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97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978B1
KR102229978B1 KR1020157030898A KR20157030898A KR102229978B1 KR 102229978 B1 KR102229978 B1 KR 102229978B1 KR 1020157030898 A KR1020157030898 A KR 1020157030898A KR 20157030898 A KR20157030898 A KR 20157030898A KR 102229978 B1 KR102229978 B1 KR 10222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subframe
downlink
uplink
re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182A (ko
Inventor
서인권
이승민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방법에 있어서, 샹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CSI 요청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는 경우, CSI 참조 자원에서 PDSCH 전송 블록에 기초해 CQI 값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CQI 값을 포함하는 CSI 보고를 서브프레임 n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전의 서브프레임보다 늦지 않은 마지막 서브프레임인, CSI 보고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상태정보의 보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TDD에서 서브프레임의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방법에 있어서, 샹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CSI 요청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는 경우, CSI 참조 자원에서 PDSCH 전송 블록에 기초해 CQI 값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CQI 값을 포함하는 CSI 보고를 서브프레임 n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전의 서브프레임보다 늦지 않은 마지막 서브프레임인, CSI 보고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Reference Resource) 구성(configuration)이 설정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샹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CSI 요청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는 경우, CSI 참조 자원에서 PDSCH 전송 블록에 기초해 CQI 값을 유도하며, 상기 CQI 값을 포함하는 CSI 보고를 서브프레임 n에서 수행하며,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전의 서브프레임보다 늦지 않은 마지막 서브프레임인,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게 둘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가 설정(configured)된 경우, 상기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는 상기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상기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게는 하나 이상의 CSI 프로세스가 설정(configured)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SI 프로세스는 신호 측정을 위한 CSI-RS(Reference signal) 자원과 간섭 측정을 위한 2개의 CSI-IM(Interference Measurement) 자원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CSI 요청 필드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configuratiokn)과 달리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능력(capability)이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CSI 요청 필드일 수 있다.
상기 CSI 요청 필드의 값과 상기 둘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와의 관계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에게 설정(configured)된 전송 모드는 전송모드 1 내지 10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상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일 수 있다.
상기 CSI 보고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TDD에서 서브프레임의 용도 변경으로 인한 간섭 특성을 반영하여 정확한 채널상태정보 보고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참조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LTE-A 자원 구조/채널
도 1를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신호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전송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하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과 이용 가능한 비트 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참조 신호 (Reference Signal; R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전송되는 패킷은 무선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과정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왜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올바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왜곡을 보정하여야 한다. 채널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알고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신호가 채널을 통해 수신될 때의 왜곡 정도를 가지고 채널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신호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또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라고 한다.
다중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각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상황을 알아야 올바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좀더 자세하게는 안테나 포트(안테나 포트)별로 별도의 참조신호가 존재하여야 한다.
참조신호는 상향링크 참조신호와 하향링크 참조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LTE 시스템에는 상향링크 참조신호로써,
i) PUSCH 및 PUCCH를 통해 전송된 정보의 코히런트(coherent)한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을 위한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i) 기지국이, 네트워크가 다른 주파수에서의 상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있다.
한편, 하향링크 참조신호에는,
i) 셀 내의 모든 단말이 공유하는 셀-특정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ii) 특정 단말만을 위한 단말-특정 참조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iii) PDSCH가 전송되는 경우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v) 하향링크 DMRS가 전송되는 경우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v)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모드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MBSFN 참조신호(MBSFN Reference Signal)
vi) 단말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참조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있다.
참조신호는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채널 정보 획득을 위한 목적의 참조신호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참조신호가 있다. 전자는 UE가 하향 링크로의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광대역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이라도 그 참조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또한 이는 핸드 오버 등의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후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보낼 때 해당 리소스에 함께 보내는 참조신호로서, 단말은 해당 참조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게 된다. 이 참조신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에 전송되어야 한다.
CRS는 채널 정보 획득 및 데이터 복조의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며, 단말 특정 참조신호는 데이터 복조용으로만 사용된다. CRS는 광대역에 대해서 매 서브 프레임마다 전송되며, 기지국의 전송 안테나 개수에 따라서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참조신호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2개일 경우, 0번과 1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고, 4개인 경우 0~3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각각 전송된다.
도 5는 기존의 3GPP LTE 시스템 (예를 들어, 릴리즈-8)에서 정의하는 CRS 및 DRS가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 (RB pair) 상에 매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신호가 매핑되는 단위로서의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주파수 상으로 12 부반송파의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일반 CP의 경우(도 5(a))에는 14 개의 OFDM 심볼 길이, 확장된 CP의 경우(도 5(b))에는 12 개의 OFDM 심볼 길이를 가진다.
도 5는 기지국이 4 개의 전송 안테나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자원블록 쌍 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에서 '0', '1', '2' 및 '3'으로 표시된 자원 요소(RE)는, 각각 안테나 포트 인덱스 0, 1, 2 및 3에 대한 CRS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에서 'D'로 표시된 자원 요소는 DMRS의 위치를 나타낸다.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 (Channel State Information-RS, CSI-RS)
CSI-RS는 하향링크에서 최대 8개의 안테나 포트를 지원하는 LTE-A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 채널 측정 목적의 참조신호이다. 이점은 CRS가 채널 측정 및 데이터 복조를 위한 것과 상이하며, 따라서 CSI-RS는 CRS처럼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될 필요는 없다. CSI-RS는 전송모드 9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복조를 위해서는 DMRS가 전송된다.
CSI-RS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아보면, CSI-RS는 1, 2, 4, 8개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1개의 안테나 포트의 경우 15, 2개의 안테나 포트의 경우 15, 16, 4개의 안테나 포트의 경우 15~18, 8개의 안테나 포트의 경우 15~22번 안테나 포트가 사용될 수 있다.
