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157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157B1
KR102230157B1 KR1020200103168A KR20200103168A KR102230157B1 KR 102230157 B1 KR102230157 B1 KR 102230157B1 KR 1020200103168 A KR1020200103168 A KR 1020200103168A KR 20200103168 A KR20200103168 A KR 20200103168A KR 102230157 B1 KR102230157 B1 KR 10223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pin bolt
rotation knob
protrud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용
Original Assignee
이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용 filed Critical 이현용
Priority to KR102020010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47B2009/14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with pin moving in a sliding trombo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받침다리를 갖는 하부 지지봉에 언록킹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 지지봉의 내부로 다수개의 위치결정홀이 구비되며, 책상 상판의 하부에 결합된 상부 지지봉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는 하부 지지봉의 일측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 결합부에 핀볼트의 내측이 관통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핀볼트에 핀볼트 회전노브가 관통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돌출 결합부의 상,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상,하부 돌출 체결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의 전면에 언록킹 커버가 덮혀진 상태로 상,하부 돌출 체결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를 관통한 핀볼트의 외측이 상기 언록킹 커버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언록킹부의 핀볼트의 현재 위치가 외부에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높낮이로 용이하게 맞추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DESK FOR STUDENT CAPABLE OF HEIGHT CONTROL AND STOOL}
이 건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핀볼트 회전노브의 역회전에 의하여 상부 지지봉의 위치결정홀에 결합된 핀볼트가 역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핀볼트의 볼트 헤드가 언록킹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현재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상태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에는 글을 읽고 쓰거나 할 때 앉아 사용할 수 있는 책상과 걸상이 놓여져 있다. 이러한 책상은 파이프를 절곡하여 구비된 받침다리와 받침다리의 상단에 결합된 상판 및 상판의 하부에 책이나 노트 및 필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 그리고 보관함의 일측에 가방이나 신발 주머니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구비된 걸이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걸상은 받침다리의 상부로 결합된 프레임에 좌판과 등받이판이 결합되어 학생이나 사용자가 용이하게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책상과 걸상은 각 학년의 평균 신장을 기준으로 3가지 형태의 크기로 상이하게 제조되어 평균 신장을 가진 학생들은 책상과 걸상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었으나, 신장이 크거나 작은 학생의 경우 책상과 걸상을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94803호(2005.8.30)호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높낮이 조절구는 책상과 걸상의 하부에 다수개의 높이조절홀을 갖는 상부지주가 결합되어지고, 상부지주가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지주에 삽입되어지고, 고정핀이 관통홀과 높이조절홀에 끼워져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였으나, 조절고정핀이 조절구 본체로부터 많이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손잡이가 외부로 더 노출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긁히는 문제점과 아울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나사부에 고정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과정에서 드리이버 등의 공구가 조절고정핀에 결합된 손잡이와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94803호(2005.8.30)
이 건 발명은 핀볼트 회전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핀볼트의 볼트 헤드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현재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높낮이로 용이하게 맞추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외관이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받침다리(11)를 갖는 하부 지지봉(10)의 상부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홀(301)이 구비된 상부 지지봉(30)의 하부가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 지지봉(30)은 책상 상판(70)의 하부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외측 일측에 돌출 결합부(101)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 결합부(101)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20)는 핀볼트(210), 핀볼트 회전노브(220) 및 언록킹 커버(23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 상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전면에 상기 언록킹 커버(230)가 덮혀진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에 일치되도록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에 구비된 상하부 나사 관통홀(232)이 각각 맞대어져 체결나사(240)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받침다리(11)를 갖는 하부 지지봉(10)의 상부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홀(301)이 구비된 상부 지지봉(30)의 하부가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 지지봉(30)은 