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790B1 - 블루투스 스피커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790B1
KR101455790B1 KR1020140105938A KR20140105938A KR101455790B1 KR 101455790 B1 KR101455790 B1 KR 101455790B1 KR 1020140105938 A KR1020140105938 A KR 1020140105938A KR 20140105938 A KR20140105938 A KR 20140105938A KR 101455790 B1 KR101455790 B1 KR 10145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speaker
case
speaker module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to KR102014010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790B1/ko
Priority to PCT/KR2015/008330 priority patent/WO20160247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가 자유롭고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닉되어 있어 마감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설치에 제약이 전혀 없어 호환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블루투스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홈(11a)을 구비하는 제1바디부(11), 스피커홈(12a)을 구비하며 제1바디부(11)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제2바디부(12), 제1바디부(11) 또는 제2바디부(12)에 고정되는 결합구(13)로 구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내설되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신호를 매개로 수신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무선스피커모듈(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설치에 제약이 전혀 없어 호환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고, 특히 스피커홈으로 체결부재(나사볼트)가 삽입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은닉되므로 제품을 상당히 미려하면서도 돋보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인위적으로 체결부재(나사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전혀 없어 제품생산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스피커{Bluetooth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거치가 자유롭고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닉되어 있어 마감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설치에 제약이 전혀 없어 호환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블루투스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MP3 플레이어와 같이 개인이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소지가 일반화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본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을 소지한 사용자는 각각의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직접 작동조정함으로써 사용상태를 전환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멀리 덜어진 기기들을 단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케이블 없이 상호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적용하여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서 발신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적용하여 쉽게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기능을 가지는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567457호(블루투스를 기술을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9339호(다기능 블루투스 수신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거치가 불편해 설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와 본체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 체결부재가 외부로 들어나 미적인 요소를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거치가 자유롭고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닉되어 있어 마감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설치에 제약이 전혀 없어 호환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블루투스 스피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피커홈을 구비하는 제1바디부, 스피커홈을 구비하며 제1바디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제2바디부, 제1바디부 또는 제2바디부에 고정되는 결합구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신호를 매개로 수신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무선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의 내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서로 맞대어져 스피커홈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스피커모듈에는 둘레면을 감싸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진동을 감쇄하는 보호천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와 무선스피커모듈 사이에는 진동을 감쇄하는 고무재질의 진동감쇄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스피커모듈에는 마이크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무선스피커모듈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블루투스신호를 매개로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이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단부 둘레면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면에 호형의 홈이 형성된 지주,
외향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갖추고서, 상기 지주의 홈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피봇,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끼워져 피봇을 감싸는 결속구,
상기 결속구에 체결되어 일단부가 관통되며, 일단부가 지주의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맞대어져 결속구를 매개로 피봇을 고정하는 조임쇠,
상기 피봇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미끄럼방지 및 진동을 감쇄하는 미끄럼방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설치에 제약이 전혀 없어 호환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고, 특히 스피커홈으로 체결부재(나사볼트)가 삽입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은닉되므로 제품을 상당히 미려하면서도 돋보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인위적으로 체결부재(나사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전혀 없어 제품생산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무선스피커모듈의 마이크를 통해 전화통화가 가능한데, 특히 통화시 사용자가 귀에 직접착용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해 종래와 같이 착용 및 빼야했던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으며, 더욱이 귀에 직접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감과 청각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그리고, 무선스피커모듈이 내장된 케이스를 지지유닛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쉽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케이스와 무선스피커모듈 사이에 고무재질의 진동감쇄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에 의해 무선스피커모듈에 진동을 발생하더라도 이를 진동감쇄부재가 이를 감쇄시켜 주므로 케이스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 소음유발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에서 무선스피커모듈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측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에서 무선스피커모듈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스피커는, 케이스(10)와 무선스피커모듈(20)로 구성되며, 여기에 보호천(30) 및 지지유닛(40) 및 진동감쇄부재(50)가 더 보강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는 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부에 실장된 무선스피커모듈(2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로 분할되며,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스피커홈(11a,12a)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보스(11b,12b)가 각각 구비되는데, 보스(11b,12b)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결합시 서로 맞대어지고, 체결부재(B;나사볼트)를 매개로 상호 결합됨에 따라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는 하나의 완전체를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에 형성된 스피커홈(11a,12a) 중 제2바디부(12)에 형성된 스피커홈(12a)으로 체결부재(B)가 삽입되어 보스(11b,12b)에 체결되며, 삽입된 체결부재(B)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은닉되므로 제품을 상당히 미려하면서도 돋보이도록 하므로 상품가치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인위적으로 체결부재(B)가 삽입되는 구멍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전혀 없어 제품생산에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부(11)의 상부와 하부에는 무선스피커모듈(20)의 버튼부(22)와 단자부(23)가 노출되는 구멍이 형성되는데, 특히 상부에 형성된 구멍에는, 공개특허 제10-2007-0029339호의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무선스피커모듈(20)의 버튼부(22)를 각각 조작(누름)할 수 있도록 키버튼(11c)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바디부(11) 또는 제2바디부(12)의 외부밑면에는 결합구(13)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결합구(13)는 사진기가 고정되는 삼각대의 볼트나, 자전거의 핸들에 형성된 볼트 등에 설치가 가능해 호환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결합구(13)는 제1바디부(11)의 외부밑면에 맞대어져 체결부재(예를 들면, 나사볼트 등)를 매개로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제1바디부(11) 또는 제2바디부(12)와 일체로 제조(성형)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스피커모듈(20)은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신호를 송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1)로 출력하고, 마이크(2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공지의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무선스피커모듈(20)은 스피커(21)와, 전원·볼륨·음악재생·블루투스연결·스피커폰 등을 구비하는 버튼부(22), 및 외부기기와 오디오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는 AUX단자·충전단자·리셋단자 등이 형성된 단자부(23)를 구비하며, 여기에 마이크(24)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스피커(21)를 통해서는 음향(음악 또는 상대방 목소리 등)이 출력된다.
