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827B1 -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및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 - Google Patents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및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9827B1 KR102229827B1 KR1020190120592A KR20190120592A KR102229827B1 KR 102229827 B1 KR102229827 B1 KR 102229827B1 KR 1020190120592 A KR1020190120592 A KR 1020190120592A KR 20190120592 A KR20190120592 A KR 20190120592A KR 102229827 B1 KR102229827 B1 KR 102229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sley
- germanium
- extract
- organic germanium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에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독성 억제 성능과,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에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독성 억제능 및 면역 조절 기능을 가지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요인 및 화합물들이 면역계의 발달 유지 및 적절한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Sierra et al., 2005], 과도한 면역반응은 억제하고, 억제된 면역반응은 자극하고 면역조절에 대한 관심이 계속되어 왔으며, [Patwardhan et al., 1990; Ghatak and Panchal, 2012] 현재까지 알려진 glucans, telerones, L-fucose 등과 같은 면역 조절제들이 발열, 백혈구 감소증과 같은 다양한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들이 생기며[Mathew and Kuttan, 1999; Ghatak and Panchal,2012],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 및 부작용이 낮거나, 위 물질 이외에 다양한 면역을 조절 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조절제의 탐색 및 연구가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다[Ghatak and Panchal, 2012].
다양한 면역 반응들 중 염증반응은 세균감염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현되며,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복구 또는 재생을 하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이다[Min-Ji Kim et al., 2015]. 하지만 이러한 염증반응들이 지속되면, 체내에 있는 정상 조직세포 손상 및 다양한 대사성 질환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Tae-yeon Kim ]. 또한 염증 반응은 다양한 외부요인의 자극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여려 염증조절인자인 TNF-a, IFN-r,IL-6,IL-2,IL-12 등과 같은 인자에 영향을 미친다[Jeong-Suk Park et al., 2011]. 특히 대식세포에서는 lipopolysaccharide (LPS)와 같은 자극에 의해 nuclear factor-kappaB(NF-κB) and activator protein-1(AP-1) 등을 활성화 시켜 IL-1B, TNF-a 등과 같은 cytokine 인자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을 발현하여, nitric oxide(NO) 생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인자 등을 조절하기 위한 활성을 가지는 천연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Eszter Bognar et al. 2013]
미나리(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Blume)는 산형과 (Apiaceae), 미나리속(Oenanth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아시아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황달, 고혈압, 복통, 열, 냉대하(leucorrhea), 볼거리 및 각종 비뇨기계 감염증에 약용되어 왔다[Park et al., 1993; Park et al., 2015]. 특히 미나리 추출물의 항염[Kim et al., 2013], 항산화 [Park et al., 2015], 항돌연변이원성 [Kwon et al., 2006], 간 보호 [Aiet al., 2016], 신경 보호 [Park et al., 2015] 및 항 hepatitis B virus [ Han et al., 2008] 활성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어 왔다. 또한 게르마늄 (germanium; Ge)은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의 원료로 식용 또는 외용되는 대표적인 중금속 계열로 [Nakamura et al., 2012], 면역활성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Jung et al., 2013; Jung et al., 2014; Nakamura et al., 2014]. 