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401B1 -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401B1
KR102229401B1 KR1020200109550A KR20200109550A KR102229401B1 KR 102229401 B1 KR102229401 B1 KR 102229401B1 KR 1020200109550 A KR1020200109550 A KR 1020200109550A KR 20200109550 A KR20200109550 A KR 20200109550A KR 102229401 B1 KR102229401 B1 KR 10222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stage
inspection
inspection apparatus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현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현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현이노텍
Priority to KR102020010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7Lea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09Adjustment for highlighting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12Diffuse illumination, e.g. "sky"
    • G01N2021/8816Diffuse illumination, e.g. "sky" by using multiple sources, e.g. L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45Multiple wavelengths of illumina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021/8924Dents; Relief fl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G) 불량을 검사하기 위해 가죽(G)이 안착되는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양측에 배치되고, 가죽(G)을 고정하는 클램핑부와 가죽(G)을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플랫하게 만드는 제1 및 제2 롤러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상기 스테이지 상측과 스테이지 측면 영역에서 가죽(G)을 검사하기 위해 검사광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 조명수단;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며 분할된 블록들을 일정 수의 복수의 블록 그룹 단위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 상기 스테이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제1 및 제2 조명수단,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스테이지,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제1 및 제2 조명수단,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 에어공급수단 및 동력전달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의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시 가죽 표면에 다양한 각도로 검사광을 조사하여 가죽의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Leather Inspection Apparatus and Leather Insp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죽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검사장치에서 가죽에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을 진행하여 가죽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핏줄 불량) 등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가죽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죽은 과거뿐아니라 현대에도 다양한 소비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죽은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 가구나 의복 및 장식품에 널리 애용되고 있다. 또한, 산업화에서 정보화로 변해가는 현대에는 다양한 소비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품들에도 가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사회의 필수 이동수단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자동차의 구성 제품들에도 가죽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의 대시보드, 도어(door), 콘솔박스, 시트 및 핸들에도 가죽 제품이 사용된다. 특히, 자동차 핸들은 운전자의 손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미세 불량이더라도 촉감에 의해 불량이 감지된다. 따라서, 가죽에 존재하는 동물의 핏줄에 의한 미세 불량이나 스크래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검사를 진행하여 양질의 가죽을 제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죽은 직물보다 가격이 비싸고 작업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가죽에 대한 불량 검사를 정확하게 한 후,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가죽이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 요구되는 불량 정도가 다르겠지만 자동차 핸들에 사용되는 가죽은 운전자의 손이 반복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미세 불량까지 검사를 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가죽검사 방법은 테이블에 가죽을 올려놓고 조명을 비추어 검사자의 육안에 의존하여 가죽 표면의 불량을 검사하는 방식이였다. 즉, 검사자가 조명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가죽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변화를 육안으로 감지하여 가죽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였다.
하지만, 종래 가죽검사는 가죽 표면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큰 스크래치나 이물질 등의 경우에는 검사가 가능했지만 동물의 핏줄에 의한 미세한 불량(홈, groove, 단차) 등은 확인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죽에 존재하는 불량들 중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불량뿐 아니라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미세 불량들에 대해서도 검사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요구된다.
