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829B1 -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829B1
KR102229829B1 KR1020190139144A KR20190139144A KR102229829B1 KR 102229829 B1 KR102229829 B1 KR 102229829B1 KR 1020190139144 A KR1020190139144 A KR 1020190139144A KR 20190139144 A KR20190139144 A KR 20190139144A KR 102229829 B1 KR102229829 B1 KR 10222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product
payment
smartphone
securit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19013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인공지능 무인 매대(100) 결제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일 지점에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 및 신용카드 리더기가 형성된 보안창(110)이 구비된 무인 매대(100);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수단이 수행될 수 있는 별도의 앱(310)이 설치되고,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보안창(110)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300); 상기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된 위치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상품 구입 여부를 감지하는 비젼카메라(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상기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500)에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상기 스마트폰(300)의 앱(310)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폰(300)에 의해 상기 무인 매대(100)에 구비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보안창이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하기 전의 상품이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인 매대(100)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 후 상기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닫히는 경우 즉시 상품이 픽업된 상태의 상품의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앱(310)에는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안창(110)이 닫히는 경우 그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되어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310)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Unmanned counters billing system with AI}
본 발명은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판매기는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를 투입하거나 카드를 이용하여 음료, 식품, 담배, 티켓, 신문, 잡지, 우표, 양말, 휴지, 위생용품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거나 세탁기, 인형뽑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무인판매기는 무인매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자동판매기와 같은 무인판매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동전 또는 지폐를 투입하거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직접 결제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 NFC를 포함하여 다양한 수단을 이용한 전자결제 방식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무인판매기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폰 결제서비스는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통해 결제를 승인하고, 해당 모바일폰의 통화요금에 인터넷 컨텐츠 사용요금을 통합 부과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현금이나 카드 등의 결제수단이 없을 때에도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모바일폰을 이용한 결제 방식은 자동판매기가 인터넷 회선 등으로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결제서버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연결 필요하므로 케이블설치, 유선연결 등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인판매기가 별도의 인터넷 회선연결 없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무인판매기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지불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전자 결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무인 매대에서 상품을 구입한 후 별도로 스마트폰의 결제 앱을 연 뒤 다시 결제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상품을 구입하는 자가 상품을 구입하기만 하면 바로 결제 앱이 연동되어 결제가 구현디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9-0108245(2019.09.24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결제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무인 매대에 설치된 상품을 구입하고 보안창을 닫게 되면 즉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결제 방식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인공지능 무인 매대(100) 결제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일 지점에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 또는 신용카드 리더기가 형성된 보안창(110)이 구비된 무인 매대(100);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수단이 수행될 수 있는 별도의 앱(310)이 설치되고,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보안창(110)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300); 상기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된 위치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상품 구입 여부를 감지하는 비젼카메라(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상기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500)에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상기 스마트폰(300)의 앱(310)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폰(300)에 의해 상기 무인 매대(100)에 구비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보안창이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하기 전의 상품이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인 매대(100)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 후 상기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닫히는 경우 즉시 상품이 픽업된 상태의 상품의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앱(310)에는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안창(110)이 닫히는 경우 그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되어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310)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무인매대에 설치된 보안창을 오픈하고 원하는 상품을 구입한 뒤 보안창이 닫는 경우 즉시 결제가 이루어져 결제의 간편성 및 편리함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반품 역시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이를 관리하는 종업원이 필요 없어 인건비가 절약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무인 매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통해 빅 데이터를 구축하는 도면,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무인 매대를 중심으로 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무인 매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통해 빅 데이터를 구축하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무인 매대를 중심으로 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일 지점에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가 형성된 보안창(110)이 구비된 무인 매대(100),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수단이 수행될 수 있는 별도의 앱(310)이 설치되고,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보안창(110)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300)을 포함한다.
또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 이외에 사용자가 소지한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공지 기술인 신용카드 리더기가 무인 매대(10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신용카드를 이용한 상품 구매는 일반적인 공지된 구성인바 이하에서는 해당 카드를 이용한 상품 구매 과정은 생략한다.
물론 보안창(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복수개가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보안창(110)에 개폐센서(710)들이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된 위치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상품 구입 여부를 감지하는 비젼카메라(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상기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500)에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상기 스마트폰(300)의 앱(310)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300)에 의해 상기 무인 매대(100)에 구비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보안창(110)이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하기 전의 상품이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인 매대(100)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 후 상기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110)이 닫히는 경우 즉시 상품이 픽업된 상태의 상품의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앱(310)에는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안창(110)이 닫히는 경우 그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되어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는 다양한 결제 수단이 앱(310)이 설치된다. 이 앱(310)은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중앙서버(500)와 연동된다.