등받이판(62)이 구비된 걸상 좌판(61)의 하부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외측 일측에 돌출 결합부(101)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 결합부(101)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걸상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20)는 핀볼트(210), 핀볼트 회전노브(220) 및 언록킹 커버(23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 상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전면에 상기 언록킹 커버(230)가 덮혀진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에 일치되도록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에 구비된 상하부 나사 관통홀(232)이 각각 맞대어져 체결나사(240)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볼트(210)는 외측 사각기둥 형태의 볼트 헤드(211)와 내측 단턱 핀부(213) 사이의 돌출된 볼트 몸체 외주면에 숫나사부(212)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는 회전노브 몸체(221) 내부 중앙에 원통 단턱홀(226)이 축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통 단턱홀(226)의 내주면에 암나사부(221-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노브 몸체(221)의 외주연부에는 미끄럼방지부(2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 커버(230)는 상기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 나사 관통홀(232) 사이에 사각형태의 헤드노출홀(235-1)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헤드노출홀(235-1)은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에 일치되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헤드노출홀(235-1) 내측에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가 삽입되어지는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 양측에는 오픈된 트임부(234-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에 단턱진 단턱축 삽입홈(235)이 구비되며, 상기 단턱축 삽입홈(235) 중앙에 상기 헤드노출홀(235-1)이 외부로 관통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핀볼트(210)의 숫나사부(212)가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원통 단턱홀(226) 내주면에 구비된 암나사부(221-1)에 위치되어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미끄럼방지부(2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핀볼트(210)가 축방향으로 좌우 이동되어 핀볼트(210)의 내측 단턱 핀부(213)는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숫나사부(212)의 외측 볼트 헤드(211)는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단턱축 삽입홈(235) 중앙에 구비된 사각형태의 헤드노출홀(235-1)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봉(10)과 언록킹 커버(230) 사이에 보조 언록킹부(50)가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핀볼트(210)의 단턱 핀부(213)가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 핀부(213)가 삽입된 위치결정홀(301)의 바로 상부로 위치되는 다른 위치결정홀(301)에 보조 언록킹부(50)의 언록킹볼(530)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결합부(101)와 상부 돌출 체결부(102) 사이에 볼노출홀(10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상부 나사 관통홀(232)의 하부에 보조암나사부(236-1)을 갖는 랜치 삽입홀(23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상부 나사 관통홀(232)과 헤드노출홀(235-1) 사이에는 보조 암나사부(236-1)를 갖는 원통형의 랜치삽입홈(236)이 외부로 관통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의 랜치삽입홈(236)에 보조 언록킹부(50)의 언록킹 몸체(510)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내부에는 스프링 삽입홈(511)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511)에 스프링(520)과 언록킹 볼(530)이 삽입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일측은 상기 언록킹 볼(5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오므라지게 구비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타측 단부에는 다각홈(512)이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언록킹 볼(530)이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부 돌출 체결부(102)와 돌출결합부(101) 사이에 구비된 볼 노출홀(104)에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타측 다각홈(512)에 의하여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랜치삽입홈(236) 외측에서 랜치에 의하여 죄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언록킹부(50)의 언록킹 몸체(510) 외주연부에는 보조 숫나사부(513)가 형성되고,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랜치삽입홈(236) 내주연부에는 보조 암나사부(236-1)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언록킹부(50)의 언록킹 몸체(510)가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랜치삽입홈(236)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부(20)의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내부에 일체형태로 이루어진 암나사부(221-1)가 관통되게 구비되어 핀볼트(210)의 숫나사부(212)가 나사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일체 형태 이외에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핀볼트 회전 노브(220)의 회전 노브 몸체(221)의 내부는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암나사산부(227-1)를 갖는 별도의 너트부재(227)가 압입되거나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언록킹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 핀볼트 회전노브 정회전에 의하여 내부로 구비된 핀볼트가 하부 지지봉에 구비된 돌출결합부를 관통하여 상부 지지봉에 구비된 다수개의 위치결정홀 중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핀볼트 회전노브의 회전에 의하여 핀볼트의 볼트 