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060B1 -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060B1
KR102229060B1 KR1020190026262A KR20190026262A KR102229060B1 KR 102229060 B1 KR102229060 B1 KR 102229060B1 KR 1020190026262 A KR1020190026262 A KR 1020190026262A KR 20190026262 A KR20190026262 A KR 20190026262A KR 102229060 B1 KR102229060 B1 KR 10222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ouling
chamber
light scattering
scattering measur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317A (ko
Inventor
강두수
이상열
신희준
봉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to KR102019002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0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13Coherent sources; la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산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챔버(110); 챔버(110) 내부로 시료가스(170)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챔버(110) 내부를 향해 레이저광(136)을 조사하는 발광부(130) 및 시료가스(170)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광(136)을 검출하는 검출부(140);를 포함하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있어서,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사이를 연결하여 시료가스(170)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시료가스(170)를 향해 상기 레이저광(136)이 조사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방오관(2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본 발명은 광산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등의 영향으로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황사와, 각종 미세먼지, 스모그 등으로 인해 도심지에서는 원활한 호흡조차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대기중에 분포하는 먼지입자가 태양광을 산란시켜 시야를 흐리기도 한다. 이와 같은 미세먼지가 인체 내부에 그대로 흡입되면, 폐포까지 침투하여 각종 폐질환, 호흡기 질환 등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먼지입자의 농도를 파악하고 대기 오염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측정장비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측정장비들중 대표적인 것이 레이저광과 미세먼지의 산란을 이용하여 시료가스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광산란 측정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산란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중 챔버(10)의 실물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중 챔버(10)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7)가 동작됨에 따라 시료가스(예 : 대기, 70)와 함께 미세한 유입먼지(72)가 유입구(20)를 통해 챔버(10) 내부로 진입한다.
그 다음, 레이저 발진부(34)와 집속부(32)로 구성된 발광부(30)에서 레이저광(36)을 조사한다. 유입먼지(72)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84)은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연산부(50)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시료가스(70)내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산출한다.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으면 많은 산란이 이루어져 산란광(84)의 광도가 높고, 미세먼지가 거의 없으면 산란이 미미하여 산란광(84)의 농도가 낮게 된다.
이렇게 산출된 미세먼지의 농도는 제어부(60)를 통해 디스플레이(65)에 표시된다. 이후 시료가스(70)는 유출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챔버(10)의 내부공간(12)중 상면에는 레이저광(36)의 반사를 위한 반사부(80)가 구비되고, 레이저광(36)의 조사방향에서는 레이저광(36)의 소거를 위한 트랩부(88)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광산란 측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속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대기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입구(20)를 통해 시료가스와 유입먼지(72)의 유입이 계속 이루어진다. 농도 측정에 사용된 시료가스(70)는 배출가스(29)가 되어 배출되나, 유입먼지(72)중 일부는 정전기 등의 영향으로 내부공간(12)에 부착되어 부착먼지(74)로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광산란 측정장치의 동작이 계속됨에 따라 부착먼지(74)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부착먼지(74)가 반사부(80), 검출부(40), 집속부(32), 기타 내부공간(12)의 표면에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누적되는 부착먼지(74)로 인해 정확한 미세먼지의 농도측정이 어렵고, 부정확한 측정치를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일정 기간(예 : 일주일 또는 오염이 심한 계절에는 매일)마다 광산란 측정장치의 동작을 멈추고 챔버(10)를 분해한 후 내부의 부착먼지(74)를 제거하는 청소를 하였었다.
따라서, 광산란 측정장치의 분해, 조립 및 청소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 별도의 관리자를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광산란 측정장치의 유지 보수에 많은 불편함과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06561호(먼지입자측정방법 및 먼지입자측정장치) (2) 일본국 특개평9-259256호(미립자 측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시료가스와 챔버를 분리함으로써 챔버 내부에 미세먼지가 부착되거나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만약 광산란 측정장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챔버(110); 챔버(110) 내부로 시료가스(170)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챔버(110) 내부를 향해 레이저광(136)을 조사하는 발광부(130) 및 시료가스(170)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광(136)을 검출하는 검출부(140);를 포함하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있어서, 유입구(120)와 상기 유출구(125)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시료가스(170)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스(170)를 향해 상기 레이저광(136)이 조사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방오관(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유입구(120)와 방오관(200)의 일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입구어댑터(220); 및 유출구(125)와 방오관(200)의 타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출구어댑터(230);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입구어댑터(220)와 유출구어댑터(230)중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유입구어댑터(220)에는 유입구(120)와 연통되는 제 1 관통공(225)이 더 형성된다.
