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451A -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451A
KR20210060451A KR1020217006419A KR20217006419A KR20210060451A KR 20210060451 A KR20210060451 A KR 20210060451A KR 1020217006419 A KR1020217006419 A KR 1020217006419A KR 20217006419 A KR20217006419 A KR 20217006419A KR 20210060451 A KR20210060451 A KR 20210060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unit
lighting
speaker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에스
Publication of KR2021006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뿐만 아니라 조명장치를 겸할 수 있는 장치로써, 행사장이나 각종 파티 및 클럽 등에서 분위기를 고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본 발명은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의 음원에 따라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행사장이나 각종 파티 및 클럽 등에서 분위기를 고무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는 디지털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PC 또는 노트북 등을 휴대하고, 휴대한 디지털 기기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은 기본적으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 파일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아서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 또는 헤드셋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데, 특히, 블루투스 스피커 장치는 휴대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음악 감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야외 음악 감상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행사장이나 각종 파티 및 클럽 등에서, 블루투스 스피커에서 제공되는 음원과 함께 해당 장소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조명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조명장치 자체의 에너지 절약 기술이나, 방열 기술 등에 기술적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 블루투스 스피커와 조화되어 해당 장소의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다기능 스피커에 대한 기술 개발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5891호(2013. 06. 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39418호(2014. 09.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55790호(2014. 10. 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7665호(2016. 04. 06)
본 발명은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뿐만 아니라, 해당 음원과 부합하는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공하여, 행사장이나 각종 파티 및 클럽 등에서 분위기를 고무시키는데 효과적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조명장치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목적하는 분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이,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공함으로써, 분위기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상기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명장치 삽입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명장치 삽입부; 및 상기 본체부와 조명장치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복수의 광원이 내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조명장치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 삽입부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은,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삽입 소켓 및 조명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명장치 삽입부는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의 삽입 소켓은,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플렉서블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명장치 삽입부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을 지지고정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조명장치 삽입 모듈의 제 2 모터부의 동력에 의해 조명장치가 상하 또는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지지고정하는 힌지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재생 모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조명 모드, 음원 재생 패턴 모드, 경광등 모드, 동기화 모드 또는 믹싱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원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뿐만 아니라, 해당 음원과 부합하는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공하여, 행사장이나 각종 파티 및 클럽 등에서 분위기를 고무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또한, 다양한 조명장치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목적하는 분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이,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공간에서의 음원에 따른 역동성을 제공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일 사시도이다.
도 4 및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가 외부기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명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전반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단부에 조명장치가 위치하고 상기 음원과 상응하게 동작하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행사장이나 각종 파티 및 클럽 등에서 분위기를 고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또한, 상기 조명장치를 음원의 장르나 분위기에 맞게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용자가 목적하는 분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더욱이,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공간에서의 음원에 따른 역동성을 제공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명장치 삽입부(200); 및 본체부(100)와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00)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101), 복수의 광원이 내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102), 상기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03) 및 조명장치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104)를 포함하고, 조명장치 삽입부(200)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은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삽입 소켓(2011) 및 조명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20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101), 복수의 광원이 내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102),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03) 및 조명장치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104)를 포함한다.
스피커(101)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음원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통신부(103)를 매개로 외부기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제공받은 음원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피커(101)의 출력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일반적인 스피커(101)가 가지는 출력량을 가질 수 있다. 스피커(101)는, 예를 들면 2W 내지 20W의 범위 내 출력량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101)는, 예를 들면 본체부의 전방, 후방, 전후방,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본체부에 어느 일 부위에 위치하는 스피커(101)의 출력량은 다른 부위에 위치하는 스피커(101)의 출력량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2)는 복수의 광원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예를 들면 LED 조명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디스플레이부(102)에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2) 전면을 고르게 밝히는 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크기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디스플레이부(102)는 또한,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종류나 장르에 따른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모드 조정에 따른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따라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2)는 도형 패턴 및 문자 패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형 패턴 및 문자 패턴은 복수의 광원의 점멸 여부 및 점멸 간격 등에 의해 구현되는 도형 및 문자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디스플레이부(102)는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예를 들면 이퀄라이즈, 그루브, 레인보우, 메터오, 트로트, 클럽, 발라드, 클래식, 일렉 및 축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테마에 상응하는 도형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외부기기 또는 본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모드 제어 버튼을 통해 상기 테마를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받은 문자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외부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면, 해당 문자가 본체부(100)의 통신부(103)를 매개로 전달되고,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2)는 소정의 문자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03)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을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 하에 본체부(100)의 스피커(101)에 해당 음원을 출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통신부(103)는 블루투스 모듈, 직비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또는 NFC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통신부(103)는 AUX 케이블 단자, RCA 케이블 단자 또는 BNC 케이블 단자 등과 같은 음원 수신 단자를 포함하여, 유선으로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 및/또는 음원 수신 단자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외부기기에서 제공되는 음원을 제어부(400)를 거쳐 본체부(100)의 스피커(10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본체부(100)는 상단에 부착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모터부(104)를 포함한다.
