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830B1 - 스냅 단추 - Google Patents

스냅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830B1
KR102228830B1 KR1020190098501A KR20190098501A KR102228830B1 KR 102228830 B1 KR102228830 B1 KR 102228830B1 KR 1020190098501 A KR1020190098501 A KR 1020190098501A KR 20190098501 A KR20190098501 A KR 20190098501A KR 102228830 B1 KR102228830 B1 KR 10222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late
male
female
mal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644A (ko
Inventor
배효덕
Original Assignee
배효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효덕 filed Critical 배효덕
Priority to KR102019009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8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11Press-button fasteners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action is obtained by a spring working in the plane of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23Press-button fasteners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action is obtained by the own elasticity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41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two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대상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숫단추와, 상기 숫단추와 암수 결합되며 상기 결합 대상물의 타측에 설치되는 암단추로 이루어지는 스냅 단추로서, 상기 숫단추는, 상기 숫단추와 암단추의 암수 결합 시 상기 암단추에 체결되는 체결돌부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상기 체결돌부의 길이 방향 일측은 돌출시키고 길이 방향 타측은 고정하는 숫단추상판부 및 숫단추하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단추는, 상기 체결돌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고정시키는 암단추상판부 및 암단추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숫단추와 암단추는 각각, 둘레면이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단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냅 단추{A SNAP BUTTON}
본 발명은 스냅 단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안전성과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스냅 단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냅 단추(snap button)은 흔히 '똑딱이 단추' 혹은 '똑딱 단추'라고 불리며, 숫단추와 암단추로 이루어지는 암수 한 쌍이 의복이나 가방, 신발 등의 피부착물에 형성된 개방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와 같이, 피부착물에 형성된 개방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스냅 단추의 숫단추와 암단추는 외력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이를 통해, 피부착물의 개방부를 닫거나 개방시킨다.
여기서, 숫단추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철(凸) 형상의 체결돌부가 결합되고, 이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공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암단추는 숫단추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숫단추에 구비되는 체결돌부가 결합되는 요(凹) 형상의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이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공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이러한 암단추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암단추의 수용공간부에 체결되는 숫단추의 체결돌부를 탄성 고정한다. 이러한 스프링은 예컨대, 지그재그 형상으로 복수 회 절곡되어 그 일부가 수용공간부 측으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노출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부에 체결되는 체결돌부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고정 및 지지된다.
이와 같은 숫단추와 암단추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숫단추와 암단추는, 그 날카로운 둘레가 그대로 노출되는 얇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항상 다룰 때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종래의 숫단추는 암단추와의 암수 결합을 위해, 원판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체결돌부가 삽입 및 고정된다. 이때, 체결돌부는 원판의 상면으로부터 하면 측으로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원판의 하면 측으로 빠져 나온 원통형의 길이 방향 단부는 원판의 하면을 향해 외향 절곡된 후 원판의 하면에 압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단순 압착을 통해 상호 결합된 원판과 체결돌부로 이루어진 숫단추를 반복 사용하게 되면, 결국에는 이들의 결합이 헐거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체결돌부가 흔들리거나 원판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3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우수한 안전성과 내구성을 갖는 스냅 단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결합 대상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숫단추와, 상기 숫단추와 암수 결합되며 상기 결합 대상물의 타측에 설치되는 암단추로 이루어지는 스냅 단추로서, 상기 숫단추는, 상기 숫단추와 암단추의 암수 결합 시 상기 암단추에 체결되는 체결돌부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상기 체결돌부의 길이 방향 일측은 돌출시키고 길이 방향 타측은 고정하는 숫단추상판부 및 숫단추하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단추는, 상기 체결돌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고정시키는 암단추상판부 및 암단추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숫단추와 암단추는 각각, 둘레면이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단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부는, 구 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외향 절곡되는 원판 형상의 테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테일부는 원둘레에 이어져 형성되며 중심을 향해 절곡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숫단추상판부는, 상측면 측에 상기 헤드부가 위치하며 하측면 측에 상기 테일부가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숫단추상판과, 상기 숫단추상판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숫단추상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숫단추상판고정공과, 상기 숫단추상판의 원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숫단추상판라운드부와, 상기 숫단추상판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숫단추상판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삽입되는 