등록번호 10-0743883호(2007.07.30)
본 발명은 가죽을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텐션 공정, 가죽의 특정 영역에 곡면을 형성하는 공정, 가죽을 평평하게 하는 플랫 공정 및 가죽 표면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롤링 공정을 하나의 검사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죽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사 가죽의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시 가죽 표면에 다양한 각도로 검사광을 조사하여 가죽의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가죽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죽 검사시 조사되는 검사광의 광원을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으로 구성하여 가죽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난반사량을 조절하여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가죽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사 가죽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양측에 배치되는 클램핑수단들을 이용하여 가죽의 형태를 다양하게 바꾸면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가죽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G) 불량을 검사하기 위해 가죽(G)이 안착되는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양측에 배치되고, 가죽(G)을 고정하는 클램핑부와 가죽(G)을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플랫하게 만드는 제1 및 제2 롤러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상기 스테이지 상측과 스테이지 측면 영역에서 가죽(G)을 검사하기 위해 검사광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 조명수단;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며 분할된 블록들을 일정 수의 복수의 블록 그룹 단위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 상기 스테이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제1 및 제2 조명수단,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스테이지,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제1 및 제2 조명수단,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 에어공급수단 및 동력전달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스테이지의 분할된 블록들 각각에는 상기 에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이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과 일측과 인접한 타측에는 가죽(G) 표면에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롤링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죽(G) 표면에 소정의 텐션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가죽(G) 표면에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를 이용하여 가죽(G)을 플랫 상태로 유지하면서 가죽(G)의 미세불량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에는 각각 클램핑부가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클램핑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롤링부가 상기 스테이지 상측으로 상승한 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명수단은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이 조합된 광원으로부터 검사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명수단은 검사광이 가죽(G) 표면에 반사될 때의 난반사정도에 따라 상기 블루광원의 광량을 조절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은 각각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와 접촉되어 분할된 다수의 블록들을 움직이는 리프트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의 블록들 각각에 배치된 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된 에어에 의해 가죽(G) 표면에 선택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을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텐션 공정, 가죽의 특정 영역에 곡면을 형성하는 공정, 가죽을 평평하게 하는 플랫 공정 및 가죽 표면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롤링 공정을 하나의 검사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의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시 가죽 표면에 다양한 각도로 검사광을 조사하여 가죽의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 검사시 조사되는 검사광의 광원을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으로 구성하여 가죽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난반사량을 조절하여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양측에 배치되는 클램핑수단들을 이용하여 가죽의 형태를 다양하게 바꾸면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가죽 검사장치의 클램핑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의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의 스테이지에 배치된 에어홀에 의해 가죽에 곡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배치된 에어홀에 의해 가죽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가죽을 언폴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배치된 롤링수단을 이용하여 가죽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라 가죽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이 제품에 나타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의해 가죽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들이 나타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가 진행되는 가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가죽 검사장치의 조명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의 스테이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가죽(G)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스테이지(250), 스테이지(250)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지지대(101a, 101b), 제1 및 제2 지지대(101a, 101b)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 스테이지(250)와 베이스프레임(150) 사이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210, 220, 230), 스테이지(250)의 중앙 또는 일측에는 조명지지대(234)와 조명지지대(234)에 배치된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 베이스프레임(150)과 스테이지(2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테이지(250)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10),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210, 220, 230), 제1 클램핑수단(200a), 제2 클램핑수단(200b), 제1 조명수단(244) 및 제2 조명수단(254) 등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0), 베이스프레임(150)의 하측 또는 내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제어부(160, 170) 및 가죽 검사장치(100)의 구성부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스테이지(250)는 복수의 블록(B: Block)으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스테이지(250)는 복수의 블록(B)들로 분리되고, 각각의 블록(B) 단위로 독립적으로 상하 또는 틸트(Tilt)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250)는 복수의 블록(B)들 중에서 일부 영역별 그룹 블록(BG) 단위를 설정하고, 그룹 블록(BG) 단위로 상하 또는 틸트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지(250)는 블록(B) 또는 그룹 블록(BG) 단위로 격자 구조를 이루면서 상면이 서로 다른 높이 또는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갖도록 동작될 수 있다. 스테이지(250)가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거나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이루면 스테이지(250)에 놓인 가죽(G)의 표면에 다양한 경사면 또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죽(G)의 표면에서 영역별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한 검사가 가능하다. 즉, 검사를 위한 가죽(G)이 스테이지(250) 상에서 소정의 곡면 영역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은 가죽(G)의 양측 모서리 영역을 고정하는 클램핑부(202)와, 클램핑부(202)가 이동할 수 있는 클램핑가이드부(203), 가죽(G)의 양측 상하면에 접촉하여 확장시키거나 펴주는(Unfolding)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은 도면에는 스테이지(25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지만, 가죽(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복수의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은 스테이지(250)를 중심으로 일측 영역에 복수의 클램핑수단이 배치되고 이와 각각 쌍을 이루도록 타측 영역에 복수의 클램핑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수단의 개수는 검사를 진행하는 가죽(G)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램핑수단을 구성하는 클램핑가이드부(203)는 복수의 클램핑수단들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클램핑부(202),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 그룹 단위로 서로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에 각각 배치된 클램핑부(202)는 클램핑가이드부(203)를 이동하면서 검사 작업을 할 때, 가죽(G)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가죽(G) 검사 중 가죽(G) 표면에 곡면을 형성하는 작업에서는 스테이지(250)에서 에어(Air)를 가죽(G)에 분사하는데, 이때 분사되는 에어(Air)에 의해 가죽(G)이 유동하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클램핑부(202)는 검사 작업 중 가죽(G)을 견고히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검사 작업시 가죽(G)을 고정하는 클램핑부(202)들 사이에 상호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면 가죽(G)이 균일하게 펴진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죽(G)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클램핑부(202)들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에는 한쌍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는 가죽(G)을 사이에 두고 상하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가죽(G)을 스테이지(25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내어 스테이지(250) 상에 위치한 가죽(G)이 평평해지도록 한다(Unfolding).