또한, 유출구어댑터(230)에는 유출구(125)와 연통되는 제 2 관통공(235)이 더 형성된다.
또한, 방오관(200)의 외면중 적어도 일부 면은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과 수직한 평면을 형성한다.
또한, 방오관(200)의 길이방향 단면은 중공의 사각 형상이다.
또한, 방오관(200)의 내면에는 시료가스(170)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코팅층이 더 형성된다.
또한, 챔버(110)중,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에는 레이저광(136)을 소거하기 위한 트랩부(188)가 더 형성되고, 트랩부(188)는 숯을 포함한다.
또한, 챔버(110)의 적어도 일면은 레이저광(136)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미러는, 챔버(110)의 마주보는 양면중 일면에 형성된 제 1 미러(250); 및 마주보는 양면중 타면에 형성된 제 2 미러(260);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미러(250)와 제 2 미러(260)중 적어도 하나는 챔버(11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또한, 제 2 미러(260)중 일부에는 검출부(1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시료가스와 챔버를 분리함으로써 챔버 내부에 미세먼지가 부착되거나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내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청소가 필요없고, 신뢰성 있는 미세먼지 농도값을 얻을 수 있다.
만약 광산란 측정장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도 챔버를 청소하는 것이 아니라 방오관을 분리하여 방오관만을 청소하면 되므로 간편하게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광산란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중 챔버(1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중 챔버(10) 내부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중 챔버(110) 내부의 확대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조립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순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중 챔버(110)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일측으로는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시료가스(170)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챔버(110)의 타측에는 유출구(125)가 형성되어 농도가 측정된 시료가스(170)가 배출가스(129)로 되어 배출될 수 있다.
발광부(130)는 레이저광(136)을 생성하여 챔버(110) 내부로 조사한다. 이를 위해 발광부(130)에는 레이저발진부와 집속부(도 1 참조)가 포함된다. 레이저광(136)은 시료가스(170)의 유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레이저광(136)은 809 nm의 파장을 가진 레이저광일 수 있다.
반사부(180)에는 제 1 미러(250)가 부착되어 레이저광(136)을 챔버(110) 내부로 반사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부(188)는 광트랩 부재로서 도달한 레이저광(136)이 반사되지 못하고 소거되도록 한다. 트랩부(188)는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중 챔버(110) 내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숯과 같은 부재가 채워져 있다.
방오관(2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사각 튜브로서 투명한 재질(예 : 합성수지재, 유리 등)로 성형한다. 방오관(200)의 일단은 유입구(1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유출구(12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방오관(200)의 길이방향 단면은 중공의 사각 형상이다. 단면중 양측면은 레이저광(136)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레이저광(136)이 수직하게 방오관(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오관(200)의 내부로 시료가스(170)가 유동한다.
방오코팅층(미도시)은 방오관(200)의 내면에 성막되며, 시료가스(170)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방오관(200)의 내면은 지속적으로 시료가스(170)와 접하는 영역이므로,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가 미세먼지, 오염물질(NOx, SOx)로 덮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면을 방오코팅층(예 : 투명한 방오도료)으로 코팅하여 청소 간격을 더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방오관(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오관(200)의 일단에는 유입구어댑터(220)가 조립되고, 타단에는 유출구어댑터(230)가 조립된다.
유입구어댑터(220)는 고무, 합성수지재, 실리콘,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 있고, 변형 가능하며 쉽게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한다. 이는 유입구어댑터(220)와 방오관(200)을 챔버(110)에 손으로 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입구어댑터(220)를 유입구(120)에 끼워 넣음으로써 유입구(120)와 유입구어댑터(220) 사이의 가스 누설을 방지하고, 유입구어댑터(220)와 방오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입구어댑터(220)의 중심에는 제 1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시료가스(170)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유출구어댑터(230)는 고무, 합성수지재, 실리콘,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 있고, 변형 가능하며 쉽게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한다. 이는 유출구어댑터(230)와 방오관(200)을 챔버(110)에 손으로 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출구어댑터(230)를 유출구(125)에 끼워 넣음으로써 유출구(125)와 유출구어댑터(230) 사이의 가스 누설을 방지하고, 유출구어댑터(230)와 방오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출구어댑터(230)의 중심에는 제 2 관통공(235)이 형성되어 시료가스(170)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9는 방오관(200)의 조립후 미러를 조립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미러(250)는 반사부(18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미러(250)는 산란되는 레이저광(136)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미러(260)는 제 1 미러(250)에 대면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2 미러(260)도 산란되는 레이저광(136)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미러(260)는 중심영역에 검출부(140)가 구비되고, 이러한 검출부(140)는 수광되는 빛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검출부(140)의 대표적인 실시예는 포토다이오드이다.
