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052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052A
KR20130018052A KR1020110080889A KR20110080889A KR20130018052A KR 20130018052 A KR20130018052 A KR 20130018052A KR 1020110080889 A KR1020110080889 A KR 1020110080889A KR 20110080889 A KR20110080889 A KR 20110080889A KR 20130018052 A KR20130018052 A KR 2013001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tpc command
subframe
reception timing
pus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형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8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8052A/ko
Priority to PCT/KR2012/005318 priority patent/WO2013005991A2/ko
Publication of KR2013001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서빙셀에 관한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가 어떠한 것이든지 부서빙셀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타이밍과 주서빙셀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이 전송되는 타이밍과 맞출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 COMPONENT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시간 및 코드영역과 같은 무선자원이 겹치지 않도록 구분하는 방식이 필요한데, 이러한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다중접속기술(multiple access scheme)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구분은 주파수, 시간 및 코드 영역에서 가능하다. 듀플렉스 방식은 크게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방식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방식으로 나뉜다.
FDD 방식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구분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의 전송이 각 링크에서 시간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DD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같은 크기의 주파수를 대칭적으로 할당하고 있어, 음성통화와 같은 대칭형 서비스(symmetric service)에 적절하여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들어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비대칭형 서비스(asymmetric service)에는 TDD 방식이 적합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DD 방식은 상향링크, 하향링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칭형 서비스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TDD 방식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되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채널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등에 적합하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은 상향링크로 사용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은 하향링크로 사용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
다중 요소 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의 등장으로, 다수의 요소 반송파(CC)들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TDD 방식에서 각 요소 반송파들이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의 수신 타이밍이 서로 다르면 시스템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상황을 요청하고, 이를 보고하는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시스템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의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빙셀별로 독립적인 상향/하향 설정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든 서빙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의 수신 타이밍에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채널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채널상황정보의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 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에 대한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제 2 서빙셀의 각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 1 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로부터 TPC 명령 수신 타이밍 들의 총합이 최소값을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 복수의 TPC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TPC 명령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복수 개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TPC 명령 중 어느 TPC 명령이 적용되는 지를 상향링크 인덱스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인덱스는 1비트이고, 상기 PDCCH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 또는 DCI 포맷 4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TPC 명령은 상기 PDCCH내의 DCI 포맷 1A/1B/1D/1/2A/2/2B/2C/3/3A 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은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은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말 프로세서,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기지국 프로세서,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전송하는 기지국 전송부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기지국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주서빙셀에 관한 상향/하향 설정에 관한 정보가 어떠한 것이든지 부서빙셀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타이밍과 주서빙셀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이 전송되는 타이밍과 맞출 수 있다. 또한, 부서빙셀에 대하여 채널상황정보의 요청에 따른 타이밍과, 이에 따라 채널상황정보를 보고하는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서빙셀별 상향/하향 설정이 동일하지 않음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의 수신 타이밍의 모호성 또는 채널상황정보 보고 타이밍의 모호성이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3GPP LTE 시스템에서 TDD 무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새로운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RAR 그랜트를 전송하기 위한 공용검색공간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라는 의미는 특정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혹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주서빙셀은 상향링크/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모두 포함하는 구성만 가능하다. 다른 서빙셀들의 경로감쇄(path loss), 상향링크/히향링크 동기의 기준이 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주요 상위 계층 제어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송수신하는 정보에 대한 보안 키 값 설정의 기준 서빙셀로 사용된다. 주서빙셀 변경 시 핸드오버 절차를 통해 변경해야 한다. 여기서 단말이 사용하는 전체 서빙셀들의 개수 및 주파수 위치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주서빙셀의 주파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핸드오버 절차를 통해 변경해야 한다. 해당 셀에 캠프 온(camp on)을 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정보 및 데이터 송수신 시 변경되는 시스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주서빙셀의 서비스 가능지역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채널인 BCCH (Broadcast channel)를 통해 수신한다.
부서빙셀은 주서빙셀과 달리 주요 상위계층 제어정보 및 일부 물리계층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주로 추가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자원의 확장 개념으로 추가되는 서빙셀이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서빙셀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다.
이때,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Inter-band)에 존재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 밴드(Intra-band)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210)는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물리(physical) 계층(220)을 관리한다. 특정 반송파로 전송되는 MAC 관리 메시지는 다른 반송파에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MAC 관리 메시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포함하여 다른 반송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물리계층(220)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할 수 있다.
물리계층(220)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 제어채널들이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나른다.
도 3은 3GPP LTE 시스템에서 TDD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ms의 길이를 가지며 5 ms의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반 프레임(half-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반 프레임은 1 ms의 길이를 가지는 5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 subframe),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 subframe),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된다. 하나의 TDD 무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symbol)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 또는 심벌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RB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OFDM 심볼과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분리시키는 특정 주기(period)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며, 특수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보호 구간),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이다. 이때, 특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언급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제어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포함된다.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DCCH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이를 DL 그랜트(downlink grant)라고도 한다)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이를 UL 그랜트(uplink grant)라고도 한다),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임의의 UE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명령 등을 가리킨다. PHICH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단말이 데이터 검출을 시도하지 않는(예컨대, 기준 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기준 신호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등) 비검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검출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은 2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용도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를 위한 것이다. MBMS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여러 셀에서 동시에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인데, MBMS를 위한 신호는 여러 셀에서 동시에 전송되기 때문에 셀 마다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전송되는 유니캐스트(unicast)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의 삽입 방식이 달라야 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MBMS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단말에게 알리고 해당 서브프레임에서는 유니캐스트와 다른 기준 신호 삽입 방식이 사용된다.
두 번째 용도는 기지국 또는 중계국이 연결된 단말에게 불필요한 신호 수신 동작 및 기준 신호 측정(reference signal measurement)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GPP LTE에서 단말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포함한 어떤 신호도 받지 못하게 되면 오작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단말에게 알린다. 그러면, 단말(보다 구체적으로는 3GPP LTE release-8 단말)은 MBSFN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기준 신호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은 두 번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다음 표 1은 여러가지 포맷에 따른 DCI를 나타낸다.
DCI 포맷 설명
0 PUSCH(상향링크 그랜트)의 스케줄링에 사용됨
1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codeword)의 스케줄링에 사용됨
1A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 및 PDCCH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사용됨
1B 프리코딩 정보를 이용한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에 사용됨
1C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 및 MCCH 변경의 통지를 위해 사용됨
1D 프리코딩 및 전력 오프셋 정보를 포함하는 1개 셀에서의 1개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략한 스케줄링에 사용됨
2 공간 다중화 모드로 구성되는 단말에 대한 PDSCH 스케줄링에 사용됨
2A 긴지연(large delay)의 CDD 모드로 구성된 단말의 PDSCH 스케줄링에 사용됨
2C 전송모드 9(다중 레이어(layer) 전송)에서 사용됨
2D 연계된 다중전송단 방식에서 사용됨
3 2비트의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PUCCH와 PUSCH를 위한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됨
3A 단일 비트 전력 조정을 포함하는 PUCCH와 PUSCH를 위한 TPC 명령의 전송에 사용됨
4 다중 안테나 포트 전송모드를 이용한 1개의 상향링크 셀에서의 PUSCH 스케줄링에 사용됨
표 1을 참조하면, DCI 포맷 0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가리키고,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한(compact)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A, DL-SCH의 매우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C, 폐루프(Closed-loop)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 개루프(Open-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A, 상향링크 채널을 위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 및 3A가 있다.
DCI의 각 필드는 n개의 정보비트(information bit) a0 내지 an -1에 순차적으로 맵핑된다. 예를 들어, DCI가 총 44비트 길이의 정보비트에 맵핑된다고 하면, DCI 각 필드가 순차적으로 a0 내지 an -1에 맵핑된다. DCI 포맷 0, 1A, 3, 3A는 모두 동일한 페이로드(payload) 크기를 가질 수 있다. DCI 포맷 0은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라 불릴 수도 있다.