따라서, 가죽(G) 검사 중 가죽(G)의 가장자리 영역은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의 회전에 의해 스테이지(250)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의 회전에 의해 가죽(G)의 가장자리 영역이 스테이지(250)의 밖으로 밀려나가면 스테이지(250) 상에 위치한 가죽(G)은 플랫(FLAT) 형태로 평평하게 펴지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210, 220, 230)은 스테이지(250)를 지지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분할된 블록(B)들 또는 그룹블록(GB)들 단위로 스테이지(250)를 움직이도록 한다. 제1 리프트수단(210)은 제1 리프트부(210a)와 제1 리프트부(210a)와 스테이지(250) 사이에 배치된 제1 리프트조절부(210b)를 포함하고, 제2 리프트수단(220)은 제2 리프트부(220a)와 제2 리프트부(220a)와 스테이지(250) 사이에 배치된 제2 리프트조절부(220b)를 포함하며, 제3 리프트수단(230)은 제3 리프트부(230a)와 제3 리프트부(230a)와 스테이지(250) 사이에 배치된 제3 리프트조절부(23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스테이지(250)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리프트수단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리프트수단을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스테이지(250)의 면적 또는 분할된 복수의 블록(B)들에 대한 복수의 그룹블록(GB)의 개수에 따라 리프트수단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전술한 스테이지(250)에 대한 복수의 블록(B)들의 움직임이나 그룹블록(GB)들의 움직임들은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210, 220, 2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1 내지 제3 리프트부(210a, 220a, 230a)들은 베이스프레임(150)을 기준으로 상하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제1 내지 제3 리프트부(210a, 220a, 230a)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 리프트조절부(210b, 220b, 230b)가 배치되고, 제1 내지 제3 리프트조절부(210b, 220b, 230b)는 스테이지(2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스테이지(250)에서 분할된 다수의 블록(B)들을 상하 또는 경사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테이지(25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홀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이지(250)에 분할된 블록(B)들과 대응되도록 에어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에어홀을 통해 분사되는 가스(공기)는 가죽(G) 표면에 커브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홀을 통해 분사되는 가스는 베이스프레임(150) 상에 배치된 에어공급수단(110)으로부터 제공된다.
또한, 가죽(G)이 안착된 스테이지(250)의 상부와 측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을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검사를 진행하는 가죽(G)의 크기이나 검사 방법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은 스테이지(250)의 상부에서 수직한 방향 또는 측면으로 틸트(Tilt)되어 가죽(G) 표면에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 가죽(G)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은 조사하는 광의 각도가 변경될 때, 검사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 각각에 편광판을 배치하여 가죽(G)에 편광된 광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편광을 검사자가 검사하는 방식으로 가죽(G)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을 구성하는 각각의 광원을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이 조합된 광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죽 검사를 진행할 때, 가죽 표면에서 반사되는 난반사량에 따라 블루광을 조절하여 보다 정밀한 가죽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죽(G)에 핏줄에 의해 형성된 미세불량은 검사 작업을 진행할 때, 가죽(G)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 난반사광량이 많을 경우 검사자가 미세 불량을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난반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블루광원의 광량과 화이트광원의 광량을 조절하여 가죽(G)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을 검사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50) 상에는 동력전달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20)는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210, 220, 230)과 전술한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 및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에 동력을 공급한다.