상기 버튼부(22)는 제1바디부(11)의 키버튼(11c)에 맞대어지는데, 일 예로서, 4개의 단자 중 우측에 위치한 전원버튼을 2초간 길게 누르게 되면 무선스피커모듈(20)이 켜지고, 다시 전원버튼을 3초간 누르게 되면 무선스피커모듈(20)이 꺼지게 된다. 또한,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6초간 누르게 되면 전원이 연결되면서 블루투스모드로 연결된다. 그리고 중앙에 위치한 2개의 버튼은 볼륨을 조절하는 버튼이며, 좌측에 위치한 전화버튼을 누르게 전화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무선스피커모듈(20)은 이미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천(30)은 무선스피커모듈(20)을 감싸 보호하는 직물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천(30)이 무선스피커모듈(20)을 감싸 보호하므로 스피커홈(11a,12a)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먼지, 오물 등)이 무선스피커모듈(20)에 부착되는 문제를 방지 및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향에 의한 진동을 감쇄하며, 부수적으로 스피커홈(11a,12a)을 통해 무선스피커모듈(20)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품이 보다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유닛(40)은 케이스(10)를 지지하면서 케이스(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구조물이다.
상기 지지유닛(40)은 지지판(41)과 지주(42), 피봇(43), 결속구(44), 조임쇠(45), 받침대(46) 및 미끄럼방지구(4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바닥에 얹혀져 케이스(10)가 쓰러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주(42)는 하단부가 지지판(41)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세워지는데, 상단부 둘레면에는 하향경사지게 테이퍼져 조임쇠(45)의 볼트가 맞대어지는 가이드부(42b)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피봇(43)의 구형에 대응되는 호형 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봇(43)은 볼트를 갖춘 구로서, 지주(42)의 호형 홈(42a)에 회전가능하게 얹혀진다.
상기 결속구(44)는 내부가 관통된 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주(4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피봇(43)을 감싸 억류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결속구(44)를 지주(42)의 상단부에 결합시킬 경우 피봇(43)의 볼트가 결속구(44)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상기 조임쇠(45)는 나비볼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결속구(44)에 체결되고 볼트의 선단부가 지주(42)의 가이드부(42b)에 맞대어져 결속구(44)를 지주(42)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받침대(46)는 피봇(43)의 볼트에 체결되어 케이스(10)의 결합구(13)에 체결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구(47)는 받침부(46)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미끄럼방지 및 진동을 감쇄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같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결속구(44)에 체결된 조임쇠(45)를 풀어주게 되면 지주(42)의 가이드부(42b)로부터 조임쇠(45)의 볼트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결속구(44)는 상하로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져 피봇(43) 역시 회동이 가능해지며(틸팅이 가능해짐), 이에 의해 피봇(43)의 볼트에 결합된 케이스(10)의 설치각도(틸팅각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풀려 있는 조임쇠(45)를 강하게 조여주게 되면 조임쇠(45)의 볼트가 가이드부(42b)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결속구(44) 역시 하강하게 되며, 하강하는 결속구(44)에 의해 피봇(43)이 강하게 가압되면서 피봇(43)이 고정되므로 피봇(43)의 볼트에 결합된 케이스(10)의 설치각도(틸팅각도)가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무선스피커모듈(20)이 내장된 케이스(10)를 지지유닛(40)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틸팅각도)로 쉽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21)를 통해서는 음향(음악 또는 상대방 목소리 등)이 출력될 경우 무선스피커모듈(20)은 전체적으로 진동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이 케이스(10)로 전달되어서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상기 케이스(10)와 무선스피커모듈(20) 사이에 고무재질의 진동감쇄부재(50)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으며, 이를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무선스피커모듈(20)의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10)와 무선스피커모듈(20) 사이에 고무재질의 진동감쇄부재(50)가 설치되어 있어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 음향에 의해 무선스피커모듈(20)에 진동을 발생하더라도 이를 진동감쇄부재(50)가 감쇄시켜 주므로 케이스(1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 소음유발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조립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1바디부(11)의 하면에 결합구(13)를 맞대어 준 상태에서 제1바디부(11)의 내측에서 체결수단(나사볼트)를 이용하여 결합구(13)를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제1바디부(11)의 내측으로 무선스피커모듈(20)을 수납한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맞대어주면 제1·2바디부(11,12)에 각각 형성된 보스(11b,12b)가 상호 맞대지며, 이때 제2바디부(12)에 형성된 스피커홈(12a)으로 체결수단(나사볼트)를 삽입하여 보스(11b,12b)를 상호 체결해 줌으로서 제1·2바디부(11,12)가 상호 결합된다.