다음 표 2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또는 상향링크 그랜트)인 DCI 포맷 0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들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3은 3GPP LTE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에 따른 설정 가능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로서, 이를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TDD UL/DL configuration, 이하에서 TDD 설정이라고 한다) 이라고도 한다. 표 3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UL/DL 설정 서브프레임 넘버 i
0 1 2 3 4 5 6 7 8 9
0 D S U U U D S U U U
1 D S U U D D S U U D
2 D S U D D D S U D D
3 D S U U U D D D D D
4 D S U U D D D D D D
5 D S U D D D D D D D
6 D S U U U D S U U D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 이다. 예를 들어, 설정(UL-DL Configuration) 0에서 보면, 0번째부터 4번째 서브프레임까지 D->S->U->U->U로 전환되고, 5번째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이전과 동일하게 D->S->U->U->U로 전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이므로,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5ms이다. 즉,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길이(10ms)보다 적으며, 무선 프레임 내에서 전환되는 양상이 1회 반복된다.
기지국 또는 중계국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MBFS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 후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이 있다. 예컨대, 일 예로 무선 통신 시스템이 3GPP LTE 시스템이고, i) TD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서브프레임 0, 1, 5, 6, ii) FD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서브프레임 0, 4, 5, 9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없다. 동기화 신호(예컨대,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같은 주요 제어신호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이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 블록 쌍(RB pair)으로 할당된다. 자원 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 블록들은 제1 슬롯과 제2 슬롯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PUCCH에 할당되는 자원 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 블록이 차지하는 주파수는 슬롯 경계(slot boundary)를 기준으로 변경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가 홉핑(frequency-hopped)되었다고 한다. 단말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m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CCH에 할당된 자원블록 쌍의 논리적인 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인덱스이다.
PUC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에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PUSCH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UL-SCH(Up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된다. PUS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TTI 동안 전송되는 UL-SCH를 위한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일 수 있다. 상기 전송 블록은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다중화된(multiplexed) 데이터일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UL-SCH를 위한 전송 블록과 제어정보가 다중화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다중화되는 제어정보에는 CQI,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HARQ, RI(Rank Indicator)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제어정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은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CCH를 통해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DSCH의 자원 할당 및/또는 상기 특정 요소 반송파와 기본적으로 링크되어 있는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PUSCH의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는 스케줄링 방법이다. 즉, PDCCH와 PDSCH가 서로 다른 DL CC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UL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전송된 DL CC와 링크된 UL CC가 아닌 다른 UL CC를 통해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면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UL grant 등)는 특정 서빙셀(또는 CC)만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는 서빙셀(또는 CC)를 오더링(Ordering) 서빙셀(또는 CC), 오더링 서빙셀(또는 CC)가 스케줄링하는 다른 서빙셀(또는 CC)를 팔로윙(Following) 서빙셀(또는 CC)라고 한다. 오더링 서빙셀은 스케줄링 셀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팔로윙 서빙셀은 RRC 시그널등을 통해 스케줄링 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셀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오더링 서빙셀 및 팔로윙 서빙셀은 각각 오더링 CC 및 팔로윙 CC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PDCCH가 제어정보를 제공하는 PDSCH/PUSCH가 어떤 DL CC/UL CC를 통하여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반송파 지시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반송파 지시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이하에서 반송파 지시 필드(carrier indication field, CIF)라 칭한다.
앞서 언급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은 하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Downlink cross-carrier scheduling)과 상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Uplink cross-carrier schedul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은 PDSCH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PDCCH가 전송되는 요소 반송파가 PDSCH가 전송되는 요소 반송파와 다른 경우를 의미한다. 상향링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은 PUSCH 전송을 위한 UL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가 전송되는 요소 반송파가 PUSCH가 전송되는 UL 요소 반송파와 링크된 DL 요소 반송파와 다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 전송된 PDCCH가 팔로윙 서빙셀의 PUCCH를 제어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상향링크 전력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향링크 전력제어는 서로 다른 각 상향링크 물리채널을 제어한다. PUSCH의 경우, 송신 전력
Figure pat00002
은 첫번째로 적어도 하나의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안테나의 개수와 전송방식에 따라 구성된 안테나의 개수로 조정(scale)된다. 상기 조정된 전체 전력은 적어도 하나의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안테나에 대하여 동등하게 나누어져 할당된다. 반면, PUCCH 또는 SRS의 경우, 송신 전력
Figure pat00003
또는
Figure pat00004
은 PUCCH 또는 SRS에 대해 구성된 안테나 포트들에 동등하게 할당된다.
먼저, PUSCH의 송신 전력의 제어를 설명한다.
만일 임의의 서빙셀 c에 대하여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 에서 PUSCH 전송에 대하여 아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되는 전력 PPUSCH ,c(i)을 전송한다.
Figure pat00005
만일 임의의 서빙셀 c에 대하여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의 아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되는 전력 PPUSCH ,c(i)을 전송한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PCMAX ,c(i)는 서빙셀 c 에 대하여 구성된 최대 단말 송출 전력
Figure pat00007
은 dB를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다.
Figure pat00008
는 PPUCCH(i) 값을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MPUSCH ,c(i)는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 에서 PUSCH이 할당된 자원의 대역폭을 RB의 개수로 표현한 값이다.
PO _ PUSCH ,c(j)는 서빙셀 c에 대한 j값이 0 그리고 1일 때 상위 계층의 시그널링에 의해서 정해지는 PO _ NOMINAL _ PUSCH ,c(j)와 PO _ UE _ PUSCH ,c(j)의 합이다. 이때, 반-지속적(semi-persistent) 그랜트 PUSCH 전송(또는 재전송)인 경우 j는 '0'값을 갖는다. 반면에, 동적 스케줄된 그랜트 PUSCH 전송(또는 재전송)인 경우 j는 '1'값을 갖는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 PUSCH 전송(또는 재전송)인 경우 j는 '2'값을 갖는다. 또한,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 PUSCH 전송(또는 재전송)인 경우 PO_UE_PUSCH,c(2)는 0이고, PO _ NOMINAL _ PUSCH ,c(2)는 PO _ PRE와 △PREAMBLE _ Msg3이다, 여기서 파라미터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PO_PRE) 와 △PREAMBLE _ Msg3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된다.
만일 j가 '0' 또는 '1'인 경우, 상위계층에서 제공되는 3비트 파라미터에 의해 αc∈{0, 0.4, 0.5, 0.6, 0.7, 0.8, 0.9, 1} 값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j가 '2'인 경우 항상 αc(j)=1이다.
PLc는 단말에서 계산된 서빙셀 c에 대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예상치를 말하며(dB단위), 그 값은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referenceSignalPower 는 상위계층에서 제공되는 값으로 하향링크 참조신호의 EPRE (Energy Per Resource Element) 값으로 dBm 단위로 제공된다.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는 참조 서빙셀에 대한 참조신호의 수신전력 값이다.
참조서빙셀로 선택된 서빙셀 그리고 상기 PLc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referenceSignalPower 과 higher layer filtered RSRP 의 결정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인 pathlossReferenceLinking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pathlossReferenceLinking에 의해 구성되는 참조서빙셀은 주서빙셀 또는 UL CC와 SIB2 연결 설정되어 있는(corresponding) 부서빙셀의 DL SCC가 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Ks가 1.5일 때,
Figure pat00010
이고, Ks가 0일 때는 0이다. 여기서, Ks는 서빙셀 c, BPRE 및
Figure pat00011
각각에 대하여 상위 계층(higher layers)에 의해 제공된 파라미터 deltaMCS-Enabled로부터 주어진다.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한 모드인 전송 모드 2에서 Ks는 0이다.