헤드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상태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 언록킹부의 스프링 탄성력을 받는 언록킹볼이 단턱 핀부가 삽입된 위치결정홀의 바로 상부로 위치되는 다른 위치결정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위치결정홀에서 단턱 핀부가 빠져 나온 상태에서도 상부 지지봉이 하부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부 지지봉을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언록킹볼이 먼저 상부 지지봉에 구비된 위치결정홀에 삽입됨에 따라 하부로 위치된 핀볼트의 중심과 다른 위치결정홀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위치결정홀에 핀볼트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핀볼트 회전노브가 언록킹 커버의 외측으로 약간 노출됨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부분의 외관이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걸상의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책상 및 걸상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종단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걸상의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책상 및 걸상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종단면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A)는 책상 및 걸상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는 가운데 조절 가능한 상태임으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절 된 후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사용과정에서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높낮이를 조절하는 부분의 외관이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다리(11)를 갖는 하부 지지봉(10)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내부로 다수개의 위치결정홀(301)이 구비된 상부 지지봉(30)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다리(11)는 상부가 만곡형태로 볼록한 가운데 하부가 수평형태를 갖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가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지고, 절단된 파이프의 양측단부에 각각 엔드캡이 결합되어 수평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다리(11)의 상부에 내부가 비어있는 장공형태의 단면을 갖는 하부지지봉(10)이 상부를 향하여 직립되게 하부가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지지봉(30)은 상단에 수평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상판(70)이 얹혀지게 결합되어지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상(60)은 좌판(61) 및 등받이판(62)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부(20)는 후술하는 상부 지지봉(30)에 구비된 위치결정홀(301)에 핀볼트(210)의 단턱 핀부(213)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지지봉(30)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부(20)는 하부 지지봉(10)의 일측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 결합부(101)에 핀볼트(210)가 관통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핀볼트(210)에 핀볼트 회전노브(220)가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게 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 결합부(101)의 상,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전면에 언록킹 커버(230)가 덮혀진 상태로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24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핀볼트(210)는 사각축의 형태를 갖는 볼트 헤드(211)에 숫나사부(2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숫나사부(212)의 단부에 상기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되는 직경이 상이한 단턱 핀부(213)가 돌출되게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는 핀볼트(210)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언록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운데 핀볼트(210)의 이동량 또는 이동위치가 외부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 단턱홀(226)의 중앙에 암나사부(221-1)가 관통되게 구비된 회전노브 몸체(221)의 외주연부에 미끄럼방지부(222)가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통 단턱홀(226)은 돌출 결합부(101)와 간섭됨이 없이 돌출 결합부(101)의 외주연부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 노브 몸체(221)의 축방향 외주연부측에 중공 단턱축(223)이 형성된 돌부(22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 커버(230)는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에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에 중심이 일치되는 나사 관통홀(232)이 구비되어되어 있다.
상기 나사 관통홀(232)의 내측에 확관되는 돌출 체결부 삽입 공간부(233)가 형성되어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가 안정되게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언록킹 커버(230)가 체결나사(240)에 의하여 하부 지지봉(10)의 외부에 더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나사 관통홀(232) 사이에는 양측이 오픈된 트임부(234-1)를 갖는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에 단턱축 삽입홈(23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에 헤드 노출홀(235-1)을 갖는 단턱축 삽입홈(23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회전에 의하여 핀볼트(210)의 볼트 헤드(211)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헤드 노출홀(235-1)은 볼트 헤드(211)와 동일한 사각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핀볼트 회전노브(22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핀볼트(210)가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이를 통해 핀볼트 회전노브(220)를 회전시키더라도 핀볼트(210)가 같이 회전됨이 없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회전에 