CSI-RS는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1
여기서,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2
은 참조신호 시퀀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3
는 의사랜덤시퀀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4
는 슬롯넘버,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5
은 OFDM 심볼,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6
은 하향링크 대역폭의 최대 RB 개수를 각각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생성되는 CSI-RS는 다음 수학식 2를 사용하여 각 안테나 포트별 RE에 매핑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7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8
는 다음 표 1과 같은 CSI-RS 설정(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09
상기 수학식 2 및 표 1에 의해 특정 CSI-RS 설정에 있어서 각 안테나 포트별로 RE에 매핑된다. 도 6에서는 상기 내용에 따라 안테나 포트별로 CSI-RS가 매핑된 것을 나타낸다. 도 6에서 R0 내지 R3는 각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매핑된 것을 나타내며, 숫자 표시는 각 안테나 포트에 대한 CSI-RS가 매핑된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숫자 0, 1로 표시된 RE들은 안테나 포트 0 또는 1에 해당하는 CSI-RS가 매핑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동일 RE에 두 개의 안테나 포트에 해당하는 CSI-RS가 매핑되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직교 코드로 구분될 수 있다.
계속해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CSI-RS는 매 서브프레임이 아닌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SI-RS는 다음 표 2와 같은 CSI-RS 서브프레임 설정(subframe configuration)을 참조하되, 다음 수학식 3을 만족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0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1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2
는 CSI-RS가 전송되는 주기,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3
는 오프셋값,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4
는 시스템 프레임 넘버,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5
는 슬롯 넘버를 각각 의미한다.
상술한 CSI-RS는 다음 표 3과 같은 CSI-RS 구성(configuration) 정보 요소(CSI-RS-Config-r10)로써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6
상기 표 3에서 ‘antennaPortsCount’은 CSI-RS가 전송되는 안테나의 개수가 몇 개인지(1, 2, 4, 8개 중 선택), ‘resourceConfig’는 시간-자원 주파수 상에서 하나의 RB내에 어떤 RE에 위치하는지, ‘subframeConfig’는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지와 더불어 PDSCH EPRE에 대한 CSI-RS EPRE 값이 전송된다. 추가적으로 eNB가 제로 파워(zero power) CSI-RS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전달해 준다.
CSI-RS Config에서의 ‘resourceConfig’은 CSI-RS가 전송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는 0~31까지의 숫자로서 표현되는 표 1의 CSI-RS 설정 번호에 따라서, 한 RB내에서의 정확한 심볼 및 반송파 위치를 지시한다.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피드백
MIMO 방식은 개-루프(open-loop) 방식과 폐-루프(closed-loop)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루프 MIMO 방식은 MIMO 수신단으로부터의 CSI의 피드백이 없이 송신단에서 MIMO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폐-루프 MIMO 방식은 MIMO 수신단으로부터의 CSI를 피드백 받아 송신단에서 MIMO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폐-루프 MIMO 방식에서는 MIMO 송신 안테나의 다중화 이득(multiplexing gain)을 얻기 위해서 송신단과 수신단의 각각이 채널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단(예를 들어, 단말)이 CSI를 피드백할 수 있도록 송신단(예를 들어, 기지국)은 수신단(예를 들어, 단말)에게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향링크 공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피드백되는 CSI는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및 채널품질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포함할 수 있다.
RI는 채널 랭크에 대한 정보이다. 채널의 랭크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서 서로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는 레이어(또는 스트림)의 최대 개수를 의미한다. 랭크 값은 채널의 장기간(long term) 페이딩에 의해서 주로 결정되므로, PMI 및 CQI 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더 긴 주기에 따라 피드백될 수 있다.
PMI는 송신단으로부터의 전송에 이용되는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이며, 채널의 공간 특성을 반영하는 값이다. 프리코딩이란 전송 레이어를 송신 안테나에 매핑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프리코딩 행렬에 의해 레이어-안테나 매핑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PMI 는 신호대잡음및간섭비(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등의 측정값(metric)을 기준으로 단말이 선호하는(preferred) 기지국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에 해당한다. 프리코딩 정보의 피드백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송신단과 수신단이 여러 가지 프리코딩 행렬을 포함하는 코드북을 미리 공유하고 있고, 해당 코드북에서 특정 프리코딩 행렬을 지시하는 인덱스만을 피드백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확장된 안테나 구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LTE-A 시스템)에서는 다중사용자-MIMO (Multi User-Multi Input Multi Output, MU-MIMO) 방식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를 획득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MU-MIMO 방식에서는 안테나 영역(domain)에서 다중화되는 단말들 간의 간섭 채널이 존재하므로, 다중사용자 중 하나의 단말이 피드백하는 CSI를 기지국에서 이용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다른 단말에 대해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MU-MIMO 동작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단일사용자-MIMO (SU-MIMO) 방식에 비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의 CSI가 피드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보다 정확한 CSI를 측정 및 보고할 수 있도록, 기존의 RI, PMI 및 CQI 로 구성되는 CSI 를 개선한 새로운 CSI 피드백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단이 피드백하는 프리코딩 정보가 2 개의 PMI 의 조합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다. 2 개의 PMI 중 하나(제1 PMI)는, 장기간 및/또는 광대역(long term and/or wideband)의 속성을 가지고, W1으로 지칭될 수 있다. 2 개의 PMI 중 다른 하나(제2 PMI)는, 단기간 및/또는 서브대역(short term and/or subband)의 속성을 가지고, W2으로 지칭될 수 있다. W1 및 W2의 조합(또는 함수)에 의해서 최종적인 PMI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PMI 를 W 라 하면, W=W1*W2 또는 W=W2*W1 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CQI는 채널 품질 또는 채널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QI는 미리 결정된 MCS 조합에 해당하는 인덱스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피드백되는 CQI 인덱스는 해당하는 변조기법(modulation schem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CQI 는 기지국이 PMI 를 이용하여 공간 채널을 구성하는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수신 SINR 을 반영하는 값이 된다.