특히, 최근 게르마늄을 이용한 다양한 질병치료에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있는데, 암, 관절염, 에이즈, 바이러스감염 등의 치료목적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독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기 게르마늄으로 연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최근 무기 게르마늄에 대한 독성이 대두되고 있어 유기 게르마늄이 함유된 천연소재로부터 게르마늄의 효능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해외에는 유기 게르마늄을 면역증강 식품으로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면역체계에서의 게르마늄에 대한 효능을 연구한 사례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포독성 억제능을 가지며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은 유기 게르마늄이 함유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를 건조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 건물을 마련한 다음, 파쇄기에 넣은 후 균질화를 시킨 후, 균질화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 건물의 10~15 배수의 물을 첨가하여 95~100℃에서 3~5시간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는 모래, 상기 모래 위의 상토와, 상기 모래 및 상토 위까지 게르마늄 농축수를 채운 다음, 상기 상토에 미나리 종묘를 심어서 재배하는 복합 수경 배지에서 재배되며, 상기 복합 수경 배지 상에는 청색광(450±10nm)을 공급하는 LED 광공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토와 모래 사이에는 발효물층이 배치되며, 상기 버섯 폐 배지 발효물층은 버섯 폐배지와, 미강 분쇄물을 1 : 0.1~0.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흑효모(A. pullulan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한 흑효모 발효물과, 패각 분쇄물 5~15중량부, 겔화제 1~5중량부, 키토산 0.5~1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게르마늄 미나리의 게르마늄 함량 및 성분분석과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물 추출 분무건조 시료의 Raw 264.7 cell 세포에서의 Ntric oxide 농도와 전염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과 in vivo에서 정상 ICR 마우스(수컷)를 이용하여 위 두 시료를 처리한 군과 정상 대조군의 비장 및 복강 조직에서 NO 농도와 사이토카인 함량, NK cell 활성의 변화에 대하여 일반 미나리와 게르마늄 미나리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게르마늄 미나리 물 추출 분무건조시료의 경우 ICP-AES를 이용하여 게르마늄 함량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수경재배에 비해 현저히 많은 양이 함유되었다. 또한 게르마늄 미나리의 성분 분석을 하기 위해 LC-Q-orbitrap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chlorogenic acid, neo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quercertin, isorhamnetin과 같은 화합물들이 검출되었다. In vitro의 경우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모두 Raw 264.7 cell에서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과 시료를 전처리 한 후 LPS 처리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LPS로 유도된 NO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Raw 264.7 cell에서 IFN-γ를 제외한 TNF-α, IL-1β, IL-6, IL-12와 같은 전염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시료에서 LPS 단독처리군에서 보다 시료 전리한 후 LPS 처리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IFN-γ의 경우에는 두시료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미나리와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물을 Raw 264.7 cell에서 NO 농도와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물이 일반 미나리 추출물에 비해 Raw 264.7에서는 NO 저해 및 IFN-r의 증가와 TNF-α, IL-1β, IL-6, IL-12의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In vivo의 경우 정상 ICR 마우스 400mg/kg의 처리군에서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물추출 분무 건조시료 모두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비장 조직 내의 NO 농도가 30.57%, 42.23% 감소 하였다. Raw 264.7 cell과 마찬가지로 비장 조직 내의 IFN-γ .TNF-α, IL-1β, IL-6, IL-12와 같은 5가지의 사이토카인 함량을 측정한 결과 In vitro 실험과 동일하게 IFN-γ을 제외한 4가지의 사이토카인 인자는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하였으며, IFN-γ는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강 및 복강 조직의 NK cell 활성을 51Cr assay로 측정 한 결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일반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물 처리군에서 33.33 및 64.50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in vitro에서와 마찬가지로 게르마늄미나리 추출물 400 mg/kg은 적어도 본 발명에서의 실험의 조건하에서 동일한 용량의 일반 미나리 추출물에 비해 더 우수한 면역활성 효과를 정상 수컷 마우스에서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어, 새로운 천연물 유래 면역 기능성 식품으로써 개발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실험예 2의 게르마늄 분석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5의 NO 생성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6의 게르마늄 미나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7의 정상 ICR 마우스에서 NK cell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8의 정상 ICR 마우스에서 NO 및 사이토카인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5의 NO 생성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6의 게르마늄 미나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7의 