숫단추상판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숫단추하판부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숫단추상판과 결합 시 상기 테일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된 변형부를 포함하는 숫단추하판과, 상기 숫단추하판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숫단추하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숫단추상판과 결합 시 상기 복수 개의 숫단추상판고정공 각각과 단일통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숫단추하판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숫단추하판의 원둘레는 상기 숫단추상판라운드부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헤드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용부본체와, 상기 수용부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외향 절곡되는 원판 형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원둘레에 이어져 형성되며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와의 사이에 튜브 형태의 트렌치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체결돌부를 탄성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벽면 양측에 폭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 슬릿과 제2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각각 지그재그 형태의 와이어로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 일측은 상기 트렌치의 일측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 타측은 상기 제1 슬릿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수용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 일측은 상기 트렌치의 타측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 타측은 상기 제2 슬릿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수용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벽면 양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절개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개라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를 이루되, 상, 하단은 각각 상기 벽면과 이어져 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은 상기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암단추상판부는, 원판 형상의 암단추상판과, 상기 암단추상판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암단추상판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암단추상판삽입공과, 상기 암단추상판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암단추상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암단추상판고정공과, 상기 암단추상판의 원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암단추상판라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단추하판부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암단추상판과 결합 시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며 중심부분에 상기 수용부본체가 관통 삽입되는 암단추하판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암단추하판과, 상기 암단추하판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암단추하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암단추상판과 결합 시 상기 복수 개의 암단추상판고정공 각각과 단일통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암단추하판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암단추하판의 원둘레는 상기 암단추상판라운드부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숫단추와 암단추 모두, 날카로운 둘레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지 않게 구비됨으로써, 만질 때 특별히 신경 쓸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복 사용하여도 흔들리거나 결합이 헐거워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률이 감소되고, 그 결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숫단추와 암단추 각각의 접촉면에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숫단추와 암단추 분리 시 문양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디자인적인 가치와 상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고 문양 형성 시 광고 효과 또한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 단추에서 숫단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숫단추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 단추에서 암단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단추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 단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 단추에서 숫단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숫단추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 단추에서 암단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단추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 단추는 숫단추(100)와 암단추(200)로 이루어진다. 숫단추(100)는 의복, 가방 또는 신발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 대상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암단추(200)는 결합 대상물의 일측과 분리되어 있는 결합 대상물의 타측에 설치되며, 이들이 서로 암수 결합됨으로써, 양측 결합 대상물을 연결시키고, 또한, 서로 분리됨으로써, 양측 결합 대상물 또한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숫단추(100)는 체결돌부(110)와, 숫단추상판부(120)와, 숫단추하판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체결돌부(110)는 숫단추(100)와 암단추(200)의 암수 결합 시 암단추(200)에 체결되는 숫단추(100)의 일측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체결돌부(110)는 헤드부(111)와, 바디부(112)와, 테일부(113)로 이루어진다.
헤드부(111)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헤드부(111)의 내측은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바디부(112)와의 연결을 위해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부(111)는 후술되는 암단추(200)의 수용부(230)에 수용되고, 탄성부재(240)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암단추(200)에 체결되는데, 이들의 구체적인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부(112)는 헤드부(111)의 개구된 일측에 구비된다. 바디부(112)는 헤드부(111)의 개구된 일측에 이어져 형성된다. 이때, 바디부(112)는 헤드부(111)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12)는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중공으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12)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은 헤드부(111)의 중공과 연통된다.