또한, UL-SCH 데이터 없이 PUSCH를 통해 제어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BPRE는 OCQI/NRE이고, 그 외에는
Figure pat00012
이다. 여기서 C는 코드블록의 개수이며, Kr은 코드블록의 크기이며, OCQI는 CRC 비트수를 포함한 CQI/PMI 비트 개수이며, NRE는 결정된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들의 개수이다. 즉,
Figure pat00013
이다. 만약, PUSCH를 통해 UL-SCH 데이터 없이 제어정보만이 전송되는 경우
Figure pat00014
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항상 1로 설정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δPUSCH ,c는 서빙셀 c에 대한 DCI 포맷 0 또는 4 내에 존재하는 송신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 TPC) 명령 또는 다른 단말들과 공동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DCI 포맷 3/3A내의 TPC 명령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수정값(correction value)이다. 상기 DCI 포멧 3/3A는 CRC 패리티 비트들이 TPC-PUSCH-RNTI 로 스크램블링 되어 있어 상기 RNTI 값이 할당된 단말들만이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RNTI값은 임의의 단말이 다수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경우, 상기 각 서빙셀을 구분하기 위해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RNTI값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δPUSCH ,c를 조절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현재 서빙셀 c에 대한 PUSCH 전력제어 조정 상태는 fc(i)로 주어지며 다음 수학식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15
이는,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계층에 의해 누적(accumulation)이 활성화된 경우 또는 TPC 명령 δPUSCH ,c가 임시(Temporary)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이 PDCCH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여기서 δPUSCH ,c(i-KPUSCH)는 i-KPUSCH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었었던 PDCCH 내의 DCI 포맷 0/4 또는 3/3A 내에 있는 TPC 명령이고, fc(0)는 누적 리셋 후 첫번째 값이다.
KPUSCH 값과 관련하여, FDD인 경우 KPUSCH는 4이고, TDD 설정이 1 내지 6인 경우 KPUSCH 값은 다음 표 4와 같다.
TDD UL/DL 설정 서브프레임 넘버 i
0 1 2 3 4 5 6 7 8 9
0 - - 6 7 4 - - 6 7 4
1 - - 6 4 - - - 6 4 -
2 - - 4 - - - - 4 - -
3 - - 4 4 4 - - - - -
4 - - 4 4 - - - - - -
5 - - 4 - - - - - - -
6 - - 7 7 5 - - 7 7 -
표 4를 참조하면, '-' 표시 된 부분은 DL 서브프레임이고, 숫자로 표시된 부분은 UL 서브프레임이다.
TDD 설정 #0인 경우, 만일 서브프레임 #2 또는 서브프레임 #7에서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PDCCH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PDCCH내의 DCI 포맷 0/4 내에 2비트 UL 인덱스의 LSB(Least Significant Bit)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 는 7이다. 그 이외의 모든 경우의 KPUSCH 값은 상기 표 4와 같다. 상기 2비트 UL 인덱스는 상기 표 4로 스케줄링 할 수 없는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스케줄링해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단말은 DRX(discontinous reception) 동작 중인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해 시도한다. 이는, 단말의 C-RNTI에 대한 DCI 포맷 0/4 또는 SPS C-RNTI에 대한 DCI 포맷 0 및 단말의 TPC-PUSCH-RNTI에 대한 DCI 포맷 3/3A의 PDCCH를 포함한다.
만일 서빙셀 c에 대한 DCI 포맷 0/4 와 DCI 포맷 3/3A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수신된 경우, 단말은 DCI 포맷 0/4의 δPUSCH ,c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δPUSCH ,c는 0dB 인 경우는 서빙셀 c에 대한 TPC 명령이 없거나 DRX 동작 중이거나 해당 서브프레임이 TDD의 UL 서브프레임인 경우이다.
DCI 포맷 0/3/4 내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2,3 일때, 누적된 δPUCCH dB 값은 각각 -1,0,1,3이다. 만약, DCI 포맷 0의 PDCCH가 SPS 활성화(activation) 또는 릴리즈(release) PDCCH로 승인되면, δPUSCH ,c는 0dB이다.
DCI 포맷 3A 내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일 때, 누적된 δPUCCH dB 값은 각각 -1, 1이다.
만약, 단말이 서빙셀 c에 대하여 PCMAX ,c에 다다르면, 긍정적인(positive)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단말이 최소 전력에 다다르면, 부정적인(negative)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서빙셀 c에 대하여 PO _ UE _ PUSCH ,c 값이 상위계층에 의해서 변경되거나, 주서빙셀에 대하여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누적을 리셋(reset)할 것이다.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서빙셀 c에 대하여 상위계층에 의해 누적(accumulation)이 비활성화된 경우 fc(i)는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16
여기서, δPUSCH ,c(i-KPUSCH)는 서브프레임 #i-KPUSCH에서 서빙셀 c에 대한 PDCCH내의 DCI 포맷 0/4을 통해 전송된다.
KPUSCH 값은 FDD의 경우 4이고, TDD UL/DL 설정 #1 내지 #6에서 상기 표 4와 같이 주어진다.
TDD UL/DL 설정 #0에서, 서브프레임 #2 또는 서브프레임 #7의 PUSCH 전송이 스케줄링 되고, PDCCH내의 DCI 포맷 0/4의 2비트 UL 인덱스의 LSB는 '1'로 설정된다면, KPUSCH는 7이다. 그 이외의 경우 KPUSCH는 상기 표 4와 같이 주어진다.
서빙셀 c에 대한 PDCCH내의 DCI 포맷 0/4가 디코딩되지 않거나, DRX가 발생하거나, TDD에서 서브프레임 #i가 UL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fc(i)는 fc(i-1)과 같다.
PO _ UE _ PUSCH ,c 값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변경되고 서빙셀 c가 주서빙셀인 경우, 또는 PO _ UE _ PUSCH ,c 값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수신되고 서빙셀 c가 부서빙셀인 경우, fc(0)은 0이다. 그 밖의 경우, 서빙셀 c가 주서빙셀이라면 fc(0)=△Prampupmsg2이고, 여기서, δmsg2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의해서 지시된 TPC 명령이다. 또한, △Prampup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제공되며, 최초의 프리앰블부터 마지막 프리앰블까지 총 전력 램프-업(ramp-up)에 대한 것이다.
이제, SRS의 송신 전력의 제어를 설명한다.
단말은 서빙셀 c에 대한 SRS를 서브프레임 #i에서 다음 수학식과 같은 단말 송신 전력 PSRS로 전송한다.
Figure pat00017
여기서, PCMAX ,c(i)는 서빙셀 c 에 대하여 구성된 최대 단말송출전력
Figure pat00018
dB를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다. PSRS _ OFFSET ,c(m)는 4 비트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MSRS ,c 는 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에서 전송되는 SRS의 대역폭으로써, RB 수로 표현된다.
fc(i)는 서빙셀 c에 대한 현재 PUSCH 전력 제어 조정 상태이다.
PO _ PUSCH ,c(j) 및 αc(j)는 PUSCH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설명한 파라미터와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서 SRS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타이밍은 본 발명에 따라서 PUSCH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제, PUCCH의 전력 제어를 설명한다.
단말은 주서빙셀 c에 대한 서브프레임 #i 에서 PUCCH 전송에 대하여 아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되는 전력 PPUCCH ,c(i)으로 전송한다.
Figure pat00019
여기서, PCMAX ,c(i)는 서빙셀 c 에 대하여 구성된 최대 단말 송출전력
Figure pat00020
dB를 선형으로 변환한 값이다. △F_ PUCCH(F) 및 △TxD(F')는 상위계층을 통해서 정해진다. h(nCQI,nHARQ,nSR) 는 PUCCH 포맷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PO _ PUCCH 는 상위 계층에서 전송되는 PO _ NOMINAL _ PUCCH 와 PO _ UE _ PUCCH의 합의 값을 가진다.
δPUCCH는 단말 특정적 값으로서, DCI 포맷 1A/1B/1D/1/2A/2/2B/2C를 통해 전송되는 TPC 명령 또는 다른 단말들과 공동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되는 DCI 포맷 3/3A 내의 TPC 명령을 참조하여 결정된다. 상기 DCI 포맷 3/3A는 CRC 패리티 비트가 TPC-PUCCH_RNTI로 스크램블 되어 있어 상기 RNTI값이 할당된 단말들만이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RNTI값은 임의의 단말이 다수의 서빙셀들로 구성된 경우, 상기 각 서빙셀을 구분하기 위해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RNTI값이 할당될 수 있다.