스마트폰(300)에는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QR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앱(310)이 있거나 이를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스마트폰(300)을 이용해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즉시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오픈된다.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수단이 앱(310)이 활성화 즉 실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하 후술할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개폐센서(121)가 스마트폰(300)을 이용해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보안창이 오픈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풀리고, 그 신호가 중앙서버(500)에 전송되어 현재 보안창이 오픈되어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인식하게 한다.
이를 위해 개폐센서(121) 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300)과 연동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보안창(110)의 오픈과 닫힘의 상태를 바로 중앙서버(500)가 센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센서(121)가 설치될 수 있고, 이 개폐센서(121)는 무인 매대(100)의 중앙서버(500)와 바로 연동된다.
한편,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500)에 저장되고, 중앙서버(500)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스마트폰(300)의 앱(310) 실행시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젼카메라(400)로 그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품의 구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앱(310) 실행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지하게 되면 보안창(110)을 오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앱(310)에는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집계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을 결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안창이 오픈되고,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한 뒤 보안창(110)을 닫게 되면, 즉시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상품이 구입되기 전의 상품의 진열 상태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보안창(110)을 오픈하고 상품을 구입한 뒤 보안창을 닫게 되면,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개폐센서(121)가 현재 보안창이 닫혔다는 신호를 중앙서버(500)에 전송하고 중앙서버(500)는 즉시 상품이 빠져나간 상태의 상품 진열 상태 이미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와 상품이 빠져나간 상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가 어떤 상품을 구입하였는지 즉시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가 중앙서버(50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중앙서버(500)는 현재 구입한 상품의 브랜드, 가격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함은 물론이고, 보안창이 닫힌 경우 개폐센서(121)가 현재 보안창이 닫힌 상태를 인식하여 그 신호를 중앙서버(500)에 전송하고, 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도 그 닫힌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은 보안창이 닫힌 신호를 일종의 사용자의 결제 컨펌으로 인식하여 바로 결제된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열어 해당 상품의 종류 및 가격을 확인하지 않고서도 즉시 보안창을 닫게 되면 바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보안창을 오픈하게 되면 결제 앱(310)이 결제를 위해 활성화되고, 보안창을 닫게 되면 별도의 추가적인 결제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바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에 개시된 '700'번 부재에는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가 위치하는 곳이나 반드시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600'번 부재는 무인 매대(100)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광고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매대(100)의 일측에는 일종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다.
이 디스플레이부는 그 예로 테블릿PC일 수 있다.
해당 무인 매대(100)가 설치된 매장을 찾은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번호가 지정된 테이블 번호가 활당된다. 즉 사용자가 해당 매장을 찾은 경우 카운터의 POS기(800)에 사용자가 착석할 테이블을 안내하고 해당 테이블번호를 POS기(800)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해당 테블릿PC에 접속할 수도 있고, 매장 직원이 테블릿PC에 접속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테블릿PC에 테이블번호와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열리게 되고,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품의 구입이 완료된 후 보안창을 닫게 되면 그 신호가 즉시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중앙서버(500)에 저장됨은 물론이고 POS기(800)에 그 신호가 전송된다.
POS기(800)는 보안창이 닫힌 신호와 동시에 현재 테이블번호와 해당 테이블번호에서 구입한 상품명과 가격이 저장되며, 사용자는 카운터에서 POS기(800)로 전송된 상품과 가격을 확인하여 결제가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태블릿PC(200)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면 그 신호가 중앙서버(500)로 전송되고, 해당 중앙서버(500)는 상기 개폐센서(121)로 오픈 신호가 전송되어 보안창(110)이 오픈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보안창(110)을 열 수 있다. 개폐센서(121)는 센서로 명칭되어 있지만 내부에 보안창(110)을 락킹/언락킹 하는 구조(120)도 개시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무인매대에 설치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스마트폰(300)으로 촬상하게 되면, 즉시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이 활성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으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촬상하게 되면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열리게 되고, 사용자가 매장을 출입한 경우 POS기(8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이 연동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 테이블번호가 전송된다.