테일부(113)는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헤드부(111)가 구비되는 바디부(112)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테일부(113)는 바디부(112)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이어져 형성된다. 이때, 테일부(113)는 바디부(112)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로부터 외향 절곡되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최초, 체결돌부(110)는 헤드부(111)와 바디부(112)로 구비되며, 숫단추상판부(120)를 이루는 숫단추상판(121)의 상측면 측에서 숫단추상판(121)에 관통 결합된 후 숫단추상판(121)의 하측면 측으로 돌출된 바디부(112)를 숫단추상판(121)의 하측면을 향해 압착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테일부(113)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일부의 변형 예로서, 테일부(113)는 연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4)는 테일부(113)의 원둘레에 구비된다. 연장부(114)는 테일부(113)의 원둘레에 이어져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114)는 테일부(113)를 이루는 원판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다. 테일부(113)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장부(114) 또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구조의 연장부(114)는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체결돌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거동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반복 사용 시에도 체결돌부(110)는 안정적으로 숫단추상판부(120)와 숫단추하판부(13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숫단추상판부(120)는 숫단추하판부(130)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체결돌부(110)의 길이 방향 일측, 즉, 헤드부(111)는 돌출시키고, 길이 방향 타측, 즉, 테일부(113)는 고정한다.
이러한 숫단추상판부(120)는 숫단추상판(121)과, 숫단추상판고정공(122)과,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와, 숫단추상판체결공(12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숫단추상판(121)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숫단추상판(121)의 상측면 측에는 헤드부(111)가 위치하며 하측면 측에는 테일부(113)가 위치한다. 이때, 숫단추상판(121)의 하측면은 테일부(113)의 상측면과 접촉된다.
숫단추상판고정공(122)은 숫단추상판(121)에 복수 개 형성된다. 숫단추상판고정공(122)은 숫단추상판(12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숫단추상판고정공(122)은 숫단추상판(1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숫단추상판고정공(122)은 숫단추(100)를 결합대상물에 설치하는 경우, 예컨대, 바늘과 실이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숫단추상판고정공(122)은 숫단추상판(121)과, 후술되는 숫단추하판부(130)의 숫단추하판(131)이 대면 접촉되는 경우, 숫단추하판부(130)의 숫단추하판고정공(133)과 상하로 배치되어 단일통공을 형성한다.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는 숫단추상판(121)의 원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는 숫단추상판(121)의 원둘레에 이어져 형성되고 원중심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를 이루게 된다. 즉,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는 두께가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숫단추상판(121)의 날카로운 원둘레를 완만한 라운드 면으로 만들어, 숫단추(100)를 만질 때 특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없게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숫단추상판(121)의 원둘레에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를 구비하게 되면, 사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는 후술되는 원판 형상의 숫단추하판(131)의 원둘레를 감싸게 됨으로써, 두께가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숫단추하판(131)의 날카로운 둘레 또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숫단추상판체결공(124)은 숫단추상판(121)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다. 숫단추상판체결공(124)은 숫단추상판(121)의 중심 부분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숫단추상판체결공(124)은 숫단추상판(121)에 체결돌부(110)가 관통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숫단추상판(121)에 체결돌부(110)가 관통 삽입된 경우, 숫단추상판체결공(124)에는 체결돌부(110)의 바디부(112)의 길이 방향 일측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숫단추상판(121)의 상측면은 암단추(200)와 접촉되는 숫단추(100)의 접촉면으로서, 숫단추(100)와 암단추(20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숫단추상판(121)의 상측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나 광고 문양이 음각이나 양각 또는 접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숫단추상판(121)의 상측면에 소정 형상의 문양이 형성되면, 디자인적인 가치와 상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고 문양 형성 시 광고 효과 또한 거둘 수 있게 된다.
숫단추하판부(130)는 숫단추상판부(120)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체결돌부(110)의 헤드부(111)는 돌출시키고, 체결돌부(110)의 테일부(113)는 고정한다.
이러한 숫단추하판부(130)는 숫단추하판(131)과, 숫단추하판고정공(13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숫단추하판(131)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숫단추하판(131)은 숫단추상판(121)과 결합 시 숫단추상판(121)이 결합되어 있는 체결돌부(110)의 테일부(113)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부(132)를 포함한다. 즉, 변형부(132)는 원판 형상의 숫단추하판(131)의 상측면을 숫단추상판(121)의 하측면에 접촉 가압시킬 때, 숫단추상판(121)의 하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테일부(113)에 의해 변형되어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숫단추하판(131)의 원둘레는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에 의해 감싸지게 되어, 날카로운 원둘레의 외부 노출이 차단된다.