특히, 현재 PUCCH 전력제어 조정 상태는 g(i)로 주어지며 다음 수학식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21
여기서, M은 셋(set) K의 요소(element)의 수, 즉, i번째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이다. FDD 시스템의 경우 M은 1이고, k0는 4이다. TDD 시스템의 경우 km은 다음과 같은 표 5와 같다.
UL-DL 설정 서브프레임 넘버 i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6 4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6, 5 5,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DCI 포맷 1A/1B/1D/1/2A/2/2B/2C 내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2,3 일 때, δPUCCH dB 값은 각각 -1,0,1,3이다.
만약 PDCCH내의 DCI 포맷 1/1A/2/2A/2B/2C/3가 SPS 활성화 PDCCH로 승인되거나, PDCCH내의 DCI 포맷 1A이 SPS 릴리즈 PDCCH로 승인되면, δPUCCH는 0dB이다.
PDCCH내의 DCI 포맷 3A의 TPC 명령 필드가 각각 0,1일 때, δPUCCH dB 값은 각각 -1,1이며, 상위 계층에 의하여 반-동적으로(semi-statically) 설정된다.
만약, PO _ UE _ PUCCH 값이 상위 계층에 의하여 변경되면, g(0)은 0이다. 그 외의 경우, g(0) = △Prampup + δmsg2이다. 여기서, δmsg2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의해 지시된 TPC 명령이고, △Prampup 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제공되며, 최초의 프리앰블부터 마지막 프리앰블까지 총 전력 램프-업(ramp-up)이다.
만약, 단말이 주서빙셀에 대하여 PCMAX ,c에 다다르면, 주서빙셀에 대한 긍정적인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단말이 최소 전력에 다다르면, 부정적인 TPC 명령이 누적되지 않을 것이다.
PO _ UE _ PUCCH 값이 상위 계층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 또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누적을 리셋한다.
TDD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 #i가 UL 서브프레임이 아닐 경우 g(i)는 g(i-1)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할 경우,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오더링 서빙셀의 최적화된 TPC 명령의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할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을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 수신하고, 단말이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팔로윙 서빙셀을 통해서 전송을 수행한다. 오더링 서빙셀과 팔로윙 서빙셀이 서로 다른 TDD 설정을 가질 때, 단말이 적절히 TPC 명령을 수신하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단말이 PUSCH(또는 SRS)를 전송하는 경우와 PUCCH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누어서 설명한다. SRS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PUSCH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한다.
< 1. 단말이 PUSCH 또는 S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오더링 서빙셀에서 DCI 포맷(예를 들면, DCI 포맷 0/4/3/3A)을 통해서 TPC 명령을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이 상기 TPC 명령을 기초로 PUSCH 송신 전력 또는 SRS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는 경우 단말은 오더링 서빙셀(또는 제1 서빙셀) 및 팔로윙 서빙셀(또는 제2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초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다(S600). 오더링 서빙셀 및 팔로윙 서빙셀의 각 TDD 설정이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는 단말이 미리 알고 있을 수 있고, 단말이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기 전에 별도로 기지국이 단말로 미리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이란, 단말이 서브프레임 #i에서 PUSCH 또는 SRS를 전송할 때(이하에서 PUSCH를 전송한다고 표현하는 것은 SRS를 전송하는 것도 포함한다), KPUSCH 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인 서브프레임 #i-KPUSCH 에서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 하도록 하는 TPC 명령의 수신 타이밍(KPUSCH)을 말한다. 즉, 단말은 오더링 서빙셀 및 팔로윙 서빙셀 각각의 TDD 설정을 기초로 미리 KPUSCH를 결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DCCH내에 포함된 TPC 명령들 중 결정한 상기 KPUSCH 이전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TPC 명령을 기초로 송신 전력을 적용한 후, PUSCH 또는 S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는 경우,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상향링크 송신 전력의 제어와 관련된 TPC 명령을 단말로 전송하는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이며 오더링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초로 정의된다. 단말이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전송하는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반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하므로, 타이밍이 깨지지 않도록, 특히, PUSCH 또는 SRS를 전송하려는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과 관련된 TPC 명령을 수신하고자 하는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이 UL 서브프레임이 되지 않도록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 값을 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단말은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서 수신하고(S605), 단말은 단계 S600에서 미리 결정한 KPUSCH를 기초로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팔로윙 서빙셀을 통해 PUSCH 또는 S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10). PDCCH내의 포함된 TPC 명령들 중에서, KPUSCH가 지시하는 타이밍에 수신된 TPC 명령을 기초로 송신 전력을 적용한 뒤, 적용한 송신 전력에 따라서 PUSCH 또는 SRS를 전송한다. 송신 전력을 조정 또는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기지국이며, 기지국의 지시를 단말이 수신하고 이를 적용하여 단말의 송신 전력이 제어된다.
이러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단말이 미리 결정하여 알고 있을 수 있지만, 기지국이 결정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 정보는 PDCCH를 통해서 TPC 명령과 함께 전송할 수 있고, RRC 시그널링등을 통해서 단말로 별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 및 기지국은 이하 표 7 내지 표 14의 타이밍 정보를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표 7의 타이밍 정보를 미리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필요 시 상기 정보들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 TDD 설정 정보(TDD Configuration)를 통하여 각 서빙셀의 TDD 설정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당 서빙셀의 타이밍 정보를 알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타이밍에서 단말이 TPC 명령을 수신하였다면, 단말이 알고 있는 타이밍 정보(KPUSCH 값 테이블)을 바탕으로 해당 TPC 명령에 대한 PUSCH 타이밍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기지국도 특정 TPC 명령에 대한 PUSCH 타이밍 정보를 알 수 있다.
RRC 시그널링 통해 전송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설정(CrossCarrierSchedulingConfig ) 정보를 통해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설정되면, 상기 타이밍 정보는 도 7의 방법에 의해서 구성된 테이블에 따라 구성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정보는 다음 표와 같다.
CrossCarrierSchedulingConfig-r10 ::= SEQUENCE {
schedulingCellInfo-r10 CHOICE {
own-r10 SEQUENCE {-- No cross carrier scheduling
cif-Presence-r10 BOOLEAN
},
other-r10 SEQUENCE { - Cross carrier scheduling
schedulingCellId-r10 ServCellIndex-r10,
pdsch-Start-r10 INTEGER (1..4)
}
}
}
여기서, cif-Presence는 CIF가 PDCCH DCI 포맷에 존재하는지(TRUE) 또는 그렇지 않은지(FALSE) 여부를 지시한다.
Pdsch-Start는 팔로윙 서빙셀(또는 부서빙셀)에 대한 PDSCH의 최초 OFDM 심볼이며,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dl_Bandwidth가 10 RB 보다 클 경우에 1,2,3 값이 적용될 수 있고,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dl-Bandwith가 10RB보다 작거나 같을 때 2,3,4 값이 적용될 수 있다.
schedulingCellId는 고려되는 서빙셀(팔로윙 셀)에 대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었을 경우, 어떤 셀(오더링 셀을 의미)이 하향링크 할당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시그널링 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기지국은 PUSCH 타이밍 및 SRS 타이밍 및 비주기적 CSI 타이밍을 단말에게 PDCCH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설정된 경우, 기지국은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PDCCH를 단말로 전송하는데, 이때, PDCCH는 단말이 전송하는 PUSCH 타이밍 정보 및 SRS 타이밍 및 비주기적 CSI 타이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UL 인덱스 2 비트 또는 1 비트를 이용하여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 테이블과 다른 HARQ 타이밍을 명령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상기 도 7의 방법에 의해서 구성된 UL 인덱스가 해당 TDD 설정에서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알고 있으므로 2 비트 또는 1비트만으로 해당 TPC 명령에 따른 PUSCH 타이밍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제1 실시예).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TPC 명령을 단말로 전송하는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이 PUSCH 또는 SRS를 전송하는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4ms 이전이 되도록, 즉, KPUSCH가 4보다 크거나 같도록 단말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다(S700).
이때,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의 개수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이 구별된다.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을 경우, 팔로윙 서빙셀의 모든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다른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을 통해 TPC 명령을 수신하도록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은 각각 서로 다른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TPC 명령을 수신 하도록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S705). 즉,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은 각각 서로 다른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과 매칭된다.