제 1, 2 미러(250, 260)는 모두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검출부(140)는 제 2 미러(260)에 구비되나 필요에 따라 제 1 미러(25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챔버(110)내 다른 내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조립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순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오관(200)의 양단에 유입구어댑터(220)와 유출구어댑터(230)를 조립한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내에 방오관(200)을 조립한다. 이 때, 유입구어댑터(220)는 유입구(120)에 끼워지고, 유출구어댑터(230)는 유출구(125)에 끼워진다.
그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외부 양측에서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부재를 각각 조립한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상부에 제 1 미러(250)를 조립하고, 챔버(110)의 하부에 제 2 미러(260)를 조립하여 완성한다.
만약, 방오관(200)을 수리, 교체,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제 1 미러(250)를 분리한 뒤, 도 8과 같이 유입구(120)와 유출구(125)를 분리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 2 미러(260)로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7과 같이 방오관(200)을 분리한다. 분리된 방오관(200)은 도 6과 같이 양측의 유입구어댑터(220)와 유출구어댑터(230)를 분리한 후, 방오관(200)의 내면을 청소한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시료가스(170)는 유입구(120)를 통해 챔버(110)내의 방오관(200)을 통과한 후 유출구(125)로 빠져 나간다. 이 때, 시료가스(170)는 챔버(110)의 내면과 접하지 않고 방오관(200)의 내면만 접하게 된다. 따라서, 챔버(110)의 내면이 미세먼지나 오염물질로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레이저광(136)은 발광부(130)에서 조사된 후, 방오관(200)을 수직으로 통과하여 트랩부(188)에서 소멸한다. 이때, 레이저광(136)은 방오관(200) 내부의 시료가스(170)와 접하게 되고, 시료가스(170)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로 인해 산란을 일으키게 된다.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 수록 산란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고, 챔버(110)의 내부는 산란광으로 가득차게 된다. 제 1, 2 미러(250, 260)는 이러한 산란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검출부(140)는 수광되는 산란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연산부(50)와 제어부(60)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65)에 미세먼지 농도값으로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예 : 펌프 등)는 도 1의 구성과 유사하다.
그리고, 방오관(200)을 통과한 레이저광(136)은 트랩부(188)로 조사되어 반사되지 못하고 소멸된다. 이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만을 얻고 다른 구성요소로 인한 반사광은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챔버,
12 : 내부공간,
20 : 유입구,
25 : 유출구,
27 : 펌프,
29 : 배출가스,
30 : 발광부,
32 : 집속부,
34 : 레이저발진부,
36 : 레이저광,
40 : 검출부,
50 : 연산부,
60 : 제어부,
65 : 디스플레이,
70 : 시료가스,
72 : 유입먼지,
74 :부착먼지,
80 : 반사부,
84 : 산란광,
88 : 트랩부,
110 : 챔버,
120 : 유입구,
121 : 유입노즐,
125 : 유출구,
129 : 배출가스,
130 : 발광부,
136 : 레이저광,
140 : 검출부,
170 : 시료가스,
84 : 산란광,
188 : 트랩부,
200 : 방오관,
215 : 내벽,
220 : 유입구어댑터,
225 : 제 1 관통공,
230 : 유출구어댑터,
235 : 제 2 관통공,
250 : 제 1 미러.
260 : 제 2 미러.