즉, 제 1 모터부(104)는 본체부(100)와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에 동력을 제공하여 조명장치가 좌우 및 상하 회전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 1 모터부(104)의 회전 동력 제공 방향은 제 2 모터부(2012)와 연계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모터부(2012)가 좌우 회전의 동력을 조명장치에 제공하는 경우, 제 1 모터부(104)는 본체부(100)와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을 매개로 조명장치가 상하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 2 모터부(2012)가 상하 회전의 동력을 조명장치에 제공하는 경우, 제 1 모터부(104)는 본체부(100)와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을 매개로 조명장치가 좌우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부(104)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 동작은, 예를 들면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장르나 종류에 따른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1 모터부(104)에 의한 조명장치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 동작 속도 및 방향 등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포함한다.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은 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하고,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은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삽입 소켓(2011) 및 조명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2012)를 포함한다.
삽입 소켓(2011)은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구조나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삽입 소켓(2011)은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조명장치 삽입부(200)는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통한 전력 제공 방식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는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가지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예를 들면 조명등, 무드등, 미러볼 또는 스탠드 등 다양한 구조, 형태 및 광원의 세기를 가지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삽입 소켓(2011)은 USB 타입의 삽입 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 소켓(2011)은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은 또한, 조명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2012)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모터부(2012)는 삽입 소켓(2011)에 동력을 제공하여 조명장치가 상하 및 좌우 회전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 2 모터부(2012)의 회전 동력 제공 방향은 제 1 모터부(104)와 연계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모터부(104)가 좌우 회전의 동력을 조명장치에 제공하는 경우, 제 2 모터부(2012)는 삽입 소켓(2011)에 결합된 조명장치가 상하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 1 모터부(104)가 상하 회전의 동력을 조명장치에 제공하는 경우, 제 2 모터부(2012)는 삽입 소켓(2011)에 결합된 조명장치가 좌우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모터부(2012)는,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 내부의 어느 일 위치에 존재하여, 전술한 조명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 동작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모터부(104)와 마찬가지로 제 2 모터부(2012)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 동작은, 예를 들면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장르나 종류에 따른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2 모터부(2012)에 의한 조명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 동작 속도 및 방향 등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은 하나 이상, 예를 들면 한 쌍으로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조명장치 삽입부(2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일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의 삽입 소켓(2011)은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소정의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조명장치를 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가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추종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제 1 모터부(104) 및 제 2 모터부(2012)를 포함함으로써, 행사장이나 각종 파티 및 클럽 등에서 분위기를 고무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본체부(100)와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을 포함한다.
연결수단(300)은 음원이 출력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음원에 맞추어 좌우 및/또는 상하 회전하는 조명장치가 삽입되어 있는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수단(300)은 본체부(100)에 포함되는 제 1 모터부(104)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 동력을 조명장치 삽입부(200)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에 결합되어 있는 조명장치에 제공하기 위해 본체부(100)와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수단(300)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모양 및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연결수단(300)은 플렉서블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수단(300)이 플렉서블관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직접 조명장치의 위치를 조절하여 목적하는 방향으로 광원의 방향 및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연결수단(3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구성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조명장치 삽입부(200)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지지고정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 구조체(30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301)는, 예를 들면 “ㄷ”형태를 가질 수 있고,“ㄷ”형태의 내부에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구조체(301)는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의 제 2 모터부(2012)의 동력에 의해 조명장치가 상하 또는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지지고정하는 힌지 결합구조(301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결합구조(3011)를 매개로 제 2 모터부(2012)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 동력은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에 전달되고, 궁극적으로 삽입 소켓(2011)에 결합되어 있는 조명장치를 상하 또는 좌우 회전 할 수 있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힌지 결합구조(3011)는 지지 구조체(301)의“ㄷ”형태 내 양 단에 위치하여 제 2 모터부(2012)의 상하 회전 동력을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에 전달하게 할 수도 있고, 다른 예시에서, 지지 구조체(301)의“ㄷ”형태 내 어느 일 단에 위치하여 제 2 모터부(2012)의 좌우 회전 동력을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에 전달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연결수단(300)을 이용하면,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조명장치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또한 전술한 각 구성들과 기기 전체의 동작 및 외부기기와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어부(400)는 통신부(103)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재생 모드를 제어하거나, 