특히, 상기 무선스피커모듈(20)을 수납하기 전에 무선스피커모듈(20)의 외면을 보호천(30)으로 감싸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스피커홈(11a,12a)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먼지, 오물 등)이 무선스피커모듈(20)에 부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부수적으로는 스피커홈(11a,12a)을 통해 무선스피커모듈(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 제품이 보다 미려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가 완성되며, 완성된 블루투스 스피커는 케이스(10)의 결합구(13)를 매개로 바닥이 평평한 책상 등에 세워두거나, 사진기가 고정되는 삼각대의 볼트에 설치하거나, 자전거의 핸들에 형성된 볼트 등에 설치하면 되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신호를 매개로 수신받아 음악을 듣거나, 휴대용 단말기(외부기기)와 AUX단자를 오디오케이블을 매개로 연결하여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신호를 송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1)로 출력하고, 마이크(2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어 통화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설치에 제약이 전혀 없어 호환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고, 특히 스피커홈(12a)으로 체결부재(예를 들면, 나사볼트 등)가 삽입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은닉되므로 제품을 상당히 미려하면서도 돋보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인위적으로 체결부재(나사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전혀 없어 제품생산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게다가, 무선스피커모듈(20)에는 마이크(24)가 구비되어 있어 전화통화가 가능한데, 특히 통화시 사용자가 귀에 직접착용하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해 종래와 같이 착용 및 빼야했던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으며, 더욱이 귀에 직접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감과 청각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한편, 상기 무선스피커모듈(20)이 내장된 케이스(10)는 지지유닛(4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데, 먼저 지지유닛(40)을 설치하고자 바닥에 안착시켜 준 상태에서 지지유닛(40)의 피봇(43)에 형성된 볼트에 케이스(10)의 결합구(13)를 체결해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해 케이스(10)는 지지유닛(40)에 고정되는데, 이때 설치된 케이스(10)의 각도를 임의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결속구(44)에 체결된 조임쇠(45)를 풀어주게 되면 지주(42)의 가이드부(42b)로부터 조임쇠(45)의 볼트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결속구(44)는 상하로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져 피봇(43) 역시 회동이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피봇(43)의 볼트에 결합된 케이스(10)의 설치각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풀려 있는 조임쇠(45)를 강하게 조여주게 되면 조임쇠(45)의 볼트가 가이드부(42b)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결속구(44) 역시 하강하게 되며, 하강하는 결속구(44)에 의해 피봇(43)이 강하게 가압되면서 피봇(43)이 고정되므로 피봇(43)의 볼트에 결합된 케이스(10)의 설치각도는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무선스피커모듈(20)이 내장된 케이스(10)를 지지유닛(40)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쉽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11: 제1바디부 12: 제2바디부
11a.12a: 스피커홈 11b.12b: 보스 11c: 키버튼
13: 결합구 20: 무선스피커모듈 21: 스피커
22: 버튼부 23: 단자부 24: 마이크
30: 보호천 40: 지지유닛 41: 지지판
42: 지주 42a: 호형 홈 42b: 가이드부
43: 피봇 44: 결속구 45: 조임쇠
46: 받침부 47: 미끄럼방지구 50: 진동감쇄부재

Claims (6)

  1. 스피커홈을 구비하는 제1바디부, 스피커홈을 구비하며 제1바디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제2바디부, 제1바디부 또는 제2바디부에 고정되는 결합구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신호를 매개로 수신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무선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의 내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서로 맞대어져 스피커홈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피커모듈에는 둘레면을 감싸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진동을 감쇄하는 보호천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무선스피커모듈 사이에는 진동을 감쇄하는 고무재질의 진동감쇄부재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피커모듈에는 마이크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무선스피커모듈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블루투스신호를 매개로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이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단부 둘레면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면에 호형의 홈이 형성된 지주,
    외향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갖추고서, 상기 지주의 홈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피봇,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끼워져 피봇을 감싸는 결속구,