스테이지(2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테이지(250)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10),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210, 220, 230), 제1 클램핑수단(200a), 제2 클램핑수단(200b), 제1 조명수단(244) 및 제2 조명수단(254) 등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0), 베이스프레임(150)의 하측 또는 내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제어부(160, 170) 및 가죽 검사장치(100)의 구성부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천연 가죽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한 후 검사자가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천연 가죽에는 동물이 살아있는 동안 활동하면서 가죽 표면에 다양한 상처, 핏줄 자국 및 오염등에 의한 불량들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가죽 표면에 존재하는 불량들은 검사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핏줄 자국이나 미세한 오염 또는 상처에 의해 발생한 것들은 검사자의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수단들을 이용하여 가죽을 확장하거나 최대한 플랫 형태가 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불량들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을 검사하기 위한 스테이지를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한 후, 이들 블록(B)들을 개별 또는 그룹블록들(B) 별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가죽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을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텐션 공정, 가죽의 특정 영역에 곡면을 형성하는 공정, 가죽을 평평하게 하는 플랫 공정 및 가죽 표면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롤링 공정을 하나의 검사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의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시 가죽 표면에 다양한 각도로 검사광을 조사하여 가죽의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 검사시 조사되는 검사광의 광원을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으로 구성하여 가죽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난반사량을 조절하여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양측에 배치되는 클램핑수단들을 이용하여 가죽의 형태를 다양하게 바꾸면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가죽 검사장치의 클램핑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의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의 스테이지에 배치된 에어홀에 의해 가죽에 곡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배치된 에어홀에 의해 가죽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가죽을 언폴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배치된 롤링수단을 이용하여 가죽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을 스테이지(250) 상에서 확장시켜 소정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지(250)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은 가죽(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수단은 한쌍씩 복수의 쌍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G)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이 배치된다. 제1 클램핑수단(200a)의 클램핑부(2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가이드부(203)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제2 클램핑수단(200b)의 클램핑부(202)는 제1 클램핑수단(200a)의 클램핑부(202)와 각각 대응되도록(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클램핑수단(200a)을 구성하는 클램핑부(202)가 두 개 배치될 경우, 이와 대응되게 제2 클램핑수단(200b)을 구성하는 클램핑부(202)도 두 개가 배치되어 가죽(G)을 사이에 두고 서로 쌍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클램핑부(202)는 클램핑가이드부(203)를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죽(G)의 가장자리 영역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하여 가죽(G) 표면에 소정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텐션 공정). 이와 같이, 가죽(G) 표면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영역으로 확장되면 가죽(G)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이 보다 선명하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에 소정의 텐션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1 조명수단(244) 및 제2 조명수단(254)을 이용하여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블록(B)들로 분할된 스테이지(250)에는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바(Bar)와 바(Bar)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의 구조는 “ㄷ”자 형태 또는 “ㄱ”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스테이지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가이드레일(G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검사 가죽(G)에 대해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롤링 공정시 사용된다. 따라서, 롤링 공정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스테이지(25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롤링 공정이 진행되면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스테이지(250)의 상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승한다. 상승된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로 인하여 가죽(G)은 일정한 높이로 상승하는데, 가죽(G)의 가장자리 영역은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에 의해 고정되어 이어 가죽(G)의 가장자리 영역과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 사이에서는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가죽(G)의 특정 영역을 상승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와 접촉하는 가죽(G) 영역에서 가죽(G)의 가장자리 영역 사이에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텐션 공정과 달리 가죽(G)은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에서 가장 높고 이로부터 멀어질 수록 가죽(G)의 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가죽(G)의 표면은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가죽(G)의 표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에서 검사광이 조사되면 가죽(G)이 평평한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미세 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GR)을 따라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죽(G)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하면서 가죽(G)에 다양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를 진행하는 가죽(G)에 롤링 공정을 진행하여 다양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은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의 스테이지(250)는 분할된 블록(B)들에 선택적으로 또는 각각의 블록(B)에 에어홀(285)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250)에 배치된 에어홀(285)에서는 에어(가스)가 분사될 수 있다. 에어홀(285)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사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분사된 에어는 가죽(G)의 표면에 일부를 밀어내면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CA)을 형성한다. 즉, 스테이지(250)에 안착된 가죽(G)에 대해 특정 영역에 곡면(CA)을 형성할 수 있다.