정상 ICR 마우스에서 NK cell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8의 정상 ICR 마우스에서 NO 및 사이토카인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나리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유기 게르마늄이 함유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를 건조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 건물을 마련한 다음, 상기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 건물의 10~15 배수의 물을 첨가하여 열수 추출하고, 추출 완료 후 규조토를 5~10% 첨가하여 규조토를 이용한 감압 여과를 진행하며, 여과 완료 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게르마늄이 함유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는 모래, 상기 모래 위의 상토와, 상기 모래 및 상토 위까지 게르마늄 농축수를 채운 다음, 상기 상토에 미나리 종묘를 심어서 재배하는 복합 수경 배지에서 재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수경 배지 상에는 청색광(450±10nm)을 공급하는 LED 광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토와 모래 사이에는 버섯 폐 배지 발효물층이 배치되며, 상기 버섯 폐 배지 발효물층은 버섯 폐배지와, 미강 분쇄물 1~0.1~0.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흑효모(A. pullulan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한 흑효모 발효물 100중량부와, 패각 분쇄물 5~15중량부, 겔화제 1~5중량부, 키토산 0.5~1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수경 배지를 이용한 미나리 재배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 1로서 일반 수경재배 방식을, 대조군 2로서 일반 수경재배 + LED공급을 해주는 조건하에서 미나리 종묘를 40일 동안 재배하였으며 유기 게르마늄 함량, 카페익산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복합 수경 배지는 발효물층을 포함한 것으로서, 발효물층은 버섯 폐배지와, 미강 분쇄물 1 : 0.1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흑효모 균주(A. pullulans)을 접종하여 발효한 발효물 100중량부와, 패각 분쇄물 10중량부, 겔화제 3중량부, 키토산 1중량부로 구성하였으며, 부직포 망에 발효물층 원료를 수용하였다. 본 실시예의 흑효모 균주(Aureobasidium pullulans)는 KJ 141로 명명된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KCTC 13548BP'로 등재되어 있다. 그리고 겔화제는 젤라틴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복합 수경 배지의 발효물층은 흑효모 균주(A. pullulans)와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를 혼합한 복합 균주로 발효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를 재배하였다.
표 1을 참조하면, 유기 게르마늄 함량은 실시예 1이 대조군 1에 비해 3.6배, 대조군 2에 비해 1.2배 증가하였고, 카페익산의 함량은 실시예 1이 대조군 1에 비해 2.3배, 대조군 2에 비해 1.9배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를 실시예 1과 대비하여 보면, 발효물층을 복합 균주로 발효한 것을 사용한 경우 유기 게르마늄 함량이 실시예 1에 비해 8% 이상 증가하였다.
대조군 1 (수경 재배) |
대조군 2 (수경 재배+LED) |
실시예 1 (복합 수경 배지) |
실시예 2 (복합 수경 배지) |
|
유기 게르마늄 함량(ppm) | 40.12 | 118.68 | 145.20 | 157.31 |
카페익산의 함량(ppm) | 99.86 | 119.54 | 227.32 | 229.50 |
[실험예 1] 재료 및 추출방법
일반 미나리와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물은 ㈜아리바이오에서 제공하였다. 일반 미나리는 청산영농조합 법인 블루마운트에서 구입하였고, 본 발명의 게르마늄 미나리는 위 실시예 1에 따라 재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미나리 시료를 파쇄기에 넣은 후 균질화를 시킨 후, 균질화시킨 분말을 정제수를 첨가하여, 95~100℃에서 3~5시간 추출을 진행하였다. 여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진행한 후, 얻어진 여과액은 95℃에서 추출액이 30~40brix가 될 때까지 농축을 진행하였다. 농축이 완료된 후 분무건조기(Spray dryer)를 이용하여 ㈜아리바이오에서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게르마늄 분석 실험
1. 분석 방법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 건조물을 물에 용해 시킨 후 ICP-AES(ICPE-9820) (기기스펙)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아래 표 2의 조건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Instrument | ICPE-9820 |
RF power | 1.20kw |
Plasma gas flow | 10.0L/min |
Auxiliary gas flow | 0.6L/min |
Carrier gas flow | 0.7L/min |
Torch type | Mini torch |
Exposure time | 15sec |
Repetition | 3 times |
View direction | Axial |
Quantificaiton method | Calibration Curve method |
2. 실험 결과
게르마늄 미나리 분부건조시료를 칭량하여 질산, 과산화 수소를 첨가하여 테프론 비이커의 뚜껑을 닫고 마이크로웨이브 분해장치에서 상온에서 100℃까지 올린 후 10분동안 분해한 후 다시 180℃까지 온도를 올린 후 30분 동안 분해시켜 전처리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게르마늄 표준품은 0.01~0.2mg/L의 농도로 반도체급 70% HNO3용액을 사용하여 분석 후 검량선 작성에 사용하였다. 표준품들의 검량선은 0.01~0.2mg/L까지 4가지 농도에서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0.99979(게르마늄)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위의 검량선에 분석 시료의 결과값을 넣은 후 희석배수를 곱한 결과 표 1에 기대된 바와 같이 kg당 145.20mg의 게르마늄이 함유됐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미나리 LC-Q-orbitrap을 이용한 성분분석 실험
