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736B1 -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736B1
KR102228736B1 KR1020190108950A KR20190108950A KR102228736B1 KR 102228736 B1 KR102228736 B1 KR 102228736B1 KR 1020190108950 A KR1020190108950 A KR 1020190108950A KR 20190108950 A KR20190108950 A KR 20190108950A KR 102228736 B1 KR102228736 B1 KR 10222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smart device
network
do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902A (ko
Inventor
최광진
고성훈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7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산책지수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및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 하여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날씨 정보에 따른 산책지수를 "매우좋음, 좋음, 나쁨, 매우나쁨 "으로 구분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산책지수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한 산책 내비게이션으로 실시간 위치 및 경로확인 가능하여 운동량을 체크할 뿐만 아니라, 추천알고리즘을 통한 다양한 산책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Companion dog walking system using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한 산책 내비게이션으로 실시간 위치 및 경로확인 가능하여 운동량을 체크할 뿐만 아니라, 추천알고리즘을 통한 다양한 산책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살아 있는 가족과 같이 소중한 존재로 생각하는 사람들로, 펫(Pet)과 패밀리(Falmily)의 합성어인 펫팸족이라는 용어가 있으며, 반려동물로 반려견이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반려견의 수명은 10 ∼ 15년 정도로 보호자와 일생을 함께하기 어렵다.
이러한 반려견의 삶의 질과 수명은 반려견의 건강상태에 의해 좌우되며, 이러한 건강상태는 반려견의 운동 및 사료 급여량과 관계가 깊다.
일반적으로 반려견은 태어난지 9 ∼ 24개월이 지나면 성견이 되고 이때부터 반려견의 야생습관이 발생하게 되며, 이 중 주목하여야할 야생습관을 적적히 조절하기 위해 산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반려견 산책 앱을 통해 견주들과 반려견들의 보다 나은 산책과 건강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51338(2017.11.14)호 "반려견 행동분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BEHAVIOR ANALYSIS OF A DOG)"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한 산책 내비게이션으로 실시간 위치 및 경로확인 가능하여 운동량을 체크할 뿐만 아니라, 추천알고리즘을 통한 다양한 산책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책을 통해 얻는 포인트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산책을 장려하고 반려견 비만 예방과, 견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 반려견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한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견주들의 일상공유가 가능한 자체적 커뮤니티를 제공함과 동시에 애견용품 구매촉진으로 반려동물산업 경제를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방법은,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산책지수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및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 하여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날씨 정보에 따른 산책지수를 "매우좋음, 좋음, 나쁨, 매우나쁨 "으로 구분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산책지수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계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목적지 설정 모드로 진입 요청시, 목적지를 선택을 위한 경로 설정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경로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빅데이터 서버(400)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제공되어 저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산책 종료 요청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산책완료를 수신시 견주가 사전에 등록하고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검증된 걸음 보폭에 따른 걸음 수를 연산하고, 각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제공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반려견 산책 서버(300); 를 포함하는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에 있어서,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산책지수 요청을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 하여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날씨 정보에 따른 산책지수를 "매우좋음, 좋음, 나쁨, 매우나쁨 "으로 구분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산책지수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목적지 설정 모드로 진입 요청시, 목적지를 선택을 위한 경로 설정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경로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려견 산책 서버(300)가, 빅데이터 서버(400)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되어 저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산책 종료 요청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산책완료를 수신시 견주가 사전에 등록하고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검증된 걸음 보폭에 따른 걸음 수를 연산하고, 각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은,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한 산책 내비게이션으로 실시간 위치 및 경로확인 가능하여 운동량을 체크할 뿐만 아니라, 추천알고리즘을 통한 다양한 산책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또한, 본 발명은 산책을 통해 얻는 포인트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산책을 장려하고 반려견 비만 예방과, 견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 반려견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견주들의 일상공유가 가능한 자체적 커뮤니티를 제공함과 동시에 애견용품 구매촉진으로 반려동물산업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 