CSI 피드백 방식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를 통한 주기적 보고(periodic reporting)와,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PUSCH를 통한 비주기적 보고(aperiodic reporting)로 나눠진다.
CSI 참조 자원(CSI reference resource)
현재 LTE/LTE-A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CSI 피드백/보고를 위한 채널 측정에 관련된 CSI 참조 자원(CSI Reference Resource)를 정의하고 있다. CSI 참조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산출된 CQI가 연관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물리 RB의 그룹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시간 영역에서는 n-nCQI_ref 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n은 CSI를 전송/보고할 서브프레임이며 nCQI_ref 는 i) 주기적 CSI 보고의 경우 유효한 서브프레임에 대응되기 위한, 4 이상의 값들 중 가장 작은 값, ii) 비주기적 CSI 보고의 경우 상향링크 DCI 포맷 내 CSI 요청(request)이 전송된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유효한 서브프레임, iii) 비주기적 CSI 보고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승인 내 CSI 요청의 경우 4이다. 여기서, 유효한 서브프레임은, 해당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일 것, 전송 모드 9 이외의 경우에는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닐 것, TDD에서 DwPTS의 길이가 일정 크기 이상일 것,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측정 갭(gap)에 포함되지 않을 것, 주기적 CSI 보고에서 단말이 CSI 서브프레임 세트(CSI subframe set)로 설정된 경우 CSI 서브프레임 세트의 요소에 해당될 것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CSI 서브프레임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7
)는 상위 계층에 의해 해당 단말에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 표준에서 CSI 참조 자원은 두 개의 서브프레임 세트(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8
)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되, 두 세트 모두에는 포함될 수 없도록 정의되어 있다.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eIMTA)
TDD의 경우, 각 서브프레임(상향링크-하향링크 간 전환을 위한 특수 서브프레임을 제외하고는)은 각각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사용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아래 표 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하향링크 구성(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0의 경우,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서 0, 5 번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를 위해 사용되도록, 2, 3, 4, 7, 8, 9번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를 위해 사용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어떤 특정 기지국이 사용할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 1)의 일부로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기지국들은 간섭 등의 이유로 동일한 TDD 구성, 즉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사용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19
(D :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U :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S : 스페셜 서브프레임)
상기 표 4와 같은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에 따라 시스템이 운영되는 경우에도 각 셀에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이러한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을 위하여 상향링크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를 위한 것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써 하향링크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를 위한 것으로 변경/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의 전환 사용은 다음 표 5의 음영 표시된 서브프레임에서 가능할 수 있다. 다만, 표 6에서는 스위칭 구간(switching period)의 변경을 허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스위칭 구간의 변경이 불가한 경우 하향링크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은 음영으로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20
Figure 112015104138265-pct00021
또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의 전환은 기존의 TDD 구성을 만족하여야 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용도를 전환하면, 그 전환된 이후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표 4의 구성 중 어느 하나여야 함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에서 4번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하는 경우 9번 서브프레임도 동시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변경 여부를 1 비트로 알려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eIMTA에서, 종래 LTE 시스템에서의 CSI 트리거링 및/또는 보고가 그대로 수행되는 경우 CSI 보고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eIMTA에서는 서브프레임이 플렉서블(flexible) 서브프레임(기지국의 필요에 따라, (일정 시간, 예를 들어 SIB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변경 주기 동안) 듀플렉스 방향성을 변경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듀플렉스 방향이 변경되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과 정적(static) 서브프레임 두 가지 타입/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정적 서브프레임과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은 서로 다른 간섭 특성, 또는 서로 다른 전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도 7(a)는 제1 기지국(eNB 1)과 제2 기지국(eNB 2)이 동일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정적 서브프레임의 경우를 나타내고, 도 7(b)는 제1 기지국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를 위한 것으로 용도 변경하여 사용하는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7(b)와 같이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에서는 제2 단말(UE2)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제1 단말(UE1)에게 큰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에서는 전송 전력의 변경도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7(b)에서 제2 기지국의 입장에서 제1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신호는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2 단말(UE2)로 하여금 정적 서브프레임의 경우보다 전송 전력을 높여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적 서브프레임과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에서는 간섭/전력 특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간섭/전력 특성이 상이한 서브프레임에서 측정한 신호/간섭을 평균화해 보고하는 경우 부정확한 보고가 수행될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에게 두 개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정적 서브프레임 세트, 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를 포함할 수 있음)를 설정(configure)해 주고, CSI 보고를 수행토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CSI 보고의 트리거링, CSI 참조 자원의 결정이 문제될 수 있다. 비주기적 CSI 보고는 상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예를 들어, 상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DCI 포맷 0, 4 또는 상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CSI 요청 필드(CSI request)가 CSI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경우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CSI 보고를, CSI 보고가 트리거된 서브프레임이 속한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해 수행한다면,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 보고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IMTA에서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에서는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은 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 보고는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말에게 두 개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가 설정(configured)된 경우 CSI 보고의 트리거링 방법, 제안되는 CSI 보고 트리거링 방법에 따른 CSI 참조 자원의 설정 등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configuratiokn)과 달리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능력(capability)이 있는 단말, 즉, eIMTA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아래의 발명 내용은 eIMTA의 동작, 즉, SIB에 의해 알려진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다른 전송 방향의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CSI 보고의 트리거링(triggering)