1. 분석 방법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 건조시료를 물에 용해 시킨 후 HPLC(Thermo Ultimate3000) Q-orbitrap ma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아래 표 3의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2. 실험 결과
게르마늄 미나리를 건물을 물로 추출하고 건조분무기로 분말화한 시료를 다양한 용매 조건으로 UHPLC 분석을 실시하여 위 표 2와 같이 최적의 분석조건을 수립하였다. 성분 분석을 위하여 LC-Q-orbitrap MS(Thermo Q Exactive plus) 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질량분석기로 분자들을 이온화하여 도입하기 위해 Heated Electro Spray Ionization (HESI) 모드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이온의 검출을 도모하기 위해 positive ion mode와 negative ion mode를 모두 활용한 full-ddMS2 scan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검출된 피크 중에 눈에 띄는 화합물 5개를 도 1에 chromatogram에 표시하였다.
첫번째 화합물(peak 2)로는 분자량이 354.31인 chlorogenic acid로, negative ion mode에서 retention time 6.29분에 [M-H]-의 형태인 m/z 353.0888로 관찰되었다. 두번째 화합물(peak 1)은 chlorogenic acid의 이성질체인 neochlorogenic acid로 chlorogenic acid와 동일한 분자량 354.31을 가지며, negative ion mode에서 chlorogenic acid와 동일한 [M-H]-의 형태로 m/z 353.0888 관찰이 되었지만, retention time이 6.15분에 검출되었다. 세번째 화합물(peak3)은 negative ion mode에서 retention time 7.69분에 [M-H]-의 형태로 m/z 179.03468이 관찰되어, 분자량이 180.16인 caffeic acid로 확인되었다. 네번째 화합물(peak 4)로는 분자량이 302.235인 quercetin으로 위의 세 개 화합물과 달리 positive ion mode에서 retention time 15.97분에 [M+H]+의 형태로 m/z 303.05063로 검출되었다. 마지막으로 peak 5의 경우 미나리에 대표적인 지표성분으로 알려진 화합물인 분자량이 316.228인 isorhamnetin으로 positive ion mode에서 retention time 16.90분에 [M+H]+의 형태로 m/z 317.06671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4] 세포독성 평가 실험
1. 세포배양
실험에 사용한 대식세포주 Raw 264.7 cell은 10% Fetal Bovine Serum (FBS)와 1% Penicillin, Streptomycin을 함유한 RPMI1640 Media (Hyclone)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 하에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 실험방법
일반미나리,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건조시료의 Raw 264.7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CCK-8(Cell Counting Kit-8, Dojindo Laboratories, Cat.#CK04-11을 이용하여 assay를 진행하였다. Raw 264.7 cell macrophage cell에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를 처리 한 cell을 96 well plate에 5 X 104 씩 분주하고, 일반,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건조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37℃, 5% CO2 incubator에서 RAW 264.7 Mouse Macrophage를 24,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CK-8 solution을 well 당 10ul씩 첨가 후 1시간 후 Varioskan LUX Multimode Microplate Reader (Thermo 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450 nm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실험 결과
일반 미나리 추출 분무건조시료와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 분무건조시료가 대식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 추출물을 처리하여 72hr 배양한 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시료의 농도를 0, 12.5 ,25, 50, 100 ug/ml로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NO 생성 억제 실험
1. Nitric oxide 측정 방법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농도를 Griess Reagent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를 5 X 104씩 96-Well Plate에 분주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를 처리한 후,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RAW 264.7 Mouse Macrophage을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In vivo의 경우 일반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를 멸균증류수로 용해시킨 후 10mg/ml의 용량 각각 400mg/kg)으로 매일 1회씩 14일간 정상 ICR마우스에 강제로 경구투여한 후 비장조직을 수집하여 NO를 측정하였다. Griess Reagent를 가하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itrite Standard를 농도별로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그려 배양액의 NO 농도를 측정하였다.