중 반려견 산책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 중 반려견 산책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 중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은 복수의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지는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반려견 산책 서버(300) 및 빅데이터 서버(400), 그리고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반려견 산책 서버(300) 및 빅데이터 서버(400),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 중 반려견 산책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 중 반려견 산책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 중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날씨 제공 모듈(321), 위치 추적 모듈(322), 보상 제공 모듈(323) 및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날씨 제공 모듈(3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산책지수 요청을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 하여 도 4와 같이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날씨 정보에 따른 산책지수를 "매우좋음, 좋음, 나쁨, 매우나쁨 "으로 구분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산책지수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날씨 제공 모듈(321)은 산책지수를 구분시,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한 뒤, 빅데이터 서버(400)로부터 날씨 정보뿐만 아니라,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람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닌 반려견의 산책시의 편의 파라미터를 추가하기 위해 현재의 도보로의 바닥상태 정보, 인접한 도로의 차량 밀도 분포, 도보로의 반려견, 사람을 포함하는 밀도 분포 정보 등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날씨 제공 모듈(321)은 날씨 정보 외에 현재의 도보로의 바닥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전날에 비 또는 눈이 왔는지, 환경 미화원에 의한 청소 주기 정보 등에 해당하는 세부 파라미터별로 각각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을 수행한 뒤 제 1 합산하고, 밀도 분포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을 수행하여 제 1 합산에 해당하는 정량적 수치에 다시 제 2 합산하는 방식으로 부가 정보 정량치를 연산할 수 있다. 다시, 날씨 제공 모듈(321)은 날씨 정보의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에 부가 정보 정량치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를 각각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을 수행하여 다시 제 3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산책지수를 연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날의 교통사고 집계 정보도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 하여 다시 제 4 합산할 수도 있다.
한편, 날씨 제공 모듈(321)은 산책지수를 일주일치를 한번에 연산하여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이전 주 단위, 이전 월 단위, 이전 년 단위로 주중 동일한 각 요일, 월중 동일한 각 날짜, 년중 동일한 각 날짜에 대해서 동일한 GPS 위치 정보에서의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중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연산된 산책지수를 빅데이터 서버(4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한 각 요일별 산책지수를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함으로써, 일주일치를 미리 볼 수 있어서 견주가 반려견과 산책일정을 잡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위치 추적 모듈(322)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 상에서 도 5a와 같이 출력된 산책시작 선택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이번 주 누적 산책정보를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위치 추적 모듈(322)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산책시작 시, 바로 산책과 목적지 설정 중 선택 가능한 화면이 도 5b와 같이 출력되어 둘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추적 모듈(322)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도 6a와 같이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산책 모드로 진입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대변과 소변 버튼을 통해 마킹체크, 실시간으로 거리와 칼로리, 걸음 측정을 위한 UI 화면 정보를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적 모듈(322)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목적지 설정 모드로 진입 요청시, 목적지를 선택을 위한 경로 설정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경로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도 7과 같은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수신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견주는 경로를 추천하는 것이기 때문에 추천 경로와 다르게 산책해도 무방하며, 위치 추적 모듈(322)에 의한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생성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현재의 요일과 매칭되는 이전 주 요일의 산책정보, 현재의 월중 날짜와 매칭되는 이전 월의 날짜의 산책정보, 현재의 년 중 월과 날짜와 매칭되는 이전 년의 월과 날짜에 매칭되는 산책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산책정보 중 하나를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보상 제공 모듈(323)은 빅데이터 서버(400)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되어 저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산책 종료 요청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도 8a와 같이 산책완료시 견주가 사전에 등록하고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검증된 걸음 보폭에 따른 걸음 수를 연산하고, 각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은 도 8b와 같이 오늘의 산책결과에 해당하는 산책경로와, 산책 걸음 수를 포함하는 산책 기록 화면을 커뮤니티에 올리거나 SNS에 공유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로 결과 화면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은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이전의 날짜 지정에 따른 