의하여 핀볼트(210)의 볼트 헤드(221)가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현재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상태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단에는 가이드 캡(40)이 결합되어 상부 지지봉(30)의 외부와 하부 지지봉(10)의 내부가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부(20)는 하부 지지봉(10)의 돌출결합부(101)와 상부 돌출 체결부(102) 사이에 보조 언록킹부(50)가 구비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간혹 핀볼트(210)의 단턱 핀부(213)가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 핀부(213)가 삽입된 위치결정홀(301)의 바로 상부로 위치되는 다른 위치결정홀(301)에 보조 언록킹부(50)의 언록킹볼(530)이 삽입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더 한층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결합부(101)와 상부 돌출 체결부(102) 사이에 볼노출홀(10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상부 나사 관통홀(232)의 하부에 보조암나사부(236-1)을 갖는 랜치 삽입홀(236)이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언록킹부(50)는 스프링 삽입홈(511)과 다각홈(512)을 갖는 언록킹 몸체(510)의 상기 스프링 삽입홈(511)에 스프링(52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스프링(520)의 탄성력을 받도록 언록킹볼(530)이 삽입되어 스프링 삽입홈(511)의 입구측이 오무려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몸체(511)의 외주연부에 보조 숫나사부(5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보조 암나사부(236-1)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언록킹부(50)는 스프링(520)의 탄성력을 받는 언록킹볼(530)이 단턱 핀부(213)가 삽입된 위치결정홀(301)의 바로 상부로 위치되는 다른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위치결정홀(301)에서 단턱 핀부(213)가 빠져 나온 상태에서도 상부 지지봉(30)이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 언록킹부(50)는 이러한 기능 이외에 상부 지지봉(3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스프링(520)의 탄성력을 받는 언록킹볼(530)이 먼저 상부 지지봉(30)에 구비된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됨에 따라 하부로 위치된 핀볼트(210)의 중심과 다른 위치결정홀(301)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핀볼트(21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구(A)는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볼트 회전 노브(220)에 결합된 핀볼트(210)의 단턱 핀부(213)가 하부 지지봉(10)에 구비된 돌출 결합부(101)를 관통하여 상부 지지봉(30)에 구비된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상부 지지봉(30)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핀볼트(210)의 볼트 헤드(221)가 언록킹 커버(230)에 구비된 헤드 노출홀(235-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외부에서 현재 핀볼트(210)의 단턱 핀부(213)가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되어 록킹된 상태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높낮이 조절구(A)를 이용하여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언록킹 커버(230)의 커버 몸체(231) 외부로 노출된 핀볼트 회전노브(22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부(2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핀볼트(210)의 숫나사부(212)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도5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핀볼트(210)의 단턱 핀부(213)가 상부 지지봉(30)에 구비된 위치결정홀(301)에서 빠져 나와 구속력이 해지됨으로써, 상부 지지봉(30)이 하부 지지봉(10)의 내부를 향하여 인입되거나 외부를 향하여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핀볼트(210)의 볼트 헤드(221)가 언록킹 커버(230)의 헤드 노출홀(235-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를 보고 현재 핀볼트(210)의 단턱 핀부(213)가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서 빠져 나온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부 지지봉(30)의 인출 또는 인입되는 길이가 적당하게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 몸체(231)의 트임부(234-1)로 노출된 핀볼트 회전노브(22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부(2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핀볼트(210)의 숫나사부(212)에 의하여 단턱 핀부(213)가 상부 지지봉(30)에 구비된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됨으로써, 현재의 높이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 건 발명에서는 높낮이 조절구가 책상에 설치되어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상의 다리에 높낮이 조절구가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언록킹부(20)의 핀볼트(210)에 구비된 숫나사부(212)가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회전 노브 몸체(221) 내부에 일체로 관통되게 구비된 암나사부(221-1)에 나사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핀볼트 회전 노브(220)의 회전 노브 몸체(221)의 내부는 비어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암나사산부(227-1)를 갖는 별도의 너트부재(227)가 압입되거나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핀볼트 회전 노브(220)의 제조 과정에서 암나사가 용이하게 구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출 성형 과정에서 핀볼트 회전 노브(220)의 미끄럼방지부(222), 단턱축(223) 및 돌부(224)는 용이하게 성형이 가능한 반면, 내부로 구비되는 암나사부(222-1)의 성형이 힘들고, 별도의 암나사 성형 공정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0:하부 지지봉 11:받침다리
20:언록킹부 101:돌출 결합부
102:상부 돌출 체결부 103:하부 돌출 체결부
201;핀볼트 210:핀볼트
211:볼트 헤드 212:숫나사부
213:단턱 핀부 220:핀볼트 회전노브
221:회전노브 몸체 221-1:암나사부
222:미끄럼방지부 223:중공 단턱축
224:돌부 226:원통 단턱홀
230:언록킹 커버 231:커버 몸체