2. NO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
일반 및 게르마늄 미나리를 물 추출 후 분무 건조한 시료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PS를 처리하지 않은 Raw 264.7 cell과 각각의 시료를 0, 12.5, 25, 50, 100 ug/mL의 농도로 cell에 전처리 한 후 LPS를 48시간 동안 처리하여 이로 인한 NO의 생성을 비교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w 264.7 cell에 LPS만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서는 LPS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No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일반 및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 분무 건조 시료를 전 처리한 후 LPS 처리한 군에서는 12.5 ug/mL이상에서 두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 하였으며, 일반 미나리와 게르마늄 미나리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 분무 건조 시료가 일반 미나리와 비교하였을 때 Raw 264.7 cell에서 더 높은 NO 생성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게르마늄 미나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
1. In vitro cytokine 분석 방법
TNF-a, IL-6, IL-1B, IFN-r 등의 cytokine 분석은 Raw 264.7 세포를 RPMI1640 Media(Hyclone)를 이용하여 6-well plate에 1 X 106씩 분주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한 후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를 처리한 후,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전 배양 조건과 동일하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원심분리(12000ppm, 3min)하여 상층액을 회수 한 후 ELISA kit(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실험 결과
일반 및 게르마늄 미나리 물 추출 후 분무 건조한 시료가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성 및 염증성 cytokine의 생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일반 및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 시료를 각각 0.10,50,100 ug/ml의 농도로 Raw 264.7 cell에 전처리 한 후 LPS(1u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세포를 수집하고 IFN-r, TNF-a, IL-1B, IL-6, IL-12 cytokine을 측정하기 위해 ELISA kit assay를 진행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IFN-r를 제외한 4개의 cytokine의 경우 LPS를 처리하지 않은 Raw 264.7 대비 LPS(1ug/mL)를 단독 처리한 cell에서 모두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일반 및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 시료 전처리 후 LPS로 유도된 cell에서 모두 농도 10ug/ml 농도에서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NF-a의 경우 50ug/ml 농도부터 일반미나리에 비해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시료에서 현저히 감소하는 패턴을 유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100ug/ml에서는 2배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L-1B, 1L-6의 경우 100ug/mL의 농도를 제외한 모든 농도에서 일반미나리와 게르마늄미나리 분무건조시료 처리한 Cell에서 LPS를 단독처리한 처리군과 비교하여 비슷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L-12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50ug/ml의 농도에서부터 일반 미나리에 비해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시료에서 더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IFN-r의 경우 위 4개의 cytokine과 다르게 일반 및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 시료 전처리 후 LPS로 유도된 cell에서 모두 농도 10ug/ml 농도에서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미나리에 비해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시료에서 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일반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 시료 모두 IFN-r를 제외한 TNF-a, IL-1B, IL-6, IL-12의 cytokine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보아, 전염증성 및 염증성 cytokine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 미나리에 비해 게르마늄 미나리에서 IFN-r는 증가 및 나머지 측정한 cytokine에서의 감소폭이 더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정상 ICR 마우스에서 NK cell 활성 실험
1. 실험동물