산책 기록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이전 산책 기록을 추출한 뒤, 도 9a와 같이 캘린더 UI 화면 형식으로 산책 기록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반려견 관련 행사들을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각 날짜별 반려견 관련 행사 정보 요청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견주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각 날짜별 상세 산책 기록 정보 요청시, 각 시간대별 경로 정보 상에서 GPS 위치 정보와 함께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빅데이터 서버(400)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영상 이미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어서 상세 산책 기록을 통해 언제 얼마나 산책했는데 상세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은 도 10과 같이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또는 SNS를 통한 각 견주들과 소통이 가능하도록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은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커뮤니티 아이디(또는 식별번호) 또는 SNS 아이디(또는 식별번호)와 변려견 사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400)에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커뮤니티 아이디(또는 식별번호) 또는 SNS 아이디(또는 식별번호)와 반려견 사진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은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동일한 커뮤니티 아이디(또는 식별번호) 또는 SNS 아이디(또는 식별번호)에 속한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단말식별번호를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각 추출된 단말식별번호의 커뮤니티 ID 또는 SNS ID에 대한 추출이 완료되면 각 추출된 커뮤니티 ID 또는 SNS ID 간에 상호 친구 추천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호 친구로 맺은 경우 빅데이터 서버(400)에 이전 또는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반려견 사진 정보의 공유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견주가 올린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필 페이지도 도 10과 같이 상호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에 교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보상 제공 모듈(323)은 도 10과 같이 애견 용품 구매 메뉴 또는 뽑기 메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보상 제공 모듈(323)은 애견 용품 구매 메뉴 또는 일상 용품 등의 뽑기 메뉴에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구매 요청 또는 뽑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30)의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포인트 정보를 활용하여 애견 용품 구매 또는 뽑기 시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주들의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상 제공 모듈(323)은 포인트 정보를 마치 마일리지 사용과 같은 방식을 통해 견주들에게 흥미와 이익을 선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산책지수 요청을 수신한다(S11).
단계(S11)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 하여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날씨 정보에 따른 산책지수를 "매우좋음, 좋음, 나쁨, 매우나쁨 "으로 구분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산책지수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12).
단계(S12)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목적지 설정 모드로 진입 요청시, 목적지를 선택을 위한 경로 설정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경로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13).
단계(S13)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빅데이터 서버(400)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되어 저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산책 종료 요청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산책완료시 견주가 사전에 등록하고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검증된 걸음 보폭에 따른 걸음 수를 연산하고, 각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제공한다(S14).
단계(S14)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애견 용품 구매 메뉴 또는 뽑기 메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한다(S15).
단계(S15) 이후,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애견 용품 구매 메뉴 또는 일상 용품 등의 뽑기 메뉴에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구매 요청 또는 뽑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30)의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포인트 정보를 활용하여 애견 용품 구매 또는 뽑기 시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6).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100 :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
200 : 네트워크
300 : 반려견 산책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날씨 제공 모듈
322 : 위치 추적 모듈
323 : 보상 제공 모듈
324 : 커뮤니티 제공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빅데이터 서버
500 :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

Claims (8)