통신부(103)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통신부(103)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외부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 모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원의 재생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어부(400)는 통신부(103)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조명 모드, 음원 재생 패턴 모드, 경광등 모드, 동기화 모드 또는 믹싱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일반 모드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은 음원의 강약 또는 빠르기에 해당되는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이 제공될 수 있도록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조명 모드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명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음원 재생 패턴 모드는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예를 들면 이퀄라이즈, 그루브, 레인보우, 메터오, 트로트, 클럽, 발라드, 클래식, 일렉 및 축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테마에 상응하는 도형 패턴이 제공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테마에 상응하는 조명장치의 기 설정 조명 세기 및 점등 간격이 제공될 수 있도록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경광등 모드는 본체부에 있는 복수의 광원을 통해 문자 패턴, 예를 들면 경고 메시지 또는 화살표가 제공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에 상응하는 조명장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기화 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가 복수개 존재할 때, 상기 복수개의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를 페어링하여 단일 기기처럼 제어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믹싱 모드는, 외부기기에 의한 제어 신호에 따라 효과음 또는 특수음 등과 같은 믹싱음이 음원과 함께 스피커(101)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또한, 통신부(103)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통신부(103)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원에 따라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의 제어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에 따른 조명의 구동 설정값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음원에 따라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의 제어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장르나 종류에 따른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 설정값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음원에 따른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의 제어 또한, 후술하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에 따른 광원의 구동 설정값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음원에 따른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의 제어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의 장르나 종류에 따른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 설정값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또한, 통신부(103)를 통해 전달되는 음원에 따라 제 1 모터부(104) 및 제 2 모터부(2012)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제 1 모터부(104) 및 제 2 모터부(20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제어부(400)는 음원을 제공하는 외부기기(1000)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10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제 1 모터부(104) 및 제 2 모터부(20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제어부(400)는 상기 음원을 제공하는 외부기기(1000)와 다른 외부기기(2000)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20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제 1 모터부(104) 및 제 2 모터부(20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기기(2000)의 종류는 스마트폰, 팔찌, 스마트 워치, 지휘봉 또는 응원봉 등으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포터블 기기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모션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각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또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에 따른 조명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구동 설정값에 기초하여 제어부(400)는 조명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장르 및 종류에 따른 조명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원이 장르 및 종류는, 예를 들면 제공되는 음원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는, 각종 재생 모드에 따른 조명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일반 모드, 조명 모드, 음원 재생 패턴 모드, 경광등 모드, 동기화 모드 또는 믹싱 모드에 따른 조명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재생 모드, 예를 들면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또한 본체부에 있는 모드 조절 수단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메모리부는 음원을 제공하는 외부기기(1000) 또는 상기 외부기기(1000)와 다른 외부기기(20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제 1 모터부(104) 및 제 2 모터부(2012)의 동작 값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동작값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와 상응하는 제 1 모터부(104) 및 제 2 모터부(2012)의 동작 속도 및 각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음원의 종류나 장르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102)의 광원 및 조명장치의 구동 설정값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2) 및 조명장치의 제어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에 맞는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장소에서 음원에 따른 역동성을 제공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의 일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명장치 삽입부(200); 및 본체부(100)와 조명장치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 삽입부(200)는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포함하고,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의 삽입 소켓은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300)은, 조명 장치 삽입부(200)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201)을 지지고정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 구조체(301)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 구조체(301)는, 조명장치 삽입 모듈의 제 2 모터부(2012)의 동력에 의해 조명장치가 상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지지고정하는 힌지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는 도 3에 구조를 가지면서 전술한 제어부(400) 및 메모리부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종류나 장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및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파티 장소나 행사장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고무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에 대해 도면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뿐 이며,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균등물 내지는 동일성 범주의 치환물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하다.