SPF/VAF Outbred CrlOri:CD1 (ICR) 마우스 (생후 6주령 수컷)을,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OrientBio, Seungnam,Korea; 체중 29~32g) 총 33마리의 마우스를 입수하여, 총 7일간 순화시킨 다음, 체중이 일정한 마우스를 선정하여, 정상대조군(멸균 증류수 투여), 일반미나리 (추출물 400mg/kg 투여), 게르마늄 미나리 (추출물 400mg/kg) 총 3가지의 군으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온도 20-25℃ 습도 50-55%, 12시간 명암주기가 유지되는 동물실에서 1주일간 예비 사육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실험동물윤리위원회의 동물윤리 기준에 따라 취급하였으며, 사전승인 하에 실험을 실시하였다.[Approval No. DHU2019-014, February 27, 2019 (ANNEX III)]
2. NK cell activity 분석 방법
비장,복막의 NK세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51Cr release assay를 사용하였다[Hubbell et al., 1985; Park et al., 2014].모든 마우스는 흡입 마취 하에서, 비장, 복막의 NK 세포를 분리, 수집하였다. 분리된 비장세포 10-20mg을 RPMI-1640medium에 4℃ 2번 씻은 후 균질액을 조제하고, RPMI01640 medium으로 반복적으로 복강 내 세척한 후 재 현탁하였다. 조제된 비장, 복만 NK 세포를 mesh (Mesh No. 100, Sigma-Aldrich, St. Louise, MO, USA) 이용하여 RPMI-1640 medium 세척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펠렛을 얻었다. 펠렛을 1% 암모늄 옥살산 염에 재 현탁하여 적혈구를 용해시키고 얼음을 이용하여 4℃에서 10분간 반응한 후 세포를 펠렛화하여,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로 2회 세척하였다. 복강 NK세포는 (1×105 cells/ml ~ 2×105 cells/ml) complete medium에, 비장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밤새 배양하였다. NK 세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HTLA-230 neuroblastoma 표적 세포를 사용하였고, 표적세포는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동안 51Cr(100μCi/1×106 cells)을 처리하였다. 타겟세포와 비장세포와는 100:1 복강세포와는 10:1 비율로 37℃, 5% CO2 배양기에서 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완료 후 상층액을 gamma counter (Cobra 5002; Canberra Packard, Meriden, CT, USA)를 이용하여 유리방사능을 분석하였다. 자연유리량은 작동세포 부유액 대신 동량의 배양액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최대유리량은 1% Triton X-100 용액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NK 활성 값은 다음 공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NK cell activity(%)=[(experimental-spontaneous)/(maximum-spontaneous)] x 100
3. NK cell 활성 측정 결과
NK cell은 대표적인 면역담당 세포로, 현재 NK cell의 활성 증가를 통한 또 다른 개념의 면역 조절제 개발이 각광받고 있다. 일반 미나리와 게르마늄 미나리 분무건조 시료의 면역 활성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정상 ICR 마우스에 각각의 시료를 멸균증류수로 용해시킨 후 10mg/ml의 용량(각각 400mg/kg)으로 매일 1회씩 14일간 정상 ICR마우스에 강제로 경구투여한 후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을 51Cr assay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은 동일한 경구 투여에 따른 보정 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해 실험물질 대신 멸균 증류수만을 동일한 용량 및 빈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비장 NK세포 활성은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시료 400mg/kg 투여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33.33 및 64.50%의 변화를 각각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복강 NK세포활성은 두 시료 모두 400mg/kg 투여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30.46, 58.05%의 변화를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미나리 및 게르마늄 미나리 시료 모두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400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비장 및 복강 NK 세포 활성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으며, 특히 게르마늄 미나리 시료에서 동일한 용량의 일반 미나리 시료 투여군보다 더 우수한 복강 및 비장 NK 세포 활성 효과를 각각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적어도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게르마늄 미나리 시료가 동일한 용량의 일반 미나리 시료보다 더 우수한 NK cell 활성을 통한 면역 조절 효과를 정상 수컷 마우스에서 나타낸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정상 ICR 마우스에서 NO 및 사이토카인 측정 실험
1. 비장조직 내 NO 및 cytokine 분석 방법
정상 ICR 마우스에 일반 미나리(OJ extracts) 및 게르마늄 미나리(GO extracts) 시료를 처리하여, 비장 조직을 수집하여 NO의 경우 Griess Reagent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ICR 마우스에 정상대조군(멸균 증류수 투여), 일반미나리(추출물 400mg/kg 투여), 게르마늄 미나리(추출물 400mg/kg) 3군의 비장 샘플을 약 10~15mg 채취하여, 1 ml lysis buffer (PBS2 mM PMSF and 1mg/ml of aprotinin, leupeptin, and pepstatin A)에 균질화 시켰다[Clark et al. 1991]. 모든 균질화된 비장 조직 샘플은 -150℃에서 보관 후 사용하였다. TNF-a, IL-1B, IL-6, IL-12, IFN-r는 문헌에 따라 [Chen et al, 2006]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IFN-γ(MBS2500105,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IL-12 (MBS2510359), IL-1β(MBS175967), IL-6(MBS2508516) and TNF-α(MBS825075) ELISA kits을 사용하였다.