  1. 복수의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지는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네트워크(200), 반려견 산책 서버(300) 및 빅데이터 서버(400), 그리고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를 포함하는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1)에 있어서, 반려견 산책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산책지수 요청을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 하여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날씨 정보에 따른 산책지수를 "매우좋음, 좋음, 나쁨, 매우나쁨 "으로 구분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산책지수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산책지수를 구분시,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한 뒤, 빅데이터 서버(400)로부터 날씨 정보뿐만 아니라,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람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닌 반려견의 산책시의 편의 파라미터를 추가하기 위해 현재의 도보로의 바닥상태 정보, 인접한 도로의 차량 밀도 분포, 도보로의 반려견, 사람을 포함하는 밀도 분포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날씨 정보 외에 현재의 도보로의 바닥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전날에 비 또는 눈이 왔는지, 환경 미화원에 의한 청소 주기 정보에 해당하는 세부 파라미터별로 각각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을 수행한 뒤 제 1 합산하고, 밀도 분포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을 수행하여 제 1 합산에 해당하는 정량적 수치에 다시 제 2 합산하는 방식으로 부가 정보 정량치를 연산하며, 날씨 정보의 각 단계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에 부가 정보 정량치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를 각각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을 수행하여 다시 제 3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산책지수를 연산하며, 전날의 교통사고 집계 정보도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리케이션(multiplication) 하여 다시 제 4 합산하며,
    산책지수를 일주일치를 한번에 연산하여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이전 주 단위, 이전 월 단위, 이전 년 단위로 주중 동일한 각 요일, 월중 동일한 각 날짜, 년중 동일한 각 날짜에 대해서 동일한 GPS 위치 정보에서의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 그룹(100g) 중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연산된 산책지수를 빅데이터 서버(4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한 각 요일별 산책지수를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함으로써, 일주일치를 미리 볼 수 있어서 견주가 반려견과 산책일정을 잡는데 도움을 주는 날씨 제공 모듈(321);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 상에서 산책시작 선택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이번 주 누적 산책정보를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산책시작 시, 바로 산책과 목적지 설정 중 선택 가능한 화면이 출력되어 둘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산책 모드로 진입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대변과 소변 버튼을 통해 마킹체크, 실시간으로 거리와 칼로리, 걸음 측정을 위한 UI 화면 정보를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목적지 설정 모드로 진입 요청시, 목적지를 선택을 위한 경로 설정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경로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수신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견주는 경로를 추천하는 것이기 때문에 추천 경로와 다르게 산책해도 무방하며,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를 생성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현재의 요일과 매칭되는 이전 주 요일의 산책정보, 현재의 월중 날짜와 매칭되는 이전 월의 날짜의 산책정보, 현재의 년 중 월과 날짜와 매칭되는 이전 년의 월과 날짜에 매칭되는 산책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산책정보 중 하나를 왕복산책코스 추천 정보로 생성하는 위치 추적 모듈(322);
    빅데이터 서버(400)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되어 저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산책 종료 요청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산책완료시 견주가 사전에 등록하고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 검증된 걸음 보폭에 따른 걸음 수를 연산하고, 각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를 연산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보상 제공 모듈(323); 및
    오늘의 산책결과에 해당하는 산책경로와, 산책 걸음 수를 포함하는 산책 기록 화면을 커뮤니티에 올리거나 SNS에 공유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로 결과 화면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이전의 날짜 지정에 따른 산책 기록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이전 산책 기록을 추출한 뒤, 캘린더 UI 화면 형식으로 산책 기록 정보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반려견 관련 행사들을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각 날짜별 반려견 관련 행사 정보 요청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견주 앱을 통해 견주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각 날짜별 상세 산책 기록 정보 요청시, 각 시간대별 경로 정보 상에서 GPS 위치 정보와 함께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빅데이터 서버(400)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영상 이미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어서 상세 산책 기록을 통해 언제 얼마나 산책했는데 상세하게 알 수 있도록 하며,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의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또는 SNS를 통한 각 견주들과 소통이 가능하도록 중계를 수행하되,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커뮤니티 아이디(또는 식별번호) 또는 SNS 아이디(또는 식별번호)와 변려견 사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400)에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커뮤니티 아이디(또는 식별번호) 또는 SNS 아이디(또는 식별번호)와 반려견 사진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며,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동일한 커뮤니티 아이디(또는 식별번호) 또는 SNS 아이디(또는 식별번호)에 속한 각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추출한 뒤, 추출된 단말식별번호를 커뮤니티 또는 SNS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각 추출된 단말식별번호의 커뮤니티 ID 또는 SNS ID에 대한 추출이 완료되면 각 추출된 커뮤니티 ID 또는 SNS ID 간에 상호 친구 추천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호 친구로 맺은 경우 빅데이터 서버(400)에 이전 또는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반려견 사진 정보의 공유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견주가 올린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필 페이지도 상호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 간에 교류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제공 모듈(324); 을 포함하며,