Claims (14)

  1. 챔버(110);
    상기 챔버(110) 내부로 시료가스(170)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상기 챔버(110) 내부를 향해 레이저광(136)을 조사하는 발광부(130) 및 상기 시료가스(170)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광(136)을 검출하는 검출부(140);를 포함하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20)와 상기 유출구(125)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시료가스(170)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스(170)를 향해 상기 레이저광(136)이 조사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방오관(200);
    상기 유입구(120)와 상기 방오관(200)의 일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입구어댑터(220); 및
    상기 유출구(125)와 상기 방오관(200)의 타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출구어댑터(230);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어댑터(220)와 상기 유출구어댑터(230)중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방오관(200)의 내면에는 상기 시료가스(170)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코팅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어댑터(220)에는 상기 유입구(120)와 연통되는 제 1 관통공(22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어댑터(230)에는 상기 유출구(125)와 연통되는 제 2 관통공(23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관(200)의 외면중 적어도 일부 면은 상기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과 수직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관(200)의 길이방향 단면은 중공의 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0)중, 상기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에는 상기 레이저광(136)을 소거하기 위한 트랩부(188)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88)는 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0)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레이저광(136)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챔버(110)의 마주보는 양면중 일면에 형성된 제 1 미러(250); 및
    상기 마주보는 양면중 타면에 형성된 제 2 미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250)와 상기 제 2 미러(260)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챔버(110)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러(260)중 일부에는 상기 검출부(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KR1020190026262A 2019-03-07 2019-03-07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KR10222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62A KR102229060B1 (ko) 2019-03-07 2019-03-07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62A KR102229060B1 (ko) 2019-03-07 2019-03-07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17A KR20200107317A (ko) 2020-09-16
KR102229060B1 true KR102229060B1 (ko) 2021-03-18

Family

ID=7267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262A KR102229060B1 (ko) 2019-03-07 2019-03-07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840A (zh) * 2021-06-22 2021-09-21 西石(厦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体检测装置和车载尾气检测系统
CN114791377B (zh) * 2022-05-09 2024-04-05 吴也正 一种环境空气中pm2.5采样装置及采样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4146A (ja) 2003-02-28 2004-09-24 Horiba Ltd 簡易な汚れ防止および補正機能を有する光学装置および分析計
JP2008234416A (ja) * 2007-03-22 2008-10-02 Nohmi Bosai Ltd 煙感知器
JP2010531458A (ja) 2007-06-28 2010-09-24 ペリー・イクイップメント・コーポレイション 流体内の汚染物質を遠隔モニタ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615B2 (ja) 1996-03-26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60019790A (ko) * 2014-08-12 2016-02-22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유로 셀을 흐르는 액상물질 및 대기 중 생물입자의 실시간 검출장치
KR101606561B1 (ko) 2014-12-15 2016-03-25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먼지입자측정방법 및 먼지입자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4146A (ja) 2003-02-28 2004-09-24 Horiba Ltd 簡易な汚れ防止および補正機能を有する光学装置および分析計
JP2008234416A (ja) * 2007-03-22 2008-10-02 Nohmi Bosai Ltd 煙感知器
JP2010531458A (ja) 2007-06-28 2010-09-24 ペリー・イクイップメント・コーポレイション 流体内の汚染物質を遠隔モニタ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17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787B1 (ko) 휴대용 생물입자 실시간 검출장치
KR102229060B1 (ko)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KR101069042B1 (ko) 유동체가 제1 속도로 통과하여 흐르는 입구를 갖는 입자탐지기를 위한 챔버 구성
AU2009290147B2 (en) Optical detection of particle characteristics
US7355706B2 (en) Particle detection system implemented with an immersed optical system
US7525655B2 (en) Optical design of a particulate measurement system
EP3625549B1 (fr) Capteur pour la mesure de la concentration de particules dans l'air
JP2015200547A (ja) 粒子検出センサ、ダストセンサ、煙感知器、空気清浄機及び換気扇
CA2646052A1 (en) Optical design of a measurement system having multiple sensor or multiple light source paths
AU2007230750A1 (en) Measurement of light from a predefined scatter angle from particulate matter in a media
JP5188758B2 (ja) 粒径分布測定装置
KR20200033619A (ko) 미세먼지 감지 센서 어셈블리
AU2007230752A1 (en) Dual function measurement system
CN211122432U (zh) 一种颗粒物检测器及具有其的检测系统
AU2007230755A1 (en) Self calibrating measurement system
CN111307677A (zh) 一种激光前散射颗粒物监测装置
CN209695217U (zh) 一种医疗影像设备校准装置
JP3539112B2 (ja) 煙霧透過率測定装置
EP3926327B1 (en) Fire extinguishing agent concentration measuring system and method
KR102170185B1 (ko)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사이드미러, 상기 사이드미러가 적용된 차량 및 상기 사이드미러의 사용방법
US20030142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ize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particles in a fluid
JP2005172636A (ja) ダスト計
JPS61278734A (ja) 微粒子検出装置
GB2583765A (en) Filter unit for an opitcal particle counter
AU2015224408A1 (en) Optical detection of particle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