이때, 하나의 TDD 설정에 대하여 TPC 명령의 수신 타이밍(KPUSCH) 값들의 합은 최소가 되도록, 즉, min(sum[total(KPUSCH)])를 갖도록 KPUSCH를 결정한다(S710).
한편,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의 개수보다 많을 경우, 팔로윙 서빙셀의 모든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에서 TPC 명령을 전송하도록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없다. 즉, 오더링 서빙셀의 적어도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은 팔로윙 서빙셀의 복수의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TPC 명령을 전송하도록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의 일 예는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0이고,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6일 경우이다.
이때, 먼저 적어도 오더링 서빙셀의 모든 DL 서브프레임에서 팔로윙 서빙셀의 각각 다른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TPC 명령을 전송하도록 KPUSCH를 결정한다(S715). 팔로윙 서빙셀의 복수의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TPC 명령을 전송하는 오더링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오더링 서빙셀의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이 팔로윙 서빙셀의 복수의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TPC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1비트 UL 인덱스를 이용하여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다(S720). 이때, 기존 2비트 UL 인덱스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UL 인덱스는 크기가 1비트 일 수 있다. UL 인덱스는 TPC 명령을 전송하는 DCI 포맷에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은 오더링 서빙셀과 팔로윙 서빙셀의 구성에 따라서 TPC 명령을 전송하는 DCI 포맷을 1 비트 추가된 길이로 디코딩 할 수 있다.
단말 또는 기지국은 UL 인덱스가 '0'으로 설정되는 경우와 '1'로 설정되는 경우 서로 다른 KPUSCH 값을 갖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인덱스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는 6이고, UL 인덱스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는 7일 수 있다. 이러한 UL 인덱스에 관하여 단말 또는 기지국이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하나의 TDD 설정에 대하여 TPC 명령의 수신 타이밍(KPUSCH) 값들의 합은 최소가 되도록, 즉, min(sum[total(KPUSCH)])를 갖도록 KPUSCH를 결정한다(S710).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KPUSCH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0 일 때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 #6인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 표 4의 경우와 같이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6인 경우, 서브프레임 #4에 대한 KPUSCH 값이'5'이고, 서브프레임 #4로부터 5개의 서브프레임 이전인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9는 UL 서브프레임이므로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없다(S800). 따라서 상기 도 7의 방법에 따라 새로운 타이밍에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새로운 KPUSCH 값을 구성한다.
먼저,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2에서는 7개의 서브프레임 이전인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5를 통해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PUSCH 또는 SRS를 전송한다.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3에서는 7개의 서브프레임 이전인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6를 통해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PUSCH 또는 SRS를 전송한다.
그리고,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4을 위하여 새로운 KPUSCH 값을 결정한다. 상기 도 7의 방법에 따라, 새로운 KPUSCH 값은 4보다 크거나 같고,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은 4개이고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은 6개 이므로, min(sum[total(KPUSCH)])를 갖도록, 새로운 KPUSCH 값은 4로 결정한다.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인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을 통해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PUSCH 또는 SRS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KPUSCH 값(S800) 대신 새로운 KPUSCH값을 '4'로 결정하여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을 통해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PUSCH 또는 SRS를 전송한다(S801).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7에서는 6개의 서브프레임 이전인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1을 통해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PUSCH 또는 SRS를 전송하고,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8에서는 7개의 서브프레임 이전인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1을 통해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PUSCH 또는 SRS를 전송한다. 즉,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1을 통해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8에서의 단말의 송신 전력을 둘 다 제어하여 PUSCH 또는 SRS를 전송한다.
이때,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7에 대한 KPUSCH 값의 경우 '7'값을 가져도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 및 UL 인덱스를 이용하여 TPC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나, min(sum[total(KPUSCH)])을 갖도록 KPUSCH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새로운 KPUSCH 값을 '6'으로 결정한다. 또한,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8에 대한 KPUSCH 값의 경우 '7'값을 가지도록 하되, UL 인덱스를 이용하여, UL 인덱스가'0'으로 설정된 경우의 TPC 명령은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7에 대한 TPC 명령이고, UL 인덱스가 '1'로 설정된 경우 TPC 명령은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8에 대한 TPC 명령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1이 아닌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DL 서브프레임에 대한 TPC 명령을 전송할 수 있지만, KPUSCH 값의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해야 하므로 도 8과 같이 새로운 KPUSCH를 결정한다.
다음 표 7 내지 표 13에서, 오더링 서빙셀의 TDD 설정 #0 내지 TDD 설정 # 6인 경우에 대하여 상기 도 7에 따라서 결정한 최적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의 실시예를 팔로윙 서빙셀의 각 TDD 설정별로 나타낸다.
다음 표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0인 경우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을 결정한 것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Ordering CC : 0 6 7 4 6 7 4
1 7 7 7 7
2 6 6
3 7 7 4
4 7 7
5 6
6 7 7 4 6 7
표 7의 경우, 팔로윙 서빙셀이 TDD 구성 #6인 경우, UL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8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스케줄링하는 경우, 오더링 서빙셀로부터 수신하는 PDCCH내의 DCI 포맷0/4 내의 UL 인덱스 1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는 7이다. UL 인덱스의 1비트가 0이면, 서브프레임 #7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스케줄링하는 것이다. 즉, 이 경우, 오더링 서빙셀의 #0 서브프레임에서 팔로윙 서빙셀에 대하여 2개의 UL 서브프레임을 구별하여 스케줄링 해줄 수 있다.
표 8은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1을 사용하는 경우의 최적의 수신 전력 수신 타이밍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Ordering cell : 1 6 4 6 4
0 6 4 4 6 4 4
2 6 6
3 6 4 4
4 6 4
5 6
6 6 4 4 6 4
다음 표 9는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2을 사용하는 경우의 최적의 수신 전력 수신 타이밍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Ordering cell : 2 4 4
0 4 4 4 4 4 4
1 6 4 6 4
3 4 4 4
4 4 4
5 4
6 6 4 4 6 4
다음 표 10은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3을 사용하는 경우의 최적의 수신 전력 수신 타이밍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Ordering CC : 3 4 4 4
0 6 5 5 7 7 4
1 6 4 7 7
2 4 6
4 4 4
5 4
6 7 5 5 7 7
다음 표 11은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4를 사용하는 경우의 최적의 수신 전력 수신 타이밍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Ordering CC : 4 4 4
0 6 4 4 6 4 4
1 6 4 6 4
2 4 6
3 4 4 4
5 4
6 6 4 4 6 4
다음 표 12는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5를 사용하는 경우의 최적의 수신 전력 수신 타이밍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Ordering CC : 5 4
0 6 4 4 6 4 4
1 6 4 6 4
2 4 4
3 4 4 4
4
6 6 4 4 6 4
다음 표 13은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6를 사용하는 경우의 최적의 수신 전력 수신 타이밍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Ordering CC : 6 7 7 5 7 7
0 6 7 4 6 7 4
1 6 4 7 7
2 6 6
3 6 4 4
4 6 4
5 6
표 13을 참조하면,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0인 경우, 상기 표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TDD 설정 #0에서 사용하던 UL 인덱스 2 비트를 사용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할 경우 오직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6 에서만 팔로윙 서빙셀의 TPC 명령 정보를 전송하도록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6은 모든 TDD 설정에서 공통으로 PDCCH를 전송할 수 있는 DL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에 이 경우 하나의 KPUSCH 테이블 만을 만들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와 달리 서브프레임 개수를 비교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다음 표는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6에서만 TPC 명령을 전송하여 단말이 송신 전력을 제어하도록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스케줄링 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0 6 7 4 6 7 4
1 7 7 7 7
2 6 6
3 7 7 4
4 7 7
5 6
6 7 7 4 6 7
표 14를 참조하면, 오더링 서빙셀의 TDD 설정과 무관하게 4개의 DL 서브프레임을 통해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데,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0 또는 TDD 설정 #6인 경우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5개 이상이다.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의 4개의 DL 서브프레임만을 통해서 TPC 명령을 1 대 1로 매칭할 수 없고, 오더링 서빙셀의 적어도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을 통해 복수의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TPC 명령을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 TPC 명령을 수신함에 있어서 UL 인덱스를 사용한다. 이때, UL 인덱스는 1비트 일 수 있고, PDCCH 내의 DCI 포맷에 포함될 수 있다.