첫 번째 방법으로, CSI 보고가 트리거될 때 어떤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 보고를 요청하는 것인지 함께 지시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CSI 요청 필드의 값들 중 CSI 보고를 요청하는 값들은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도 함께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CSI 요청 필드의 값과 서브프레임 세트의 (매핑) 관계는 (기지국/네트워크가 결정한 후) 상위계층 시그널링 등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비트의 CSI 요청 필드(4개의 state를 가질 수 있음, 따라서, 만약 CSI 요청 필드 값이 1비트인 경우 4개의 state를 커버하기 위해 2 비트로 증가/확장 또는 1비트가 추가될 수 있음) 값들 중 CSI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값들(예를 들어, 01, 10, 11) 각각은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CSI 요청 필드의 값은 특정한 하나의 서브프레임 세트만을 지시할 수 있고 이 경우, CSI 보고는 단말에게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 중 오직 하나의 서브프레임 세트에만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SI 요청 필드 값은 CSI 보고를 수행할 서브프레임 세트를 지시함과 동시에 해당 서브프레임 세트에 연계된 CSI 프로세스도 함께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CSI 요청 필드의 값이 CSI 보고를 수행할 서브프레임 세트 및/또는 CSI 프로세스를 지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들은 상위계층 시그널링/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세트 및/또는 CSI 프로세스의 조합을 통해 특정 구성 반송파의(특정 CSI 프로세스)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단말에게 요구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DCI 포맷 0, 4)에 필드를 추가하고, 이 필드에 의해 서브프레임 세트가 지시될 수도 있다. 기존 CQI 필드의 비트 수를 증가시키거나 기존 CQI 필드의 비트보다 많은 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새로운 필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PCell과 SCell에 각각 eIMTA를 적용할 경우, 즉, PCell, SCell에서 각각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재구성(reconfiguration)이 수행될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구성 반송파의 특정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 중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 보고를 단말에게 요구할 수 있다. “N”개의 구성 반송파가 존재하고, “M”개의 CSI 프로세스가 설정되고(모든 구성 반송파에서 같은 수의 CSI 프로세스가 설정된다고 가정), 4개의 (신호/간섭 특성에 따른) 서브프레임 세트가 정의된다면 총 4xNxM개의 상태(state)가 필요하며, 각 상태에 대한 설정은 상위계층시그널링등을 통해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기존의 CQI 리퀘스트 필드의 비트 수를 유지하는 경우, 기지국에 의해 선택된 유효한 조합을 상위계층시그널링 등을 통해 UE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기존 CQI 요청 필드의 정보 및 추가 정보를 위한 새로운 필드의 조합을 통해 특정 구성 반송파의 특정 CSI 프로세스내의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UE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존 CQI 필드에 의해 특정 구성 반송파 및 특정 CSI 프로세스가 설정되고, 해당 CSI 프로세스 내에서의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정보를 추가 필드를 통해 알릴 수도 있다. 즉, 기존의 CSI 요청 프로세스에 eIMTA에 의해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세트 정보를 추가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상술한 첫 번째 방법은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어떤 서브프레임 세트에 속하는지와 무관하게 상향링크 승인과 관련된/함께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CSI 보고에 연관된 서브프레임 세트가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써, CSI 요청이 활성화된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이 어떤 서브프레임인지에 따라 CSI 보고가 어떤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것인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한 서브프레임이 정적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경우, CSI 보고는 정적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 eIMTA에서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에서는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지 않으므로, 두 번째 방법은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 보고는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세 번째로, CSI 트리거링은 모든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한번에 보고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네 번째로, 서브프레임 특정하게 보고해야 할 서브프레임 세트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어떤 특정한 지시(A-CSI indication (SF) set, CSI reporting set 등으로 명칭될 수 있음)를 상위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알려주고, 위 지시에 따를 경우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또는 CSI 보고를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SI 지시 세트가 라디오 프레임에서 0, 0, 0, 0, 1, 1, 1, 1, 1, 1 이고, 0은 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 1은 정적 서브프레임 세트를 의미하고, 상향링크 승인이 SF #3, #4에서 전송된 경우, SF #3에 의한 CSI 트리거링은 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를, SF #4에 의한 CSI 트리거링은 정적 서브프레임 세트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일반화로써, 반송파 병합 및/또는 CoMP에 적용될 경우,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각 구성반송파(및/또는 전송포인트)의 각 CSI 프로세스 상에서 어떤 서브프레임 타입에 대한 CSI를 보고할지를 미리 할당해두고, CSI 요청이 활성화된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CSI를 보고할 수 있다.
CSI 참조 자원의 결정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CSI 보고의 트리거링이 사용되는 경우, CSI 참조 자원은 다음 설명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CSI 참조 자원은 CSI 보고를 수행하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k (4일 수 있음) 서브프레임 이전의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n-k)보다 늦지 않은 마지막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 n-k 이전의 서브프레임 중 유효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트리거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는데,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는 상술한 ‘CSI 보고의 트리거링’ 파트에서 기술한 방법들 중 하나에 의해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가 CSI 요청 필드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CSI 요청 필드의 값에 의해 결정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CSI 참조 자원은,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이라는 조건 및 CSI 보고가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으로부터 k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 중 CSI 보고가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에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이라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위 CSI 참조 자원은 전송 모드 1~9 또는 전송모드 10의 단일 CSI 프로세스가 설정(configure)된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CSI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CSI-RS 자원 및 하나의 CSI-IM 자원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CSI-RS 자원 및 두 개의 CSI-IM 자원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CSI 참조 자원은 복수의 CSI 프로세스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CSI 프로세스가 설정된 경우 CSI 참조 자원은 n-4를 포함한 이전 서브프레임 중 유효한 서브프레임, 3개 이상의 CSI 프로세스가 설정된 경우 CSI 참조 자원은 n-5를 포함한 이전 서브프레임 중 유효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위 방식은,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어떤 서브프레임 세트에 속하는지는, CSI 참조 자원의 결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된 서브프레임이 어떤 서브프레임 세트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CSI 참조 자원이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세트와 상향링크 승인이 요청하는 서브프레임 세트(예를 들어, CSI 요청 필드의 값에 의해 결정되는 서브프레임 세트)가 상이한 경우, CSI 참조 자원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n-k) 이전 서브프레임 중 상향링크 승인이 지정한 서브프레임 세트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세트에 속하며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만약,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해당되는 서브프레임 세트와 상향링크 승인이 요청하는 서브프레임 세트가 동일한 경우, CSI 참조 자원은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승인이 지시하는 서브프레임 세트에 속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유효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어, 5 서브프레임 등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지시된 것일 수 있음) 이전일 경우, CSI 보고는 생략될 수 있다. 