)를 살포 및 다짐하는 경우, 원하는 디자인을 쉽게 얻을 수 있다(도 4).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도로의 표면(1)에 부착하는 방식은, 미리 공장에서 시트 하부에 접착층을 형성해 두고 현장에서 토치 접착하는 방식, 접착재(111)를 현장에서 용융하여 도로의 표면(1)에 도포하고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부착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접착재(111)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개질아스팔트 4 ~ 80 중량부를 15~180℃로 용융하고, 연화점 상승첨가제로서 폐타이어 분말 1 ~ 50 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5 ~ 20 중량부, 길소나이트 분말, 카본블랙, 길소나이트 분말 중 어느 하나와 카본블랙 혼합물 1 ~ 5 중량부, 접착개선제 2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착개선제는 접착력의 개선을 위하여 첨가되는 재료로서, 연화점 120 ~ 150℃의 과립형 레진(Resin)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광장, 주차장, 구배불량 구간도로와 같이 배수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도로에 대하여 위 세골재 도포시트(110)의 부착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세골재 도포시트(110)는 배수성이 아니므로, 도로의 표면(1) 중 세골재 도포시트(110)가 부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투수성 블록(120)을 설치하여 배수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투수성 블록(120)은 5 ~ 25mm의 단입도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 5 ~ 15 중량부를 가열하고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스팔트 4 ~ 60 중량부, 천연아스팔트 5 ~ 20 중량부, 고분자플라스틱 5 ~ 15 중량부, SBS고분자 5 ~ 20 중량부, 특수섬유질충진제 2 ~ 10 중량부, uv안정제 0.1 ~ 0.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세골재 도포시트(110)에 디자인 문양이 형성되는 경우, 투수성 블록(120)의 상면에도 디자인 문양이 형성되는 것이 디자인의 일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1 ~ 5mm 크기의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1 ~ 5 중량부, 상기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유화에멀젼 5 ~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투수성 블록(120)의 표면에 3 ~ 5mm의 두께로 포설하고 다짐한다.
투수성 블록(120)의 투수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열경화성수지(20) 및 유화에멀젼이 과도하게 도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시공하였다.
4 mm 크기의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촉매 30 중량부, 안료 2 중량부, 시멘트 8 중량부, 유화에멀젼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하여 코팅 세골재를 제조하였다.
세골재(10)는 다공성의 저회경량골재를 사용하였고, 유화에멀젼은 유화아스팔트계를 사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성형시트의 상면에 열경화성수지(20)로서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하고, 위 코팅 세골재(10)를 살포 및 다짐하여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제조하였다.
접착재(111)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개질아스팔트 40 중량부를 150℃로 용융하고, 폐타이어 분말 30 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10 중량부, 길소나이트 분말 3 중량부, 과립형 레진(Resin)계 접착개선제 6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재(111)를 제조하였다.
위 접착재(111)를 용융하여 도로의 표면(1)에 도포하고,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비교예는 종래의 일반적인 세골재 포설공법을 적용하였다.
Figure 112020075770079-pat00001
표 1은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법을 시험시공한 도로를 대상으로 하여 각종 물성을 실험한 결과이다.
비교예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미끄럼 저항성은 12 BPN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소음저감효과는 2.2 dB 정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ISO 22197-1 시험방법에 의해 실험한 질소산화물 감소율은 20% 정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도로의 표면 10 : 세골재
20 : 열경화성수지 100 : 세골재 도포부
110 : 세골재 도포시트 111 : 접착재
120 : 투수성 블록

Claims (10)