먼저,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0인 경우, 기존의 TDD 설정 #0의 TPC 명령을 전송하였던 타이밍에서 그대로 전송한다. 또한 이때는 상기 표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 비트의 UL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6인 경우,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가능하게(enable) 되고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 #6에 대한 TPC 명령을 전송하는 PDCCH의 DCI 포맷을 1 비트 추가된 길이로 디코딩 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이 5개 이므로 적어도 1개의 UL 인덱스가 사용될 수 있다. UL 인덱스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는 '6'이고, UL 인덱스가 '1'로 설정되어 있다면 KPUSCH는 '7'일 수 있다. 이러한 UL 인덱스에 관하여 단말 또는 기지국이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UL 인덱스를 이용하면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1에서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8에 대한 TPC 명령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반면,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이 TDD 설정 #1 내지 TDD 설정 #5 인 경우,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 개수가 4개 이하이므로,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6에서 각 UL 서브프레임을 하나씩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서빙셀의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한 타이밍에 하나의 DL 서브프레임에서 2개 이상의 UL 서브프레임 TPC를 스케줄링 해주지 않도록 KPUSCH 값을 결정한다. 또한, 하나의 TDD 설정에 대하여 TPC 명령의 수신 타이밍(KPUSCH) 값들의 합은 최소가 되도록, 즉, min(sum[total(KPUSCH)])를 갖도록 KPUSCH를 결정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제3 실시예).
표 4의 KPUSCH 값에 따른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이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오더링 서빙셀에서 팔로윙 서빙셀로 TPC 명령을 전송하지 않는 DL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면, 상기 TPC 명령을 전송하지 않는 DL 서브프레임 중 상기 표 4에 따라 팔로윙 서빙셀에 대하여 TPC 명령을 전송해야 하는 타이밍이지만 오더링 서빙셀에서 UL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타이밍에 인접 DL 서브프레임에서 대신 TPC 명령을 전송하도록 KPUSCH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새로운 TPC 명령 수신 타이밍(KPUSCH)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1이고,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3일 경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KPUSCH 값에 따르면,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2는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8을 통해 전송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PUSCH를 전송하고,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3은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9를 통해 전송된 TPC 명령을 기초로 송신 전력이 제어된 PUSCH를 전송하고,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4는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을 통해 전송된 TPC 명령을 기초로 송신 전력이 제어된 PUSCH를 전송한다. 그런데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8은 DL 서브프레임(또는 S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UL 서브프레임이므로, TPC 명령을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 중에서 팔로윙 서빙셀을 위한 TPC 명령을 전송하지 않는 DL 서브프레임 중 하나에서 TPC 명령을 수신하도록 새로운 KPUSCH 값을 결정한다. 특히, 새로운 KPUSCH 는 4 이상인 값에서 결정하되 최소값으로 결정한다.
즉,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TPC 명령을 전송하지 않는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 중 서브프레임 #8과 가장 가까운 DL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6에서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2에 대한 TPC 명령을 대신 전송하도록 새로운 KPUSCH를 결정한다.
새로운 KPUSCH 값에 따르면, 오더링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6에서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 #2를 통해서 PUSCH를 전송한다.
< 2. 단말이 PUCCH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오더링 서빙셀에서 팔로윙 서빙셀에 대하여 PDCCH내의 DCI 포맷 1A/1B/1D/1/2A/2/2B/2C/3/3A를 통해서 TPC 명령을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이 팔로윙 서빙셀에서 이 상기 TPC 명령을 기초로 PUCCH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단말이 PUCCH를 전송하는 경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단말이 서브프레임 #i에서 PUCCH를 전송할 때, km 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인 서브프레임 #i-km 에서 수신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 하도록 하는 TPC 명령의 수신 타이밍을 말한다. 즉, 단말은 오더링 서빙셀 및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초로 km를 결정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는 경우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상향링크 송신 전력의 제어와 관련된 TPC 명령을 단말로 전송하는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이며 오더링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초로 정의된다. 단말이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반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하므로, 타이밍이 깨지지 않도록 km 값을 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 표 15는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를 나타낸다.
UL-DL
Configuration
subframe i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6 4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6, 5 5,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표 15를 참조하면, i는 서브프레임 번호이고 해당 번호의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집합은 K={k0, k1,..., kM -1}에 의해 결정되는데(kM -1≥4), i-km는 i번째 서브프레임에서 km 번째 이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로서 현재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한다.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란,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을 나르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M은 i번째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이다.
표 15에서는 표 5의 km값 중에서 DL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6을 통해서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없는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밑줄을 그어서 구별 하였다. 즉, 밑줄 그은 km 값을 제외한 나머지 km에 따른 UL 서브프레임에서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6은 모든 TDD 설정에 대하여 항상 DL 서브프레임이므로 오더링 서빙셀과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이 서로 다르더라도 항상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따라서, 밑줄 그은 부분의 UL 서브프레임에 대하여만 오더링 서빙셀에서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전송을 위한 송신 전력을 항상 스케줄링 해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제4 실시예).
이 방법은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 타이밍이 팔로윙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에서 팔로윙 서빙셀의 PUCCH로 송신 전력을 보낼 수 있는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없을 경우에만(상기 표 15의 밑줄 그은 부분) 적용할 수 있다. 단, PUCCH 송신 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i와 연관된 DL 서브프레임의 개수인 M 값 또한 본 발명에 따른 km 값의 표(이하 표 16 내지 표 20)에 따라 적용한다.
원칙적으로 하나의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을 스케줄링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과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없는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표 15에서 밑줄 그은 부분)에 대하여, 가장 인접한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들 중 2개 이상의 오더링 서빙셀의 DL 서브프레임으로부터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UL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2와 같이 복수개의 km값을 갖는 UL 서브프레임)이 있다면, 이 UL 서브프레임의 km 값 중 하나를 선택한다(S1000). 상기 km값이 지시하는 DL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없는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이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새로운 km 값을 결정한다(S1005).
이때, 하나의 TDD 설정에 대하여 Km 값의 총 합은 최소가 되도록 즉, min(sum[total(Km)]) 값이 되도록 새로운 Km 값을 결정한다(S1010).
또한, UL 서브프레임 중 2개 이상의 DL 서브프레임으로부터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이 없을 경우, TPC 명령을 수신할 수 없는 UL 서브프레임을 위하여 1 비트 UL 인덱스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할 수 있다(S1015). 1 비트 UL 인덱스는 DCI 포맷 1A/1B/1D/1/2A/2/2B/2C/3/3A에 추가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0이고,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6일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0이고, 팔로윙 서빙셀이 TDD 설정 #6일 경우,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가능하게 되었고, TPC 명령을 전송하는 DCI 포맷의 길이는 1 비트 추가된 길이로 디코딩 할 수 있다. 만약, UL 인덱스 1비트가 '1'로 설정되었을 경우, 팔로윙 서빙셀의 UL 서브프레임 #4을 스케줄링해주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1 비트의 UL 인덱스는, 만약, '1'로 설정되었을 경우, Km이 '7' 값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하나의 TDD 설정에 대하여 km 값의 총 합은 최소가 되도록 즉, min(sum[total(km)]) 값이 되도록 새로운 km 값을 결정한다(S1010).
다음 표 16 내지 표 20에서, 오더링 서빙셀의 TDD 설정 #0 내지 TDD 설정 # 6인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결정한 최적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의 실시 예를 팔로윙 서빙셀의 각 TDD 설정별로 나타낸다.
다음 표 1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0인 경우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을 결정한 것이다. 표 16은 하나의 km값의 표를 모든 TDD 설정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UL-DL
Configuration
Subframe i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7 - - - 7 7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11 7, 6, 5 5,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 - - 7 7 -
다음 표 1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1인 경우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을 결정한 것이다.