숫단추하판(131)은 숫단추상판(121)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는 숫단추상판(121)의 하측면에 숫단추하판(131)의 상측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숫단추상판(121)의 가장자리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숫단추하판(131)의 원둘레가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숫단추하판고정공(133)은 숫단추하판(131)에 복수 개 형성된다. 숫단추하판고정공(133)은 숫단추하판(13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숫단추하판고정공(133)은 숫단추하판(13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숫단추하판고정공(133)은 숫단추(100)를 결합대상물에 설치하는 경우, 예컨대, 바늘과 실이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숫단추하판고정공(133)은 숫단추상판(121)과 숫단추하판(131)이 대면 접촉되는 경우, 숫단추상판고정공(122)과 상하로 배치되어 단일통공을 형성한다.
암단추(200)는 수용부(230)와, 암단추상판부(210)와, 암단추하판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수용부(230)는 숫단추(100)와 암단추(200)의 암수 결합 시 숫단추(100)의 체결돌부(110)를 수용한다. 수용부(230)는 서로 상하 결합되는 암단추상판부(210)와 암단추하판부(2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수용부(230)는 수용부본체(231)와, 연장부(235)와, 절곡부(236)를 포함한다.
수용부본체(231)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수용부본체(231)의 내측에는 헤드부(1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31a)이 구비된다. 즉, 수용부본체(231)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수용부본체(2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는 헤드부(111)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수용부본체(231)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는 헤드부(111)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32)이 형성된다. 수용부본체(231)의 수용공간(231a)에 수용되는 헤드부(111)의 일부는 이러한 삽입공(23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수용부본체(231)는 서로 마주하는 벽면 양측에 폭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 슬릿(233a)과 제2 슬릿(233b)을 더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부(235)는 수용부본체(231)의 개구되어 있는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된다. 연장부(235)는 수용부본체(2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외향 절곡된다. 이에 따라, 연장부(235)는 중심 부분이 개구되어 있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장부(235)의 상측면은 후술되는 암단추상판부(210)를 이루는 암단추상판(211)의 하측면에 면접촉하게 된다.
절곡부(236)는 연장부(235)의 원둘레에 구비된다. 절곡부(236)는 연장부(235)의 원둘레에 이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236)는 연장부(235)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다. 이때, 절곡부(236)는 연장부(235)의 하측면과의 사이에 튜브 형태의 트렌치(236a)를 형성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냅 단추는 탄성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240)는 수용부(230)에 설치되어, 수용공간(231a)에 수용되는 체결돌부(110)의 헤드부(111)를 탄성 고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240)는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로 이루어진다.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는 지그재그 형태의 금속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는 평면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힘을 받게 되면, 탄성 스프링과 같은 거동을 하게 된다.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는 수용공간(231a)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는 각각, 연장부(235)의 하측면에 길이 방향 외주면 상측이 접촉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1 탄성부재(241)의 길이 방향 일측은 트렌치(236a)의 일측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부재(241)는 고정 지지된다. 제1 탄성부재(241)의 길이 방향 타측은 제1 슬릿(233a)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231a)에 제1 탄성부재(241)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노출된다. 수용공간(231a)에 헤드부(111)가 삽입되는 경우, 헤드부(111)에 의해 제1 탄성부재(241)는 폭 방향 외측(도면기준 좌측)으로 변형되는 한편, 탄성 복원력에 의해 헤드부(111)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탄성부재(242)의 길이 방향 일측은 트렌치(236a)의 타측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 타측은 제2 슬릿(233b)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231a)에 제2 탄성부재(242)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노출된다. 수용공간(231a)을 위쪽에서 보면,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는 수용공간(231a) 내에서 '11'자 형태로 노출된다. 수용공간(231a)에 헤드부(111)가 삽입되는 경우, 헤드부(111)에 의해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는 폭 방향 양측으로 변형된다. 이때,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의 지그재그 형태는 스프링으로 작용하여,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의 노출 부위가 폭 방향 양측으로 변형되면, 압축되고, 동시에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어 헤드부(111)의 외주면 양측을 안정적으로 가압 지지하게 된다. 