1 ~ 8mm 크기의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촉매 또는 규조토 분말 1 ~ 50 중량부, 안료 0.1 ~ 5 중량부, 시멘트 1 ~ 15 중량부, 유화에멀젼 15 ~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하는 세골재 코팅단계;
코팅된 상기 세골재(10)가 도로의 표면(1)에 도포되어 고착된 세골재 도포부(100)를 형성하는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골재 도포부 형성단계는,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아수지, MMA수지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상기 유화에멀젼을 시트의 상면에 도포하고, 코팅된 상기 세골재(10)를 살포 및 다짐하여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제조하는 세골재 도포시트 제조단계;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도로의 표면(1)에 부착하는 세골재 도포시트 부착단계;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스팔트 4 ~ 60 중량부, 천연아스팔트 5 ~ 20 중량부, 고분자플라스틱 5 ~ 15 중량부, SBS고분자 5 ~ 20 중량부, 특수섬유질충진제 2 ~ 10 중량부, uv안정제 0.1 ~ 0.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를 제조하는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 제조단계;
5 ~ 25mm의 단입도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연화점 개질아스팔트 5 ~ 15 중량부를 가열하고 혼합하여 투수성 블록(120)을 제조하는 투수성 블록 제조단계;를
도로의 표면(1) 중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110)가 부착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상기 투수성 블록(120)을 설치하는 투수성 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골재(10)는 다공성의 저회경량골재, 전기로슬래그 골재, 화강석 쇄석 골재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에멀젼은 유화아스팔트계, 유화칼라용무색아스팔트계, 유화아크릴폴리머계, 변성실리카바인더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성형시트, 글래스페이퍼, 유리섬유메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 부착단계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개질아스팔트 4 ~ 80 중량부를 15~180℃로 용융하고, 폐타이어 분말 1 ~ 50 중량부, 고로슬래그 분말 5 ~ 20 중량부, 길소나이트 분말, 카본블랙, 길소나이트 분말 중 어느 하나와 카본블랙 혼합물 1 ~ 5 중량부, 접착개선제 2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재(111)를 제조하는 접착재 제조단계;
상기 접착재(111)를 용융하여 도로의 표면(1)에 도포하고, 상기 세골재 도포시트(110)를 부착하는 도포 및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블록 제조단계는,
1 ~ 5mm 크기의 상기 세골재(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1 ~ 5 중량부, 상기 열경화성수지(20) 또는 상기 유화에멀젼 5 ~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투수성 블록(120)의 표면에 3 ~ 5mm의 두께로 포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KR1020200090059A 2020-07-21 2020-07-21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KR10223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59A KR102230158B1 (ko) 2020-07-21 2020-07-21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59A KR102230158B1 (ko) 2020-07-21 2020-07-21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158B1 true KR102230158B1 (ko) 2021-03-22

Family

ID=7522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059A KR102230158B1 (ko) 2020-07-21 2020-07-21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1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608A (ja) * 1999-08-06 2001-02-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舗装材料および道路舗装工法
JP2008095484A (ja) * 2006-10-13 2008-04-24 Yuko:Kk シート型アスファルト混合物舗装補修材
JP2014125403A (ja) * 2012-12-27 2014-07-07 Kazumi Otsuki 着色骨材の製造方法
KR20190002015A (ko) * 2017-06-29 2019-01-08 권문현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608A (ja) * 1999-08-06 2001-02-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舗装材料および道路舗装工法
JP2008095484A (ja) * 2006-10-13 2008-04-24 Yuko:Kk シート型アスファルト混合物舗装補修材
JP2014125403A (ja) * 2012-12-27 2014-07-07 Kazumi Otsuki 着色骨材の製造方法
KR20190002015A (ko) * 2017-06-29 2019-01-08 권문현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8381B2 (ja) NOx浄化舗装構造物
US8038789B2 (en) Pervious concrete comprising a geopolymerized pozzolanic ash binder
CN103252225B (zh) 一种光催化降解复合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77170B1 (ko) 보차도블록의 제조방법
KR102282837B1 (ko) 친환경 아크릴계 폴리머 콘크리트 미끄럼방지, 피톤치드 발산 및 축광 투수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미끄럼방지, 피톤치드 발산 및 축광 투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투수포장 시공공법
EP2357280B1 (de) Decke für Fahrbahnen mit wasserdurchlässigem Fahrbahnbelag
KR102230158B1 (ko) 도로재비산먼지와 교통소음 저감 및 미끄럼 저항 증대방법
KR102062555B1 (ko) 도로 노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그루빙 시공 방법
CN111411556A (zh) 一种多层次精表处预防性养护方法
KR101182605B1 (ko) 인산석고와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포장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JP2010144439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8656A (ja) 多機能保水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機能保水性舗装体
CN105967743A (zh) 一种以稀土细尾砂制备的自清洁透水砖及其制作方法
CN103232205B (zh) 铺设吸收汽车尾气型微表处罩面的稀浆混合料及铺设方法
CN108611944A (zh) 一种多功能透水结构路面
CN108101416A (zh) 一种净化空气的绿色环保透水砖及其制备方法
JP2003096707A (ja) 舗装体及びその形成方法
CN107938465B (zh) 一种沥青路面环氧超薄密水抗滑层用集料及密水抗滑层的施工方法
CN113637410A (zh) 雾封层沥青路面养护剂及其制备方法
Douglas et al. Sealants and Other Management Strategies for PFAS-Contaminated Concrete and Asphalt
CN214831608U (zh) 一种降解汽车尾气的透水沥青路面结构
KR102307085B1 (ko) 블랙아이스 구간 사고예방을 위한 상온식 포장방식과 도트방식을 결합한 블랙아이스존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6284016B (zh) 一种净化尾气的功能复合型树脂铺装及其制备方法
JP3740598B2 (ja) 道路上での汚染空気の浄化方法
CN113800819B (zh) 冷拌冷铺混合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