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758B1 -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 Google Patents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758B1
KR102229758B1 KR1020200123554A KR20200123554A KR102229758B1 KR 102229758 B1 KR102229758 B1 KR 102229758B1 KR 1020200123554 A KR1020200123554 A KR 1020200123554A KR 20200123554 A KR20200123554 A KR 20200123554A KR 102229758 B1 KR102229758 B1 KR 10222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tion
glasses
light sour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540A (ko
Inventor
채신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임
Priority to KR102020012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75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에 양측으로 연결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안경에서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광원부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GLASSES WITH MOTION INPUT FUNCTION}
본 발명은 안경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의사를 모션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작업이나 외출시에 또는 야간에 운동이나 레저활동을 할 경우에는 대부분 조명장치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때 후래쉬나 랜턴과 같은 조명장치를 한 손에 들어야하기 때문에 양손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두 손을 활용하여야 하는 정밀한 작업이나 운동을 할 경우 원하는 곳으로 상시적으로 정확하게 비춰주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 신체나 구조에 장착할 수 있는 조명기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모자나 안전모에 장착하는 조명기구, 책상에 거치하는 조명기구, 의류에 부착되는 조명기구 등의 형태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379호는 안경 부착용 조명구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이에 대한 사용상태도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명등 본체(1)에 끼움홈(4)을 하방으로 형성하여 안경의 고정테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방에는 돌출관(2)을 좌우 대칭적으로 돌설하여 조명등(3)을 삽입하며, 중앙에는 융기부(6)를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전지(8)를 수납하고 외부에 스위치 (5)를 부착하여 조명등(3)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안경으로서 조명기구가 부착되는 경우 조명의 방향이 시야에 일치되고 양손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경우 별도로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개별 제어해야하기 때문에 효용성이 낮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안경에서 작업이나 운동 등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모션 입력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방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과 그 양측으로 연결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안경으로서,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전방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300),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210)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수신된 사용자 동작의 입력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고 불필요한 움직임 요소를 제거하여 설정된 움직임과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모션판단부와, 상기 매칭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에 따라 광원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광원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부(1100)를 포함하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가 가속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의 사용자단말(5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광원부의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명령설정부(1150)와, 사용자의 움직임과 명령설정부에서 설정된 동작의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모션판단부(1131)와, 광원부에 제어전력을 전송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광원제어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은, 명령설정부와 모션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움직임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신호를 통신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골전도스피커로 이루어지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제어부는, 광원부의 온오프 또는 조도의 높임과 낮추의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광원의 제어를 위한 입력이 센서부에서 움직임의 감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특히, 시선의 방향과 조명의 방향을 상시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으며, 양손을 사용하는 정밀작업이 있는 경우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집중도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이어셋의 착용 없이도 안경의 형태로서 음성 등을 들을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의 조작이 가능하여 편리하며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안경 부착용 조명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에서 본체부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부에 대한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에 대한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방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에 양측으로 연결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안경으로서,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광원부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광원부를 제어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경의 경우 기본적으로 렌즈를 장착하는 림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과 이로부터 좌우에 회동될 수 있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유형의 안경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 형태나 용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안경알을 구비하지 않고 림 부위의 하방이 개방되어 콧등에 장착되는 유형의 경우도 본 발명의 안경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메인프레임(200)은 전방측에 구비되고 렌즈가 장착될 수 있는 양측의 림(210)과 상기 림(210)을 연결하는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의 부위에는 콧등에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안착부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200)의 양측으로는 회동 가능한 태로서 다리부(100)가 형성되며 이러한 다리부(100)는 귀 부위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전방의 경첩(101)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경첩(101)이 생략되고 메인프레임(200)과 다리부(100)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200)과 다리부(100)는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메인프레임(200) 및/또는 다리부(100)에는 광원부(300)가 구비되어 전방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300)의 형식과 배치는 선택적이나 전력 관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LED(Light-Emitting Diode)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프레임(200)의 가장자리의 양측으로 한쌍의 광원부(300)가 배치되고 연결부(220)에 하나의 광원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프레임(200)의 형태를 고려하여 연결부(220)에 배치되는 광원부(300)는 복수의 LED램프가 가로로 배열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광원부(300)는 세로로 배열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선택적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광원부(300)는 단일의 LED램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광원부(300)에 제어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부(100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전력원으로서 배터리와 연결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0)와 광원부(300)가 소정의 전력라인으로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전력라인은 메인프레임(200) 및 다리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라인 배치는 도선이나 단자 등 공지의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체부(1000)는 PCB로서 제어부를 포함하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광원부(300)의 온오프 또는 조도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제어의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0)의 무게와 크기를 고려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00)에 결합 또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에서 본체부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체부(1000)에 구성되는 각각의 '부'들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요소이거나 하나의 제어반에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0)의 각 구성요소는 모듈 형태로서 구성되는 각각의 요소들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이거나, 메인프레임이나 다리부에 집합 또는 분산되어 구성되는 경우이거나, 안경과 사용자단말(500)에 분산되는 경우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부(1100)는 기본적으로 광원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제어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음성의 입력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 또는 스위치의 작동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작업시 양손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210)를 통하여 광원부(300)에 대한 제어입력이 수행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예시된 입력방식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1100)는 광원부(300)에 제어전력을 공급하고 전력관리 및 입출력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센서부(1210)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장착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센서이며, 가속도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속도센서는 1축 내지는 3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센서부(1210)는 교환적 또는 추가적으로 경사센서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5축센서가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1210)가 본체부(1000)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메인프레임(200)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0)의 제어동작과 광원부(300)로의 전력공급을 위하여 배터리부(1300)가 배치되며, 이러한 배터리부(1300)는 본체부(1000)에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휴대성과 확장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배터리부(1300) 또는 전력공급단자가 본체부(10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300)는 리튬폴리머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부(1300)의 충전을 위하여 본체부(1000) 또는 배터리부(1300)는 무선충전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다만 유선충전을 위한 단자의 배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충전 중에도 조명으로서의 사용이 허용되도록 제어부(1100)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원격의 사용자단말(50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120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모듈(1200)는 사용자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는 유무선의 다양한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RF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로라(LoRa), 4G나 5G 등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상기 통신모듈(1200)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단말(500)은 원격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장치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PC, 노트북, 무선스위치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500)은 스마트폰으로 적용하되 기초적인 모션의 설정과 온오프 및 조도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스마트폰 동작 입력 등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부(1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피커부(1220)는 명령 동작 또는 사용자단말(50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등을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음향 발생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소정의 작업 환경에서 장착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고려하면 상기 스피커부(1220)는 골전도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리부(100)를 중심으로 하는 안경의 프레임으로 음향에 대응되는 진동이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은 머리 부위의 신체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음향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작업이나 운동 환경의 촬영과 녹화를 위하여 카메라부(1230)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0)는 카메라부(1230)의 영상을 통신모듈(120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500)로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화통화나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미도시)이 더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 마이크로폰, 스피커, 추가적인 배터리의 장착과 탈거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본체부(1000)는 복수의 모듈 연결단자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각각의 '부'들은 모듈 형태로서 추가, 교환, 치환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은 자석식 단자가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각각의 광, 음향 또는 진동 등을 발생하는 동작 장치들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모션의 입력을 통하여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제어부에 대한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입력부(1110)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입력을 수신하고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기본적으로 센서부(1210)에 의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입력명령으로서 판단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입력은 음성 또는 다른 조작신호일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상기 입력부(1110)에서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모션판단부(1131)는 동작의 설정된 움직임과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의 설정된 값에 따라 명령에 해당되는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광원제어부(1120)로 제어신호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션판단부(1131)는 소정의 움직임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하방향의 움직임에 대응한 광원의 온(ON) 제어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좌우와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동시에 수행한다면 모션판단부(1131)는 상하방향 움직임과 좌우방향의 움직임의 정도를 판단하여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더 큰 경우 좌우방향에 대한 움직임 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이러한 모션판단부(1131)은 사용자단말(500)에 구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210)에서 생성된 모션신호를 입력부(1110)가 수신하고 통신모듈(120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500)로 전송되면, 사용자단말(500)은 모션판단부(1131)로서 기능하여 소정의 설정된 명령에 따라 다시 통신모듈(1200)로 명령을 전송하여 광원이나 스피커 등을 동작하기 위하여 광원제어부(1120)나 출력부(114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모션입력에 따른 명령이 사용자단말(500)의 통화의 착발신, 문자메세지의 전송, 음악의 재생 등의 동작인 경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모션입력에 따라 사용자단말(500)이 동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광원부(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광원부(3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온오프제어 또는 조도의 제어와 같은 동작을 위한 제어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광원의 제어를 위하여 명령설정부(1150)는 미리 소정의 움직임에 대한 광원제어의 명령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사용자단말(500)과의 연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모션판단부(1131)의 움직임 판단은 경사의 판단 또는 가속도의 판단 또는 소정의 동작에 대한 판단일 수 있다. 이는 센서부(1210)가 가속도센서 및/또는 틸팅센서로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와 어느 축방향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소정의 움직임 설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출력부(1140)는 스피커부(1220)로의 음향의 출력이나 사용자단말(500)로의 소정의 동작에 따른 스마트폰 기능의 제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에 대한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는 보관 상태에서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다리부(100)가 경첩(101) 부위에서 회동되어 절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첩(101) 부위에는 본체부(1000)와 광원부(300)를 연결하는 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첩(101)의 부위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라인을 차단하여 보관시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전력효율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일측의 다리부(100)에 본체부(1000)가 배치되고 타측의 다리부(100)에 배터리부(1300)가 배치되는 경우 전력관리의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5의 (b)는 모션판단부(1131)의 설정 및 판단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1동작(①)이 좌우로 스윙하는 모션인 경우, 제2동작(②)이 상하로 스윙하는 모션인 경우, 제3동작(③)이 좌우 회전동작인 경우로 가정한다.