한편, 헤드부(111)가 수용공간(23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의 노출 부위는 처음 형상, 즉, '11'자 형태로 탄성 복원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체결돌부(110)의 헤드부(111)를 고정하게 되면, 반복 사용 시에도 흔들리거나 결합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의 변형 예로서, 탄성부재(240)가 생략되는 대신, 수용부본체(231)는 탄성부재(24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절개라운드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라운드부(234)는 수용부본체(231)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 양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절개라운드부(234)는 양측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한 쌍의 절개라운드부(234)는 수용부본체(231)의 벽면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절개라운드부(234)는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를 이룬다. 이때, 절개라운드부(234)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수용부본체(231)의 벽면과 이어져 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즉, 절개라운드부(234)는 수용부본체(231)의 벽면을 상하 방향으로 '11'자 형태로 절개한 다음, 양측 절개선의 가운데 면을 수용공간(231a) 측으로 밀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수용부(2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폭 방향 양측이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수용공간(231a) 측으로 구부러진 절개라운드부(234)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수용공간(231a)에 헤드부(111)가 삽입되는 경우, 헤드부(111)에 의해 양측의 절개라운드부(234)는 폭 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는 혹은 라운드가 완만하게 펴짐과 동시에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어 헤드부(111)의 외주면 양측을 안정적으로 가압 지지하게 된다. 헤드부(111)가 수용공간(23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절개라운드부(234)는 최초 형상으로 복원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단추상판부(210)는 암단추하판부(220)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수용부(23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암단추상판부(210)는 암단추상판(211)과, 암단추상판삽입공(212)과, 암단추상판고정공(213)과,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암단추상판(211)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암단추상판(211)의 상측면은 숫단추(100)를 이루는 숫단추상판(121)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된다. 숫단추(100)와 암단추(20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암단추상판(211)의 상측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암단추상판(211)의 상측면에는 숫단추상판(121)의 상측면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나 광고 문양이 음각이나 양각 또는 접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단추상판(211)의 상측면에 소정 형상의 문양이 형성되면, 디자인적인 가치와 상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고 문양 형성 시 광고 효과 또한 거둘 수 있게 된다.
암단추상판삽입공(212)은 암단추상판(211)의 중심부분에 형성된다. 암단추상판삽입공(212)은 암단추상판(211)의 중심부분에 암단추상판(21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암단추상판삽입공(212)은 암단추상판(211)의 하측면 측에 배치되는 수용부(230)의 수용공간(231a)과 연통된다. 이러한 암단추상판삽입공(212)은 체결돌부(110)의 헤드부(111)가 수용공간(231a)으로 진입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암단추상판고정공(213)은 암단추상판(211)에 복수 개 형성된다. 암단추상판고정공(213)은 암단추상판(21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암단추상판고정공(213)은 암단추상판(2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암단추상판고정공(213)은 암단추(200)를 결합대상물에 설치하는 경우, 예컨대, 바늘과 실이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암단추상판고정공(213)은 암단추상판(211)과, 후술되는 암단추하판부(220)의 암단추하판(221)이 대면 접촉되는 경우, 암단추하판부(220)의 암단추하판고정공(224)과 상하로 배치되어 단일통공을 형성한다.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는 암단추상판(211)의 원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는 암단추상판(211)의 원둘레에 이어져 형성되고 원중심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를 이루게 된다. 즉,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는 두께가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암단추상판(211)의 날카로운 원둘레를 완만한 라운드 면으로 만들어, 암단추(200)를 만질 때 특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없게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게 된다. 즉, 암단추상판(211)의 원둘레에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를 구비하게 되면, 사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는 후술되는 원판 형상의 암단추하판(211)의 원둘레를 감싸게 됨으로써, 두께가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암단추하판(211)의 날카로운 둘레 또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단추하판부(220)는 암단추상판부(210)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수용부(23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암단추하판부(220)는 암단추하판(221)과, 암단추하판고정공(22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암단추하판(221)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암단추하판(221)은 암단추상판(211)과 결합 시 절곡부(236)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부(222)를 포함한다. 변형부(222)는 원판 형상의 암단추하판(221)을 수용부(230)가 배치되어 있는 암단추상판(211)의 하측면에 접촉 가압시킬 때, 암단추상판(211)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수용부(230)에 의해 변형되어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이러한 변형부(222)의 중심부분에는 수용부본체(231)가 관통 삽입되는 암단추하판삽입공(22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본체(231)는 이러한 암단추하판삽입공(223)을 통해 변형부(222)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암단추하판(221)의 원둘레는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에 의해 감싸지게 되어, 날카로운 원둘레의 외부 노출이 차단된다.