이는,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당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실제 채널 상태를 반영하기 어려움을 고려한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승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설명에서 CSI 참조 자원을 결정한는 기준 시점이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인데, 이 기준 시점을 상향링크 승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간섭 측정 서브셋과 CSI 프로세스
위 설명은 두 개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간섭) 측정에 대한 것이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세트 단위로 구분되는 측정이 CSI-IM 서브셋으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멀티포트(2, 4, 8 등) CSI-RS 구성을 CSI-IM으로 지정하고, 해당 CSI-IM을 2개의 CSI-IM 서브셋으로 구성하고, 이웃 기지국이 2개의 CSI-IM 서브셋에서 각각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CSI-RS 프로세스가 하나의 CSI-RS 구성과 하나의 CSI-IM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CSI-IM이 다수의 CSI-IM 서브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이와 같이 서브셋이 사용되는 경우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8 포트 CSI-IM 이 포함된 CSI 프로세스 및 CSI-IM에 포함되는 두 개의 서브셋(서브셋 0, 서브셋 1)을 알려주고, 또한, 비주기적 CSI 보고가 트리거링 될 때 어떤 CSI-IM 서브셋을 사용할지에 대한 정보(SF pattern for subframe-specific CSI reporting)를 알려줄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승인에 의해 보고해야 할 CSI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된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의해 CSI 프로세스 내 실제 보고해야 할 CSI-IM 서브셋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단말이 서브프레임 #0에서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하면 CSI-IM 서브셋 0에서 간섭을 측정하고, 단말이 서브프레임 #3에서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하면 CSI-IM 서브셋 1에서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CSI 프로세스는 하나의 CSI-RS 구성과 두 2개의 CSI-IM 자원/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앞의 경우에서는 하나의 CSI-IM을 다수의 서브셋으로 구분하는 반면, 여기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CSI-IM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각 CSI-IM 구성은 앞서 설명된 내용에서 서브프레임 세트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세트 인덱스와 IMR 구성 인덱스는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명 중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가 CSI 요청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 그 서브프레임 세트에 연관/연동되어 있는 IMR 구성을 사용하여 간섭을 측정하는 것이다. (서브프레임 세트와 IMR 구성의 연관관계는 사전에 정의되거나, 상위 시그널링 등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CSI-RS 구성과 두 개의 CSI-IM 구성의 조합이 2개의 CSI 프로세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두 개의 CSI-RS 구성과 두 개의 CSI-IM 구성의 조합이 2개의 CSI 프로세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상술한 설명에서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응되는 CSI 프로세스를 구성하여 서로 다른 신호/간섭 환경에 대한 CSI를 단말에게 요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정적 서브프레임, 동적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CSI-RS로 CSI-RS 구성 1, 2를 설정하고, 주요한 간섭 셀의 플렉서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플렉서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정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정적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 각각 CSI-IM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CSI-RS 구성과 CSI-IM 구성의 조합을 통해 다수의 CSI-RS 프로세스를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CSI 프로세스에 대한 보고를 단말에게 요구할 수 있다.
eIMTA에 의한 제한된 측정과 eICIC에 의한 제한된 측정이 혼재할 경우 운용
앞서 설명된 eIMTA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 이외에도 eICIC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 등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가 많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CSI 프로세스 별로(또는 모든 CSI 프로세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보고해야 하는 서브프레임 세트의 우선순위(priority)를 지정하거나, 특정 CSI 프로세스 및/또는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보고하도록 사전에 정의(또는 상위계층시그널링등을 통해 반-정적으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승인은 보고해야 할 CSI 프로세스를 지정하고, 해당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의해 보고할 서브프레임 세트(또는 그에 대응하는 CSI-IM)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주기적 CSI 보고에서는 항상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예를 들어 정적만)에 대한 CSI를 보고하고, 주기적 CSI 보고에서는 다른 서브프레임 세트(플렉서블)를 보고하도록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또는 특정 CSI 프로세스의 모든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보고하도록 CSI 프로세스를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서브프레임 세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는) CSI 프로세스 세트 별로 지정되거나, 모든 CSI 프로세스 세트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각 CSI 프로세스 별로 서브프레임 세트들에 대한 priority가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세트 또는 CSI 프로세스를 시그널링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상향링크-하향링크 재구성 메시지에 해당 내용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비주기적 CSI 보고에서는 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보고하도록 지정하여, 주기적 CSI 보고에서는 정적 서브프레임 set에 대한 CSI를 보고하고, 비주기적 CSI 보고에서는 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보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CSI 보고를 위해 지정된 CSI 프로세스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TDD에서는 복수의 CSI 보고를 위해, 보고해야 하는 CSI 프로세스의 수에 따라 한번에 보고하는 CSI의 수 및 참조 자원의 위치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eIMTA 환경에서 CSI 프로세스 별로 서브프레임 세트가 다수 지정될 경우 (예를 들어 정적 서브프레임 세트, 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 서브프레임 세트의 수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CSI 프로세스 별 서브프레임 세트를 각각 CSI 프로세스로 가정/간주하여 기존의 기준(즉, CSI 프로세스 수)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특정 CSI 프로세스 세트에 2개의 CSI 프로세스가 할당되며 각 CSI 프로세스는 2개의 서브프레임 세트로 구분될 경우, 단말은 해당 CSI 프로세스 세트에 4개의 CSI 프로세스가 할당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 세트들에 대해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낮은 CSI 프로세스 인덱스에 속한 서브프레임 세트를 우선적으로 보고하거나 각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인덱싱을 수행하여 낮은 인덱스부터 보고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각 서브프레임 세트를 CSI 프로세스로 간주하는 경우, 동시에 보고할 수 있는 CSI 프로세스 수에 대한 단말 능력에 의해 일부 CSI 프로세스 (또는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 보고가 제한될 수도 있다.