UL-DL
Configuration
Subframe i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6 4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4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다음 표 1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2, #4 또는 #5인 경우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을 결정한 것이다.
UL-DL
Configuration
Subframe i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6 4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6, 5 5,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다음 표 19는 본 발명에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3인 경우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을 결정한 것이다.
UL-DL
Configuration
Subframe i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6 10,11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6, 5 5,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다음 표 20은 본 발명에 따라서 오더링 서빙셀이 TDD 설정 #6인 경우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km)을 결정한 것이다.
UL-DL
Configuration
Subframe i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7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4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이제, CSI 보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PUSCH와 SRS의 TPC 명령을 수신하는 타이밍(상기 표 7 내지 상기 표 14)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는 타이밍에도 적용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의 전송방식을 하향링크채널상황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하향링크의 전송방식의 결정은 하향링크의 채널상황에 맞춰 이뤄질 때 최적화될 수 있고 하향링크 전송방식은 기지국이 결정기 때문에 기지국은 먼저 하향링크의 채널상황을 인지해야 될 필요가 있다.
하향링크의 채널상황(Channel State Information : CSI)은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와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또는 RI(Rank Indicator)등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단말이 하향링크 채널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이 하향링크의 채널상황을 알 수 있다.
CSI는 주기적 보고(Periodic reporting) 또는 비주기적 보고(Aperiodic reporting)가 가능하다. 주기적 보고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의하여 정해진 주기에 따라서 보고하는 것이고, 비주기적 보고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PDCCH 정보를 통해 CSI 요청 필드(CSI request field)가 설정(setting)된 경우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경우, 비주기적 CSI 보고가 적절히 수행될 수 있도록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SI 요청 필드는 UL DCI 포맷 0/4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Random access response grant : RAR 그랜트)를 통해서 전송된다. 이에 대한 비주기적 CSI 보고는 PUSCH를 통해서 전송된다.
도 11은 팔로윙 서빙셀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RAR 그랜트를 전송하기 위한 공용검색공간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RAR 그랜트가 공용검색공간(Common Search Space : CSS)을 통해서 전송되므로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CSS를 설정한다.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CSS를 구성함으로써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RAR 그랜트를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 전송해줄 수 있다. 이때, 오더링 서빙셀에 대한 CSS 자원과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CSS 자원이 겹치지 않게 설정하여 구분할 수 있다.
만일 제어 정보를 전송할 자원이 부족한 경우, 오더링 서빙셀의 CSS와 팔로윙 서빙셀의 CSS는 서로 중복될 수 없다. 이때, 팔로윙 서빙셀의 CSS를 설정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오더링 서빙셀의 CSS이외의 자원에 대해서만 정의한다.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RAR 그랜트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 다음 수학식과 같은 새로운 RA-RNTI를 생성한다. 이하, 새로운 RA-RNTI는 M-RA-RNTI(Multiple-RA-RNTI)라고 한다.
Figure pat00022
여기서 m-ta-offset의 값은 기존의 RA-RNTI 값이 M-RA-RNTI값과 구분되어질 수 있도록 정하는 오프셋 값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RA-RNTI의 최대값이 60(1+9+10*5=60) 이므로 m-ta-offset가 60이면 M-RA-RNTI값과 RA-RNTI값은 복잡한 기작이 없이 완벽히 구분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tid 는 스페시파이드(specified)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이다(0≤ tid <10). 그리고, fid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주파수 도메인의 오름차순의 스페시파이드(specified) PRACH 의 인덱스이다. (0≤fid< 6).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할 경우, 상기 도 6 및 도 9에서 설명한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오더링 서빙셀의 최적화된 TPC 명령의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 결정 방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단,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인 #n UL 서브프레임은 CSI 요청 정보가 전송된 DL 서브프레임 #i(표 21 참조)의 KPUSCH개 서브프레임 이전인 서브프레임 #i-KPUSCH이 아니라, KPUSCH개 서브프레임 이후인 서브프레임 #i+KPUSCH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하에서 k 값은 KPUSCH 값과 같지만,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UL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테이블을 구성하였다면,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DL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테이블을 구성하였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표 7 내지 표 14를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k) 표를 구성할 때, #i- KPUSCH 서브프레임(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 표에서 #i가 된다)에서 k 값으로 KPUSCH를 적용함으로써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 표를 구성할 수 있다.즉, 단말은 오더링 서빙셀 및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초로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결정한다(S1200). 오더링 서빙셀 및 팔로윙 서빙셀의 각 TDD 설정이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는 단말이 미리 알고 있을 수 있고, 단말이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결정하기 전에 별도로 기지국이 단말로 미리 전송할 수도 있다.
UL DCI 포맷내의 CSI 요청 필드에서 비주기적 CSI 보고(report)를 트리거링 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k)은 FDD 시스템에서는 4이다. CSI 요청 필드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4개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한다.
또한, TDD 설정 #0 내지 #6에서는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k)는 다음 표 21과 같다. 또한, TDD 설정 #0 에서, DCI 포맷에 포함된 2비트 UL 인덱스의 MSB가 '1'로 설정되어 있고, 2비트 UL 인덱스의 LSB가'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다음 표 21과 같다. 또는, 2비트 UL 인덱스의 MSB가 '0'으로 설정되고 LSB가 '1'로 설정되면,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7이다. 또는 2비트 UL 인덱스의 MSB 및 LSB가 모두 '1'로 설정되어 있다면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다음 표 21과 같다.
TDD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0 4 6 4 6
1 6 4 6 4
2 4 4
3 4 4 4
4 4 4
5 4
6 7 7 7 7 5
단말은 미리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인 k 값을 결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CSI 요청 필드를 수신한다(S1205).
비주기적 CSI 요청필드는 UL DCI 포맷 0/4 또는 RAR 그랜트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표 4의 TDD 구성 #0의 서브프레임 #2에서 KPUSCH는 6이므로 6개의 서브프레임 이전인 서브프레임 #6에서 PUSCH를 위한 TPC 명령을 수신한다. 이를 비주기적 CSI에 적용하면, 표 21에서 TDD 구성 #0의 서브프레임 #6의 k값은 6이고, 6개의 서브프레임 이후인 서브프레임 #2에서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하여 PUSCH를 전송한다.
한편, 비주기적 CSI 요청을 RAR 그랜트를 통해 전송할 경우, 상기 방법에 따라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 팔로윙 서빙셀에 대한 RAR 그랜트를 수신한 후, 팔로윙 서빙셀에서 6ms 이후 서브프레임 중 비주기적 CSI 보고가 가능한 UL 서브프레임을 통해 PUSCH를 전송한다. 이때, 지연 필드의 1비트가 '1'로 설정되면, 비주기적 CSI 보고가 가능한 UL 서브프레임 중 그 다음 UL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한다.
비주기적 CSI를 요청하는 일 예로, 만약 CSI 요청 필드가 1 비트일 경우, CSI 요청 필드가 '1'로 설정되면, 기지국이 단말로 비주기적 CSI 보고를 요청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약 CSI 요청 필드가 2 비트인 경우, CSI 요청 필드가 지시하는 바는 다음 표 22와 같다.
Value of CSI request field Description
00 No aperiodic CSI report is triggered
01 Aperiodic CSI report is triggered for serving cell c
10 Aperiodic CSI report is triggered for a 1st set of serving cells configured by higher layers
11 Aperiodic CSI report is triggered for a 2nd set of serving cells configured by higher layers
여기서, 1st 셋 및 2nd 셋은 하나의 서빙셀에 대하여 CSI를 측정하는 서브프레임 패턴이 2가지가 존재할 경우, 그 각각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말한다.