    보상 제공 모듈(323)은,
    애견 용품 구매 메뉴 또는 뽑기 메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애견 용품 구매 메뉴 또는 일상 용품 등의 뽑기 메뉴에서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구매 요청 또는 뽑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견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30)의 걸음 수에 비례하는 포인트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포인트 정보를 활용하여 애견 용품 구매 또는 뽑기 시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주들의 소비를 유도함으로써, 포인트 정보를 마치 마일리지 사용과 같은 방식을 통해 견주들에게 흥미와 이익을 선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08950A 2019-09-03 2019-09-03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950A KR102228736B1 (ko) 2019-09-03 2019-09-03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950A KR102228736B1 (ko) 2019-09-03 2019-09-03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02A KR20210027902A (ko) 2021-03-11
KR102228736B1 true KR102228736B1 (ko) 2021-03-16

Family

ID=7514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950A KR102228736B1 (ko) 2019-09-03 2019-09-03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0551A (ja)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運動支援装置及び運動支援方法
JP2009216582A (ja) 2008-03-11 2009-09-24 Zenrin Datacom Co Ltd 休憩場所案内システムおよび休憩場所案内方法
JP2017150920A (ja) 2016-02-24 2017-08-31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ルート作成方法、プログラム
KR102020545B1 (ko) 2018-12-03 2019-11-04 이현석 날씨와 도로 상태를 반영한 헬스 기반 보행 내비게이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793B1 (ko) * 2009-09-14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20170090296A (ko) * 2016-01-28 2017-08-07 김세원 애완동물 산책 관리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0551A (ja)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運動支援装置及び運動支援方法
JP2009216582A (ja) 2008-03-11 2009-09-24 Zenrin Datacom Co Ltd 休憩場所案内システムおよび休憩場所案内方法
JP2017150920A (ja) 2016-02-24 2017-08-31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ルート作成方法、プログラム
KR102020545B1 (ko) 2018-12-03 2019-11-04 이현석 날씨와 도로 상태를 반영한 헬스 기반 보행 내비게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02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rman et al. Using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to assess park visitation: Comparing three on-line platforms
Cao et al. E-scooter sharing to serve short-distance transit trips: A Singapore case
Venter et al. Cattle don’t care: Animal behaviour is similar regardless of grazing management in grasslands
EP2687998B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control program
US11036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identification
Carrion et al. Valuation of travel time reliability from a GPS-based experimental design
Ryan et al. The utility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for predicting African buffalo forage quality
Northrup et al. Effects of helicopter capture and handling on movement behavior of mule deer
JP5034701B2 (ja) 観光客の誘導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DE112018007300T5 (de) Routenführung mit wahrnehmung der umgebung
Wingard et al. Estimating abundance of mountain ungulates incorporating imperfect detection: argali Ovis ammon in the Gobi Desert, Mongolia
JP2007156637A (ja) 情報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検索システム
JP2015076082A (ja) マッチング処理システム、マッチング処理方法
US20200065917A1 (en) Facility rating device and facility rating method
EP3014491B1 (en) Displaying demographic data
Lee et al. Demographic, physical activity, and rout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hool transportation: an exploratory study
Morency et al. Estimating latent cycling and walking trips in Montreal
Lukoseviciute et al. Sustainable recreational trail design from the recreational opportunity spectrum and trail user perception: A case study of the Seven Hanging Valleys
Spinney et al. Factors affecting mode choice for the home–elementary school journey: Evidence from Halifax, Canada
KR102228736B1 (ko) 보상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 산책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58385B2 (ja) 親密度算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Toohey et al. Newspaper portrayals, local policies, and dog-supportive public space: who's wagging whom?
JP2006165859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その情報配信システムが備えたサービス提供装置、情報配信プログラム、その情報配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配信方法
Fu et al. A risk-based approach to winter road surface condition classification
JP604819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