이 테이블번호는 바로 연동되어 사용자가 무인매대(100)에 설치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촬상하게 되면 현재 어떤 테이블번호의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보안창(110)을 오픈하였는지 실시간으로 센싱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보안창(110)을 오픈한 후 상품을 구입하게 되면 즉시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중앙서버(500)에서는 비젼카메라(400)를 통해 현재 구입한 상품명과 상품 가격이 저장되고, 보안창(110)을 닫게 되면 즉시 그 신호가 구매 의사로 추정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개폐센서(121)가 중앙서버(500), 스마트폰(300) 및 POS기(800)와 연동된다.
POS기(800)에서는 현재 스마트폰(300)으로 결제된 모든 정보가 전송되고, POS기(800)에 매장 직원이 없어도 상품의 결제가 이루어지며, 추후 결제 정보가 잘못된 경우 그 내역이 저장되어 있는바, 정정이 가능하다.
한편,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인 매대(100)는 여러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복수개의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각각의 중앙서버(50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메인중앙서버(500)와 연동된다.
이를 통해 중앙서버(500)에서 집계된 브랜드별 매출정보, 선호도, 구매시간대, 인기지역 등의 정보가 메인중앙서버(500)에 전송된다.
즉,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수단인 앱(31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인적정보가 중앙서버(500)에 전송되고, 이 인적정보는 역시 메인중앙서버에 전송되어 해당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의 성별, 나이대가 즉시 메인중앙서버에 집계된다.
또한, 상품을 구입한 무인 매대(100)가 설치된 지역은 물론이고 구입 시간과 상품의 브랜드 역시 중앙서버(500)를 통해 메인중앙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어, 선호고객층 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한 대의 무인매대(100)를 설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무인 매대(100)가 복수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무인 매대(100)에서 원하는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런 경우는 각각의 무인 매대(100)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가 다른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무인 매대(100)에는 화장품 종류만을 팔 수 있고, B라는 무인 매대(100)에는 음료수 종류만을 팔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물론 A 무인 매대(100)에서 진열된 상품의 종류와 B 무인 매대(100)에서 진열된 상품의 종류가 다른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한 대의 무인 매대(100)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와 동일하며, A 무인 매대(100)에서 상품을 구입 후 다시 B 무인 매대(100)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을 담을 수 있는 카트를 통해 상품 구매 과정이 구현될 수도 있다.
매장형태의 구매 방식은 카트에 카드 또는 큐알 또는 페이로 사용자 인증한 뒤, 사용자 인증된 카트를 매대 옆으로 이동하여 매대에 카드 또는 큐알 또는 페이로 다시 사용자 인증 하면 보안창이 열리고 물건을 카트에 담으면 매대에서 빠진 물품이 카트에 담기면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번 부재에 별도의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도, 130번 부재는 카트에 담기는 상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로 이 상품의 각각의 무게는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어 있어 해당 상품을 카트에 설치된 별도의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하고, 다시 해당 상품의 무게도 측정되어 상품이 잘못 인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120번 부재의 위치는 도면에 개시된 위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트의 일지점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상품을 담을 수 있는 별도의 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트에는 별도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의해 카트에 설치된 별도의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시 사용자가 인증되고, 인증된 카트에 상기 무인 매대(100)에서 구매한 상품이 담겨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카트에 해당 상품의 투입 여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무게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해당 상품별 바코드를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어 카트에 해당 상품의 투입 여부를 바로 센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매대(100)에서 구입한 상품을 다시 반품하는 경우 별도의 반품용 무인 매대(100)가 설치되어 해당 반품용 무인 매대(100)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반품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별도의 결제 앱(310)에서 결제 취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개의 무인 매대(100) 중 어느 선택된 무인 매대(100)는 반품용 무인 매대(100)로, 상기 반품용 무인 매대(100)에도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가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시 반품용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오픈되고, 오픈된 무인 매대(100)에 반품하고자 하는 상품을 투입시 상기 중앙서버(500)에 의해 반품된 상품의 가격이 저장되고, 상기 반품용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을 닫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310)을 통해 자동적으로 반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 : 무인 매대 200 : 태블릿PC
300 : 스마트폰 400 : 비젼카메라
500 : 중앙서버

Claims (3)

  1.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일 지점에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 또는 신용카드 리더기가 형성된 보안창(110)이 구비된 무인 매대(100);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수단이 수행될 수 있는 별도의 앱(310)이 설치되고,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보안창(110)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300);