암단추하판(221)은 암단추상판(211)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는 암단추상판(211)의 하측면에 암단추하판(221)의 상측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암단추상판(211)의 가장자리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암단추하판(221)의 원둘레가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암단추하판고정공(224)은 암단추하판(221)에 복수 개 형성된다. 암단추하판고정공(224)은 암단추하판(22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암단추하판고정공(224)은 암단추하판(2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암단추하판고정공(224)은 암단추(200)를 결합대상물에 설치하는 경우, 예컨대, 바늘과 실이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암단추하판고정공(224)은 암단추상판(211)과 암단추하판(221)이 대면 접촉되는 경우, 암단추상판고정공(213)과 상하로 배치되어 단일통공을 형성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스냅 단추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숫단추 110; 체결돌부
111; 헤드부 112; 바디부
113; 테일부 114; 연장부
120; 숫단추상판부 121; 숫단추상판
122; 숫단추상판고정공 123; 숫단추상판라운드부
124; 숫단추상판체결공 130; 숫단추하판부
131; 숫단추하판 132; 변형부
133; 숫단추하판고정공 200; 암단추
210; 암단추상판부 211; 암단추상판
212; 암단추상판삽입공 213; 암단추상판고정공
214; 암단추상판라운드부 220; 암단추하판부
221; 암단추하판 222; 변형부
223; 암단추하판삽입공 224; 암단추하판고정공
230; 수용부 231; 수용부본체
231a; 수용공간 232; 삽입공
233a; 제1 슬릿 223b; 제2 슬릿
234; 절개라운드부 235; 연장부
236; 절곡부 236a; 트렌치
240; 탄성부재 241; 제1 탄성부재
242; 제2 탄성부재

Claims (6)

  1. 결합 대상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숫단추(100)와, 상기 숫단추(100)와 암수 결합되며 상기 결합 대상물의 타측에 설치되는 암단추(200)로 이루어지는 스냅 단추로서, 상기 숫단추(100)는, 상기 숫단추(100)와 암단추(200)의 암수 결합 시 상기 암단추(200)에 체결되는 체결돌부(110)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상기 체결돌부(110)의 길이 방향 일측은 돌출시키고 길이 방향 타측은 고정하는 숫단추상판부(120) 및 숫단추하판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암단추(200)는, 상기 체결돌부(110)가 수용되는 수용부(230)와, 서로 상하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230)를 고정시키는 암단추상판부(210) 및 암단추하판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숫단추(100)와 암단추(200)는 각각, 둘레면이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를 이루며;
    상기 체결돌부(110)는 구 형상의 헤드부(111)와, 상기 헤드부(111)의 일측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111)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바디부(112)와, 상기 바디부(112)의 길이 방향 단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12)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외향 절곡되는 원판 형상의 테일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230)는, 상기 헤드부(1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31a)이 내측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헤드부(111)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헤드부(111)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32)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수용부본체(231)와, 상기 수용부본체(23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외향 절곡되는 원판 형상의 연장부(235)와, 상기 연장부(235)의 원둘레에 이어져 형성되며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연장부(235)와의 사이에 튜브 형태의 트렌치(236a)를 형성하는 절곡부(2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단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단추상판부(120)는, 상측면 측에 상기 헤드부(111)가 위치하며 하측면 측에 상기 테일부(113)가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숫단추상판(121)과, 상기 숫단추상판(12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숫단추상판(1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숫단추상판고정공(122)과, 상기 숫단추상판(121)의 원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와, 상기 숫단추상판(12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숫단추상판(121)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12)의 길이 방향 일측에 삽입되는 숫단추상판체결공(124)을 포함하며,
    상기 숫단추하판부(130)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숫단추상판(121)과 결합 시 상기 테일부(113)의 형상에 따라 변형된 변형부(132)를 포함하는 숫단추하판(131)과, 상기 숫단추하판(13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숫단추하판(13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숫단추상판(121)과 결합 시 상기 복수 개의 숫단추상판고정공(122) 각각과 단일통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숫단추하판고정공(133)을 포함하고,