가죽(G)에 곡면을 형성하는 방식은 스테이지(250)로부터 일정 거리 가죽(G)을 이격시킨 후, 곡면(CA)을 형성할 위치에 배치된 스테이지(250)의 블록(B)에서 에어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가죽(G)은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이지(25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죽(G)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대해 곡면(CA)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지(250)에 안착된 가죽(G)에 대해 횡방향(가로방향)과 평행한 블록(B)들에 배치된 에어분사 노즐(AN)을 동시에 분사하면 스테이지(250) 상에 배치된 가죽(G)에는 가로방향 곡면(CA1)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 영역까지 가로방향 곡면(CA1)을 형성하며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스테이지(250)의 세로방향과 평행한 블록(B)들에 배치된 에어분사 노즐을 동시에 분사하면 세로방향 곡면(CA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로방향 곡면(CA1)와 수직한 방향의 가죽(G)에 대해서도 일측에서 타측까지 세로방향 곡면(CA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의 특정 영역에 대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들을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 가죽(G)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죽(G)에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롤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과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스테이지(25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부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가이드레일(GR)을 따라 가죽(G)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 영역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이동시 스테이지(250)으로부터 소정 거리 상승한 후 가죽(G)에 텐션을 형성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롤링부(370b)는 상승에 의해 가죽(G)에 롤링영역(RA)을 형성한다. 롤링영역(RA)은 전술한 곡면영역(CA)보다 곡률이 더 크고 가죽(G)에 더 강한 텐션을 형성하도록 한다. 하지만, 롤링영역(RA)의 가죽(G)은 제2 롤링부(370b)의 의해 다른 영역의 가죽(G)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어 제2 롤링부(370b)와 가죽(G)의 가장자리(클램핑수단 영역) 사이에서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는 가이드레일(GR)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죽(G) 표면의 전 영역에 롤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을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텐션 공정, 가죽의 특정 영역에 곡면을 형성하는 공정, 가죽을 평평하게 하는 플랫 공정 및 가죽 표면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롤링 공정을 하나의 검사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의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시 가죽 표면에 다양한 각도로 검사광을 조사하여 가죽의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 검사시 조사되는 검사광의 광원을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으로 구성하여 가죽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난반사량을 조절하여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양측에 배치되는 클램핑수단들을 이용하여 가죽의 형태를 다양하게 바꾸면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라 가죽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이 제품에 나타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핸들에는 천연 소 가죽을 여러 조각 분리한 후 감싸기 공정을 진행한다. 핸들(HD)에 폴리우레탄 공정(PU)이 완료되면 조각으로 패터닝된 가죽들(X1, X2, X3, X4)을 핸들(HD)에 부착한다. 패터닝된 가죽들(X1, X2, X3, X4)에 접착제를 바른 후 핸들을 감싸도록 부착한 후, 수봉(바느질) 잡업을 한다. 따라서, 패터닝된 가죽들(X1, X2, X3, X4)은 핸들(HD)에 부착될 때 소정의 텐션을 유지하며 핸들(HD)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핸들(HD)에 가죽이 부착되면 검사자의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은 이염, 천공 및 스크레치 불량이 나타난다. 또한, 동물의 핏줄 자국에 의한 미세 불량은 핸들(HD) 표면에 가죽이 부착된 후, 핸들(HD)을 항상 잡는 운전자의 손에 의해 미세 불량이 인식된다.
즉, 종래 가죽 검사장치 또는 검사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검사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세 불량은 검사를 할 수 없었다.