2. 실험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장조직 내의 NO의 경우 정상 대조군과 대비 OJ extracts 및 GO extracts 모두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함량이 30.57%, 42.23% 감소하는 경항을 확인 확인 할 수 있었다. TNF-a의 경우 OJ extracts 및 GO extracts 모두 400 mg/kg 투여군에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TNF-α의 함량이 각각 22.12%, 35.71%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IL-1B의 경우도 TNF-α와 동일하게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33.33%, 40.06%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L-6, 12의 경우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OJ extracts는 2개의 cytokine 인자들이 각각 23.3%, 17.96%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GO extracts의경우 각각 38.52%, 29.09%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FN-γ의 경우 위에 4개의 cytokine과 달리 OJ extracts 및 GO extracts에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각각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22.72%, 50.92% 증가하는걸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OJ extracts 및 GO extracts 400 mg/kg 투여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비장 조직 내 cytokine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IFN-γ의 경우에는 함량이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으며, 특히 GO extracts은 OJ extracts 보다 더 많은 cytokine의 함량의 변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미나리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유기 게르마늄이 함유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를 건조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 건물을 마련한 다음, 파쇄기에 넣은 후 균질화를 시킨 후, 균질화된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 건물의 중량 대비 10~15 배수의 물을 첨가하여 95~100℃에서 3~5시간 추출하여 얻어지되,
상기 유기 게르마늄 미나리는,
모래, 상기 모래 위의 상토와, 상기 모래 및 상토 위까지 게르마늄 농축수를 채운 다음, 상기 상토에 미나리 종묘를 심어서 재배하는 복합 수경 배지에서 재배되며,
상기 복합 수경 배지 상에는 청색광(450±10nm)을 공급하는 LED 광공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토와 모래 사이에는 발효물층이 배치되며,
상기 발효물층은,
버섯 폐배지와, 미강 분쇄물을 1 : 0.1~0.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흑효모(A. pullulan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한 흑효모 발효물과, 패각 분쇄물 5~15중량부, 겔화제 1~5중량부, 키토산 0.5~1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나리 추출물.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0592A KR102229827B1 (ko) | 2019-09-30 | 2019-09-30 |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및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0592A KR102229827B1 (ko) | 2019-09-30 | 2019-09-30 |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및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9827B1 true KR102229827B1 (ko) | 2021-03-22 |
Family
ID=7522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0592A KR102229827B1 (ko) | 2019-09-30 | 2019-09-30 |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및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982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3613B1 (ko) | 2001-03-05 | 2003-12-31 | 백기엽 | 식물 조직 배양법에 의한 게르마늄 다량 함유 식물체의대량 생산 방법 |
KR20040071086A (ko) | 2004-06-09 | 2004-08-11 | 김현채 |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동시에 함유된 식용, 약용, 식물류의재배방법 |
KR100712342B1 (ko) | 2006-02-27 | 2007-07-24 | 이상근 | 미나리생산방법 |
KR20150052542A (ko) | 2013-11-06 | 2015-05-14 | 지리산송이울금영농조합법인 | 게르마늄 함유 울금의 재배방법 |
-
2019