기지국이 설정한 CSI 프로세스 내의 서브프레임 세트를 각각 CSI 프로세스로 간주할 경우, 새로운 CSI 프로세스 인덱스를 기준으로 낮은 인덱스의 CSI 프로세스부터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CSI 프로세스 인덱스는 기지국에 의해 (상위계층시그널링등을 통하여) 설정되거나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CSI 프로세스 인덱스는 보고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CSI 프로세스 별로 최대 두 개의 서브프레임 세트가 정의된다면) 각 CSI 프로세스의 서브프레임 세트 0에 대한 인덱싱을 먼저 수행하고, 이후 서브프레임 세트 1에 대한 인덱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동일 CSI 프로세스 세트 내에) CSI 프로세스가 2개 정의(CSI 프로세스 0,1)되고, 각각 2개의 서브프레임 세트(서브프레임 세트 0,1)을 갖는다면 새로운 CSI 프로세스 인덱스는 idx0=CSI 프로세스 0의 서브프레임 세트 0, idx1=CSI 프로세스 1의 서브프레임 세트 0, idx2=CSI 프로세스 0의 서브프레임 세트 1, idx3=CSI 프로세스 1의 서브프레임 세트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고, 각 단말이 보고할 수 있는 CSI 수만큼 낮은 인덱스부터 보고될 수 있다. 이 때 이전 보고에서 높은 인덱스로 인해 보고되지 못한 CSI를 우선적으로 보고할 수도 있으며, 보고하는 시점과 측정하는 시점이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새로운 재구성 시점) 이상 떨어질 경우 해당 CSI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때 일정 시간은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되거나 사전에 정의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과 상관없이 기지국에 의해 특정 CSI 보고를 생략하도록 시그널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각 CSI 프로세스 세트에 속하는 CSI 프로세스가 포함하는 모든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를 동시에 보고할 수도 있다. (이 때 실제 보고하는 현 시점에 대한 CSI의 수는 과거에 보고하지 못한 CSI 보고 수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동시에 보고하는 CSI 프로세스의 수 및 참조 자원 위치를 구하기 위한 조건으로 CSI 프로세스의 수가 2~3, 4일 경우뿐 아니라 5 이상의 경우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정의(이 과정에서 CSI 프로세스의 수는 CSI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세트 level에서 count될 수도 있다.) 될 수 있으며, 참조 자원을 구하기 위한 k 값 역시 CSI 프로세스 및 서브프레임 세트의 수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기타 CSI 보고에 관련된 사항
상술한 설명에서 측정 등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될 경우, ambiguity 구간에서 동작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변경될 경우에도 ambiguity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백 모드 동작으로써, 상향링크 승인이 전송되는 탐색 공간의 종류에 따라 보고해야하는 서브프레임 세트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어떤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보고가 수행되는지는 미리 정의되거나 상위계층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탐색공간을 통해 상향링크 승인이 전달될 경우 제1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해, 단말특정 탐색공간을 통해 상향링크 승인이 전달된 경우 제2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해 CSI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설명 중 하나의 서브프레임 세트를 하나의 CSI 프로세스로 간주하는 방법에서, 주기적 CSI 보고 및 비주기적 CSI 보고에 적용되는 CSI 프로세스의 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CSI 프로세스가 존재하고, 각 CSI 프로세스가 2개의 서브프레임 세트로 구성될 경우, 이를 8개의 CSI 프로세스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주기적 보고에서는 8개의 CSI 프로세스가 모두 가용(available)하고, 비주기적 보고에서는 CSI 프로세스 인덱스가 낮은 순서대로 4개만 가용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주기적 보고 에서 가용한 CSI 프로세스는 사전에 정의되거나 (즉, 예시와 같이 낮은 인덱스 순으로 정해진 수의 CSI 프로세스가 가용한 것으로 가정) 기지국이 상위계층시그널링 등을 통해 지정(예를 들어, 특정 CSI 프로세스의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지정하거나 새롭게 인덱싱된 CSI 프로세스 중 일부를 지정할 수도 있다)할 수 있다. 또한 재인덱싱이 필요할 경우, 새로운 CSI 프로세스에 대한 인덱싱은 사전에 정의(예를 들어, 기존의 낮은 CSI 프로세스에 속한 서브프레임 세트부터 오름차순으로 CSI 프로세스 인덱싱)되거나 기지국이 상위계층 시그널링등을 통해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기지국은 주기적 CSI 보고는 보고 시점을 고르게 분포시켜 새롭게 인덱싱된 전체 CSI 프로세스에 대하여 CSI가 보고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비주기적 CSI 보고는 앞서 설명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새롭게 정의된 CSI 프로세스 (즉, eIMTA의 서브프레임 세트를 CSI 프로세스로 정의)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보고하도록 각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말에게는 예시적으로 eIMTA에 관련하여 두 개의 서브프레임 세트(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 정적 서브프레임 세트)가 설정되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간섭 상황들이 고려된 서브프레임 세트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과 이웃 셀에서 서브프레임의 사용은 각각 정적 상향링크 서브프레임(SU), 정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SD), 플렉서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FU), 플렉서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FD)으로 구분될 수 있고 따라서, 다음 표 5와 같이 8개의 서브프레임 세트가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4138265-pct00022
상술한 설명은 반송파 병합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반송파 병합 상황에서 PCell과 SCell에 서로 다른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사용할 경우 (추가적으로 서로 다른 UL-하향링크재구성을 통해 PCell과 SCell에서 서로 다른 정적/플렉서블 서브프레임 구성을 갖게 될 경우) 각 셀의 특정 (정적/플렉서블)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CSI 요청에도 위의 제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 반송파 스케줄링의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특정 구성 반송파의 특정 서브프레임 세트(예를 들어, 정적 하향링크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하여 CSI를 측정하여 보고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등을 통해 각 구성 반송파의 서브프레임 세트 정보를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 구성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는, 수신모듈(11), 전송모듈(12), 프로세서(13), 메모리(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송포인트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전송포인트 장치(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그 외에도 전송포인트 장치(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20)는, 수신모듈(21), 전송모듈(22), 프로세서(23), 메모리(24) 및 복수개의 안테나(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3)는 단말 장치(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0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송포인트 장치(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서브프레임 용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1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기반으로 설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재설정하는 제2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CSI 요청 필드가 포함된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포멧(format)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CSI 요청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trigger)하는 것을 기반으로, CSI 참조 자원에서 PDSCH 전송 블록에 기초해 CQI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QI 값을 포함하는 CSI 보고를 서브프레임 n에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n은 임의의 식별자로,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전의 유효 서브프레임들 중, 마지막 유효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CSI 참조자원은 상기 제1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기반으로 설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면서, 상기 제2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기반으로 재설정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CSI 보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둘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가 설정(configured)된 경우, 상기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는 상기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CSI 보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유효 서브프레임은 상기 CSI 보고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것인, CSI 보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는 하나 이상의 CSI 프로세스가 설정(configured)된 것인, CSI 보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SI 프로세스는 신호 측정을 위한 CSI-RS(Reference signal) 자원과 간섭 측정을 위한 2개의 CSI-IM(Interference Measurement) 자원으로 구성된 것인, CSI 보고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CSI 요청 필드에 의해 지시된 서브프레임 세트에 해당하는 것인, CSI 보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configuration)과 달리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능력(capability)이 있는 단말인, CSI 보고 방법.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SI 요청 필드의 값과 상기 둘 이상의 서브프레임 세트와의 관계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는, CSI 보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설정(configured)된 전송 모드는 전송모드 1 내지 10 중 하나인, CSI 보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는 상향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인, CSI 보고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SI 보고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CSI 보고 방법.