특히, 운전자의 손으로 감지되는 동물 핏줄에 의한 미세 불량은 제품 제작을 완료한 후에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제품에서 가죽을 다시 분리하거나 제품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의해 가죽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들이 나타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가 진행되는 가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가죽 검사장치의 조명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검사장치의 스테이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10 내지 도 14b를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죽(G)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은 종래 가죽 검사장치로는 확인이 어렵다.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을 이용하여 가죽(G)을 양측 방향으로 확장시켜 가죽(G) 표면에 소정의 텐션을 형성한다. 가죽(G) 표면에 소정의 텐션이 형성되면 크기가 작아 보이지 않았던 천공 또는 핏줄에 의한 미세 불량이 보다 선명하게 나타난다(DF1).
또한, (b)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죽 검사장치(100)의 스테이지(250)를 복수의 블록(B)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블록(B)에 에어홀(285)을 배치하여 에어분사에 의한 가죽(G) 표면에 곡면영역(C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죽(G)의 표면 상에 국부적으로 곡면영역(CA)을 형성하면 가죽(G)의 특정 영역에서의 미세 불량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죽(G)에 가로방향 곡면영역(CA1) 또는 세로방향 곡면영역(CA2)을 형성하면 곡면영역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들(DF2, DF3)이 보다 선명하게 나타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를 이용하여 가죽(G)을 스테이지(250) 상에서 최대한 플랫 상태(Flat)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부(201, 204)의 회전에 의해 스테이지(250) 상에서 가죽(G)은 최대한 수평면을 유지하면서 펴지는데 이때, 가죽(G)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DF4)이 보다 선명하게 나타난다.
또한, 가죽 검사장치(100)의 스테이지(250)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롤링부(370a, 370b)에 의해 가죽(G) 표면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롤링부(370b)가 스테이지(250)으로부터 상승하면 제2 롤링부(370b)와 접촉하는 가죽(G)은 소정의 텐션을 가지면서 상승한다. 반면, 제2 롤링부(370b)가 위치하지 않은 가죽(G)은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200a, 200b)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롤링부(370b) 영역을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가죽(G)에 존재하는 미세 불량(DF5)은 롤링영역(RA) 또는 롤링 공정에 의해 형성된 가죽(G)의 경사면에서 확인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풀 그레인 가죽, 탑 크레인 가죽 및 스플릿 그레인 가죽의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동물의 천연가죽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 그레인(가죽), 진피 접합부, 진피 및 살로 구분된다. 이 중 가장 내구성이 강한 가죽은 풀 그레인 가죽으로써 샌딩, 버프 또는 결함 제거를 위한 다른 공정이 불필요한 가죽이다. 일반적으로 고품질의 신발이나 액세서리에 사용된다.
탑 그레인 가죽은 풀 그레인 가죽의 그레인(가죽) 영역 일부와 진피 접합부 및 일부 진피를 포함하는 영역의 가죽을 말한다. 풀 그레인 가죽과 달리 불량 제거를 위해 몇 밀리미터까지 샌딩 또는 버퍼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탑 그레인 가죽은 매우 유연하며 부드러워 다양한 내장재 제품에 사용된다.