- 2019-09-30 KR KR1020190120592A patent/KR1022298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3613B1 (ko) | 2001-03-05 | 2003-12-31 | 백기엽 | 식물 조직 배양법에 의한 게르마늄 다량 함유 식물체의대량 생산 방법 |
KR20040071086A (ko) | 2004-06-09 | 2004-08-11 | 김현채 |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동시에 함유된 식용, 약용, 식물류의재배방법 |
KR100712342B1 (ko) | 2006-02-27 | 2007-07-24 | 이상근 | 미나리생산방법 |
KR20150052542A (ko) | 2013-11-06 | 2015-05-14 | 지리산송이울금영농조합법인 | 게르마늄 함유 울금의 재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주완 등, 유기게르마늄 함유 고부가가치 미나리생산 및 면역증진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과제의 보고서, 2017, 농림축산부.*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Izah | Some determinant factor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 of plant extracts | |
Fuji et al. |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in young sesame leaves (Sesamum indicum L.) and changes in iridoid and polyphenol content at different growth stages | |
EP3607958A1 (en) |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use in reducing ultraviolet damage | |
Kaiser et al. | Anti-allergic effects of herbal product from Allium cepa (bulb) | |
Li et al. | Structure, molecular modification, and anti-radiation activity of melanin from Lachnum YM156 on ultraviolet B-induced injury in mice | |
Han et al. | Important changes in germination, seedling tolerance, and active components content due to drought stress on three licorice (Glycyrrhiza) species | |
Ramadan et al. |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Silybum marianum plant in rats | |
Prastiyanto et al. | Anticancer potential of methanolic extracts from Pleurotus species on raji cells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
Soldati | Panax ginseng: standard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 |
Zheng et al. | Optimization of shade condition and harvest time for Dendrobium candidum plants based on leaf gas exchange, alkaloids and polysaccharides contents | |
Upadhyay et al. |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inospora cordifolia (Miers.) stem using in vitro models | |
KR102229827B1 (ko) | 세포독성을 억제하고 및 면역 활성을 제공하는 유기 게르마늄을 함유하는 미나리 추출물 | |
Kim et al. |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Undaria pinnatifida in mouse B16 melanoma cells | |
Lee et al. | Antidiabeto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ctaphlorethol a isolated from the brown algae Ishige foliace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
Tan et al. | An overview of Clinacanthus nutans (Burm. f.) Lindau as a medicinal plant with diverse pharmacological values | |
EP3277260B1 (en) | Erodium crassifolium l'her plant extracts and uses thereof | |
Jeong et al. |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ctive materials derived from Triticum aestivum sprouts | |
Dartsch | The potential of asparagus‐P® to inactivate reactive oxygen radicals | |
Uddin et al. | DPPH scavenging assay of eighty four Bangladeshi medicinal plants | |
CN103520279B (zh) | 樟属植物提取物在制备治疗或预防肿瘤的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 |
Chaudhuri et al. |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the extracts from Iresine herbstii and its therapeutic use via antioxidant and cytotoxic potential by multiple in vitro assays | |
Darwish et al. | Turnip (Brassica Rapa L.) Attenuate liver and kidney damage induced by gamma irradiation in rats | |
Pannu et al. | The green blood” wheatgrass juice, a health tonic having antibacterial potential | |
CN101347471B (zh) | 由千屈菜制备的具有抗氧化和肝脏保护活性的组合物 | |
Bhattacharya et al. | Potential bioactive properties of Hibiscus sabdariffa (Rosel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