232:나사 관통홀 233:삽입 공간부
234:회전노브 삽입공간부 234-1:트임부
235:단턱축 삽입홈 235-1:헤드 노출홀
240:체결나사

Claims (5)

  1. 받침다리(11)를 갖는 하부 지지봉(10)의 상부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홀(301)이 구비된 상부 지지봉(30)의 하부가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 지지봉(30)은 책상 상판(70)의 하부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외측 일측에 돌출 결합부(101)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 결합부(101)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언록킹부(20)는 핀볼트(210), 핀볼트 회전노브(220) 및 언록킹 커버(23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 상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전면에 상기 언록킹 커버(230)가 덮혀진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에 일치되도록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에 구비된 상하부 나사 관통홀(232)이 각각 맞대어져 체결나사(240)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핀볼트(210)는 외측 사각기둥 형태의 볼트 헤드(211)와 내측 단턱 핀부(213) 사이의 돌출된 볼트 몸체 외주면에 숫나사부(212)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는 회전노브 몸체(221) 내부 중앙에 원통 단턱홀(226)이 축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통 단턱홀(226)의 내주면에 암나사부(221-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노브 몸체(221)의 외주연부에는 미끄럼방지부(22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커버(230)는 상기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 나사 관통홀(232) 사이에 사각형태의 헤드노출홀(235-1)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헤드노출홀(235-1)은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에 일치되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헤드노출홀(235-1) 내측에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가 삽입되어지는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 양측에는 오픈된 트임부(234-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에 단턱진 단턱축 삽입홈(235)이 구비되며, 상기 단턱축 삽입홈(235) 중앙에 상기 헤드노출홀(235-1)이 외부로 관통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핀볼트(210)의 숫나사부(212)가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원통 단턱홀(226) 내주면에 구비된 암나사부(221-1)에 위치되어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미끄럼방지부(2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핀볼트(210)가 축방향으로 좌우 이동되어 핀볼트(210)의 내측 단턱 핀부(213)는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숫나사부(212)의 외측 볼트 헤드(211)는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단턱축 삽입홈(235) 중앙에 구비된 사각형태의 헤드노출홀(235-1)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상부 나사 관통홀(232)과 헤드노출홀(235-1) 사이에는 보조 암나사부(236-1)를 갖는 원통형의 랜치삽입홈(236)이 외부로 관통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의 랜치삽입홈(236)에 보조 언록킹부(50)의 언록킹 몸체(510)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내부에는 스프링 삽입홈(511)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511)에 스프링(520)과 언록킹 볼(530)이 삽입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일측은 상기 언록킹 볼(5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오므라지게 구비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타측 단부에는 다각홈(512)이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언록킹 볼(530)이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부 돌출 체결부(102)와 돌출결합부(101) 사이에 구비된 볼 노출홀(104)에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타측 다각홈(512)에 의하여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랜치삽입홈(236) 외측에서 랜치에 의하여 죄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3. 받침다리(11)를 갖는 하부 지지봉(10)의 상부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홀(301)이 구비된 상부 지지봉(30)의 하부가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 지지봉(30)은 등받이판(62)이 구비된 걸상 좌판(61)의 하부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외측 일측에 돌출 결합부(101)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 결합부(101)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언록킹부(20)는 핀볼트(210), 핀볼트 회전노브(220) 및 언록킹 커버(23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 상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전면에 상기 언록킹 커버(230)가 덮혀진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하부 돌출 체결부(102)(103)에 일치되도록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에 구비된 상하부 나사 관통홀(232)이 각각 맞대어져 체결나사(240)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걸상에 있어서,