스플릿 그레인 가죽은 풀 그레인 가죽과 탑 그레인 가죽을 생상하고 남은 영역의 가죽으로써 동물의 진피 영역의 가죽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가죽이라고 하면 스플릿 그레인 가죽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탑 그레인 가죽에서 검사자의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미세 불량을 검사하는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탑 그레인 가죽은 진피 접합부와 진피 일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동물의 핏줄에 의한 미세 불량이 그루브(Groove) 형태로 가죽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미세 불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육안으로 식별이 어렵거나 제품을 제작한 후 사용자의 다른 감각(촉감)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이 안착된 스테이지(250)를 중심으로 상측 영역 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측면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은 조명지지대(2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은 가죽(G) 상측 영역에서 하측 영역으로 검사광을 조사하거나 가죽(G)의 가장자리 측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검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은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이 조합된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제어부(160), 170)는 검사광이 가죽(G)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난반사량에 따라 블루광원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검사광이 가죽(G)의 표면을 조사한 후 반사된 광에 난반사광량의 포함 정도에 따라 미세 불량을 검사자가 인식하거나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블루광원의 광량을 조절하여 미세 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전술한 가죽(G)에 대한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을 각각 진행하면서 제1 및 제2 조명수단(244, 254)을 이용하여 검사광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가죽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을 확장한 텐션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의 검사광을 조사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가죽(G)에 국부적인 곡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검사광을 조사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가죽(G)을 플랫 상태 또는 롤링에 의해 가죽(G) 표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검사광을 조사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에 배치되는 스테이지(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B)들로 분할된 후, 다시 복수의 분할 그룹(BG1, BG2, BG3, BG4, BG5, BG6, BG7, BG8, BG9) 단위로 동작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250)를 구성하는 블록(B)의 개수는 스테이지(250)의 크기 또는 분할되는 블록(B)의 면적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그룹에 포함시킬 블록(B) 개수에 따라 블록 그룹의 개수 역시 다양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는 분할 그룹(BG1, BG2, BG3, BG4, BG5, BG6, BG7, BG8, BG9)의 개수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210, 220, 230)의 개수도 설정될 수 있다.
즉, 독립적으로 동작해야할 분할 그룹(BG1, BG2, BG3, BG4, BG5, BG6, BG7, BG8, BG9)에 대응하여 리프트수단을 배치하거나 하나의 리프트수단이 일정한 수의 분할 그룹들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100)의 스테이지(250)는 스테이지(2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B)들을 일정한 분할 그룹(BG1, BG2, BG3, BG4, BG5, BG6, BG7, BG8, BG9) 단위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검사를 위해 스테이지(250) 상에 배치되는 가죽(G)의 표면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을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텐션 공정, 가죽의 특정 영역에 곡면을 형성하는 공정, 가죽을 평평하게 하는 플랫 공정 및 가죽 표면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는 롤링 공정을 하나의 검사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의 텐션 공정, 곡면 형성 공정, 플랫 공정 및 롤링 공정시 가죽 표면에 다양한 각도로 검사광을 조사하여 가죽의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가죽 검사시 조사되는 검사광의 광원을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으로 구성하여 가죽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난반사량을 조절하여 미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죽 검사장치는, 검사 가죽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양측에 배치되는 클램핑수단들을 이용하여 가죽의 형태를 다양하게 바꾸면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가죽 검사장치
101a: 제1 지지대
101b: 제2 지지대
110: 에어공급수단
120: 동력전달부
150: 베이스프레임
160: 제1 제어부
170: 제2 제어부
180: 전원공급부
200a: 제1 클램핑수단
200b: 제2 클램핑수단
201: 제1 롤러부
202: 클램핑부
203: 클램핑가이드
204: 제2 롤러부
210: 제1 리프트수단
220: 제2 리프트수단
230: 제3 리프트수단
234: 조명지지대
244: 제1 조명수단
250: 스테이지
254: 제2 조명수단
CA: 곡면영역
RA: 롤링영역
G: 가죽
HD: 핸들

Claims (8)

  1. 가죽(G) 불량을 검사하기 위해 가죽(G)이 안착되는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양측에 배치되고, 가죽(G)을 고정하는 클램핑부와 가죽(G)을 상기 스테이지 상에서 플랫하게 만드는 제1 및 제2 롤러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상기 스테이지 상측과 스테이지 측면 영역에서 가죽(G)을 검사하기 위해 검사광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 조명수단;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며 분할된 블록들을 일정 수의 복수의 블록 그룹 단위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
    상기 스테이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
    상기 스테이지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레일들로 각각 구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가죽(G)의 특정 표면에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롤링부;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가죽(G)의 특정 표면에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롤링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제1 및 제2 조명수단,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스테이지,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 제1 및 제2 조명수단,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 에어공급수단 및 동력전달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의 분할된 블록들 각각에는 상기 에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링부 각각은 한쌍의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지를 횡단하는 바(bar)와 상기 바(bar)의 양측에 배치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링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는 상기 한쌍의 레일로부터 상기 바(bar)를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소정 거리 상승시키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한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바(bar)의 상승 높이에서 상기 스테이지의 가장자리 영역 사이에 가죽(G) 표면에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죽(G) 표면에 소정의 텐션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가죽(G) 표면에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를 이용하여 가죽(G)을 플랫 상태로 유지하면서 가죽(G)의 미세불량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수단에는 각각 클램핑부가 상기 스테이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클램핑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가죽 검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명수단은 화이트광원과 블루광원이 조합된 광원으로부터 검사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명수단은 검사광이 가죽(G) 표면에 반사될 때의 난반사정도에 따라 상기 블루광원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리프트수단은 각각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와 접촉되어 분할된 다수의 블록들을 움직이는 리프트조절부를 포함하는 가죽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블록들 각각에 배치된 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된 에어에 의해 가죽(G) 표면에 선택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검사장치.