  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Reference Resource) 구성(configuration)이 설정된 단말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한 서브프레임 용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1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기반으로 설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재설정하는 제2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고,
    CSI 요청 필드가 포함된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포멧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CSI 요청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을 기반으로, CSI 참조 자원에서 PDSCH 전송 블록에 기초해 CQI 값을 결정하며,
    상기 CQI 값을 포함하는 CSI 보고를 서브프레임 n에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n은 임의의 식별자이고,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전의 유효 서브프레임들 중, 마지막 유효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CSI 참조 자원은 상기 제1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기반으로 설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면서, 상기 제2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기반으로 재설정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단말 장치.
KR1020157030898A 2013-04-16 2014-04-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2229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2688P 2013-04-16 2013-04-16
US61/812,688 2013-04-16
US201361813163P 2013-04-17 2013-04-17
US61/813,163 2013-04-17
US201361815253P 2013-04-23 2013-04-23
US61/815,253 2013-04-23
US201361868054P 2013-08-20 2013-08-20
US61/868,054 2013-08-20
US201361875672P 2013-09-09 2013-09-09
US61/875,672 2013-09-09
US201361914948P 2013-12-11 2013-12-11
US61/914,948 2013-12-11
US201461925640P 2014-01-09 2014-01-09
US61/925,640 2014-01-09
PCT/KR2014/003318 WO2014171742A1 (ko) 2013-04-16 2014-04-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182A KR20160011182A (ko) 2016-01-29
KR102229978B1 true KR102229978B1 (ko) 2021-03-19

Family

ID=5173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898A KR102229978B1 (ko) 2013-04-16 2014-04-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122481B2 (ko)
KR (1) KR102229978B1 (ko)
CN (2) CN105122680B (ko)
GB (1) GB2527246A (ko)
WO (2) WO2014171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5164B2 (en) * 2011-04-28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alid reference subfram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JP6475634B2 (ja) * 2012-12-30 2019-02-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セル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リソース情報共有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4181154A1 (en) * 2013-05-09 2014-11-13 Nokia Siemens Networks Oy Measurements in a wireless system
US9860880B2 (en) * 2013-07-05 2018-01-02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US9923699B2 (en) * 2013-08-08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back aperiodic CSI in flexible TDD reconfiguration system
US9807763B2 (en) * 2013-08-21 2017-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figuring CSI measurements
WO2015125919A1 (ja) * 2014-02-24 2015-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4935389B (zh) * 2014-03-21 2020-05-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测量方法和装置
CN105471552B (zh) * 2014-06-13 2020-01-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CN106922207B (zh) * 2014-12-16 2020-08-11 富士通株式会社 基于探测参考信号的下行信道估计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CN107431943B (zh) * 2015-01-29 2021-02-19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基站、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SG11201710803PA (en) * 2015-07-08 2018-01-30 Sharp Kk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06656280A (zh) * 2015-07-20 2017-05-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道状态信息的反馈及其控制方法和设备
US10602389B2 (en) 2015-08-13 2020-03-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the method
WO2017135726A1 (ko) * 2016-02-05 2017-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492213B2 (en) 2016-03-02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by terminal,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CN107294643B (zh) * 2016-03-31 2021-07-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反馈和配置的方法和装置
WO2018030756A1 (ko) * 2016-08-08 201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채널 상태 정보 수신 방법 및 기지국
WO2018062910A1 (ko) * 2016-09-29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개루프 mimo 전송을 위한 하이브리드 csi 의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32045B2 (en) * 2017-02-03 2021-06-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8933648B (zh) * 2017-05-27 2022-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终端、基站
US11071128B2 (en) * 2017-11-10 2021-07-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ignaling a channel state information request and a communication link event
EP3711211A4 (en) * 2017-11-17 2021-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W DEFINITION OF A REFERENCE RESOURCE OF CSI FOR REPORT OF CSI IN NR
EP4164285A1 (en) 2017-11-24 2023-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9302272B (zh) * 2018-02-13 2022-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si报告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电子装置
CN110324124B (zh) * 2018-03-29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周期探测参考信号srs的传输方法及终端设备
WO2020052755A1 (en) * 2018-09-12 2020-03-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of resources for downlink csi measurements
CN113455041B (zh) * 2019-02-24 2024-01-30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用于副链路终端发送和接收与信道状态报告相关的信号的方法和装置
US11689267B2 (en) 2019-05-03 2023-06-27 Mediatek Inc. Aperiodic CSI triggering in scenarios with multiple PDCCHs
US11356162B2 (en) 2019-05-24 2022-06-07 Mediatek Inc. CSI reporting for multiple transmission points
CN113170493B (zh) * 2019-07-03 2023-04-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式确定方法及相关设备
US11877172B2 (en) * 2020-08-05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spectrum coordination