그리고, 결정한 상기 k개 서브프레임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한다(S1210).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하는 경우, CSI 요청 필드를 수신하는 오더링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이며 오더링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초로 정의된다. 단말이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은 UL 서브프레임이며 UL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팔로윙 서빙셀의 TDD 설정을 기반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TDD 설정을 기준으로 하므로,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려는 팔로윙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이 DL 서브프레임이 되지 않도록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k) 값을 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때,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UL 지연 필드(delay field)를 이용하여 다른 서브프레임으로 조정(또는 연기)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 그랜트 내의 CSI 요청 필드가 보고를 트리거링하도록 설정되고 예약(reserve)되지 않은 경우, UL 지연 필드가 '0'으로 설정된다면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CSI 요청을 받은 후 CSI를 전송하는 UL 서브프레임까지 걸리는 시간) k1과 동일하다. 여기서 k1은 RAR 그랜트를 통해 비주기적 CSI 전송 요청을 받은 후, CSI를 전송하는데까지 시간(타이밍)을 의미한다. 서브프레임 #i에서 PDCCH가 관련 RA-RNTI와 함께 감지(detect)되고 해당 DL-SCH 전송 블록이 전송된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응답의 정보에 따라서 UL-SCH 전송 블록을 최초의 서브프레임 #i+k1에서 전송하는데, 이때, k1는 6보다 크거나 같으며, 만약 UL 지연 필드가 '0'으로 설정되면, 서브프레임 #i+k1은 PUSCH 전송을 위하여 비주기적 CSI 보고가 가능한 첫번째 UL 서브프레임이다. UL 지연 필드가 '1'으로 설정되면, 서브프레임 #i+k1 이후의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비주기적 CSI 보고가 가능한 UL 서브프레임으로 PUSCH 전송을 연기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단말(1300)은 단말 수신부(1305), 단말 프로세서(1310) 및 단말 전송부(1320)를 포함한다.
단말 수신부(1305)는 상기 표 3 내지 상기 표 22와 같은 TDD 상향/하향 설정 메시지를 기지국(135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단말 프로세서(1310)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 수신부(1305)는 PDCCH를 각 서빙셀상에서 수신한다. 또는, 기지국(1350)으로부터 CSI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DCI 포맷 또는 RSR 그랜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 수신부(1305)는 다수의 전송블록들을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걸쳐 수신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1310)는 TDD 설정에 따라 단말(1300)에 구성된 각 서빙셀에 특정한 또는 밴드에 특정한 TDD 설정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에 TDD 설정 #0을, 부서빙셀에 TDD 설정 #1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프로세서(1310)는 제1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주서빙셀 및 제2 상향/하향 설정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부서빙셀을 단말(1300)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프로세서(1310)는 단말 수신부(1305)가 수신한 PDCCH에 포함된 TPC 명령을 기초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용한다. 이때 미리 각 서빙셀별 상향/하향 설정에 기반하여 적응적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 후, 이를 기초로 TPC 명령을 수신하여 송신 전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PDCCH의 DCI 포맷은 UL 인덱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프로세서(1310)는 수신한 CSI 요청 필드로부터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한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각 서빙셀별 TDD 설정을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전송부(1320)는 제어되는 상기 송신 전력을 기초로 PUSCH, SRS 또는 PUCCH를 팔로윙 서빙셀을 통해 기지국(1350)으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 전송부(1320)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기위한 PUSCH를 기지국(13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350)은 기지국 전송부(1355), 기지국 수신부(1360) 및 기지국 프로세서(1370)를 포함한다.
기지국 전송부(1355)는 상기 표 4 또는 상기 표 22와 같은 TDD 설정 메시지를 구성하여 단말(1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전송부(1355)는 각 서빙셀의 TDD 설정에 기반하여, 오더링 서빙셀을 통해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단말(1300)로 전송한다. 또한, PDCCH의 DCI 포맷은 UL 인덱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전송부(1355)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요청하는 CSI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DCI 포맷 또는 RAR 그랜트를 단말(13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360)는 제어된 송신 전력을 기초로 PUSCH, SRS 또는 PUCCH를 단말(130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기지국 수신부(1360)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포함한 PUSCH를 단말(1300)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다수 요소 반송파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 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하나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에 대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 들의 총합이 최소값을 갖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 복수의 TPC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TPC 명령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복수 개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TPC 명령 중 어느 TPC 명령이 적용되는 지를 상향링크 인덱스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인덱스는 1비트이고,
    상기 PDCCH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4/1A/1B/1D/1/2A/2/2B/2C/3/3A 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TPC 명령은 상기 PDCCH 내의 DCI 포맷 0/4/3/3A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TPC 명령은 상기 PDCCH내의 DCI 포맷 1A/1B/1D/1/2A/2/2B/2C/3/3A 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7.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하나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에 대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 들의 총합이 최소값을 갖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 복수의 TPC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TPC 명령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복수 개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TPC 명령 중 어느 TPC 명령이 적용되는 지를 상향링크 인덱스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인덱스는 1비트이고,
    상기 PDCCH의 DCI 포맷 0/4/1A/1B/1D/1/2A/2/2B/2C/3/3A 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PUSCH 또는 SRS를 통해 수신하고, 상시 TPC 명령은 상기 PDCCH내의 DCI 포맷0/4/3/3A 를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PUCCH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TPC 명령은 상기 PDCCH내의 DCI 포맷 1A/1B/1D/1/2A/2/2B/2C/3/3A 를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방법.
  13.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말 프로세서;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수신부는,
    하나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 복수의 TPC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TPC 명령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복수 개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TPC 명령 중 어느 TPC 명령이 적용되는 지를 상향링크 인덱스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다수 요소 반송파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제1 서빙셀 및 제2 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기초로 송신전력제어(TPC) 명령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기지국 프로세서;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상기 TPC 명령을 포함하는 PDCCH를 상기 결정한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기초로 전송하는 기지국 전송부; 및
    상기 TPC 명령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기지국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 이전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서 상기 TPC 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1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상기 TPC 명령 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수신부는,
    하나의 TPC 명령 수신 타이밍에 복수의 TPC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TPC 명령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복수 개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TPC 명령 중 어느 TPC 명령이 적용되는 지를 상향링크 인덱스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10080889A 2011-07-05 2011-08-12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018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89A KR20130018052A (ko) 2011-08-12 2011-08-12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CT/KR2012/005318 WO2013005991A2 (ko) 2011-07-05 2012-07-05 시간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889A KR20130018052A (ko) 2011-08-12 2011-08-12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052A true KR20130018052A (ko) 2013-02-20

Family

ID=4789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889A KR20130018052A (ko) 2011-07-05 2011-08-12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805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42A1 (ko) * 2013-04-16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WO2015026113A1 (ko) * 2013-08-17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69072A1 (ko) * 2013-11-09 2015-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11928A1 (ko) * 2014-01-24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별 서브프레임 상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20945A (ko) * 2013-03-04 2015-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GB2527255A (en) * 2013-04-16 2015-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99278B1 (en) * 2013-06-24 2019-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s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2344B2 (en) 2013-03-04 2016-1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510295B2 (en) 2013-03-04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314019B2 (en) 2013-03-04 2019-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907058B2 (en) 2013-03-04 2018-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50120945A (ko) * 2013-03-04 2015-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37129A3 (ko) * 2013-03-04 2015-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GB2527255A (en) * 2013-04-16 2015-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71742A1 (ko) * 2013-04-16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10122481B2 (en) 2013-04-16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27255B (en) * 2013-04-1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99278B1 (en) * 2013-06-24 2019-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s
WO2015026113A1 (ko) * 2013-08-17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54339B2 (en) 2013-11-09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788280B2 (en) 2013-11-09 2017-10-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5069072A1 (ko) * 2013-11-09 2015-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11928A1 (ko) * 2014-01-24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별 서브프레임 상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2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PC command timing considering TDD-FDD carrier aggregation
US10992425B2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KR102257707B1 (ko) 전력 제어 수행 방법 및 사용자 장치
KR1019273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1059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18284B1 (ko) 단말과 기지국 간 이중 연결 상황에서의 잉여전력보고 전송 방법 및 단말
JP662598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向きリンク電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612753B (zh) 无线通信系统中的功率余量报告方法及其设备
EP363787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3646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90587A (ko) Harq ack/nack 전송방법 및 장치
KR20160144986A (ko) 전력 제어 수행 방법 및 사용자 장치
EP30952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71802A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50891A (ko) 하향링크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18052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40149A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128477A (ko) D2d 통신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