    상기 결속구에 체결되어 일단부가 관통되며, 일단부가 지주의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맞대어져 결속구를 매개로 피봇을 고정하는 조임쇠,
    상기 피봇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미끄럼방지 및 진동을 감쇄하는 미끄럼방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
KR1020140105938A 2014-08-14 2014-08-14 블루투스 스피커 KR101455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938A KR101455790B1 (ko) 2014-08-14 2014-08-14 블루투스 스피커
PCT/KR2015/008330 WO2016024768A1 (ko) 2014-08-14 2015-08-10 블루투스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938A KR101455790B1 (ko) 2014-08-14 2014-08-14 블루투스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790B1 true KR101455790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938A KR101455790B1 (ko) 2014-08-14 2014-08-14 블루투스 스피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5790B1 (ko)
WO (1) WO201602476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179A (ko) 2015-01-09 2016-07-19 박태훈 블루투스 스피커
KR101646646B1 (ko) * 2015-05-04 2016-08-08 주식회사 티씨엠 블루투스 스피커
KR101717917B1 (ko) 2015-10-26 2017-03-21 이영순 벽면 매립형 블루투스 스피커폰
WO2017111229A1 (ko) * 2015-12-22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KR20210060451A (ko) 2018-11-28 2021-05-26 주식회사 알앤에스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382A (ja) * 2000-04-20 2002-01-11 Katsuyoshi Tezuka スピーカ装置
JP2010273223A (ja) * 2009-05-22 2010-12-02 Canon Inc スピーカ装置
KR20110008608A (ko) * 2009-07-20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스피커 장치
US20110033066A1 (en) * 2009-08-04 2011-02-10 James Siegrist Circular 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462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삼광 음향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382A (ja) * 2000-04-20 2002-01-11 Katsuyoshi Tezuka スピーカ装置
JP2010273223A (ja) * 2009-05-22 2010-12-02 Canon Inc スピーカ装置
KR20110008608A (ko) * 2009-07-20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스피커 장치
US20110033066A1 (en) * 2009-08-04 2011-02-10 James Siegrist Circular speak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179A (ko) 2015-01-09 2016-07-19 박태훈 블루투스 스피커
KR101646646B1 (ko) * 2015-05-04 2016-08-08 주식회사 티씨엠 블루투스 스피커
KR101717917B1 (ko) 2015-10-26 2017-03-21 이영순 벽면 매립형 블루투스 스피커폰
WO2017111229A1 (ko) * 2015-12-22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KR20210060451A (ko) 2018-11-28 2021-05-26 주식회사 알앤에스 조명장치 겸용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768A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790B1 (ko) 블루투스 스피커
US10211876B2 (en) Water resistant wireless device speaker case and conference call module
US20080152183A1 (en) Compact wireless headset
US9232030B2 (en) Amplifying cover for a portable audio device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20150341712A1 (en) Device accessory with speakers
WO2006110109A1 (en) Multimode audio reproduction device
KR20170088354A (ko) 셀룰러 디바이스 악세사리를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67658A1 (en) Portable over-the-ear miniature sound box device
US9369559B1 (en) Portable Bluetooth speaker system for smart phones
TW200935960A (en) Headset
KR20190104134A (ko) 제거가능한 부착 액세서리들에 대한 휴대용 디바이스 케이스
US20200059546A1 (en) Portable device case for removably attaching accessories
JP2015136021A (ja) 肩乗せ式イヤホン
KR20120110664A (ko) 진동 및 음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4595Y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용 거치대 일체형 마이크
KR20180001396U (ko)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JP5809326B1 (ja) 携帯型端末用ケース
KR101710379B1 (ko) 블루투스 스피커
US11206477B2 (en) Sound transducer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KR100834640B1 (ko) 공명 공간을 제공하는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3178937U (ja) 携帯電話機用ケース
JP4121926B2 (ja) 携帯電話
CN205545772U (zh) 新型多功能头戴式无线耳机
CN209845270U (zh) 一种蓝牙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