KR102581349B1 (ko) * 2020-11-06 2023-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서 프레임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6803025A (zh) * 2021-01-15 2023-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信道状态信息测量和报告的方法、装置和系统
CN116827396A (zh) * 2022-03-22 2023-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处理方法、终端、基站、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4042A1 (en) 2008-08-01 2011-03-17 So Yeon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ple carrier system
WO2012067442A2 (ko) 2010-11-17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8646B1 (en) * 2009-09-16 2017-08-1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02812658B (zh) 2010-01-08 2015-12-1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针对多个载波的信道状态信息传输的方法及设备
US20130030144A1 (en) * 2010-01-08 2013-01-31 Shaver Michael P Star polymers having controlled tacticity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638684B2 (en) 2010-04-05 2014-01-28 Qualcomm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762372B2 (en) * 2010-06-15 2017-09-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SI reporting on PUSCH for carrier aggregation
CN101917259B (zh) * 2010-08-16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周期信道状态信息报告的触发方法及基站
CN101908951B (zh) 2010-08-16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的报告方法及基站
KR101876884B1 (ko) 2010-11-09 2018-07-10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전기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배열
KR102585652B1 (ko) * 2011-01-07 2023-10-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중 송신 포인트의 채널 상태 정보(csi) 전달
EP2620016B1 (en) * 2011-01-10 2017-07-05 MediaTek Inc.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instanz zum durchführen einer kanalzustandsinformationenmessung sowie kommunikationsvorrichtungen dafür
US8761062B2 (en) * 2011-01-11 2014-06-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SI measurement, reporting and collision-handling
US8817647B2 (en) * 2011-02-15 2014-08-26 Mediatek Inc. Priority rules of periodic CSI reporting in carrier aggregation
JP5462203B2 (ja) 2011-02-18 2014-04-02 株式会社Nttドコモ 非周期的チャネル状態情報通知方法、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
US9019850B2 (en) * 2011-04-11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CSI reporting for multiple carriers with different system configurations
US8934350B2 (en) * 2011-05-23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for carrier aggregation with flexible carrier configurations
KR20130018052A (ko) * 2011-08-12 2013-02-20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325013B (zh) * 2011-07-19 2014-04-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道状态信息传输方法和设备
CN102271032B (zh) 2011-08-09 2014-11-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实现上行反馈的方法、系统及装置
KR20210053355A (ko) * 2011-08-12 2021-05-1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간섭 측정
CN102368697B (zh) 2011-09-30 2018-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干扰测量信令通知、干扰测量及反馈方法及其装置
GB2496451A (en) 2011-11-14 2013-05-15 Renesas Mobile Corp Designating a subframe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ement at least a specified number of subframes before a subframe in which it is to be reported
US9647157B2 (en) * 2011-12-13 2017-05-09 Solarcity Corporation Discrete attachment point apparatus and system for photovoltaic arrays
JP6097766B2 (ja) * 2012-01-27 2017-03-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キャリアベースおよび/または疑似照合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epdcch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または方法
CN102624490A (zh) * 2012-03-27 2012-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系统及用户设备
US11546787B2 (en) * 2012-05-09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SI definitions and feedback mode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N103427938B (zh) * 2012-05-18 2018-11-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配置信道测量和dl csi反馈的方法、系统及设备
CN104584450B (zh) * 2012-06-04 2018-01-2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传递多个传输点的信道状态信息(csi)
US9912430B2 (en) * 2012-07-06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eporting
US9106386B2 (en) * 2012-08-03 2015-08-11 Intel Corpor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US9544801B2 (en) * 2012-08-03 2017-01-10 Intel Corporation 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coordinated multipoint (coMP) systems
US9060361B2 (en) * 2012-09-27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N103945449B (zh) * 2013-01-18 2018-12-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si测量方法和装置
TWI561037B (en) * 2013-01-22 2016-12-01 Innovative Son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new carrier typ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06725B2 (en) * 2013-03-13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adaptively configured TDD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4042A1 (en) 2008-08-01 2011-03-17 So Yeon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ple carrier system
WO2012067442A2 (ko) 2010-11-17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Qualcomm Incorporated,R1-124442,'CSI processing relaxations for DL CoMP',3GPP TSG-RAN WG1 #70bis,October 8-12,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0648A1 (en) 2016-02-18
CN105122669A (zh) 2015-12-02
KR20160011182A (ko) 2016-01-29
CN105122680A (zh) 2015-12-02
GB201517834D0 (en) 2015-11-25
CN105122680B (zh) 2019-01-29
GB2527246A (en) 2015-12-16
WO2014171739A1 (ko) 2014-10-23
WO2014171742A1 (ko) 2014-10-23
US10122481B2 (en) 2018-11-06
CN105122669B (zh) 2019-06-18
US20160056877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9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10277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743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504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hannel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96261B1 (e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45497B1 (ko) 협력적 송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620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 전송 방법 및 장치
US9674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864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back aggreg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cooperative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
US96021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537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357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by remov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185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80184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interference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077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GB25272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