    상기 숫단추하판(131)의 원둘레는 상기 숫단추상판라운드부(123)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단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3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31a)에 수용되는 상기 체결돌부(110)를 탄성 고정하는 탄성부재(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본체(231)는 서로 마주하는 벽면 양측에 폭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 슬릿(233a)과 제2 슬릿(233b)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40)는 각각 지그재그 형태의 와이어로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241)와 제2 탄성부재(24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부재(241)의 길이 방향 일측은 상기 트렌치(236a)의 일측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 타측은 상기 제1 슬릿(233a)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수용공간(231a)에 상하 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242)의 길이 방향 일측은 상기 트렌치(236a)의 타측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 타측은 상기 제2 슬릿(233b)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수용공간(231a)에 상하 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단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추상판부(210)는, 원판 형상의 암단추상판(211)과, 상기 암단추상판(21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암단추상판(211)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31a)과 연통되는 암단추상판삽입공(212)과, 상기 암단추상판(21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암단추상판(2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암단추상판고정공(213)과, 상기 암단추상판(211)의 원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를 포함하며,
    상기 암단추하판부(220)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암단추상판(211)과 결합 시 상기 절곡부(236)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며 중심부분에 상기 수용부본체(231)가 관통 삽입되는 암단추하판삽입공(223)이 형성되어 있는 변형부(222)를 포함하는 암단추하판(221)과, 상기 암단추하판(221)을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암단추하판(2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암단추상판(211)과 결합 시 상기 복수 개의 암단추상판고정공(213) 각각과 단일통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암단추하판고정공(224)을 포함하고,
    상기 암단추하판(221)의 원둘레는 상기 암단추상판라운드부(214)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단추.
KR1020190098501A 2019-08-13 2019-08-13 스냅 단추 KR10222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01A KR102228830B1 (ko) 2019-08-13 2019-08-13 스냅 단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01A KR102228830B1 (ko) 2019-08-13 2019-08-13 스냅 단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44A KR20210019644A (ko) 2021-02-23
KR102228830B1 true KR102228830B1 (ko) 2021-03-18

Family

ID=7468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01A KR102228830B1 (ko) 2019-08-13 2019-08-13 스냅 단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4924A (zh) * 2006-03-30 2007-10-03 Ykk株式会社 不能旋转的夹心式纽扣
KR101195042B1 (ko) * 2011-06-20 2012-10-29 강도웅 스냅 단추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6711U (ja) * 1983-04-26 1984-11-08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等用釦
KR200408394Y1 (ko) 2005-11-28 2006-02-08 강민희 스냅단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4924A (zh) * 2006-03-30 2007-10-03 Ykk株式会社 不能旋转的夹心式纽扣
KR101195042B1 (ko) * 2011-06-20 2012-10-29 강도웅 스냅 단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44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6691B (zh) 繩索固定具
EP0831557B1 (en) Terminal structure
US3744104A (en) Non-releasable clasp
US7800581B2 (en) User input device with self-centering flat spring
KR102228830B1 (ko) 스냅 단추
JP5858024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US4129998A (en) Earring
WO2002102183A1 (en) Earring post and connector assembly
EP1388301B1 (en) Buckle
JP2021051067A (ja) 携行型時計のためのケースミドル部/ホーンの接続デバイス
JP6510292B2 (ja) コネクタ
US3065451A (en) Male-female connector
EP3246999A1 (en) Female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s
US3974547A (en) Jewelry clasp member
US1887066A (en) Tie for mattresses, cushions, etc.
CN213664021U (zh) 二次定位锁合式手镯
US1268278A (en) Garment-fastener.
US1734048A (en) Stud slide
US2306829A (en) Collar holder
US3559318A (en) Display button
WO2007119979A1 (en) Binding tool
CN213639895U (zh) 一种用于电子设备的佩戴结构
US3324649A (en) Wrist bands
JPS646594Y2 (ko)
JPH0540735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