  8. 삭제
KR1020200109550A 2020-08-28 2020-08-28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KR10222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50A KR102229401B1 (ko) 2020-08-28 2020-08-28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50A KR102229401B1 (ko) 2020-08-28 2020-08-28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401B1 true KR102229401B1 (ko) 2021-03-18

Family

ID=7523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550A KR102229401B1 (ko) 2020-08-28 2020-08-28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5175A (zh) * 2022-08-18 2022-12-02 泉州装备制造研究所 一种蓝皮检测分级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64B1 (ko) * 2000-07-01 2002-10-25 권장우 지능형 피혁 품질선별 장치
KR100743883B1 (ko) 2006-02-16 2007-07-30 (주)화인코왁 가죽 검사기
KR20090089217A (ko) *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US20120307969A1 (en) * 2010-01-18 2012-12-06 Wollsdorf Leder Schmidt & Co. Ges.M.B.H. Test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leather
KR20130094298A (ko) * 2010-07-22 2013-08-2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할단 방법,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할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64B1 (ko) * 2000-07-01 2002-10-25 권장우 지능형 피혁 품질선별 장치
KR100743883B1 (ko) 2006-02-16 2007-07-30 (주)화인코왁 가죽 검사기
KR20090089217A (ko) *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US20120307969A1 (en) * 2010-01-18 2012-12-06 Wollsdorf Leder Schmidt & Co. Ges.M.B.H. Test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leather
KR20130094298A (ko) * 2010-07-22 2013-08-2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할단 방법,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할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5175A (zh) * 2022-08-18 2022-12-02 泉州装备制造研究所 一种蓝皮检测分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401B1 (ko) 가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죽 검사방법
ES2513017T3 (es) Sistema de colocación de material compuesto pequeño y plano
CN106065559A (zh) 混凝土纹理化机
CN206748096U (zh) 金刚石锯片横向抛光机
KR20060006826A (ko) 취성기판 절단 시스템 및 취성기판 절단방법
CN106994782B (zh) 成型装置
US20060207444A1 (en) Automotive leather cutting station
US9283609B2 (en) Metal forming system with accelerated mass production
JP5281785B2 (ja) Frp成形用強化繊維基材の賦形装置及び賦形方法
KR102346070B1 (ko) 숟가락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숟가락 제조시스템
CN205616234U (zh) 一种换盘装置
JP6544502B1 (ja) ガラス板の折割機械
CN206748148U (zh) 金刚石锯片竖向抛光机
US46165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mitered corners of box type articles
KR101188856B1 (ko) 제동 디스크 그립장치
CN109421171A (zh) 脆性材料基板的截断装置及其截断方法
KR102166456B1 (ko)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가죽 검사시스템
AU2006218412B2 (en) Automotive leather cutting station
CN106808358A (zh) 一种反应釜内壁数控抛光系统
CN106029317A (zh) 脆性材料基板的切断方法及脆性材料基板的切断装置
CN109422455A (zh) 划片方法及划片设备
CN205614903U (zh) 一种全自动剪片机的下料机构
US20210252771A1 (en) Automatic machine for coating panels with leather or fabrics
JPH09250229A (ja) 畳床の框を裁断して畳表を縫い付ける装置
KR20140148159A (ko) 석재 자동 측면 연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