100 : 본체부
101 : 스피커
102 : 디스플레이부
103 : 통신부
104 : 제 1 모터부
200 : 조명장치 삽입부
201 : 조명장치 삽입 모듈
2011 : 삽입 소켓
2012 : 제 2 모터부
300 : 연결수단
301 : 지지 구조체
3011 : 힌지 결합 구조
400 : 제어부
1000,2000 : 외부기기

Claims (8)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명장치 삽입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명장치 삽입부; 및 상기 본체부와 조명장치 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로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복수의 광원이 내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조명장치의 좌우 또는 상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 삽입부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은,
    조명장치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삽입 소켓 및
    조명장치의 상하 또는 좌우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 삽입부는,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의 삽입 소켓은,
    USB 타입의 삽입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플렉서블관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조명장치 삽입부의 조명장치 삽입 모듈을 지지고정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조명장치 삽입 모듈의 제 2 모터부의 동력에 의해 조명장치가 상하 또는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장치를 지지고정하는 힌지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재생 모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조명의 세기 및 점등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조명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받는 음원에 따라 광원의 세기, 광원의 점멸 여부 및 광원의 점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기기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조명 모드, 음원 재생 패턴 모드, 경광등 모드, 동기화 모드 또는 믹싱 모드를 제어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원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외부기기와 같거나 다른 외부기기로써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KR1020217006419A 2018-11-28 2018-11-28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KR20210060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4762 WO2020111300A1 (ko) 2018-11-28 2018-11-28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451A true KR20210060451A (ko) 2021-05-26

Family

ID=7085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419A KR20210060451A (ko) 2018-11-28 2018-11-28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59359A1 (ko)
KR (1) KR20210060451A (ko)
WO (1) WO2020111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6889S1 (en) * 2018-10-31 2024-05-14 K-Tronics (Suzhou) Technology Co., Ltd. Display stand base with speaker
US20220341587A1 (en) * 2021-04-27 2022-10-27 Alpine Corporation Solar lantern spe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91B1 (ko) 2012-09-17 2013-06-17 (주)합동전자산업 퍼블릭 어드레스 블루투스 스피커
KR101439418B1 (ko) 2013-02-07 2014-09-11 박선기 소켓형 led 블루투스 스피커
KR101455790B1 (ko) 2014-08-14 2014-11-04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블루투스 스피커
KR20160037665A (ko) 2014-09-29 2016-04-06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4401A1 (en) * 2008-08-05 2010-02-11 Ching-Shan Huang Audio player with illumination effect
KR101118056B1 (ko) * 2010-09-30 2012-02-24 김유현 엘이디 전기스탠드
KR101541407B1 (ko) * 2014-01-28 2015-08-03 (주) 가비온 무선 스피커 겸용 조명장치
KR101659428B1 (ko) * 2014-05-21 2016-09-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
KR101829259B1 (ko) * 2016-10-24 2018-03-29 정영복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91B1 (ko) 2012-09-17 2013-06-17 (주)합동전자산업 퍼블릭 어드레스 블루투스 스피커
KR101439418B1 (ko) 2013-02-07 2014-09-11 박선기 소켓형 led 블루투스 스피커
KR101455790B1 (ko) 2014-08-14 2014-11-04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블루투스 스피커
KR20160037665A (ko) 2014-09-29 2016-04-06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9359A1 (en) 2022-05-19
WO2020111300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638B2 (en) Modular quick-connect A/V system and methods thereof
ES2694507T3 (es) Dispositivo de recepción y emisión de contenidos multimedia
KR101641510B1 (ko) 변형과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led스피커
JP2012503838A (ja) 回転機構を備えた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CN205829936U (zh) 一种自带音响的便携式手机k歌话筒
KR20210060451A (ko)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KR200465111Y1 (ko) 스마트폰 연동 조명스탠드
KR101829259B1 (ko)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KR101698757B1 (ko)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US20170013337A1 (en) Plant speaker
KR200450420Y1 (ko) 밝기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을 가진 pmp 스탠드
US11369865B2 (en) Microprocessed electronic device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by controlling and synchronizing light and sound
KR101520772B1 (ko) 자유 변형이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
KR101474409B1 (ko) 유아용 스마트 모빌
KR20160121260A (ko) 블루투스 및 무선통화 기능을 가진 멀티 무드등
KR101342959B1 (ko)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KR20210047178A (ko) 광소자 기반의 입체영상 발광 야광봉
TWM578056U (zh) Portable Bluetooth swing speaker set
US20200329890A1 (en) Digital shadow box
KR200411446Y1 (ko) 다기능 데스크톱 오디오시스템
CN207652621U (zh) 一种多功能户外音箱
JP2022122327A (ja) 照明付スピーカー
CN206398621U (zh) 彩灯装置
TW201742473A (zh) 聲光喇叭及包含聲光喇叭的電子裝置
JP2014512633A (ja) 回転ディスコボール付avコンテンツ保存・再生用携帯マルチメディア装置−パーティ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