제1동작(①)이 온(ON) 동작으로 설정되고, 제2동작(③)이 오프(OFF) 동작으로 설정되고, 제3동작(③)에서 왼쪽으로 회전이 조도를 높이는 동작으로, 오른쪽으로 회전이 조도를 낮추는 동작으로 명령설정부(1150)에서 설정된다면,
입력부(1110)에서는 센서부(1210)로부터의 사용자의 움직임신호로 수신하고 모션판단부(1131)에서 이를 명령설정부(1150)의 명령과 대비하여 판단하고 광원제어부(1120)는 온, 오프, 조도의 높임 또는 조도의 낮춤 등의 동작으로 결정하여 제어전력을 광원부(300)로 송출함으로써 소정의 조명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광원의 제어를 위한 입력이 센서부에서 움직임의 감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특히, 시선의 방향과 조명의 방향을 상시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으며, 양손을 사용하는 정밀작업이 있는 경우 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집중도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이어셋의 착용 없이도 안경의 형태로서 음성 등을 들을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의 조작이 가능하여 편리하며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다리부 101...경첩
200...메인프레임 210...림
220...연결부 300...광원부
500...사용자단말 1000...본체부
1100...제어부 1110...입력부
1120...광원제어부 1131...모션판단부
1140...출력부 1150...명령설정부
1200...통신모듈 1210...센서부
1220...스피커부 1230...카메라부
1300...배터리부

Claims (5)

  1. 전방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과 그 양측으로 연결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안경으로서,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전방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부(300);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210);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수신된 사용자 동작의 입력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고 불필요한 움직임 요소를 제거하여 설정된 움직임과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모션판단부와, 상기 매칭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명령에 따라 광원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광원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부(1100);를 포함하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센서인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원격의 사용자단말(5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00);을 구비하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명령설정부와 모션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움직임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기능을 동작하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5. 제1항에 있어서,
    골전도스피커로 이루어지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220);를 더 포함하는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KR1020200123554A 2020-09-24 2020-09-24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KR10222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54A KR102229758B1 (ko) 2020-09-24 2020-09-24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54A KR102229758B1 (ko) 2020-09-24 2020-09-24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03A Division KR20200097908A (ko) 2019-02-11 2019-02-11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540A KR20200125540A (ko) 2020-11-04
KR102229758B1 true KR102229758B1 (ko) 2021-03-19

Family

ID=7357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554A KR102229758B1 (ko) 2020-09-24 2020-09-24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7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99B1 (ko) 2011-01-13 2014-01-06 에이씨피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광원 장치
KR101786613B1 (ko) 2016-05-16 2017-10-18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8749A1 (ja) * 2013-02-19 2014-08-28 株式会社ブリリアントサービス 形状認識装置、形状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形状認識方法
JP5836517B2 (ja) * 2014-02-24 2015-12-24 株式会社ルネット 眼鏡型情報端末、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059173B1 (ko) * 2017-12-27 2019-12-24 (주)이노션 모듈화된 안경 다리 및 스마트 아이웨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99B1 (ko) 2011-01-13 2014-01-06 에이씨피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광원 장치
KR101786613B1 (ko) 2016-05-16 2017-10-18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540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601B2 (ja) ヘッドセットに基づく通信プラットホーム
JP6630441B2 (ja) 耳保護デバイス、通信システム、及び保護ヘルメット
TW201419883A (zh) 頭戴式耳機裝置
TW201415113A (zh) 眼鏡之轉接器
JP2012100248A (ja) クレードル
CN204633820U (zh) 智能电话
KR102229758B1 (ko)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JP5675155B2 (ja) 頭部装着型情報通知装置
JP2000032580A (ja) ヘッドセット
CN105027140A (zh) 便携式信息码读取装置
KR20200097908A (ko)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CN10403864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照明方法及装置
KR20210060451A (ko)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CN210831537U (zh) 一种智能台灯
WO2019238037A1 (zh) 手持控制装置和多功能眼镜
CN206115062U (zh) 一种结合眼镜的蓝牙耳机
JP2014191238A (ja)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CN216118273U (zh) 智能眼镜
CN209460929U (zh) 一种多功能遥控器
CN210983012U (zh) 一种重力感应的蓝牙音响投影仪
CN216646958U (zh) 一种可穿戴增强现实装置
CN217714754U (zh) 台灯
CN108511263B (zh) 吹气开关
CN202773054U (zh) 一种蓝牙耳机
CN209909641U (zh) 一种全触摸无极调光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