    상기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된 위치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상품 구입 여부를 감지하는 비젼카메라(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상기 무인 매대(100)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500)에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상기 스마트폰(300)의 앱(310)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폰(300)에 의해 상기 무인 매대(100)에 구비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보안창이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500)는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하기 전의 상품이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인 매대(100)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 후 상기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닫히는 경우 즉시 상품이 픽업된 상태의 상품의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앱(310)에는 상기 무인 매대(100)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안창(110)이 닫히는 경우 그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되어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310)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인 매대(100)의 일측에는 상기 보안창(110)의 오픈 및 닫힘을 센싱할 수 있는 개폐센서(121)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센서(121)의 센싱 신호는 상기 중앙서버(50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한 상기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의 인식시 상기 보안창(110)이 오픈되되, 그 오픈에 의한 상기 개폐센서(121)의 신호가 상기 중앙서버(500)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상기 결제 수단인 앱(310)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센서(121)에 의한 상기 보안창(110)의 닫힘 신호도 상기 중앙서버(500)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수단인 앱(310)에 전송됨과 동시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인 매대(100)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무인 매대(100)에서 상기 결제 수단인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개의 무인 매대(100) 중 어느 선택된 무인 매대(100)는 반품용 무인 매대(100)로, 상기 반품용 무인 매대(100)에도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가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시 반품용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이 오픈되고, 오픈된 무인 매대(100)에 반품하고자 하는 상품을 투입시 상기 중앙서버(500)에 의해 반품된 상품의 가격이 저장되고, 상기 반품용 무인 매대(100)의 보안창을 닫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310)을 통해 자동적으로 반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품을 담을 수 있는 별도의 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트에는 별도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의해 카트에 설치된 별도의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시 사용자가 인증되고, 인증된 카트에 상기 무인 매대(100)에서 구매한 상품이 담겨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39144A 2019-11-03 2019-11-03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KR10222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44A KR102229829B1 (ko) 2019-11-03 2019-11-03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44A KR102229829B1 (ko) 2019-11-03 2019-11-03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829B1 true KR102229829B1 (ko) 2021-03-18

Family

ID=7523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144A KR102229829B1 (ko) 2019-11-03 2019-11-03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66B1 (ko) * 2021-05-21 2022-01-04 (주)트리플렛 매대 감지 및 무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076A (ko) * 2017-11-24 2019-06-03 정숙명 무선통신 기반의 무인 수납장을 이용한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93733A (ko) * 2018-01-10 2019-08-12 트라이큐빅스 인크. 무인 점포에서의 아이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8245A (ko) 2018-03-14 2019-09-24 (주)한국이.디.에스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076A (ko) * 2017-11-24 2019-06-03 정숙명 무선통신 기반의 무인 수납장을 이용한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93733A (ko) * 2018-01-10 2019-08-12 트라이큐빅스 인크. 무인 점포에서의 아이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8245A (ko) 2018-03-14 2019-09-24 (주)한국이.디.에스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66B1 (ko) * 2021-05-21 2022-01-04 (주)트리플렛 매대 감지 및 무인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34053B (zh) 智能售货门店
CN108171879B (zh) 一种自动售货结算的方法、装置及无人售货柜
CN109215219B (zh) 提高自动售货机盘点速度的方法及系统
KR102124569B1 (ko) 무인판매 및 자동결제 시스템
KR102001806B1 (ko)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
CN107123006A (zh) 一种智能购物系统
CN109190705A (zh) 无人售货方法、装置及系统
CN107221107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20143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aundry Services
CN107749023A (zh) 一种无人超市自动管理方法及装置
JP2011129093A (ja) 電子棚札(esl)からコンテンツを取得していくセルフ買物支援
JP2014235530A (ja) セルフ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携帯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セルフショッピング方法
CN109147174A (zh) 一种无人售货方法、服务器及无人售货柜
WO2018137136A1 (zh) 自动售货机及其运行方法
CN107301538A (zh) 基于短期休息空间实现商品销售的智能支付方法
KR102120554B1 (ko) 유무인 스토어 보안 및 자동 결제 시스템
KR102286946B1 (ko)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CN109903484A (zh) 一种自助结账设备以及自助结账方法
US20190333036A1 (en) Networked vending machine with drone based delivery and augmented reality viewing systems
KR102229829B1 (ko)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CN108171286B (zh) 无人售货方法及其系统
KR102398182B1 (ko)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WO2013191871A2 (en) Vending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commercial products
US20150227907A1 (en) Reading apparatus
CN111260843B (zh) 多功能一体化柜员机的实现方法及柜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