    상기 핀볼트(210)는 외측 사각기둥 형태의 볼트 헤드(211)와 내측 단턱 핀부(213) 사이의 돌출된 볼트 몸체 외주면에 숫나사부(212)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는 회전노브 몸체(221) 내부 중앙에 원통 단턱홀(226)이 축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통 단턱홀(226)의 내주면에 암나사부(221-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노브 몸체(221)의 외주연부에는 미끄럼방지부(22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커버(230)는 상기 커버 몸체(231)의 상하부 나사 관통홀(232) 사이에 사각형태의 헤드노출홀(235-1)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헤드노출홀(235-1)은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에 일치되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헤드노출홀(235-1) 내측에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가 삽입되어지는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 양측에는 오픈된 트임부(234-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노브 삽입공간부(234)에 단턱진 단턱축 삽입홈(235)이 구비되며, 상기 단턱축 삽입홈(235) 중앙에 상기 헤드노출홀(235-1)이 외부로 관통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핀볼트(210)의 숫나사부(212)가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원통 단턱홀(226) 내주면에 구비된 암나사부(221-1)에 위치되어 상기 핀볼트 회전노브(220)의 미끄럼방지부(2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핀볼트(210)가 축방향으로 좌우 이동되어 핀볼트(210)의 내측 단턱 핀부(213)는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돌출 결합부(101)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지지봉(30)의 위치결정홀(301)에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숫나사부(212)의 외측 볼트 헤드(211)는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단턱축 삽입홈(235) 중앙에 구비된 사각형태의 헤드노출홀(235-1)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걸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상부 나사 관통홀(232)과 헤드노출홀(235-1) 사이에는 보조 암나사부(236-1)를 갖는 원통형의 랜치삽입홈(236)이 외부로 관통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의 랜치삽입홈(236)에 보조 언록킹부(50)의 언록킹 몸체(510)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내부에는 스프링 삽입홈(511)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홈(511)에 스프링(520)과 언록킹 볼(530)이 삽입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일측은 상기 언록킹 볼(5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오므라지게 구비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타측 단부에는 다각홈(512)이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언록킹 볼(530)이 상기 하부 지지봉(10)의 상부 돌출 체결부(102)와 돌출결합부(101) 사이에 구비된 볼 노출홀(104)에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510)의 타측 다각홈(512)에 의하여 상기 언록킹 커버(230)의 랜치삽입홈(236) 외측에서 랜치에 의하여 죄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걸상.
  5. 삭제
KR1020200103168A 2020-08-18 2020-08-18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KR10223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68A KR102230157B1 (ko) 2020-08-18 2020-08-18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68A KR102230157B1 (ko) 2020-08-18 2020-08-18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157B1 true KR102230157B1 (ko) 2021-03-18

Family

ID=7523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68A KR102230157B1 (ko) 2020-08-18 2020-08-18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1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64Y1 (ko) * 2001-04-17 2001-10-11 희 일 김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4803Y1 (ko) 2005-05-31 2005-09-07 박종익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102092302B1 (ko) * 2019-12-31 2020-05-15 이현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64Y1 (ko) * 2001-04-17 2001-10-11 희 일 김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4803Y1 (ko) 2005-05-31 2005-09-07 박종익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102092302B1 (ko) * 2019-12-31 2020-05-15 이현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302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US7571959B2 (en) Student desk
KR10224398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US9084491B1 (en) Portable tray table
US20240049887A1 (en) Face Hammock
KR10223015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US10645903B2 (en) Bowl with freely adjustable height
US3623184A (en) Skid for tubular furniture
KR102010662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US6095059A (en) Portable seat assembly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946819B1 (ko)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KR10230689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101405834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2570995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KR200457479Y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구
US6394552B1 (en) Chair backrest with an adjustable headrest
KR10237896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JP3355523B2 (ja) 木製勉強机・椅子、ならびにそれらに組み合わせる袖板および引出し板
KR100828405B1 (ko)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CN218528085U (zh) 一种课桌椅用翻转机构
KR200256076Y1 (ko) 책상 및 걸상 높낮이 조절구
KR20200076973A (ko) 분리가능 일체형 책상-책상과 의자를 탈착, 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일체형 책상
KR200270605Y1 (ko) 높낮이 조절 책상
KR10137996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